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223A -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 Google Patents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223A
KR20110065223A KR1020090122105A KR20090122105A KR20110065223A KR 20110065223 A KR20110065223 A KR 20110065223A KR 1020090122105 A KR1020090122105 A KR 1020090122105A KR 20090122105 A KR20090122105 A KR 20090122105A KR 20110065223 A KR20110065223 A KR 2011006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oxidase
nanotube
glucose
copolymer polym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식
오현택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223A/ko
Publication of KR2011006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40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the use of free, immobilised, or carrier-bound enzymes, e.g. apparatus containing a fluidised bed of immobilised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glucose or galacto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3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a oxygen as acceptor (1.1.3)
    • C12Y101/03004Glucose oxidase (1.1.3.4)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tallu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증착중합을 이용하여 경질 주형 안에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작하고 이 나노 튜브의 내면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경질 주형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를 막반응기로 사용하여, 연속 흐름 상태에서 글루코스 수용액 속의 글루코스를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상증착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작용기에 쉽게 효소를 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막반응기는 경질 주형을 제거하지 않고 경질 주형과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글루코스 산화 효소로 이루어진 복합체이므로 나노 튜브 내부의 높은 표면적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글루코스 산화 효소로 인해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기상증착중합, 글루코스 산화 효소, 막반응기, 나노 튜브

Description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Fabrication of membrane reactor using glucose oxidase immobilized copolymer nanotube in AAO}
본 발명은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안에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하고, 이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이 복합체를 글루코스를 분해하는 막반응기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글루코스 수용액을 통과시켰을 때 높은 효율로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글루코스 산화 효소(glucose oxidase, GOx)는 글루코스를 산화시켜 글루코닉산으로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이며, 혈당측정기, 산소 제거 등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또한 범용성이 좋은 효소이므로 효소를 사용한 다양한 반응기에 적용될 수 있다.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사용한 반응기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성을 가진 나노 구체, 메조 기공을 가진 실리카, 기판 표면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작용기를 치환시킨 후, 이 작용기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과 물리적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반응기의 경우 대부분이 수십~수백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무게 당 표면적 이 높기 때문에 좋은 효율을 나타내며, 화학적 결합의 견고함에 따라서 높은 재사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 최근에는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글루코스를 분해할 때에 전기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기존의 혈당측정기와는 다른 방법으로 높은 효율을 보이는 생체모방센서로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 원통형 기공이 있는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사용하여 나노섬유나 나노튜브를 만들고 여기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반응기로 사용하는 연구가 보고되었지만, 경질 주형을 제거하여 얻어진 나노 튜브 혹은 나노 섬유의 외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반응기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나노 튜브 내부를 반응기로 사용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안에서 메조기공 실리카를 제조하여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킨 후 반응기로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연구로써, 메조기공을 통해 높은 표면적을 확보할 수는 있지만,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메조기공 실리카와 화학적인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탈락되어 그 효율을 잃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질 주형을 제거하여 얻어진 메조기공 실리카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후 이를 글루코스 용액에 넣어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배치 공정을 진행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 후 회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혹은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안에서 졸-겔법을 통하여 메조기공 실리카를 제조하면 주형과의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 사이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연구가 보고되었지만, 그 틈의 크기가 불규칙하고 투과성, 재사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기상증착 공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공중합체 나노 튜브 내부에 효소를 결합시켜 막반응기로 사용하는 방법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기상증착 공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공중합체 나노 튜브를 제조하고, 나노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막반응기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거듭한 끝에, 이제껏 알려진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 즉 나노 입자, 나노 섬유, 나노 기판의 표면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키지 않고, 기상증착 공중합을 통해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안에 만들어진 공중합체 나노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하여 막반응기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질 주형을 제거하지 않고 양극 산화 알루미늄 주형과 공중합체 나노 튜브와 내부의 글루코스 산화 효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막반응기로 이용하여, 높은 효율과 재사용성을 가지는 새로운 막반응기를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에 개시제를 도입한 후에 2가지의 단량체를 진공상태인 기상증착중합 반응기 내에서 기화시켜서 도입하는 방법으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하고, 이 나노 튜브의 내부에 작용기를 도입한 후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이 효소가 결합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복합체와 경질 주형 전체를 막반응기로 응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결합되어 있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방법은,
(A)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에 개시제를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개시제가 도입된 알루미늄 경질 주형에 2가지의 단량체를 기상증착중합 반응기 내에서 기상으로 도입하여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및
(C) 상기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내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D) 작용기가 도입된 상기 공중합체 나노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내부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결합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제조 및, 경질 주형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소가 결합된 고분자 나노 튜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막반응기로 사용하는 방법은 여지껏 보고된 바 없는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서, 나노 튜브 내부의 높은 표면적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효소-고분자 나노 튜브의 안정성을 통해 높은 효율을 내는 막반응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상증착 공중합 방법을 통하여 쉽게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효소의 양과 작용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유속과 효율이 조절 가능한 막반응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혈중 포도당 농도 조절 등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단계 (A)에서 사용되는 개시제의 경우, 비닐기의 중합을 가능케 하는 라디칼계 개시제가 적합하며,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IBN(Azobisisobutyronitrile), BPO(Benzoyl peroxide)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개시제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는 크게 제한은 없으며, 헥산(hexane), 헵탄(heptane), 이소옥탄(isooctane)등의 휘발성이 있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제의 증착 양과 유기용제와의 혼합 비율에는 크게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반응 온도에 따라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결합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제조에 사용되는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의 기공 직경에는 크게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며, 시판중인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에서 볼 수 있는 100 나노미터에서 500 나노미터 정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 주형에 상기 용액을 도입하는 방법에는 크게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담금 방법으로 1분 내지 15분 정도 도입하는 것이 적당하나,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온도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단계 (B)에서 기상증착중합 온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진공에서 2가지의 단량체 모두가 기상으로 도입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이면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섭씨 50도에서 섭씨 110도까지가 바람직하다. 온도가 섭씨 50도 이하이면 단량체가 충분히 기화되지 못하며, 섭씨 110도 이상이면 단량체가 미처 중합되기 전에 개시제가 모두 열분해되어 효율을 잃는다.
사용되는 단량체는 카르복실기와 바이닐기를 가지고 있는 아크릴릭산(acrylic acid)을 사용해야 하며, 바이닐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교제료 적용이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중 한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액의 조성에는 크게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릭산과 다른 단량체의 균일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상증착중합 반응 시간에는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며, 3시간에서 18시간이 바람직하다. 만약 반응 시간이 3시간보다 적다면 만들어진 나노 튜브의 벽이 얇아 구조를 유지하기 힘들며, 18시간보다 많다면 튜브 내부가 막힐 수 있다.
단계 (C)에서 작용기를 도입하기 위해 EDC(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xychloride)와 NHS(N-hydroxy-succinimide)를 완충 용액에 섞은 것을 사용하는데, 이 둘의 혼합비는 1:10 ~ 5:1 사이의 값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액을 만들기 위한 완충 용액으로는 PBS buffer(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는데, 완충 용액의 농도는 0.03몰~0.3몰농도 정도가 적당하며, 위 EDC, NHS 용액의 양은 각각 0.1~2밀리몰농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액의 고분자 나노 튜브에 통과하는 유속은 1ml~10ml/h가 적당하며, 통과 시간은 6시간~24시간 사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단계 (D)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도입하기 위한 용액의 조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0.03몰~0.3몰농도의 PBS 완충 용액과 0.1%~0.8% 의 글루 코스 산화 효소를 혼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혼합 용액의 고분자 나노 튜브에 통과하는 유속은 1ml~10ml/h가 적당하며, 통과 시간은 6시간~24시간 사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통과 시간이 6시간 이하이면 충분한 효율이 나오지 않으며, 24시간 이상이면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나노 튜브의 내부에 너무 많이 결합하여 투과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내부에서의 기상증착 중합을 통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하고, 이 나노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켜, 경질 주형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들의 복합체를 막반응기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 튜브 내부의 높은 표면적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연속 흐름 상태에서 글루코스를 계속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공정상의 장점으로는 기상증착중합 방법을 통하여 간단하게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 있으며, 또한 글루코스 산화 효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글루코스의 분해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막반응기를 비교적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온에서 용매로써 헥산 1ml에 개시제인 AIBN 0.01g을 섞어서 5분간 교반한다. 얻어진 용액에 직경 100나노미터, 높이 60미크로미터의 기공을 가진 지름 13밀 리미터의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담금 방법으로 5분간 처리한다. 용액이 처리된 경질 주형을 기상증착중합이 가능한 유리 초자에 넣고 밀봉한 후 진공 상태로 만든다. 여기에 아크릴릭산 0.05g, 아크릴로니트릴 0.05g을 섞어서 2가지 단량체가 섞인 단량체 혼합 용액을 만든 후, 초자를 섭씨 60도로 가열한 뒤에 단량체 혼합 용액을 도입시켜 기상 반응을 실행한다. 6시간동안 중합시킨 후 기상증착중합 초자에서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수거하고 표면에 생성된 고분자를 제거한다. 이 때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내부에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음을 도 1에 제시되어 있는 적외선 분광 분석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얻기 위하여 반응이 종료된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3M의 인산 용액에 넣어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제거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별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얻어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2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지름은 약 100 나노 미터인 것을 알 수 있고 튜브 벽의 두께는 15에서 25나노미터 정도임을 알 수 있다.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양극 산화 알루미늄 복합체 막 반응기를 막 지지체와 결합시켜 연속 흐름이 가능한 장치를 제조한 후, 0.1몰농도 PBS 완충 용액 5ml에 1몰농도의 EDC, NHS 용액을 2.5ml을 혼합하여, 이 용액을 순환 펌프에서 12시간 동안 막반응기를 통과시켜 고분자 나노 튜브의 내부 카르복실기를 아민기와 치환반응을 할 수 있는 오-아실이소유레아(O-acylisourea)기로 치환시킨다. 여기에 0.1몰농도 PBS 완충 용액 5ml에 0.02g의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섞어 0.4wt% 용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순환 펌프에서 12시간 동안 작용기가 치 환되어 있는 막 반응기를 통과시키면 고분자 나노 튜브 내부에 있던 오-아실이소유레아 기가 탈락되면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의 아민기로 치환되어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카르복실기가 오-아실이소유레아기로 치환되었다는 것과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도 3에 제시된 적외선 분광 분석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글루코스 산화 효소의 결합이 끝난 막반응기에, 0.1몰농도 PBS 완충 용액 10ml에 20mg의 글루코스를 녹여(200mg/dL) 통과시킨 것을 혈당측정기를 통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처음 1회 통과시 52.5%, 총 4회 통과 이후에 10% 이하의 글루코스만이 남아있는 것을 도 4에 제시된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되, 개시제를 AIBN이 아닌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01g을 사용하여도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가 제조되었으며, 그 모양은 AIBN으로 제작한 것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되, 직경 500나노미터의 기공을 갖는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을 이용하여 얻어진 고분자 나노 튜브를 막반응기로 이용한 결과, 처음 1회 통과시 71.5%의 글루코스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되, 가교제 역할을 하는 단량체로 아크릴로니트릴 대신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0.067g을 첨가하여도 실시예 1과 동일한 모양의 공 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막반응기로 사용시 효율이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되, 가교제 역할을 하는 단량체인 아크릴로니트릴과 작용기를 가진 단량체인 아크릴릭산의 비율을 각각 0.05g에서 0.067g, 0.033g으로 바꾸어 실험한 결과, 막 반응기로 사용시 처음 1회 통과시 63.0%의 글루코스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되, 경질 주형을 개시제 용액에 담그는 시간을 1분으로 하고, 가교제 역할을 하는 단량체로 메타크릴레이트 0.06g를 사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막반응기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효율 역시도 처음 1회 통과시 54%의 글루코스가 남는 것으로 보아 거의 비슷한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되, 카르복실기를 오-아실이소유레아기로 치환하기 위해 사용된 EDC, NHS 용액 처리 없이,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바로 통과시킨 결과,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거의 효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되, EDC와 NHS 용액의 농도를 각각 1몰에서 각각 0.5몰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효율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되, 글루코스 산화 효소의 도입 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글루코스 용액을 통과시킨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거의 효율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되, EDC, NHS 처리 단계와 글루코스 산화 효소 처리 단계에서 PBS 완충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결과, 처음 1회 통과시 62%의 글루코스가 남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실험하되, 통과시키는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를 100mg/dl, 400mg/dl 로 바꾸어 실험한 결과, 한 번 통과시마다 분해되는 효율은 약 45%정도로 거의 동일한 것을 도 4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경질 주형과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에서 각 고분자와 공중합체의 적외선 분광 분석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내부에 EDC, NHS 처리가 끝난 것과, EDC, NHS 처리가 끝난 후 글루코스 산화 효소 처리까지 끝난 것의 적외선 분광 분석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4, 7, 9, 11에서 제조된 막반응기에서 글루코스 수용액을 통과시켰을 때의 통과 횟수에 따른 농도 변화에 대한 그래프이다.

Claims (9)

  1.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에 개시제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 개시제가 도입된 경질 주형에 2가지의 단량체를 기상증착중합 반응기 내에서 기상으로 도입하여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내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작용기가 도입된 상기 공중합체 나노 튜브의 내부에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가 결합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 복합체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경질 주형에 개시제를 도입시킬 때 사용되는 개시제의 종류가 AIBN 혹은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극 산화 알루미늄 주형의 기공 직경이 100나노미터에서 500나노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기상증착 중합 시 가교제 역할을 하는 단량체의 종류가 메타크릴레이트 혹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 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기상증착 중합 시 사용되는 2가지 단량체인 아크릴릭산:가교용 단량체의 비율이 3:1 ~ 1:3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경질 주형을 개시제 용액에 담그는 시간이 1분에서 15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의 내부에 작용기를 치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EDC, NHS 용액의 농도가 각각 0.03~0.3몰농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EDC, NHS와 글루코스 산화 효소를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가 0.03~0.3몰 PBS 완충 용액, 혹은 증류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막반응기를 이용하여 분해하기 위한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가 100mg/dl ~ 400mg/dl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고분자 나노 튜브/글루코스 산화 효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090122105A 2009-12-09 2009-12-09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KR20110065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05A KR20110065223A (ko) 2009-12-09 2009-12-09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05A KR20110065223A (ko) 2009-12-09 2009-12-09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23A true KR20110065223A (ko) 2011-06-15

Family

ID=4439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05A KR20110065223A (ko) 2009-12-09 2009-12-09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2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5078A (zh) * 2020-05-20 2020-08-07 郑州轻工业大学 一种Ni/Au复合纳米线阵列无酶葡萄糖传感器电极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5078A (zh) * 2020-05-20 2020-08-07 郑州轻工业大学 一种Ni/Au复合纳米线阵列无酶葡萄糖传感器电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Hydrophilization of porous polypropylene membranes by atomic layer deposition of TiO2 for simultaneously improved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CN103382389B (zh) 一种荧光碳量子点及其发光聚合物基复合材料与制备方法
JP5046122B2 (ja) 自立メソポーラスカーボン薄膜。
KR100551602B1 (ko) 중공 내부에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hcms 캡슐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7326396B2 (en) Method for preparing nanoporous carbons with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the nanoporous carbons prepared by the method
CN106731886B (zh) 一种介孔复合膜的制备方法
CN111484644A (zh) 一种聚偕胺肟/石墨烯纳米带复合气凝胶制备及分离与富集铀的方法
CN111085118B (zh) 一种聚多巴胺改性聚醚砜印迹复合膜的制备方法
CN1702782A (zh) 一种水基磁性液体及其制备方法
CN105254336A (zh) 一种在基底表面制备取向性碳纳米管的方法和产品
Kong et al. Magnesium particles coated with mesoporous nanoshells as sustainable therapeutic‐hydrogen suppliers to scavenge continuously generated hydroxyl radicals in long term
CN105948526A (zh) 一种以提拉法制备平整石墨烯薄膜的方法
CN108002382A (zh) 氮掺杂多孔碳负载Fe2O3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974382A (zh) 一种纳米多孔炭/磷酸铝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10065223A (ko) 경질 주형 안에서 글루코스 산화 효소가 고정되어 있는 공중합체 나노튜브 막반응기의 제조
JP5887272B2 (ja) 細胞培養基材の製造方法
CN112409228A (zh) 一种手性硫氮共掺杂石墨烯量子点的制备方法
KR20160088540A (ko) 나노다공성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Vafaeezadeh et al.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Nanomaterials with Unconventional Structures and Properties
KR101148665B1 (ko) 리파아제가 고정되어 있는 기능성 고분자 나노튜브/막반응기의 제조
Maeda et al. Fabrication of microporous films utilizing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nd their use as templates in poly (aniline) preparation
CN106146873B (zh) 一种在膨体聚四氟乙烯表面制备二氧化钛纳米薄膜的方法
KR20130075517A (ko) 양극 산화 알루미늄 경질 주형 안에서 기상증착중합법을 이용한 폴리피롤/페돗 공중합체 나노 튜브의 제조와 폐수의 중금속 이온 제거용 필터로의 응용
KR101141364B1 (ko) 경질 주형 안에서 기능성 고분자 나노 입자/나노 튜브 구조의 제조와 단백질 고정막으로 응용
KR102099425B1 (ko)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 복합체 메조포러스 탄소 기공막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