KR20110067994A -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994A
KR20110067994A KR1020090124805A KR20090124805A KR20110067994A KR 20110067994 A KR20110067994 A KR 20110067994A KR 1020090124805 A KR1020090124805 A KR 1020090124805A KR 20090124805 A KR20090124805 A KR 20090124805A KR 20110067994 A KR20110067994 A KR 2011006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lo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임갑영
정한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2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994A/ko
Publication of KR2011006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9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라(Usnea longissima)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송라, 미백,보습, 노화 피부외용제

Description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CONTAINING BEARD USNEA LONGISSIMAL}
본 발명은 송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인한 자외선 증가로 미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 합성물로 제조된 화학합성 화장품에 대한 부작용과 과민 반응이 다량 보고됨에 따라 화장품의 원료를 천연 소재로부터 얻으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밝혀진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이나 그 유도체들은 안전성 또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거나 실제 화장품 원료로 배합하였을 때의 미백 효능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이유로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천연물에서 미백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를 보이는 물질들을 찾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안정성의 문제나 적절한 유효농도의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한편, 송라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된 예는 보고되지 않고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보습,노화에 효과적인 새로운 천연 물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송라추출물이 피부 미백,보습,노화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송라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 보습, 항노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조성물은 송라(Usnea longissima)추출물을 함유한다.
송라(Usnea longissima)는 노란색 또는 녹색이 도는 관목상 지의로, 긴 줄기와 뒤엉킨 실타래처럼 생긴 원판 모양의 부착기를 갖는다. 주로 한방에서 이뇨제, 해열제, 거담제로 쓴다. 온대 지방의 높은 산에서 한대에 걸쳐 자라는데 한국, 일 본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라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및 물과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혼합물에 의해 추출가능하나, 상기 추출용매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송라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로 함유한다. 이는 0.0001중량% 미만에서는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세정제, 비누, 염모제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장료 제형; 정제, 알약, 캡슐, 좌약, 작은 봉지, 과립, 분말, 크림, 로션, 연고, 겔, 패취, 분무제, 반창고, 액체용액,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및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학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하거나,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해초 엑 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화장료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제형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피 투여이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2000mg/kg/일 범위이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거나, 1일당 1.0 내지 3.0 ㎖로 이를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도된 투여양식에 따라 약학 제형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투여 형태일 수 있으며, 활성성분은 리포솜, 미세입자 또는 마이크로 캡슐 등에 캡슐화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제형은 크림, 로션, 연고, 겔, 패취, 분무제, 액체 용액, 현탁액, 분산액 또는 에멀젼 등의 경피 투여용 제형이다.
상기 제형 중 정제, 알약, 과립 등과 같은 고체 조성물은 편의상 코팅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정맥 내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멸균 등장 수성 완충액 내의 용 액이고, 주사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국부 마취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제형은 원한다면 습윤제, 유화제, pH 완충제 등과 같은 소량의 무독성 보조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보조 물질의 예는 나트륨 아세테이트,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제, 항산화제, 결합제, 착색제, 향미제, 방부제 및 농후제와 같은 부형제, 담체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라 추출물의 제조>
송라 200g을 분쇄하여 중량비 10배의 물을 넣고 잘 저어주면서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지를 통해 여과한 여액에 에탄올 4 kg을 넣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여과하여 얻은 침전물을 증류수 2 kg에 녹인 후 재여과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로 농축함으로써 송라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송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정도는 둘리(Dooley)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하이드로퀴논 및 코지산을 사용하여 상기 송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세포주는 C57BL/6의 피부 색소세포에서 유래된 Mel-Ab 세포주(Dr Thomas P. Dooley로부터 공급받음)를 사용하였다. 배양은 10% 소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 포르볼(Tetradecanoyl Phobol)-13-아세테이트(Acetate), 1nM 콜레라 톡신(Cholera Toxin)을 함유한 DMEM 배지, 37℃, 5% CO2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졌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내고, 24-웰플레이트(well plate)에 다시 동일한 숫자(1×105 cells/well)로 깔은 후에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시료들(송라 추출물 10, 5, 2.5ppm, 양성대조군인 코지산 및 하이드로퀴논 각각 10ppm)을 포함시킨 배지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시험물질 처리를 하였다. 5일째 이후에 1N NaOH를 처리하여 세포에 포함된 멜라닌을 녹여내어 400㎚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멜라닌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량(%)
하이드로퀴논 10ppm 12.5%
코지산 10ppm 85%
송라 추출물 10ppm 42.4%
송라 추출물 5ppm 64.1%
송라 추출물 2.5ppm 77.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라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송라 추출물의처리에 의한 HaCaT 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배양된 세포주를 트립신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24 웰 플레이트에 1x105 개씩 분주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역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송라 추출물을 1μM, 10μM을 처리하고, 24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10,000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강된 세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얻어 에쉴론 생명과학 회사(Echelon Bioscience, Salt Lake, UT)회사의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양을 측정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의 히알루론산 양을 100%로 설정하고, 각각의 실험군에서의 상대적인 히알루론산 양을 계산하였다.
송라추출물은 대조군(100%)에 비해 히알루론산의 양이 120% 증가하여 히알루론산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건조 완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밀크스킨로션)>
본 발명에 따른 영양화장수를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송라 추출물 0.05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2: 영양크림>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을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송라 추출물 3.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3: 맛사지 크림>
본 발명에 따른 맛사지 크림을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송라 추출물 1.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파라핀 1.5
<제형예 4: 팩>
본 발명에 따른 팩을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송라 추출물 0.5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에탄올 6.0
<제형예 5: 연고>
본 발명에 따른 연고를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송라 추출물 1.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Claims (6)

  1. 송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송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송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용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세정제, 비누, 염모제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알약, 캡슐, 좌약, 작은 봉지, 과립, 분말, 크림, 로션, 연고, 겔, 패취, 분무제, 반창고, 액체용액,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및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학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124805A 2009-12-15 2009-12-15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67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05A KR20110067994A (ko) 2009-12-15 2009-12-15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805A KR20110067994A (ko) 2009-12-15 2009-12-15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94A true KR20110067994A (ko) 2011-06-22

Family

ID=4440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805A KR20110067994A (ko) 2009-12-15 2009-12-15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9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0263A (zh) * 2012-03-30 2012-07-25 常熟市常福有机复合肥有限公司 祛斑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70035691A (ko) 2015-09-23 2017-03-31 코웨이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송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1343B1 (ko) * 2017-08-29 2018-08-02 주식회사 톡토리 탈모 방지 비누의 제조방법
KR102395854B1 (ko) 2021-12-07 2022-05-06 배은영 송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5400050A (zh) * 2021-05-28 2022-11-29 株式会社新世界国际 包含天山雪莲、松萝及发酵黑参提取物的抗老化用组合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0263A (zh) * 2012-03-30 2012-07-25 常熟市常福有机复合肥有限公司 祛斑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70035691A (ko) 2015-09-23 2017-03-31 코웨이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송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821948A (zh) * 2015-09-23 2017-06-13 豪威株式会社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871343B1 (ko) * 2017-08-29 2018-08-02 주식회사 톡토리 탈모 방지 비누의 제조방법
CN115400050A (zh) * 2021-05-28 2022-11-29 株式会社新世界国际 包含天山雪莲、松萝及发酵黑参提取物的抗老化用组合物
KR102395854B1 (ko) 2021-12-07 2022-05-06 배은영 송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5353B (zh) 包含粗齿绣球提取物的因紫外线引起的人皮肤细胞损伤改善用组合物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17159A (ko) 효소 처리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0650724A (zh) 包含蓟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促进黑色素生成的组合物
KR20110067994A (ko) 송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10067796A (ko)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CN107072933B (zh) 包含宽叶蔓豆油的组合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65381B1 (ko) 록삼피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88665A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17565A (ko) 감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101720712B1 (ko)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320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100223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medicine processed by an oriental herbal medicine processing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17660A (ko) 가시오가피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10017564A (ko) 삼백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070121193A (ko) 청주 순미주 농축물 및 청주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함유하는 피부 보호 또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072725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