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710A -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710A
KR20110066710A KR1020090123470A KR20090123470A KR20110066710A KR 20110066710 A KR20110066710 A KR 20110066710A KR 1020090123470 A KR1020090123470 A KR 1020090123470A KR 20090123470 A KR20090123470 A KR 20090123470A KR 20110066710 A KR20110066710 A KR 2011006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ic liver
alcoholic
liver diseas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075B1 (ko
Inventor
김용재
백흠영
오규철
윤호근
이정민
전우진
황권택
배동혁
유양희
김경미
Original Assignee
한국인스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스팜(주) filed Critical 한국인스팜(주)
Priority to KR102009012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0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공정을 통하여 수득한 비파엽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고,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에서 강력한 간 손상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비파엽, DPPH, 지질과산화 억제능, 알코올성 간 손상

Description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Eriobotryae Folium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lcoholic liver disease}
본 발명은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Nishioka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5: 1053-1057 (2002)
[문헌 2]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315-323 (2002)
[문헌 3] Shimizu et 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4: 2614-2617 (1986)
[문헌 4] De Tommaasi et al., Planta Medica, 57: 414-416 (1991)
[문헌 5] Jung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 213-218
(1999)
[문헌 6]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 315-323 (2002)
간은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시켜 전신에 공급하거나 저장한다. 둘째,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인자들의 혈청단백,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각종 대사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기능이 있어서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해독 및 분해 기능이 있어 약물, 독성물질, 술 등을 해독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간의 해독기능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기 쉬워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임상증상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대개 하루 60-80 g의 알코올을 10년 정도 마실 때 발생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금주만 하게 되면 곧 회복할 수 있으나, 계속 음주하게 되면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간세포의 괴사와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발열, 우상복부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이를 앓는 환자 중 약 40%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정상 간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 신 피로감, 식욕감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혼수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보다 예후가 불량하여 구미(歐美)에서는 말기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50%가 알코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알코올성 간질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알코올성 간질환인 알코올성 지방간을 적절히 치료해야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적절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비파엽(Eriobotryae Folium)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비파(Eriobotrya japonica)의 잎 부위이다. 한방에서는 열매, 뿌리, 줄기껍질 및 잎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비파엽의 효능으로는 폐를 맑게 하고 위를 조화시키며 기를 강화시키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파엽의 주요 성분으로는 우르솔산, 올레아놀산, 마스리닌산, 토메틱산을 비롯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 pp315-323 (2002)). 그 외로는 세스퀴 테르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등의 폴리페놀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Shimizu et al., Chem. Pharm. Bull., 34: pp2614-2617 (1986)); De Tommaasi et al., Planta Medica, 57: pp414-416 (1991); Jung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 pp213-218 (1999);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 pp315-323 (2002)).
이에 따라 발명자들은 비파엽 추출물이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거활성과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에서는 높은 수준의 간 손상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비파엽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 ~ 100 %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0 %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증,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파엽 추출물은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15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1 ~ 100 %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 30 %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추출용매 로 하여, 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추출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추출, 가열추출,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 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면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에 비해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질과산화 억제능에서도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고,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에서 강력한 간 손상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 손상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파엽의 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비파엽(전남 장흥군 장흥수목원에서 채취) 3.6 kg에 5% 에탄올 혼합용매 36 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본 발명의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720 g (수득률: 20.0%) 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이하 ‘EFE-5%'라 명명함)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의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실험방법을 응용하여 실험하였다 (Antioxidant properties of cereal products. Journal of Food Science, 67, pp2600.2603.)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비파엽 추출물 시료의 전자 공여 전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동결 건조된 비파엽 추출물(sample) 20 ㎕에(EFH, EFE-5%는 증류수에 녹임, 농도는 모두 0, 20 ㎍/㎖) 0.25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 (Sigma 제조사, D9132) 180 ㎕을 첨가한 후에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17 nm에서 측정기(BIO-TEK 제조사, 1010-1)로 측정하고 대조군와의 흡광도 감소정도를 측정함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517 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며, 알코올 등에 안정하고 항산화 기작 중에 단백질-라디칼 소거제 (proton-radical scavenger) 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본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EFE-5%)이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동일 농도의 합성항산화제인 BHT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지질과산화 억제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비파엽 추출물들의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Akerboom TP, Sies H. Assay of glutathione, glutathione disulfide, and glutathione mixed disulfides in biological samples. Methods in Enzymology. 77: pp373-382 (1981)).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비파엽 시료의 전자 공여 전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리놀렌산(Linoleic acid, Sigma 제조사, L1376) 0.1 ㎖ 및 Tween 80(JUNSEI 제조사, 8L4006) 0.2 ㎖을 증류수 19.7 ㎖와 혼합하여 얻은 리놀렌산 에멀젼(linoleic acid emulsion)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 Lin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리놀렌산 현탁액 1 ㎖에 0.01% FeSO4 0.2 ㎖, 0.56 mM H2O2 0.2 ㎖, 및 시료 0.4 ㎖을 섞어주고 37℃에서 1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0.4% BHT(2, 6-Di-tert-butyl-4-methylphenol, Sigma 제조사, B1378) 0.2 ㎖, 4% TCA(trichloroacetic acid, Sigma T9159) 0.2 ㎖, 0.8% TBA(4, 6-Dihydroxy-2-mercaptopyrimidine 98%, Wako 제조사, 202-00902) 2 ㎖을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에 100℃에서 10분간 끓여주었다. 5분간 냉각(Cooling) 한 후에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얻어진 상층액만을 덜어 532 nm에서 흡광도를 기기를(BIO-TEK, 1010-1)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EFE-5%)이 동일 농도의 합성항산화제인 BHT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 효능을 하기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Jamenez-Lpez, J. M. and A. I. Cederbaum. 2003.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protects HepG2 cells against CYP2E1-dependent toxicity. Free radic. Biol.& Med., 36: pp359 - 370).
시료의 간 보호 활성은 HepG2/2E1 세포주[cell line(293GPG, San Jose CA U.S.A)의 세포를 HepG2(ATCC, Manassas VA U.S.A 구입처)에 감염시킨 세포]을 1 ml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MEM), Hyclone, 01486]을 24 well plate 에 5 × 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에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6 시간 배양 후에 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 MEM)를 제거하고, 각 웰에 시료와 200 mM EtOH 이 함유된 혈청이 3% 함유된 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 (MEM), Hyclone구입처, 01486)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이와 같은 과정을 5일 동안 반복하였고, 7일째 되는 날에 시료와 에탄올이 함유된 배지를 제거하고 XTT-PMS 용액[1 mg XTT(XTT Sodium Cell Culture Test, Sigma제조사, X4626) 및 10 g PMS(phenazine methosulfate, Sigma 제조사, P9625)/mL]을 넣어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포에 대한 생존도는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의 형성 정도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TEK, 1010-1))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기기(BIO-TEK, 101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시료대신 배양액만을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로는 200 mM 에탄올만을 처리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하여 강력한 보호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도 1은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과 BHT와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비교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데이터는 mean ± SD으로 표시함. 막대(bar) 상단의 알파벳은 각 군들과 통계학적으로(student t-test; p < 0.05) 상이함;
도 2는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과 BHT와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비교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데이터는 mean ± SD으로 표시함. 막대(bar) 상단의 알파벳은 각 군들과 통계학적으로(student t-test; p < 0.05) 상이함;
도 3은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의 HepG2/2E1 세포에서의 간 보호효과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대조군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표시함. 데이터는 mean ± SD으로 표시함. 막대(bar) 상단의 알파벳은 각 군들과 통계학적으로(student t-test; p < 0.05) 상이함.

Claims (8)

  1.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또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인 약학조성물.
  5.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
  8. 제 7항에 있어서,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인 식품.
KR1020090123470A 2009-12-11 2009-12-11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470A KR101059075B1 (ko) 2009-12-11 2009-12-11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470A KR101059075B1 (ko) 2009-12-11 2009-12-11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710A true KR20110066710A (ko) 2011-06-17
KR101059075B1 KR101059075B1 (ko) 2011-08-24

Family

ID=4439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470A KR101059075B1 (ko) 2009-12-11 2009-12-11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0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286A (ja) * 2012-11-16 2014-06-05 Totsukawa Nojo:Kk ビワ茶の抗腫瘍作用と肝機能改善作用
CN104840871A (zh) * 2015-05-27 2015-08-19 解乐业 一种治疗酒精性肝损害的中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286A (ja) * 2012-11-16 2014-06-05 Totsukawa Nojo:Kk ビワ茶の抗腫瘍作用と肝機能改善作用
CN104840871A (zh) * 2015-05-27 2015-08-19 解乐业 一种治疗酒精性肝损害的中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075B1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8068A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erera et al. Perspectives on geraniin, a multifunctional natural bioactive compound
KR100765416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7301B1 (ko) 발효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88165A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67789A (ko)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07501B1 (ko) 민들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027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07008928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381850B1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40033983A (ko) 항염증 및 항침해수용 활성을 갖는 리리오덴드린을 함유한가시오가피 수피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100518360B1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102496752B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8853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060079923A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57018B1 (ko)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KR20200005907A (ko) 프루누스 세라소이데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