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003A -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003A
KR20110067003A KR1020100039140A KR20100039140A KR20110067003A KR 20110067003 A KR20110067003 A KR 20110067003A KR 1020100039140 A KR1020100039140 A KR 1020100039140A KR 20100039140 A KR20100039140 A KR 20100039140A KR 20110067003 A KR20110067003 A KR 2011006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oil type
mini
coating layer
conductiv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653B1 (ko
Inventor
리우 춘파
쑤 통얀
Original Assignee
고어텍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어텍 인크 filed Critical 고어텍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6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25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시스템, 진동 시스템 및 자기회로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보조 시스템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 시스템은 다이어프램과 리드선이 설치된 음성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이어프램 표면에 적어도 두 개 회로를 형성하는 도전 코팅층이 설치되고, 다이어프램의 중심 구역에는 유연성 회로판이 설치되며, 리드선은 상기 유연성 회로판과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된다. 본 발명은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일그러짐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기 연결 성능도 향상시키며, 또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생산 및 조립 과정을 간략하여 제품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Moving-Coil Type Mini Microphone}
본 발명은 전기음향 변환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전기제품 시장의 발전에 따라 대량의 미니 전기음향 장치, 특히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작동원리는, 변화하는 교류 전기 신호가 자성 갭에 위치한 음성 코일을 상하 진동시키고, 이로써 진동 시스템을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진동 시스템은 공지의 더블 자기회로 구조를 갖고 있는 장치로서, 진동 시스템은 다이어프램(21)과 음성 코일(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이어프램(21)은 링부(211), 변두리부(213), 돔부(214) 및 음성 코일(22)과 결합된 접합부(215)를 포함하고, 음성 코일(22)에는 리드선(23)이 더 설치되는 바, 이러한 종래 구조의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는 일그러짐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품의 음향 성능 향상에 불리하고, 또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가 장시간 작동하거나 또는 진동 시스템의 진폭이 지나치게 큰 경우, 쉽게 단선되어 전기 연결 불량 등 문제를 일으키며, 또 이러한 종래 구조의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진동 시스템의 생산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 원가의 절감과 생산 효율의 향상에 불리하다.
상기 종래 구조의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개선에 있어서, 공개일이 2007년 10월 24일인 중국 특허 공개 CN101061748에서는, 다이어프램 상에 요홈과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전도 구역이 형성되고, 음성 코일을 다이어프램의 요홈내에 설치하고, 리드선과 도전(導電) 구역을 전기 연결시키는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설계는 상기 종래 구조의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리드선 수명이 길지 않고, 소음을 발생시켜 일그러짐을 일이키는 등 문제를 일정한 정도로 해결하기는 하였지만, 이러한 구조의 설계는 음성 코일과 다이어프램의 조립 공정이 비교적 복잡해지고, 다이어프램과 음성 코일의 전기 연결 공정의 조작이 어려워지고,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 효율의 향상과 생산 원가의 절감에 불리하다.
때문에 상기 종래 구조의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진동 시스템을 진일보 개선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연결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 및 조립 과정을 간략하여 제품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할 수 있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 시스템, 다이어프램과 리드선이 설치된 음성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시스템 및 자기회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표면에 적어도 두 개 회로를 형성하는 도전 코팅층이 설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구역에는 유연성 회로판이 설치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유연성 회로판과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된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케이스 각각에는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연장부까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와 전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전기 절연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연장부에 전기 연결되는 두 개 브랜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서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니켈 금속 도전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회로판에는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은 도금 스루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외부 전극, 상기 도금 스루홀 및 상기 내부 전극을 통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전도성 접착체를 통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상의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내부 전극과 상기 리드선은 용접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은 상기 유연성 회로판 상에서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돔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기 위한 링부 및 고정을 위한 변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돔부의 중심 구역은 중공 구조이며, 상기 유연성 회로판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구역 상에 결합되고, 상기 유연성 회로판의 사이즈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공 구조의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링부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일그러짐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전기 연결 성능을 향상시키며, 또한 생산 및 조립 과정을 간략하여 제품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기 쉽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특징과 기술 이점은 더욱 명료해질 것이며 보다 이해하기 쉬워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의 정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배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정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전 코팅층을 절약할수 있는 개선 방안의 다이어프램 정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전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의 배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유연성 회로판의 구조 개략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정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의 구조 개략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전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에서 진일보 개선된 다이어프램의 정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5는 공지 기술에 따른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진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16는 공지 기술에 따른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진동 시스템 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한층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이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는 주로 보조 시스템, 진동 시스템 및 자기회로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에서 보조 시스템은 전면 커버(11)와 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케이스(12)의 일측에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스 연장부(121)가 형성된다. 진동 시스템은 다이어프램(21)과 음성 코일(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음성 코일(22) 상에는 리드선(23)이 설치된다. 자기회로 시스템은 더블 자기 회로를 갖고 있는 구조로서, 각각 도자판(導磁板)(33)과 위로부터 아래로 조립되는 제1 와셔(spring washer) (311), 제1 자석(321), 제2 와셔(312) 및 제2 자석(322)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제1 와셔(311)와 제1 자석(321)은 각각 제2 와셔(312)와 제2 자석(322)을 동심으로 서라운드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 연장부(121) 내에는 사출성형 공정을 통하여 도전편(導電片)(6)이 결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다이어프램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3은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4 및 도5는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의 배면 구성 및 정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다이어프램(21)은 외주가 원형이고, 중심이 중공(中空) 구조인 돔부, 링부(211) 및 고정을 위한 변두리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두리부(212)의 일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 연장부(121)와 대응하여 결합하는 다이어프램 연장부(213)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이어프램의 링부(211)의 정면에 대칭되게 도전 코팅층(5)(도2 참조)이 설치되며, 도전 코팅층(5)은 니켈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21)의 돔부에는 유연성 회로판(4)이 결합되고, 유연성 회로판(4)의 사이즈는 상기 돔부의 중공 부분의 사이즈보다 크다. 또한 유연성 회로판(4)의 정면과 다이어프램(21)의 도전 코팅층이 전기 연결되고, 유연성 회로판(4)의 배면은 음성 코일(22) 상의 리드선(23)과 전기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리드선(23)은 유연성 회로판(4)과 전기 연결되는 것을 통하여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5)에 전기 연결된다.
유연성 회로판(4)의 외주변은 원형 구조로서, 다이어프램(21)과 대응된다. 유연성 회로판(4)의 배면과 정면에는 각각 내부 전극(41a)과 외부 전극(41b)이 설치된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41a)과 외부 전극(41b)은 유연성 회로판(4) 상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도금 스루홀(42)을 통하여 전기 연통되며, 내부 전극(41a)과 외부 전극(41b)은 각각 리드선(23)과 도전 코팅층(5)에 전기 연결된다. 그리고 도전 코팅층(5)과 외부 전극(41b) 사이에는 도전성 접착체를 도포하는 것을 통하여 전기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도전 코팅층(5)은 다이어프램(21) 상의 도전 코팅층(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전기 절연되어 다이어프램 연장부(213)에 전기 연결된 두 개 브랜치 회로를 형성한다(도2를 참조). 따라서 리드선(23), 내부 전극(41a), 도금 스루홀(42), 외부 전극(41b),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5)이 순차적으로 전기 연결되고, 다시 연장부(213)의 브랜치 회로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리드선(23)을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외부로 리드하여,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리드선(23)의 리드가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는 또 음성 코일(22)과 다이어프램(21)의 조립 공정 및 전기 연결 공정을 간략할 수 있으며, 자동화 생산 구현이 쉽고, 생산 효율의 향상과 생산 원가의 절감에 이롭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 공정을 통하여 리드선(23)과 내부 전극(41a)을 결합시키고, 도전 코팅층(5)과 외부 전극(41a)은 도전성 접착제(7)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다이어프램(21)의 도전 코팅층(5)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진일보 개선으로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코팅층(5)은 링부(211)의 일부 구역에 설치되고, 도전 코팅층(5)은 다이어프램(21) 상의 도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전기 절연되며, 다이어프램 연장부(213)에 전기 연결되는 2개 브랜치 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설계는 도전 코팅층(5)의 코팅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7은 본 실시예1에 따른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조립 후의 전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1)의 일부가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본체 외부로 연장되어 다이어프램 연장부(213)를 구성하여 상기 전기음향 변환장치와 외부 전자 회로의 전기 연결을 이루도록 한다. 다이어프램(21) 상의 도전 코팅층(5)은 다이어프램 연장부(213)의 표면 단부에 대면적으로 외부 연결 전극(44)을 형성함과 아울러, 케이스(12)의 일부분인 케이스 연장부(121)가 다이어프램(21)과 대응되도록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유연성 회로판(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1에서는 전면 커버 상에 연장부를 설치하여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연장부(2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일그러짐을 감소시키고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전기 연결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또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생산 및 조립 과정을 간략하여, 제품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2와 실시예1의 주요 구별점은 도전 코팅층(5)의 설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인 바,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 중의 다이어프램의 배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2 에 따른 도전 코팅층(5)은 다이어프램(21)의 배면에 설치된다. 도9 는 실시예2에 따른 유연성 회로판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고, 도10은 다이어프램과 유연성 회로판이 결합된 후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성 회로판(4)의 외부 전극(41b)은 쉽게 다이어프램(21) 상의 도전 코팅층(5)과 전기 결합될 수 있는 링형 구조로 개선되었다. 도전 코팅층(5)을 다이어프램(21)의 배면에 설치하면, 다이어프램(21) 하부의 유연성 회로판(4)의 외부 전극(41b)으로 하여금 직접 다이어프램(21) 배면의 도전 코팅층(5)과 접촉되어 전기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전극(41b)은 도금 스루홀(42) 및 내부 전극(41a)을 통하여 리드선(23)에 전기 연결된다. 즉, 리드선(23)으로 하여금 유연성 회로판(4)과 다이어프램(21)의 도전 코팅층(5)을 통하여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외부로 리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리드선(23)의 리드 공정을 간략하게 하고, 또한 리드선(23)의 리드 및 사용 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1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2의 이러한 개선은 음성 코일(22)과 다이어프램(21)의 조립 공정 및 전기 연결 공정을 더욱 간략하게 하여, 자동화 생산 구현이 쉽고 생산 효율의 향상과 생산 원가의 절감에 이롭다.
아울러, 본 실시예2에서도 도전 코팅층(5)의 코팅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통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도전 코팅층(5)의 설치와 다이어프램(21)의 중공 부분의 다른 구조에 의하여 유연성 회로판(4)의 전극 구조 등을 진일보 개선할 수 있는 바, 이는 모두 본 실시예의 구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실시예1의 기술 효과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3)
본 실시예3과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주요 구별점은 진동 시스템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11,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3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여, 그 중에 케이스가 사각형이고 전면 커버는 사각형 케이스와 대응되는 궤도 형상이고, 진동 시스템도 사각형이고, 다이어프램(21) 및 유연성 회로판(4)도 사각형 구조이다. 내부 전극(41a)은 "L"형 구조로 설치되고, 내부 전극(41a)과 외부 전극을 연결하는 도금 스루홀(42)은 "L"형의 꼭지점에 설치되며, 다이어프램(21)의 단축 상에는 다이어프램 연장부(213)가 더 설치되어, 다이어프램을 사각형 케이스에 대응시켜서 고정한다. 실시예1와 같이, 전면 커버 상에 다이어프램 연장부(213)와 대응되는 전면 커버 연장부를 설치하여 다이어프램을 대응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도 코팅층(5)은 다이어프램(21)의 정면에 설치되고, 또 다이어프램 연장부(213) 상에 전기 연결되며, 본 실시과정은 마찬가지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기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3에서는 도전 코팅층(5)을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할 수 있는 바, 즉 도전 코팅층(5)을 다이어프램(21)의 일부에 설치하여, 도전 코팅층(5)의 코팅 면적을 감소시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어프램(21) 및 전면 커버의 형상은 타원형, 궤도형 등 기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성 회로판(4)은 다이어프램(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등 기타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이어프램(21) 상에 중공 구조를 설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지 않으며, 다이어프램(21) 중앙의 중공 구조는 실제 수요에 따라 부동한 사이즈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일체형 구조의 다이어프램(다이어프램 표면에 중공 구조를 설치하지 않음) 상에 직접 유연성 회로판을 결합할 수도 있으며, 다이어프램 표면의 도전 코팅층을 적어도 두 개 회로 이외의 기타 회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전극, 도전 코칭층도 기타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 코팅층도 기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모든 것은 본 발명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다양한 개선과 변경을 실시할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 및 동등한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임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 시스템, 다이어프램과 리드선이 설치된 음성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시스템 및 자기회로 시스템을 포함한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표면에 적어도 두 개 회로를 형성하는 도전 코팅층이 설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구역에는 유연성 회로판이 설치되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유연성 회로판과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케이스 각각에는 상기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연장부까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와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전기 절연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연장부에 전기 연결되는 두 개 브랜치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서 대칭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니켈 금속으로 형성된 도전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회로판에는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은 도금 스루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외부 전극, 상기 도금 스루홀 및 상기 내부 전극을 통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극은 전도성 접착체를 통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상의 도전 코팅층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내부 전극과 상기 리드선은 용접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은 상기 유연성 회로판 상에서 대칭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돔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기 위한 링부 및 고정을 위한 변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돔부의 중심 구역은 중공 구조이며,
    상기 유연성 회로판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구역 상에 결합되고, 상기 유연성 회로판의 사이즈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공 부의 사이즈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상기 링부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KR1020100039140A 2009-12-12 2010-04-27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KR101081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260833.0 2009-12-12
CN2009102608330A CN101765044B (zh) 2009-12-12 2009-12-12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003A true KR20110067003A (ko) 2011-06-20
KR101081653B1 KR101081653B1 (ko) 2011-11-09

Family

ID=4249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140A KR101081653B1 (ko) 2009-12-12 2010-04-27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1653B1 (ko)
CN (1) CN10176504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2216A1 (en) * 2013-11-21 2022-01-05 Avanzato Technology Corp. Improved vaporization and dosage control for electronic vaporizing inhaler
CN114222227A (zh) * 2021-12-30 2022-03-2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及其制备方法、发声装置、电子设备
CN114268887A (zh) * 2021-12-30 2022-04-01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及其制备方法、发声装置、电子设备
CN114866926A (zh) * 2022-04-29 2022-08-0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和音频设备
CN114866910A (zh) * 2022-04-02 2022-08-0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发声模组以及电子设备
CN117319901A (zh) * 2019-04-29 2023-12-29 美商富迪科技股份有限公司 可动嵌入式微结构及微型扬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8154B (zh) * 2010-07-30 2014-12-2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动圈式换能器
CN102348153B (zh) * 2010-07-30 2014-01-29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
CN101984677B (zh) * 2010-11-02 2016-03-09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发声器
CN102611971A (zh) * 2012-01-13 2012-07-25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球顶式振动系统及其制作方法以及扬声器
CN102572658B (zh) * 2012-01-19 2016-12-14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
TWI492641B (zh) * 2012-11-13 2015-07-11 Cotron Corp 振動元件
CN102970642B (zh) * 2012-11-29 2015-12-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扬声器
CN102970643B (zh) * 2012-11-29 2015-10-28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扬声器
CN105578364B (zh) * 2016-03-21 2019-09-17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系统的制作方法以及扬声器单体
CN107465980B (zh) * 2017-08-04 2023-07-28 奥音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具有膜片的电声换能器
CN107404692B (zh) * 2017-08-04 2023-08-01 奥音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声换能器的前盖
CN110798784A (zh) * 2019-09-30 2020-02-14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宽频耳机喇叭
CN114866921A (zh) * 2022-04-29 2022-08-0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和音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292B2 (ja) * 2000-01-27 2012-02-15 ノウルズ、エレクトロニクス、アジア、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可動コイル及び可動コイルの接続リード線用の弾性保持要素を有する電気音響変換器
US6791519B2 (en) * 2001-04-04 2004-09-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ound and vision system
JP4444728B2 (ja) * 2004-05-11 2010-03-31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EP1795043A1 (en) * 2004-09-23 2007-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brating element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201623845U (zh) * 2009-12-12 2010-11-0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2216A1 (en) * 2013-11-21 2022-01-05 Avanzato Technology Corp. Improved vaporization and dosage control for electronic vaporizing inhaler
CN117319901A (zh) * 2019-04-29 2023-12-29 美商富迪科技股份有限公司 可动嵌入式微结构及微型扬声器
CN114222227A (zh) * 2021-12-30 2022-03-2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及其制备方法、发声装置、电子设备
CN114268887A (zh) * 2021-12-30 2022-04-01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及其制备方法、发声装置、电子设备
CN114866910A (zh) * 2022-04-02 2022-08-0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发声模组以及电子设备
CN114866926A (zh) * 2022-04-29 2022-08-0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器件和音频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653B1 (ko) 2011-11-09
CN101765044B (zh) 2012-11-14
CN101765044A (zh)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653B1 (ko) 미니 가동 코일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CN114554367B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WO2016150179A1 (zh) 扬声器
CN113099362B (zh) 发声装置
WO2016197535A1 (zh) 扬声器装置
CN103079156B (zh) 一种超薄型喇叭
CN212086479U (zh) 扬声器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CN212324356U (zh) 一种双驱动双面发声的扬声器
CN205596328U (zh) 扬声器
CN205249477U (zh) 一种扬声器
CN204929248U (zh) 动圈式喇叭
CN208956320U (zh) 一种大振幅微型扬声器
CN112312285A (zh) 音圈、扬声器及便携式电子设备
CN206283667U (zh) 一种新型复合喇叭
CN201509305U (zh) 微型换能器组件
WO2021258829A1 (zh) 一种弹片及扬声器
KR101024364B1 (ko) 슬림형 스피커
CN114866921A (zh) 发声器件和音频设备
CN201629836U (zh)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
CN210986413U (zh) 振动膜及扬声器
CN210609691U (zh) 激光焊接弹片结构的微型扬声器
CN220606073U (zh) 双音圈扬声器
WO2020087754A1 (zh) 发声装置和耳机
CN209964283U (zh) 双磁路骨传导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