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943A -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943A
KR20110064943A KR1020090121734A KR20090121734A KR20110064943A KR 20110064943 A KR20110064943 A KR 20110064943A KR 1020090121734 A KR1020090121734 A KR 1020090121734A KR 20090121734 A KR20090121734 A KR 20090121734A KR 20110064943 A KR20110064943 A KR 2011006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passenger seat
door chute
airbag module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738B1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12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7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내부의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직접 장착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결해짐으로써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조수석 탑승자가 에어백 모듈에 부딪힐 경우에도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한 반발 충격에 따른 2차 충격력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224)이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24)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2); 상기 도어 슈트(2)에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4); 상기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5)가 부착된 케이싱(6); 상기 케이싱(6) 내에 수납되는 쿠션(100)를포함한다.
Figure P1020090121734
조수석, 에어백, 플레이트, 결합

Description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PASSENGER AIR BAG MODULE}
본 발명은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내부의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직접 장착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결해짐으로써 경량화될 수 있으며, 또한 조수석 탑승자가 에어백 모듈에 부딪힐 경우에도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한 반발 충격에 따른 2차 충격력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쿠션이 팽창되면서 운전자 및 승객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에어백 장치는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4')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의 후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6')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4')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에 의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8')과, 상기 쿠션(8')과 인플레이터(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4')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8')을 지지하며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가 상기 쿠션(8')으로 유동되도록 다수개의 홀부(10a')가 형성된 리테이너(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쿠션(8')이 접힌 상태로 수납된 쿠션 하우징(12')과,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가 설치된 캔 하우징(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 하우징(12')은 전면의 외측 둘레면에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배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는 상기 쿠션(8')의 전개 압력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파단이 원활하도록 절개선(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 하우징(14')은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후면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맴버 브래킷(16')을 사용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내부의 카울 크로스 멤버(18')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맴버 브래킷이 구성됨으로써 중량이 증가되어 현재 경량화 추세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는 연비의 향상과 원가비용의 절감을 부품의 경량화 및 보다 간결한 구조로 개선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구조는 중량이 무겁고, 구조가 간결하지 못하므로 현 추세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조수석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머리 충격에 대한 법규가 강화되고 있는데 종래 기술은 맴버 브래킷 및 이에 결합된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한 반발력으로 인해 머리 충격을 경감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머리 충격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은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딪치면서 발생된 충격력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고 오히려 반발에 의해 다시 탑승자에게 되돌아옴으로 인해 사실상 충격 흡수에 대한 성능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구조를 간결화 및 경량화함으로써 원가절감과 차량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이 형성되고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 상기 도어 슈트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 상기 도어 슈트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가 부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슈트는 후면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결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턱에 나사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판상이며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이 수직되게 절곡되어 브릿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끝단에 나사 결합공을 갖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부직포이며, 내부에 쿠션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이고,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며 통공을 갖는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이 형성되고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 상기 도어 슈트에 결 합되는 체결부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 상기 도어 슈트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가 부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슈트는 후면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결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턱에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면에 걸림턱이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나사를 체결하도록 다수의 보조결합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판상이며 중앙에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이 수직되게 절곡되어 브릿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끝단에 나사 결합공을 갖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보조결합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결합구는 회전가능한 클램프이며, 상기 수용공간의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결합구는 상기 보조결합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을 갖는 편체가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부직포이며, 내부에 쿠션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이고,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며 통공을 갖는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되던 맴버 브래킷이 배제됨으로써 구조가 간결해질 수 있고, 이로인해 경량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의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 충격 테스트시 충격력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도어슈트에 가해진 후 곧바로 흡수되어 분산됨으로써 2차적인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법규의 규정에도 부합하게 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A1)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224) 이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24)이 내측에 형성된 도어 슈트(2); 상기 도어 슈트(2)에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4); 상기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5)가 부착된 케이싱(6); 상기 케이싱(6) 내에 수납되는 쿠션(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어 슈트(2)는 쿠션(100)의 전개시 절단되도록 직선형태로 된 파단선(224)이 형성된 장방형의 판부(22)와, 상기 판부(22)의 후면에 형성된 장방형으로 돌출된 수용공간(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4)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쿠션(100) 및 케이싱(6)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슈트(2)의 판부(22)의 후면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44)와 대응되도록 결합단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턱(26)에는 나사(5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공(260)이 형성된다.
마운트 플레이트(4)는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내재된 쿠션(100) 및 케이싱(6)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에는 장방형의 판상이며 중앙에 인플레이터가 장착 되는 장착홀(40)이 형성되고, 양측이 수직되게 절곡되어 상기 도어 슈트(2)의 결합단턱(26)을 향하도록 브릿지(42)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42)의 끝단에 나사 결합공(442)을 갖는 상기 체결부(44)가 형성된다.
케이싱(6)은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되도록 장방형이며, 재질은 부직포이고, 내부에는 쿠션(100)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이다.
또한, 케이싱(6)의 내측 저면에는 인플레이터(5)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공(60)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60)의 주변에는 볼트(63)를 체결하는 볼트공(61)이 다수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44)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며 통공(620)을 갖는 리브(6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통공(620)에는 마운트 플레이트(4)의 체결부(44)에 결합된 나사(5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리브(62)는 인플레이터(5)의 폭발시 쿠션(100)이 팽창될 때 케이싱(6)이 딸려 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6) 내에는 쿠션(100)이 접어져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된다.
쿠션(100)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지된 바와 같이 원반형의 풍선형상으로써 쿠션(100)의 하부면의 중앙에는 인플레이터(5)가 삽입되는 통공(110)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0)의 주변에는 인플레이터(5)를 고정시키는 볼트(63)가 결합되는 홀(120)이 형성된다.
특히 쿠션(100)의 내측에는 상기 통공(110)과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인플레이터(5)에서 발생된 가스를 측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양측이 개방된 디퓨저(2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2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케이싱(6)의 장착홀(40)을 통해 인플레이터(5)를 삽입한 후 케이싱(6)의 반대편, 즉 공간을 통해 쿠션(100)을 넣은 다음 그 하부의 통공을 통해 인플레이터(5)를 삽입시킨 후 볼트(63)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쿠션(100)을 최대한 작은 부피로 접어서 케이싱(6)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이때 쿠션(100)의 디퓨저(200)도 납작하게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이렇게 쿠션(100)이 결합되면 케이싱(6)은 마치 벽돌형태가 된다.
상기 케이싱(6)을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고정된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시킨 후 그 후방으로부터 마운트 플레이트(4)를 밀착시켜 체결부(44)가 결합단턱(26)에 맞닿도록 한 다음 나사(500)를 결합시켜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충격감지센서(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5)가 폭발하게 되고, 발생된 가스는 쿠션(100)으로 유입되어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쿠션(100)의 팽창압력에 의해 도어 슈트(2)의 파단선(224)이 절개되면서 쿠션(100)이 외부로 팽출된다.
한편 쿠션(100)이 팽출되기 전에 머리를 도어 슈트(2)에 부딪칠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그 충격력이 에어백 모듈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의해 분산될 수 있고, 특히 종래 기술의 큰 문제점이었던 맴버 브래킷 및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반발력에 의한 2차적인 충격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II-II'선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구성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A2)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224)이 형성되고,후방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24)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2);
상기 도어 슈트(2)에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4);
상기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5)가 부착된 케이싱(6);
상기 케이싱(6) 내에 수납되는 쿠션(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슈트(2)는 직사각형이며, 쿠션(100)의 전개시 절단되도록 직선형태로 된 파단선(224)이 형성된 판부(22)와, 상기 판부(22)의 후면에 형성된 장방형으로 돌출된 수용공간(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4)은 후방을 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쿠션(100) 및 케이싱(6)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슈트(2)의 판부(22)의 후면 양측 단부에는 마운트 플레이트(4)의 체결부(44)와 대응되도록 결합단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턱(26)에는 나사(5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공(26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의 외측면에는 후술될 마운트 플레이트(4)의 클램프(47)가 체결되도록 걸림홈(28)이 다수로 형성된다.
수용공간(24)의 외주면에는 나사(600)를 체결하도록 다수의 보조결합공(23)이 더 형성된다.
마운트 플레이트(4)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장방형의 판상이며, 중앙에 인플레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40)이 형성되고, 양측 단변에는 도어 슈트(2)의 결합단턱(26)에 결합되도록 체결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44)에는 나사 결합공(443)이 형성된다.
또한 마운트 플레이트(4)의 일측 장변에는 상기 도어 슈트(2)의 걸림홈(28) 에 고정 설치되도록 보조결합구가 더 구비된다.
보조결합구의 일 실시예는, 마운트 플레이트(4)의 일측 장변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을 갖는 클램프(47)로써, 상기 클램프(47)가 상기 수용공간(24)의 걸림홈(28)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보조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로는, 마운트 플레이트(4)의 타측 장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의 보조결합공(23)에 일치되는 나사공(450)을 갖는 편체부(45)이다.
케이싱(6)은 부직포이며, 내부에 쿠션(100)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이고, 중앙에는 인플레이터(5)가 결합되도록 결합공(60)이 형성되며, 양쪽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부(44)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며 통공(620)을 갖는 리브(6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브(62)의 통공(620)에 마운트 플레이트(4)의 체결부(44)에 결합된 나사(500)가 결합됨으로써 인플레이터(5)의 폭발시 쿠션(100)이 팽창될 때 케이싱(6)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6)의 내측에 쿠션(100)이 접어져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된다.
쿠션(100)은 원방상의 원형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플레이터(5)가 삽입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주변에 인플레이터(5)가 볼트(63)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케이싱(6)의 결합공(60)을 통해 인플레이터(5)를 삽입한 후 케이싱(6)의 반대편, 즉 공간을 통해 쿠션(100)을 넣은 다음 통공으로 인플레이터(5)가 삽입되게 한 후 볼트(63)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쿠션(100)을 접어서 케이싱(6)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이렇게 쿠션(100)이 결합된 케이싱(6)을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고정된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시킨 후 그 후방으로부터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를 밀어 넣는다.
이후 마운트 플레이트(4)의 체결부(44)를 도어 슈트(2)의 결합단턱(26)에 밀착시킨 후 나사(500)를 결합시키고, 편체부(45)의 나사공(450)에도 나사(600)를 결합시킨다.
특히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를 수용공간(24)에 밀어넣으면 탄성을 갖는 클램프(47)가 수축되었다가 걸림홈(28)에 걸려져 돌출됨으로써 체결상태가 된다.
이하 쿠션(100)의 팽출 작동은 상술한 제1실시예(A1)와 대동소이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 2실시예(A1,A2)에 있어서, 쿠션(100)의 내부, 즉 통공(110)의 주위에는 인플레이터(5)에서 발생된 가스를 측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양측이 개방된 디퓨저(200)가 더 형성된다.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퓨저(200)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직물편으로써 그 양측 단변을 쿠션(100)의 통공 주변에 고정시켜 "∩"자 형태로 구부림으로써 그 양단에 가스가 방출되는 개구공(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5)로부터 분출된 가스가 디퓨저(2000의 내면에 부딪친 후 반사되어 개구공(210)을 통해 방출됨으로써 쿠션(100)이 신속하게 팽창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I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도어 슈트 4 : 마운트 플레이트
5 : 인플레이터 6 : 케이싱
22 : 판부 24 : 수용공간
26 : 결합단턱 40 : 장착홀
42 : 브릿지 44 : 체결부
62 : 리브

Claims (7)

  1.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224)이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24)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2); 상기 도어 슈트(2)에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4); 상기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24)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5)가 부착된 케이싱(6); 상기 케이싱(6) 내에 수납되는 쿠션(100)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트(2)는,
    상기 파단선(224)이 형성된 판부(22);
    상기 판부(22)의 후면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부(44)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나사 결합공(442)을 갖는 결합단턱(26)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는,
    중앙에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되고,
    양측이 수직되게 절곡되어 상기 도어 슈트(2)의 결합단턱(26)을 향하도록 브릿지(42)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42)의 끝단에 나사 결합공(442)을 갖는 상기 체결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2. 인스트루먼트 패널(300)에 설치되며 전면에 파단선(224)이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24)이 내부에 형성된 도어 슈트(2); 상기 도어 슈트(2)에 결합되는 체결부(44)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장착홈(40)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4); 상기 도어 슈트(2)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인플레이터(5)가 부착된 케이싱(6); 상기 케이싱(6) 내에 수납되는 쿠션(100)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트(2)는,
    상기 파단선(224)이 형성된 판부(22)의 후면 양측 단부에 마운트 플레이트(4)의 체결부(44)와 대응되도록 결합단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턱(26)에는 나사(5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공(26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의 외측면에는 걸림홈(28)이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4)의 외주면에는 나사(600)를 체결하도록 다수의 보조결합공(2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장방형의 판상이며, 중앙에 인플레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40)이 형성되고,
    양측 단변에는 도어 슈트(2)의 결합단턱(26)에 결합되도록 나사 결합공(443)을 갖는 체결부(44)가 형성되며,
    일측 장변에는 상기 도어 슈트(2)의 걸림홈(28)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보조결합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구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의 일측 장변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을 갖는 클램프(47)이거나 또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의 타측 장변에 돌출 형성되며, 수용공간(24)의 보조결합공(23)에 일치되는 나사공(450)을 갖는 편체부(45)과, 상기 나사공(450)에 체결되는 나사(600)로 이루어진 것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은
    부직포이며, 내부에 쿠션(100)이 수납되도록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이고,
    중앙에는 인플레이터(5)가 결합되도록 결합공(60)이 형성되며,
    양쪽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부(44)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며 통공(620)을 갖는 리브(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100)의 하부면의 중앙에는 인플레이터(5)가 삽입되는 통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0)의 주위에는 인플레이터(5)에서 발생된 가스를 측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양측이 개방된 디퓨저(2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20090121734A 2009-12-09 2009-12-09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104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734A KR101042738B1 (ko) 2009-12-09 2009-12-09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734A KR101042738B1 (ko) 2009-12-09 2009-12-09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43A true KR20110064943A (ko) 2011-06-15
KR101042738B1 KR101042738B1 (ko) 2011-06-20

Family

ID=4439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734A KR101042738B1 (ko) 2009-12-09 2009-12-09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7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1556A (zh) * 2016-02-02 2017-08-11 奥托立夫开发公司 气囊壳体和安全气囊组件
CN107406053A (zh) * 2015-03-09 2017-11-28 卡森尼可关精株式会社 车辆用安全气囊装置
JP2018070019A (ja) * 2016-11-01 2018-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12046286A (zh) * 2020-10-09 2020-12-08 华晨鑫源重庆汽车有限公司 一种无管梁安装pab的仪表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453B1 (ko) * 2001-06-30 2003-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30056074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박스 하우징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6053A (zh) * 2015-03-09 2017-11-28 卡森尼可关精株式会社 车辆用安全气囊装置
CN107031556A (zh) * 2016-02-02 2017-08-11 奥托立夫开发公司 气囊壳体和安全气囊组件
CN107031556B (zh) * 2016-02-02 2022-03-01 奥托立夫开发公司 气囊壳体和安全气囊组件
JP2018070019A (ja) * 2016-11-01 2018-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12046286A (zh) * 2020-10-09 2020-12-08 华晨鑫源重庆汽车有限公司 一种无管梁安装pab的仪表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738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794B2 (en) Cover attachment
KR20050037169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200125331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42738B1 (ko) 초경량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1307905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構造
KR20120119138A (ko) 범퍼 에어백 장치
KR100522870B1 (ko)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KR101086513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4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50037173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10018051A (ko) 외장 에어백장치
KR20100091574A (ko) 에어백 어셈블리
KR100980929B1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482221B1 (ko)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조체
KR100458724B1 (ko) 차량의 탑승자 구속장치
KR200387309Y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KR100597358B1 (ko) 에어백장치
KR100885380B1 (ko) 조수석용 에어백 모듈
KR20090118649A (ko)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
KR10057945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0133419Y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 장착구조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00503305B1 (ko)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마운팅구조
KR100509029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보호용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구조
KR20010058926A (ko)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