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614A -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614A
KR20110065614A KR1020090122182A KR20090122182A KR20110065614A KR 20110065614 A KR20110065614 A KR 20110065614A KR 1020090122182 A KR1020090122182 A KR 1020090122182A KR 20090122182 A KR20090122182 A KR 20090122182A KR 20110065614 A KR20110065614 A KR 2011006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ea display
security
security film
opaqu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철재
Original Assignee
백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철재 filed Critical 백철재
Priority to KR102009012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614A/ko
Publication of KR2011006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서로 교호적층한 후, 수직으로 절단하여 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정 각도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불투명층의 기울기를 필름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거리에 따라 변화시켜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서로 교호적층하여 형성된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가압한 후, 수직 절단하여 형성된 보안필름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이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여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수직 절단하여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투명층, 차광층, 필름, 대면적,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Fabricating method for privacy filter for display with large area and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서로 교호적층한 후, 수직으로 절단하여 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정 각도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불투명층의 기울기를 필름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거리에 따라 변화시켜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안필름은 사무용 PC의 모니터, ATM 및 휴대용 단말기기 등의 표시장치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보안필름의 구조 및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투명층(122)과 불투명필층(121)을 서로 교호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필름적층부를 투명층과 불투명층이 적층된 방향으로 수직절단하여 보안필름(120)으로 형성한다.
도 1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110)에서 출사된 빛은 수직으로 배열된 투명층(122)을 통과하여 외부의 작업자(130)의 눈에 조사된다.
그러나, 작업자(130)의 좌우 측면 및 뒤에 위치한 다른 작업자들(140)은 투명층(122)과 교대로 적층된 불투명층(121)에 의하여 시야각이 확보되지 않아 디스플레이(110)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0)의 정면에 위치한 작업자(130)만이 디스플레이(110)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안필름을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TM, 휴대용 단말기기 및 노트북 등에 구비된 소형 디스플레이에 보안필름(120)을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19인치 이상의 대면적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영화감상을 위해 와이드 형태의 대면적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보안필름(120)을 이러한 대면적 디스플레(110)이에 적용할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테두리 영역에서는 시야각의 허용범위를 초과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육안으로 살펴보면, 시야각의 허용범위를 초과함으로써, 대면적 디스플레이(110)의 테두리 영역은 흑화현상(210)이 발생하여, 타인뿐만 아니라 작업자 당사자도 해당 영역에 표시된 영상, 문자 및 사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안필름의 중심부 영역에서 불투명층의 기울기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보안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불투명층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가장자리의 영역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차광필름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서로 교호적층하여 형성된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가압한 후, 수직 절단하여 형성된 보안필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이한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불투명층이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에서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할수록 기울기가 감소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영역까지의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의 변화가 90 내지 65°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가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 영역을 축으로 서로 대칭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투명층이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즈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 수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아크릴 수지 및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불투명층이 상기 투명층의 소재에 흑색 안료, 금속입자 및 금속 산화물 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투명층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된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여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수직 절단하여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는 단계가 상기 필름적층부의 상/하부 및 전/후면에도 히팅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합지, 전사 및 프린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는 단계가 상기 투명층과 불투명층이 적층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투명층의 표면에 굴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영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현저하고도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차광필름의 공정도이다.
먼저, 투명층(122)과 불투명층(121)을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의 필름적층부(310)를 형성한다(도 3).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122)은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로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UV 광선 등의 화학선으로 경화 가능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즈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 수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아크릴 수지 및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투명층(121)에 사용되는 소재는 흑색 또는 회색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어두운 색상의 안료 또는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어두운 색상의 금속 산화물 및 어두운 색상의 안료 또는 염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불투명(121)층의 소재를 투명층(122)의 소재에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층(121)에 차광하는 기본적인 소재로 안료 또는 염료에 금속입자 또는 금속막을 추가하면 전자파차폐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료 또는 염료에 실리카와 같은 산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사출된 빛이 투명층(1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명층(122)과 불투명층(121)의 계면에서 난반사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고스트 이미지를 줄여,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층(122)과 불투명층(121)이 서로 교호적층된 필름적층부(31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하 3가지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첫째, 프린팅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불투명(121)의 소재는 액상의 형태로 투명층(122)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프린팅한다. 이렇게 형성된 투명층(122)/불투명층(121) 복수를 다시 열압착하여 필름적층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액상의 형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불투명층(121) 소재를 앞서 기술한 투명층(122)으로 사용하는 소재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전사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액상의 불투명층(121)에 사용되는 소재를 다른 필름부재에 프린팅하여 건조한 후 불투명층(121)/필름부재의 적층된 필름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조된 불투명층(121)을 투명층(122)과 열압착한 후, 필름부재를 제거하여 투명층(122)/불투명 층(121)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한 투명층(122)/불투명층(121) 복수를 다시 열압착하여 필름적층부(310)를 형성한다.
세째, 합지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투명 및 불투명 소재를 필름 형태로 사출하여 각각 투명층(122) 및 불투명층(1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투명층(121)과 투명층(122)을 서로 교대로 적층한 후, 열압착하여 필름적층부(310)로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122)의 두께는 50 내지 500㎛, 불투명층(121)의 두께는 10 내지 1000㎛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투명층(122)의 표면은 기계적 및 화학적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미세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층(122)의 표면에 미세한 굴곡을 처리할 경우, 투명층(122)과 불투명층(131)의 계면에서 빛의 난반사를 막아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적층부(310)의 양측면에 소정의 기울기(θ)를 갖는 열 금형(410) 한 쌍을 위치시킨다(도 4).
본 발명에 따른 열금형(410)의 기울기(θ)는 적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5°내지 85°의 기울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투명층(122)과 불투명층(121)이 적층된 방향축(x-x')으로 한쌍의 열금형(410)을 이용하여 필름적층부(3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사다리꼴의 형태의 변형된 필름적층부(320)로 형성한다(도 5).
이때, 가압하는 과정에서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410)이 가압하지 않는 필 름적층부(310)의 상/하부 및 전/후면에서의 변형을 막으면서 필름적층부(310)의 내부에도 균일한 열전달을 위한 히팅플레이트(미도시)를 필름적층부의 상/하부 및 전/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기울기가 형성된 한쌍의 열금형(410)을 이용하여 필름적층부(3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형성된 변형된 필름적층부(320)에 있어서, 열금형(410)과 직접 접하고 있는 변형된 필름적층부(320)의 가장자리 영역의 불투명층(121)은 그 기울기가 열금형(410)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변형된 필름적층부(320)의 중심부로 갈수록 열금형(410)에 의한 가압 영향이 줄어들어 불투명층(121)의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다가 중심부 영역에서는 수직을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금형에 의하여 가압된 변형된 필름적층부의 입체도이다.
마지막으로 변형된 필름적층부(320)을 절단하여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610)으로 형성한다(도 7).
본 발명의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610)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된 불투명층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점차 감소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개념도이다.
투명층과 교대로 반복 적층된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 안필름(610)의 중심부 영역에서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610)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종래의 보안필름과 같이 불투명층이 보안필름의 전 영역에서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영역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하고 있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610)은 디스플레이(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불투명층이 일정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각을 허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안필름,
도 2는 종래의 보안필름을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개념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필름적층부의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수직절단하여 형성된 보안필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디스플레이 120: 보안필름
121: 불투명층 122: 투명층
310: 필름적층부 320: 변형된 필름적층부
410: 열금형 610: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Claims (12)

  1.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서로 교호적층하여 형성된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을 이용하여 가압한 후, 수직 절단하여 형성된 보안필름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이한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은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에서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영역으로 이동할수록 기울기가 감소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영역으로부터 가장자리영역까지의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의 변화는 90 내지 65°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의 기울기는 상기 보안필름의 중심 영역을 축으로 서로 대칭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B),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즈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 수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아크릴 수지 및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인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은 상기 투명층의 소재에 흑색 안료, 금속입자 및 금속 산화물 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표면은 굴곡이 형성된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8.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여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필름적층부를 수직 절단하여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적층부의 상/하부 및 전/후면에도 히팅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반복하여 적층하여 필름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합지, 전사 및 프린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적층부의 양측면을 기울기가 형성된 열금형으로 가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과 불투명층이 적층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의 표면에 굴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122182A 2009-12-10 2009-12-10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KR20110065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82A KR20110065614A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82A KR20110065614A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14A true KR20110065614A (ko) 2011-06-16

Family

ID=4439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82A KR20110065614A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4593A (zh) * 2018-08-10 2020-02-21 苹果公司 用于曲面显示器的私密膜
KR2020003412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세기씨앤티 쿠션 기능을 구비하는 광제어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4593A (zh) * 2018-08-10 2020-02-21 苹果公司 用于曲面显示器的私密膜
US11822103B2 (en) 2018-08-10 2023-11-21 Apple Inc. Privacy films for curved displays
KR2020003412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세기씨앤티 쿠션 기능을 구비하는 광제어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84B1 (ko)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US11143794B2 (en) Optical film
WO2007118122A2 (en) Anti-snooping shee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090015548A1 (en) Image projection system
WO2015099200A1 (ja) 情報入力補助シート
US9568651B2 (en) View angle-restricting sheet and flat panel display
TW202016576A (zh) 光控制膜及其製造方法
US9448341B2 (en) View angle-restriction sheet and flat panel display
JP2008026958A (ja) 赤外線反射パターン印刷透明シート
WO2014103342A1 (ja) プライバシーフィルタ
JP2008102278A (ja) 電卓用視野角制御フィルム及び電卓
WO2015033569A1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CN111462624A (zh) 保护构件、显示装置和用于制造保护构件的方法
JP2009008932A (ja) 画像投影システム
WO2017038452A1 (ja) 透明スクリーン、透明スクリーン組立体、透明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スクリーン組立体の製造方法
KR20110065614A (ko)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KR101183800B1 (ko)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보안필름 및 제조방법
JP6089605B2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165305B1 (ko)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 법
CN115494667B (zh) 防窥膜及显示装置
CN114078376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904698B1 (ko) 광제어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1203310A (ja) 画像表示装置用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1295302A (zh) 成像装置
CN210606358U (zh) 一种防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