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907A -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907A
KR20110064907A KR1020090121683A KR20090121683A KR20110064907A KR 20110064907 A KR20110064907 A KR 20110064907A KR 1020090121683 A KR1020090121683 A KR 1020090121683A KR 20090121683 A KR20090121683 A KR 20090121683A KR 20110064907 A KR20110064907 A KR 2011006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lefin
polyethylen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219B1 (ko
Inventor
권상민
김석진
이태근
정운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19B1/ko
Priority to US13/514,667 priority patent/US8470920B2/en
Priority to EP10836166A priority patent/EP2511335A2/en
Priority to JP2012543017A priority patent/JP2013513687A/ja
Priority to PCT/KR2010/008565 priority patent/WO2011071270A2/ko
Priority to CN2010800561330A priority patent/CN102695755A/zh
Publication of KR2011006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70∼99중량%의 폴리올레핀 및 융점이 130∼180℃인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3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가공성, 인쇄성 및 접착성과 같은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압출 방식에 의해 시트를 연신없이 다양한 두께로 생산이 가능하여 단독 및 합지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인테리어, 폴리올레핀, 프로필렌, 데코시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Description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POLYOLEFIN COMPOSITION FOR INTERIOR SHEET/FILM}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 문제의 대두로, 친환경 건축자재 및 내외장 마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감재로는 데코레이션 시트(이하, 데코시트), 벽지, 바닥재, 또는 광고 및 외관 목적으로 부착하는 점착 필름 등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이 있으며, 특히, 데코시트는 장롱, 싱크대, 수납장과 같은 가구에 나무 무늬와 같은 장식을 표현하기 위한 시트를 의미하며, 통상 원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재생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목판에 나무 무늬 및 여러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인테리어 시트/필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데코시트, 벽지, 바닥재, 또는 점착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현재까지, 이와 같은 인테리어 시트/필름은 PVC를 재료로 이용하여 시트를 얇고 광폭으로 생산할 수 있는 캘린더링(calen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왔으나, 환경 호르몬을 함유하며, 연소시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등 건강에 해가 되어 친환경 소재로의 개발 중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가 있다. 그러나, 비극성인 폴리올레핀 수지는 기존 PVC 대비 인쇄성 및 접착성이 떨어지고, 기존 PVC용 잉크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장비로는 인쇄나 접착에 어려움이 있고 코로나 처리를 통해 인쇄성을 부여하는데 이는 공정 단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인쇄가 되는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쇄성을 높이기 위해 고가의 비극성 잉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원가의 상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정교한 인쇄를 필요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에서 기존 PVC 수지와 대비하여 인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제를 입히기 전에 프라이머를 전처리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이고 있는데 이는 공정 단계를 증가시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서는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들은 인테리어 시트/필름에 관한 것이 아니고, 병(bottle), 트레이(tray) 등의 용기류나 진공성형이 유용한 2차 가공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따라서, 상업적으로 인쇄성 및 접착성 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6-137910호
특허문헌 2: 일본등록특허 제3856948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트/필름을 압출 또는 칼렌더링 방식으로 제조하면서도, 인쇄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개질 PET를 첨가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유해물질인 다이옥신 및 중금속 등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유기 휘발성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이어서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폴리올레핀이 가지고 있던 인쇄성 및 접착성 등의 문제를 기존 PVC 데코시트와 동등하고, 또한, 우수한 가공성에 의해 얇은 두께로도 생산하여 단독 또는 합지시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70∼99중량% 및 융점이 130∼180℃인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30중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은 50∼99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과 1∼50중량%의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아디픽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탄산칼슘, 탈크, 운모, 및 지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무기물 0.1∼40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디엔 3원공중합체(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합성 고무(N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고무성분 0.1∼30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ethylmethacrylate-butadiane-styrene: MBS), EVA, 무수말레인산 및 PP-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상용화제 0.001∼3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환경유해물질인 다이옥신 및 중금속 등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유기 휘발성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이고 안정하여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기존 PVC 데코시트에 비해 인쇄성 및 접착성과 같은 물성이 동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성이 우수하여 시트/필름를 연신없이 다양한 두께로 생산이 가능하여 단독 및 합지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70∼99중량% 및 융점이 130∼180℃인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3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내열성, 굽힌 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얻기 위해 프로필렌 단독(100중량%), 즉,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충격강도 및 은폐력을 얻기 위해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사용량이 2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충격강도 및 은폐력을 얻을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굽힌 강도 등이 열악하여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굽힌 강 도(뻣뻣함, Stiffness) 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50중량% 내지 99중량%까지 함유하고, 제품에 따라 유연성을 주기 위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에틸렌을 1∼50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성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굽힌 강도 등이 열악하여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100중량%), 또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은 무극성으로 인쇄 및 접착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일반적으로 코로나 처리를 하여 일시적으로 극성을 만들고 무극성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하게 하나 이는 또 하나의 공정을 유발시키고 코로나 처리 후 일정 기간 이상이 지나면 인쇄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극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폴리올레핀에 첨가하여 그래프팅시키면 우수한 인쇄 및 접착성을 가지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단, 일반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올레핀과 융점차이가 커서 상용성이 떨어져 가공성과 인쇄성이 열악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융점이 130∼180℃를 갖는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과 상용성이 우수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는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아디픽테레프탈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사용량은 1∼30중량%가 바람직한데, 1중량% 미만이면 첨가되지 않은 제품과 차이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상용성이 떨어져 가공이 힘들어 진다.
또한, 폴리올레핀과 개질 PET의 혼합시에 개질 PET의 융점을 폴리올레핀과 유사하게 조절하여 혼합하면 상용성이 많이 좋아지나, 좀 더 우수한 상용성을 얻기 위해 폴리올레핀과 개질 PET를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할 때, EVA, MBS, 무수말레인산 및 PP-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상용화제를 0.001∼3중량%로 첨가하면 더욱 우수한 상용성을 얻을 수 있어 가공성 및 인쇄성을 비롯한 물성의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이때, 0.001중량% 미만에서는 첨가 효과가 거의 없고, 3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물성 저하로 인해 가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시트/필름의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무기물과 고무를 선택적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냉각속도를 높이고, 굽힌 강도 및 은폐력을 좋게 하기 위해 탄산칼슘, 탈크, 운모 및 지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무기물 0.1∼40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물이 4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유연성이 떨어져 접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충격강도가 약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가공성과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유연성을 얻기 위해 EVA, EPDM, SBR 및 N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고무성분 0.1∼30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 함량이 30 중량%를 넘으면 가공성이 떨어지고 굽힌 강도가 약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압출기에서 용융시키면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만들어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압출하여 원하는 두께의 시트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인테리어 시트/필름은 인쇄성 및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데코시트, 벽지, 바닥재, 접착필름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폴리프로필렌 80중량% 및 융점이 약 160℃인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20중량%의 혼합물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1㎜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약 15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80중량% 및 융점이 약 160℃인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20중량%의 혼합물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2㎜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폴리프로필렌 60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20중량%, 및 융점이 약 150℃인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20중량%의 혼합물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2㎜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약 15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60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20중량%, 및 융점이 약 150℃인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20중량%의 혼합물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2㎜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5
폴리프로필렌 60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 10중량%, 및 융점이 약 160℃인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15중량%, 탄산칼슘 10중량%, 및 EVA 5중량%의 혼합물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2㎜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용융흐름지수가 2.0인 호모폴리프로필렌 100중량%을 약 230℃로 유지된 2축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성형기(다이)에서 시트상태로 배출한 다음, 압출기의 롤러쌍 사이로 상기 시트를 약 0.2㎜의 두께 및 1,500㎜의 폭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트의 시편을 만들고,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인쇄성 및 접착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인쇄성 접착성
실시 예 1 2.6(MD), 3.3(TD) 80(MD), 18(TD) 0.9(MD), 1.0(TD) 매우 우수 우수
실시 예 2 2.5(MD), 3.2(TD) 70(MD), 15(TD) 0.8(MD), 0.9(TD) 매우 우수 우수
실시 예 3 2.0(MD), 2.6(TD) 50(MD), 12(TD) 0.9(MD), 1.1(TD)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 예 4 1.9(MD), 2.6(TD) 40(MD), 12(TD) 0.9(MD), 1.1(TD)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실시 예 5 2.9(MD), 3.4(TD) 44(MD), 10(TD) 0.7(MD), 0.7(TD) 우수 매우 우수
비교 예 1 2.7(MD), 3.2(TD) 80(MD), 20(TD) 0.9(MD), 1.0(TD) 열세 열세
물성측정
인장강도(㎏/㎟):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
인장신율: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
인열강도(㎏/㎜): ASTM D1922에 의거하여 측정
인쇄성: 일반 PVC 잉크로 그라비아 인쇄 후 1시간 후에 인쇄강도 측정
접착성: 일반 PVC 접착제를 도포 후 합판에 부착하여 접착 강도 측정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필름은 폴리프로필렌 단독(비교 예 1)으로 제조한 시트와 비교하여 다른 기계적 물성의 저하없이 인쇄성 및 접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올레핀 70∼99중량% 및 융점이 130∼180℃인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30중량%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50∼99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30중량%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과 1∼50중량%의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석시니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아디픽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탄산칼슘, 탈크, 운모 및 지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무기물 0.1∼40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VA, EPDM, SBR, 및 N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고무성분 1∼30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VA, MBS, 무수말레인산 및 PP-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상용화제 0.001∼3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20090121683A 2009-12-09 2009-12-09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28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83A KR101283219B1 (ko) 2009-12-09 2009-12-09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US13/514,667 US8470920B2 (en) 2009-12-09 2010-02-12 Polyolefin composition for an interior sheet/film
EP10836166A EP2511335A2 (en) 2009-12-09 2010-12-02 Polyolefin composition for an interior sheet/film
JP2012543017A JP2013513687A (ja) 2009-12-09 2010-12-02 インテリアシート/フィルム用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PCT/KR2010/008565 WO2011071270A2 (ko) 2009-12-09 2010-12-02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CN2010800561330A CN102695755A (zh) 2009-12-09 2010-12-02 用于内饰片/膜的聚烯烃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83A KR101283219B1 (ko) 2009-12-09 2009-12-09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07A true KR20110064907A (ko) 2011-06-15
KR101283219B1 KR101283219B1 (ko) 2013-07-05

Family

ID=4414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83A KR101283219B1 (ko) 2009-12-09 2009-12-09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70920B2 (ko)
EP (1) EP2511335A2 (ko)
JP (1) JP2013513687A (ko)
KR (1) KR101283219B1 (ko)
CN (1) CN102695755A (ko)
WO (1) WO201107127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240A (ko) * 2015-02-04 2016-08-16 이호영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4774B (zh) * 2013-12-31 2015-07-08 佛山佛塑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压延的合金性材料及制备合金性材料薄膜的方法
JP6309925B2 (ja) * 2015-09-11 2018-04-11 中本パックス株式会社 ジッパー付き袋体
KR102498695B1 (ko) * 2016-12-22 2023-02-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탄산칼슘용 분산제, 탄산칼슘 조성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611A (en) * 1967-12-21 1971-09-21 Kanegafuchi Spinning Co Ltd Composite filament having crimpability and latent adhesivity
DE69839164T2 (de) * 1997-11-26 2009-03-05 Nippon Steel Corp. Harzbeschichtungszusammensetzung für Metallbleche, Harzfolien, auf die sie aufgetragen sind, harzbeschichtetes Metallblech und Metallbehälter
JP3856948B2 (ja) 1998-06-01 2006-12-13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N100556690C (zh) 2003-11-28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片、装饰树脂成形品及其制造方法
JP2006137910A (ja) 2004-11-15 2006-06-01 Bridgestone Corp 高分子組成物
KR100873298B1 (ko) 2007-07-23 2008-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240A (ko) * 2015-02-04 2016-08-16 이호영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270A2 (ko) 2011-06-16
US20130005893A1 (en) 2013-01-03
JP2013513687A (ja) 2013-04-22
CN102695755A (zh) 2012-09-26
KR101283219B1 (ko) 2013-07-05
EP2511335A2 (en) 2012-10-17
WO2011071270A3 (ko) 2011-11-10
US8470920B2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962B2 (en)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and improved moisture barrier
US9238324B2 (en)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EP0470760B1 (en) Composite plastics film or sheet
EP2923815B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polyolefin, use thereof, and manufactured article
JP2015006793A (ja) 押出コーティングによる多層印刷メディアの製造方法
KR101283219B1 (ko)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WO2011123682A1 (en)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and improved moisture barrier
JP200613081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US9205963B2 (en) Biodegradable material
CN113211917A (zh) 聚丙烯基复合膜及其制备方法
US10538070B2 (en) Non-polyvinylchloride surface covering
JP430096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成形体
KR100843612B1 (ko) 데코시트
KR100690975B1 (ko) 표면 인쇄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EP2094482B1 (en) Labels
JP200713176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れらを熱成形して得られる容器
JP431264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成形体
JP200628974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該積層発泡シートを熱成形して得られる成形体
KR20120064839A (ko) 친환경 데코시트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KR101718943B1 (ko) 친환경 데코레이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2006218817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KR20210051183A (ko) 다용도 시트 조성물
JP200610442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または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の成形体
JP202119548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化粧フィルム、化粧用粘着フィルム
KR20090067621A (ko)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