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424A - 2차전지 - Google Patents

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424A
KR20110063424A KR1020117000843A KR20117000843A KR20110063424A KR 20110063424 A KR20110063424 A KR 20110063424A KR 1020117000843 A KR1020117000843 A KR 1020117000843A KR 20117000843 A KR20117000843 A KR 20117000843A KR 20110063424 A KR20110063424 A KR 2011006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secondary battery
conductive layer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039B1 (ko
Inventor
다오탄 리우
자오쿠안 리우
롱구앙 후앙
춘타이 구오
Original Assignee
비에이케이 일렉트로닉 (셴젠)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케이 일렉트로닉 (셴젠)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비에이케이 일렉트로닉 (셴젠)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6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는 권심(7), 권심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전극탭(4), 권심(7)의 단부에 있는 전극탭 유도장치 및 덮개판(1)을 포함한다. 전극탭 유도장치는, 권심 단부와 접촉하는 절연층(6)과, 권심 단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도전층(5)을 포함하고, 전극탭(4)은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층은 덮개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재 및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5)과 덮개판(1) 사이에 적층된 받침판(3)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연결부재는 전극탭(4)을 받침판(3)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5) 사이에 압착시킨다.

Description

2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전지의 전극탭과 덮개판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2차전지는 음극판, 양극판, 전해질 용액 및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쇼트를 방지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다. 배터리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박판 혹은 호일(foil) 형태로 형성하고, 그리고 전극판들 및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을 순서에 따라 적층하거나 나선 형태로 감아서 배터리 셀을 형성한 후, 배터리 셀을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니켈이 도금된 철, 알루미늄 금속 케이스 혹은 적층된 소프트 패키지(soft package) 박막 배터리 용기 내에 실장하고, 전해질 용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형성된다. 이때, 배터리 셀은 전극판에 연결된 전극탭을 전극단자 혹은 덮개판과 연결함으로서 외부와 전기적으로 턴-온 된다.
종래의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극탭을 덮개판의 전극단자 상에 용접함으로서, 대전류가 방전 시,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자동차(HEV) 혹은 전기자동차(EV)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전극탭 및 전극단자와 같은 부분이 불량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 발열이 심해져 배터리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심할 경우엔, 배터리가 기능을 상실하거나 배터리의 안전성과 사용수명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복수개의 전극탭들과 전극단자들이 연결될 경우, 정확한 위치에 용접을 할 수 없어서 공정 및 품질 제어에 불리하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극탭들과 전극단자들 간의 연결을 개선하고 배터리 내부저항을 낮춰 배터리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2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아래에서 설명할 기술적 방법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는 권심과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권심 단부에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는 전극탭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덮개판, 및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는 전극탭이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권심을 포함하는 2차전지는, 권심 단부에 배치된 전극탭 유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권심 단부와 접촉하는 절연층과 권심 단부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은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전층은 덮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층과 도전층이 하나로 결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원형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에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탭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의 개구부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탭은 전극탭 유도장치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 받침판과 제1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받침판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받침판은 상기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 받침판과 상기 제1 받침판은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 받침판에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받침판에는 개구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절연 받침판의 개구부와 상기 제1 받침판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받침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연 받침판의 개구부와 상기 제1 받침판의 개구부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탭는 절연 받침판과 제1 받침판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받침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는 연결부재, 및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과 덮개판 사이에 적층되어 배치된 제2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극탭을 제2 받침판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에 압착시킨다.
상기 제2 받침판에서 전극탭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나사 연결부재이다.
상기 나사 연결부재의 볼트는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제2 받침판은 너트에 의하여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상에 압착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덮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덮개판에는 전극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덮개판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탭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탭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레이저 용접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탭과 상기 음극탭은 각각 복수개이다.
복수개의 상기 양극탭은 권심의 일단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상기 음극탭은 권심의 타단에 위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전극탭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상기 전극탭은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전극탭 유도장치를 형성하여 전극탭을 전극탭 유도장치에 고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시켜 전극탭의 연결 부위를 안정하고 단단하게 한다.
2. 전극탭 유도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용접 위치와 같은 전극탭의 연결 위치의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고 용접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어 생산성의 제고에 유리하다. 특히, 복수개 전극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각 전극탭의 용접 위치의 정확성을 확보 보장할 수 있다.
3. 제2 받침판이 배치되고 또한 제2 받침판을 거쳐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압착이 가능하여 배터리 셀의 전극탭과 전극단자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할 수 있고, 전극탭과 전극단자의 유효 접촉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4. 전극탭과 전극탭 유도장치 사이는 레이저에 의하여 용접되어 전기전도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고, 배터리 방전 시 성능을 보장할 수있고, 배터리 내부저항을 절감할 수 있고, 발열량을 감소할 수 있고, 배터리의 사용수명을 제고할 수 있다.
5. 전극탭 유도장치, 제2 받침판및 덮개판은 밀착 접촉되어 귄심과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보장한다. 배터리의 전극탭과 전극단자는 연결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편리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벨트 컨베이어 작업에 유익하고, 상용화 생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복수개 전극탭을 포함하는 부피가 큰 원통형(cylinder) 배터리에 적용된다. 배터리 셀을 효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는 진동 또는 충격에 강해지고, 따라서 배터리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대형 축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측면들 및 다른 측면들과 이점들은 수반하는 도면들과 함께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절연 받침판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받침판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제2 받침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덮개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탭유도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탭 유도장치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는 덮개판(1), 연결부재, 전극탭 유도장치, 제2 받침판(3), 및 권심(7)을 포함한다.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 받침판(6)과 제1 받침판(5)을 포함하고, 그 중 절연 받침판(6)은 절연층을 구성하고 제1 받침판(5)은 도전층을 구성한다. 연결부재는 너트(2)와 제1 받침판(5)에 고정된 볼트(502)를 포함한다. 배터리 전극판에는 원통 형상의 권심(7)이 감겨져 있고, 각 양단에는 복수개의 전극탭(4)이 권심(7)밖으로 돌출된다. 그 중 전극탭의 일단은 양극탭이고, 타단은 모두 음극탭이다. 양단의 전극탭과 덮개판의 연결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절연 받침판(6)은 원형으로서 권심(7)의 단면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받침판(6)에는 비연속적인 부채꼴 모양의 개구부(601)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받침판(6)의 상부에는 제1 받침판(5)이 적층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받침판(5)에도 비연속적인 부채꼴 모양의 개구부(501)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나사 산이 형성된 볼트(502)가 제1 받침판(5)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며, 그 하단은 절연 받침판(6)의 중심홀을 관통하고 상단은 제2 받침판(3)의 중심홀을 관통한다. 제2 받침판(3)은 너트(2)에 의해 제1 받침판(5)에 밀착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받침판(3)에는 개구부(301)가 설치된다. 덮개판(1)은 제2 받침판(3)에 배치된다. 덮개판(1)의 구조는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극단자(104) 및 전극단자(104)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홀(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판(1)에는 주입홀(102)와 폭발방지홀(103)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받침판(5), 제2 받침판(3), 전극탭(4), 덮개판(1), 전극단자(104)는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금속재료로 구성된다. 그중 덮개판(1)과 전극단자(104) 사이는 절연된다.
조립 시, 전극탭(4)은 절연 받침판(6)의 개구부(601)와 제1 받침판(5)의 개구부(501)를 관통하여 절연 받침판(6)의 상부로 돌출되고, 그 후 전극탭(4)은 제1 받침판(5)의 상부에 압착된다. 그리고 레이저에 의한 용접이거나 혹은 연속 용접으로 전극탭(4)을 제1 받침판(5)에 용접한다. 다음, 제1 받침판(5) 상면에 제2 받침판(3)을 배치한다. 즉 제2 받침판(3)의 중심홀에 제1 받침판(5)의 볼트(502)를 관통시킨다. 이로서, 상, 하 두개 금속 받침판 사이에 전극탭(4)이 개재되고, 너트(2)에 의해 조여져서 그 사이에 전극탭(4)이 긴밀히 끼워진다. 이 후, 덮개판(1)으로 덮히게 되고, 상기 덮개판(1)의 중심홀(101)은 제1 받침판(5)의 볼트(502) 상단의 막대부와 밀착 결합되고, 외부에서 레이저에 의한 용접 방식으로 둘이 하나로 용접된다. 중심홀(101)과 볼트(502) 상단의 결합 형상은 원형이나 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극탭(4)을 제1 받침판(5)에 용접하는 단계는 제2 받침판(3)이 배치된 다음에도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받침판(3)의 개구부(301)를 사이에 두고, 레이저에 의한 용접이거나 혹은 연속 용접으로 전극탭(4)을 제1 받침판(5)에 용접한다.
또한, 권심(7) 일단의 덮개판(1)에 전극단자(104)를 형성하지 않고 양극탭 혹은 음극탭이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덮개판(1)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탭과 음극탭 전부를 권심(7)의 동일한 일단에 형성하고 덮개판에 두개의 전극단자가 형성한다. 이때 양극탭, 음극탭이 덮개판의 두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는 절연부재에 의하여 격리되게 형성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는 덮개판, 연결부재, 전극탭 유도장치, 제2 받침판, 및 권심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층과 도전층이 하나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극탭 유도장치는 상, 하 두 층으로 형성되고 상층은 도전층이고 하층은 절연층이다. 전극탭은 절연층의 하부로부터 전극탭 유도장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도전층의 상부에 용접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는 덮개판, 연결부재, 전극탭 유도장치, 제2 받침판, 및 권심을 포함한다. 전극탭 유도장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시예 2와 상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탭은 절연층의 하부로부터 전극탭 유도장치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도전층의 상부에 용접된다.
이상은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며, 따라서 이는 모두 본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덮개판(1), 및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는 전극탭(4)이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권심(7)을 포함하는 2차전지에 있어서,
    권심 단부에 배치된 전극탭 유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권심 단부와 접촉하는 절연층 및 권심 단부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탭(4)은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전층은 덮개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층과 도전층이 하나로 결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탭(4)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의 개구부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4)은 전극탭 유도장치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는 절연 받침판(6)과 제1 받침판(5)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받침판(6)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받침판(5)은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받침판(6)과 상기 제1 받침판(5)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받침판(6)에는 개구부(6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받침판(5)에는 개구부(501)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4)은 상기 절연 받침판(6)의 개구부(601)와 상기 제1 받침판(5)의 개구부(501)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받침판(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받침판(6)의 개구부(601)와 상기 제1 받침판(5)의 개구부(501)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4)은 절연 받침판(6)과 제1 받침판(5)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받침판(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 및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과 덮개판(1) 사이에 적층된 제2 받침판(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극탭(4)을 제2 받침판(3)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에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받침판(3)에서 전극탭(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3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나사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연결부재의 볼트(502)는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제2 받침판(3)은 너트(2)에 의하여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상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덮개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에는 전극단자(10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덮개판(1)의 전극단자(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4)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4)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레이저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과 상기 음극탭은 각각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1. 제2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양극탭은 권심(7)의 일단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상기 음극탭은 권심(7)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2. 제2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극탭(4)과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3. 제2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극탭(4)은 전극탭 유도장치의 도전층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KR1020117000843A 2008-06-13 2008-09-23 2차전지 KR101184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67717.2A CN101604737B (zh) 2008-06-13 2008-06-13 一种二次电池
CN200810067717.2 2008-06-13
PCT/CN2008/072460 WO2009149607A1 (zh) 2008-06-13 2008-09-23 一种二次电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24A true KR20110063424A (ko) 2011-06-10
KR101184039B1 KR101184039B1 (ko) 2012-09-18

Family

ID=4141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843A KR101184039B1 (ko) 2008-06-13 2008-09-23 2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9277B2 (ko)
EP (1) EP2299514A1 (ko)
JP (1) JP5355688B2 (ko)
KR (1) KR101184039B1 (ko)
CN (1) CN101604737B (ko)
WO (1) WO2009149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01B1 (ko) * 2010-05-07 2012-02-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관통 및 압괴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KR101222311B1 (ko) * 2010-06-14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20110123462A (ko) * 2010-05-07 2011-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1867032B (zh) * 2010-02-09 2013-01-02 湖南科力远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正极焊极耳的方法
CN102339968B (zh) * 2011-09-15 2014-06-04 苏州星恒电源有限公司 一种方形动力锂电池极耳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102324470A (zh) * 2011-09-26 2012-01-18 河南迈奇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盖组
CN102637893A (zh) * 2012-04-09 2012-08-15 温岭市恒泰电池有限公司 一种方形锂电池
CN102608541A (zh) * 2012-04-10 2012-07-25 天津量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电芯快速封装测试模具
KR101586530B1 (ko) * 2013-03-11 2016-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탭 상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06784440B (zh) * 2017-01-04 2021-11-19 上海电气国轩新能源科技(苏州)有限公司 圆柱电池弹压式盖帽
KR102179486B1 (ko) * 2017-06-02 2020-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CN110379943A (zh) * 2019-06-20 2019-10-25 金能电池(东莞)有限公司 一种带胶垫的柱状电池
WO2021232722A1 (zh) * 2020-05-18 2021-11-25 联动天翼新能源有限公司 一种圆柱电池绝缘片、外壳卷芯的组装方法及圆柱电池
CN114284644B (zh) * 2021-12-22 2024-02-20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转接结构及包含其的全极耳卷芯、全极耳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431A (en) * 1995-09-27 1998-12-15 Sony Corporation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of jelly roll type
JPH10261401A (ja) * 1997-03-17 1998-09-29 Fujitsu Ltd 電 池
JP3743781B2 (ja) * 1997-03-27 2006-02-08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906519B2 (ja) * 1997-04-30 2007-04-18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用電極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3713978B2 (ja) 1998-09-25 2005-1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巻回型電池
JP4266546B2 (ja) * 2001-09-11 2009-05-20 三洋電機株式会社 筒型電池
JP2003142146A (ja) * 2001-10-31 2003-05-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2005322415A (ja) * 2002-04-30 2005-11-17 Nok Corp 封口板
JP4792697B2 (ja) 2003-12-24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536253B1 (ko) * 2004-03-24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60097603A (ko) * 2005-03-09 2006-09-1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52890A (ja) * 2005-03-09 2006-09-21 Sanyo Electric Co Ltd 筒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1838A (ko) * 2005-04-25 2006-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2824317Y (zh) * 2005-06-27 2006-10-04 东莞新能源电子科技有限公司 铝壳圆柱形锂离子电池
JP5705408B2 (ja) * 2005-09-02 2015-04-22 エー123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池セル構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039B1 (ko) 2012-09-18
JP2011523183A (ja) 2011-08-04
US20110159358A1 (en) 2011-06-30
US8609277B2 (en) 2013-12-17
JP5355688B2 (ja) 2013-11-27
EP2299514A1 (en) 2011-03-23
CN101604737A (zh) 2009-12-16
CN101604737B (zh) 2014-03-12
WO2009149607A1 (zh)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039B1 (ko) 2차전지
US7745046B2 (en) Secondary battery
KR101165503B1 (ko) 이차 전지
KR101274806B1 (ko) 이차 전지
KR101715963B1 (ko) 이차 전지
KR100599710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제조 방법
KR101023865B1 (ko) 이차 전지
JP5703573B2 (ja) 二次電池
KR100627374B1 (ko) 이차 전지
US9627677B2 (en) Rechargeable battery
CN110311082B (zh) 电池组
KR20080005623A (ko)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KR20110087566A (ko) 이차 전지
KR102123674B1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US20210218082A1 (en) Battery pack
CN101651186A (zh) 一种电池极耳与盖板的装配方法
KR101800030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080016047A (ko) 이차 전지
WO2010017782A1 (zh) 电池极耳与盖板的连接结构及装配方法
JPH1064589A (ja) 薄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61223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CN101651187A (zh) 一种电池极耳与盖板的连接结构
KR102108208B1 (ko)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2535006B1 (ko) 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0599733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