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07A -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 Google Patents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07A
KR20110063907A KR1020090120274A KR20090120274A KR20110063907A KR 20110063907 A KR20110063907 A KR 20110063907A KR 1020090120274 A KR1020090120274 A KR 1020090120274A KR 20090120274 A KR20090120274 A KR 20090120274A KR 20110063907 A KR20110063907 A KR 2011006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late
angle
rotating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재명
Priority to KR102009012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907A/ko
Publication of KR2011006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안테나를 장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 막대형로드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과; 상기 막대형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관통부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막대형로드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을 갖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안테나지지대{Rotary Type Antenna Support}
본 발명은,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되는 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건물의 벽이나, 기둥, 철주 등의 구조물에 지지를 위한 안테나용 지지대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즉, 안테나용 지지대는 안테나를 구조물에 지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최근에 통신 단말기나 휴대형 전용 수신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DMB 서비스가 개발되어 급속도록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DMB 서비스를 대부분 터널구간을 운행하는 지하철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지하철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안테나의 서비스 영역은 안테나 방향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설치시 안테나의 방향을 잘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지하철에 설치된 안테나 지지대는 별도의 방향 조절기능이 없어 지하철에 한번 설치한 후에 방향을 변경할 경우에는 재 설치해야하는 등의 어려 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안테나를 장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 막대형로드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과; 상기 막대형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관통부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막대형로드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을 갖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에 상기 체결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각도조절부와,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각도조절부 보다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각도조절부의 제2관통부는 상기 제1각도조절부의 제2관통부들 사이 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베이스부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막대형로드에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 막대형로드, 고정판 및 회전판은 도금처리되며, 상기 베이스부 및 막대형로드에는 도금처리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는 안테나(미도시)를 장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 막대형로드(20)와, 구조물에 장착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30)과, 막대형로드(20)의 일측에 마련되며 고정판(3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부(50)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판(40)과, 고정판(30) 및 회전판(40)에 마련되어 고정판(30)에 대한 회전판(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60)를 포함한다.
막대형로드(20)는 본 발명의 일예로 지하철에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를 장착가능하도록 막대형상으로 길게 마련된다. 그러나, 막대형로드(20)는 지하철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가능한 버스 등의 차량이나 지상을 주로 운행하는 기차 및 해상을 운행하는 배 등에 지상파 DMB뿐만 아니라 위성 DMB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안테나(미도시)는 막대형로드(2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으며, U자형 장착구 등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0)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베이스브래킷(11)과, 베이스브래킷(11)에 설치된 베이스스탠드(15)를 포함한다.
베이스브래킷(11)은 본 발명의 일예로 지하철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에 볼트 혹은 스크루 등에 의해 장착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베이스브래킷(11)은 지하철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운송수단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스탠드(15)는 베이스브래킷(11)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고정판(30)을 베이스브래킷(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게 된다.
고정판(30)은 베이스스탠드(15)의 상측에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고정판(30)은 베이스부(10)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고정판(30)은 베이스스탠드(15)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고정판(30)에는 본 발명의 일예로 후술할 각도조절부(60)의 제1관통부(63)가 형성된다.
회전판(40)은 막대형로드(20)의 일측에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회전판(40)은 막대형로드(20)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회전판(40)에는 본 발명의 일예로 후술할 각도조절부(60)의 복수의 제2관통부(65)가 등각도를 이루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한 쌍의 회전판(40)은 한 쌍의 고정판(30)의 내측면에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회전판(40)이 한 쌍의 고정판(30)의 외측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딩 회전할 수도 있다.
체결부(50)는 회전판(40)이 고정판(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판(30) 및 회전판(40)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55)에 체결된다. 체결부(50)는 한 쌍의 고정판(30) 및 회전판(4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5)에 삽입되는 체결볼트(51)와, 한 쌍의 고정판(30) 및 회전판(4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공(55)에 삽입되어 체결볼트(51)와 결합되는 체결너트(53)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체결볼트(51) 및 체결너트(53)의 체결력을 조절함으로써 회전판(40)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정판(30)에 대해 체결부(50)를 중심으로 회전판(4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적절한 마찰력을 갖도록 체결볼트(51) 및 체결너트(53)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60)는 고정판(30) 및 회전판(4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부(50)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제1관통부(63)와, 고정판(30) 및 회전판(40) 중 다른 하나에 제1관통부(63)에 대응하여 체결부(5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관통부(65)와, 제1관통부(63)와 제2관통부(65) 중 하나에 삽입되어 막대형로드(20)의 회전된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핀(30)을 포함한다.
각도조절부(60)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관통부(63) 및 제2관통부(65)가 고정판(30) 및 회전판(40)에 체결부(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각도조절부(61)와, 제1관통부(73) 및 제2관통부(75)가 체결부(50)로부터 제1각도조절부(61) 보다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71)를 포함한다.
제1각도조절부(6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관통부(63) 및 제2관통부(65)가 각각 고정판(30) 및 회전판(40)에 체결부(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는 본 발명의 일예로 고정판(30)에 등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면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는 상호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4개로 배치된다. 그러나,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등각도를 이루도록 2개 혹은 3개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각도조절부(61)의 제2관통부(65)는 본 발명의 일예로 회전판(40)에 등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면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각도조절부(61)의 제2관통부(65)는 회전판(40)이 고정판(3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고정핀(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즉, 제1각도조절부(61)의 제2관통부(65)는 회전판(40)이 고정판(30)에 대해 가능한 세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그러나, 각 제2관통부(65)들 사이의 거리를 너무 좁게 할 경우 상호 관통되어버리는 등 가공상의 어려움 및 가공부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2각도조절부(71)의 제1관통부(73) 및 제2관통부(75)는 체결부(50)로부터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 및 제2관통부(65) 보다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는 것 이외에는 제1각도조절부(61)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예로 제2각도조절부(71)의 제2관통부(75)는 제1각도조절부(61)의 제2관통부(65)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각도조절부(71)의 제2관통부(75)는 보다 세밀한 각도조절을 위하여 제1각도조절부(61)의 제2관통부(65)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일예로 제2각도조절부(71)의 제1관통부(73)도 역시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 및 제2관통부(65)만 있는 경우에 비해 제2각도조절부(71)의 제1관통부(73) 및 제2관통부(75)가 마련된 경우에는 더욱 정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핀(30)은 본 발명의 일예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제1각도조절부(61)의 제1관통부(63) 및 제2관통부(65)가 서로 연통되도록 각도를 조절한 경우에는 한 쌍의 고정핀(30)을 제1각도조절부(61)에 결합하여 회전판(40)을 고정시키며, 제2각도조절부(71)의 제1관통부(73) 및 제2관통부(75)가 서로 연통되도록 각도를 조절한 경우에는 한 쌍의 고정핀(30)을 제2각도조절부(71)에 결합하여 회전판(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하나의 고정핀(30)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게 회전판(4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핀(30)은 하나 혹은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핀(30)에는 고리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고정핀(30)을 잡고 빼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는 주로 지하철의 내측벽 혹은 외측벽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가 지하철의 외측벽이나 지붕 등 실외에 장착될 경우에는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외용의 경우에는 특별히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처리를 할 수 있다. 도금처리를 할 경우에는 베이스부(10) 및 막대형로드(20)에는 도금처리를 위한 관통공(17,21)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이 일예로 막대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스탠드(15)의 상측에 관통공(17)이 마련되며, 회전판(40)이 결합된 막대형로드(20)의 일측에 관통공(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에 도금처리를 함으로써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부식 등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1)는 각도조절부(60)에 의해 회전판(40)을 고정판(3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막대형로드(20)에 장착되는 안테나(미도시)의 설치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로드(20)가 베이스부(10)에 대해 기립한 상태(도 1참조)에서 양측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60)에 의해 막대형로드(20)를 베이스부(10)에 대해 세밀하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브래킷
15 : 베이스스탠드 20 : 막대형로드
30 : 고정판 40 : 회전판
50 : 체결부 61 : 제1각도조절부
63 : 제1관통부 65 : 제2관통부
67 : 고정핀 71 : 제2각도조절부
73 : 제1관통부 75 : 제2관통부

Claims (5)

  1. 회전형 안테나지지대에 있어서,
    구조물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안테나를 장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 막대형로드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판과;
    상기 막대형로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제1관통부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관통부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막대형로드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을 갖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에 상기 체결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각도조절부와,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각도조절부 보다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 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조절부의 제2관통부는 상기 제1각도조절부의 제2관통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베이스부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막대형로드에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막대형로드, 고정판 및 회전판은 도금처리되며,
    상기 베이스부 및 막대형로드에는 도금처리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KR1020090120274A 2009-12-07 2009-12-07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KR2011006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74A KR20110063907A (ko) 2009-12-07 2009-12-07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74A KR20110063907A (ko) 2009-12-07 2009-12-07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07A true KR20110063907A (ko) 2011-06-15

Family

ID=4439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274A KR20110063907A (ko) 2009-12-07 2009-12-07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9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85Y1 (ko) * 2014-10-23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테나 폴용 받침대
US9893410B2 (en) 2012-05-18 2018-02-13 Fasmetric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and precise positioning of cellular antennas
CN109216869A (zh) * 2018-09-21 2019-01-15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用于固定gps天线的固定装置
CN110994124A (zh) * 2019-12-08 2020-04-10 中船西江造船有限公司 一种可倾倒天线支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410B2 (en) 2012-05-18 2018-02-13 Fasmetric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and precise positioning of cellular antennas
KR200479185Y1 (ko) * 2014-10-23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테나 폴용 받침대
CN109216869A (zh) * 2018-09-21 2019-01-15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用于固定gps天线的固定装置
CN109216869B (zh) * 2018-09-21 2024-04-30 中电科海洋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用于固定gps天线的固定装置
CN110994124A (zh) * 2019-12-08 2020-04-10 中船西江造船有限公司 一种可倾倒天线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6347B (zh) 移动通信网络的天线一体型基站装置及天线固定设备
CA3034161C (en) Rail-type portable satellite communication antenna
US5963179A (en) Variable azimuth mounting assembly for panel antennas
KR20110063907A (ko) 회전형 안테나지지대
US20070273598A1 (en) Luneberg Lens Antenna Device
JP2001292015A (ja) アンテナ装置
JPH10107524A (ja) 衛星放送受信アンテナ取付装置
KR20150000561A (ko)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JP4915216B2 (ja) アンテナ装着用置き台
JP2885172B2 (ja) Csアンテナ取付方法及び装置
CN218632428U (zh) 天线支架和天线装置
US20190356037A1 (en) Directional antenna for use behind a tv
CN211182532U (zh) 卫星天线方位角度调整装置
JP2562453B2 (ja) パラボラアンテナの方位角調整構造
KR101047123B1 (ko) 위성방송용 수신안테나의 마운팅장치
CN210007659U (zh) 一种太阳能板调节支座
KR19980019938U (ko) 전방향 조정 설치 가능한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 및 위성방송 수신용 접시 안테나 고정 브라켓
KR200442840Y1 (ko) 위성안테나용 지지브라켓
JPH054324Y2 (ko)
JPH0851311A (ja) 簡易fpu架台装置
JP2501156Y2 (ja) 衛星放送受信用アンテナの取付け金具
JPH1168431A (ja) アンテナ取付構造
JPS61145903A (ja) 平面アンテナ装置
JP4210490B2 (ja) パラボラアンテナ支持装置
KR200277744Y1 (ko) 평면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