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238A -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238A
KR20110063238A KR1020090126790A KR20090126790A KR20110063238A KR 20110063238 A KR20110063238 A KR 20110063238A KR 1020090126790 A KR1020090126790 A KR 1020090126790A KR 20090126790 A KR20090126790 A KR 20090126790A KR 20110063238 A KR20110063238 A KR 2011006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screen
column
columns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채
이성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09G5/26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for modifying the character dimensions, e.g. double width, double he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를 이용하여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위치로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한 위치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텐츠는 크기를 갖는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디스프레이 스크린이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단계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조정 및 상기 조정된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회전, 크기 변경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REORIENT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몇몇 현대 장치들은 유저에 의해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된 것처럼, 용어 “회전 가능한”은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또는 장치의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장치들을 의미하고, 또한 장치의 본체와 함께 회전 가능한 고정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지고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그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회전하고자 할 때, 그 스크린은 전형적으로 방향전환 되어 유저의 시각 지점에 대응하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상기 문구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유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어떤 타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PDA(personal data assistant), 휴대폰, 모니터, TV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것 처럼, 용어 “컨텐츠”는 문자, 심볼, 및/또는 숫자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도 1a, 1b, 및 1c는 그런 관련 기술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a에 있어서,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는 수직-방향(vertically-oriented) 위치(여기에서부터 “세로”라고 함)으로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예시에서, 컨텐츠(즉, 숫자 1-6에 대응하는 문자들(101A))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의 표시 가능한 구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사용자는 그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회전하여 수평-방향(horizontally-oriented) 위치(여기에서부터 “가로”라 함)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화살표(102)는 그 세로 위치에서 가로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 방향을 보여준다. 당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가 도 1a에서 보여진 화살표(102)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유사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는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1b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B)를 가로 위치로 회전한 후에 가로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B)을 보여주고 있다. 관련 기술 장치는 이 때 숫자들(101B)의 표시를 변화시켜 가로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B)의 새로운 방향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예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B)의 가로 위치로의 회전으로 인한 컬럼들의 수의 변화가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숫자들(101B)의 크기가 변하기 않기에 결론적으로 빈 공간(103B)이 생긴다.
대안으로, 도 1c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만약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C)를 가로 위치로 회전하면, 관련 기술 장치들은 이때 숫자들(101C)의 표시 가 변화시켜 가로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0C)의 새로운 방향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 예제에서, 컬럼들의 수에서의 변화는 고려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가로 위치로 있는 컨텐츠의 표시(상기 예제에서의 숫자들(101C))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 전에 표시된 것처럼(즉, 도 1a에서 처럼) 단순히 동일한 포맷으로 숫자들(101C)를 다시 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 기술 장치들은 컨텐츠의 표시를 재포맷하지 못하여 가로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으로 인한 새로운 컬럼들을 이용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표시된 컨텐츠는 읽혀지기 쉽도록 최적화될 수 없어서, 거기에는 103C와 같은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 및 상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요구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언급된 어떤 문제점도 극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장치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텐츠는 크기를 갖는 문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어부는 컨텐츠의 조정 및 상기 조정된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자들의 크기의 변경은 폰트 크기의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폰트 크기의 변경은 폰트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된 컨텐츠의 표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 위치가 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컬럼들로 나뉠 수 있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각 컬럼들에 표시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컬럼들은 제1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컬럼들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의 조정은 상기 컨텐츠의 크기 조정을 포함하여 상기 각 컬럼에 표시된 컨텐츠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더 넓은 컬럼들을 차지하도록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위치는 세로 방향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가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제1 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읽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은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컨텐츠 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위치로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읽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은 컨텐츠를 조정하도록 상기 컨텐츠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표시된 조정된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체를 차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컨텐츠를 크기 조정하여 상기 컨텐츠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폰트 크기를 갖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컨텐츠의 크기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폰트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폰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로 된 후에,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컬럼들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의 수는 상기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의 수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을 모두 차지하도록 상기 컨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위치는 세로 방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위치는 가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위치에 있는 동안 제1컬럼 세트과,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제2 컬럼 세트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컬럼 세트의 각 컬럼은 상기 제2 컬럼 세트의 각 컬럼보다 넓고;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제2 세트 컬럼에 맞도록 하는 컨텐츠 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제2 컬럼 세트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도록 상기 컨텐츠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 크린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있는 동안 N개의 컬럼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R1P은 세로 방향으로 있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의 제1 열을 나타내고, R1L은 가로 방향으로 있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제1 열을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R1P에 있는 컨텐츠를 조정하여 가로 방향으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N개 컬럼에 걸쳐 균등하게 R1P에 있는 컨텐츠를 분배하도록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R1L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2a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세로 방향으로 있고, 제1열에 컨텐츠 “123”을 표시하고 있고, 제2 열에 “456” 등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는 자동적으로 다시 쓰여지고, 크기가 커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용 가능한 영역 전부를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는 도 2a에 있는 각 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도 2b에 있는 각 열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동일하나, 상기 도 2b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별 구성의 크기(여기에서, 상기 숫자들 “1”, “2”, “3” 등의 형태에 있어서의 문자들)가 도 2a에서 표시된 것보다 더 크다(예를 들어, 폰트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컨텐츠(예를 들어, 문자들)가 세로 방향에서의 더 작은 크기가 가로방향에서 더 큰 크기로 커지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 당업자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 가독성(readability)이 스크린 상의 텍스트가 가로 방향으로 놓여짐으로써 더 개선됨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는 크기가 재조정되어 세로 방향에서의 더 큰 크기에서 가로 방향에서의 더 큰 크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상기의 역 과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인지할 것이다. 이는,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컨텐츠는 그에 따라 크기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더 작아지거나 더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문자의 크기 변경의 방법으로서, 문자의 폰트 크기 변경에 대하여 기재하는 반면, 당업자는 기술적으로 폰트 크기의 변경 없이 문자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미지 캐릭터는 단순히 그것의 유효 크기를 증가시키는 변형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크기는 특정 스케일(즉, 수평/수직 비례 또는 종횡비율(aspect ratio)을 유지하면서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문자의 종횡 크기가 그것의 종횡비율이 변경되는 동시에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가 늘어져서 정상보다 길어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열(row) 및/또는 컬럼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컨텐츠의 크기가 조정되어 상기 크기 조정된 열 및/또는 컬럼에 맞추도록 (즉, 실질적으로 차지하도록)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컨텐츠의 크기 조정을 위한 기술들은 분리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다른 기술과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에 의존하여, 폰트 사이즈의 변경이 또한 열 및/또는 컬럼 크기의 변경을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느 한 특정 기술 및 기술들의 조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동작을 보여준다. S301 동작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리은 제1 위치(예를 들어, 세로 위치)에 있는 동안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다. 그 다음, S302-Y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 위치로 회전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로 회전하면(S302-Y), 컨텐츠는 상기 제2위치에 맞도록 조정된다(S303). 그렇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위치 동안 포맷된 것처럼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게 된다(S302-N). 컨텐츠가 한번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S304).
상기 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로 회전되는지 여부를 결정 하는 과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예를 들어, S302-Y 동작), 상기 결정은 실질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또는 상기 회전이 완료된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정 동작(S303)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로 회전을 시작하자마자 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2위치로 회전을 완료한 후에 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제1위치”는 세로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는 가로 위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대안으로, 상기 “제1위치”가 가로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가 세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치(30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01), 제어부(302), 저장부(303), 및 컨텐츠 조정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그자체는 상기 저장부(303)에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모두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한다.
제어부(302)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이 상기 제2위치로 회전하도록 결정하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컨텐츠 조정부(304)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303)에 저장된 컨텐츠를조정하도록 하여 상기 제2위치가 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에 맞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정된 컨텐츠는 상기 저장부(303)에 저장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303)에 저장된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정부(304)는 별도의 요소로써 설명되어 있어 상기 실시예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컨텐츠 조정부(304)에 의해 수행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조정부(304)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필수요소가 아님(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요소로서)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사이의 연결은 편의상 단순하게 특정 방향으로 그려졌다. 당업자는 여기 기재된 동작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가 될 수 있지만, 상기 연결이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연결이 저장부(303)과 디스플레이 스크린(301) 사이, 또는 컨텐츠 조정부(304) 및 저장부(303)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컨텐츠가 어떻게 제1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표시에서 제2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표시로 조정될 수 있는 지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위치는 세로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위치는 가로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는 영어 알파벳 형태의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에 대응한다. 도 5에 있어서, 텍스트의 제1열은 “the cow jump-[,]”로, 제2열은 “ed over the[,]”로 읽혀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세로 위치(도 5(a))로 있는 동안, 텍스트는 정상 크기이다.
도 5(a)의 상부의 화살표는 회전이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이 때, 컨텐츠가 조정되어 도 5(b)에서 재표시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별 문자들의 크기가 세로 위치에서 가로 위치로 갈 때 커짐 을 알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폰트 크기가 커지는 것이 외관의 크기 변경을 성취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문자의 크기가 변하지만, 각 열에 표시되는 문자들은 변하지 않는다. 이는, 도 5(a)에 있는 각 열에 위치한 텍스트(예를 들어, 문자들, 단어들, 및 심볼들)는 도 5(b)에 있는 각 열에 나타나는 텍스트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5(b)에서, 문자들의 각 크기는 세로 위치에서 가로 위치로의 회전에 맞도록 변할 수 있다. 다시, 도 5(a)에 있는 각 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도 5(b)에 있는 각 열에 나타나는 컨텐츠와 동일하지만, 도 5(b)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의 각 문자의 크기는 도 5(a)에 있는 것보다 더 크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동작의 예를 보여준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세로 위치이고, 도 6(b)는 가로 위치이다. 도 6(a)의 상부의 화살표는 도 6(b)에서 보여지는 가로 위치로의 회전을 지시한다. 도 6(b)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은 “R1P”로서 표시된다. “R1P”의 각 컬럼에 쓰여진 문자들은 “A”, “B”, 및 “C”이다. 세로 위치에 있는 컬럼들은 “Cp”로 표시되고, 상기 각 컬럼들의 넓이는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다. 가로 위치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은 “R1L”로 표시된다.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R1P에 있는 문자들은 가로 위치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컬럼에 또한 표시되고 있다. 이는, 제1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컨텐츠의 크기가 변하였고, 이런 경우, 개별 문자들이 더 커진 것이다. 상 기 실시예에 있어서, 열 크기(즉, 높이)는 일정하지만, 컬럼 크기(즉, 넓이)는 다양하다.
도 6에 있어서, 가로 위치에 있는 각 컬럼들의 넓이(“CL”로 표시)는 세로 위치에 있는 각 컬럼의 넓이(“Cp”로 표시)보다 더 넓다. 그러므로, 문자들의 크기가 새로운 컬럼 크기에 맞도록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개별 문자들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각 열/컬럼 위치에 있는 이용 가능한 공간 모두를 실질적으로 차지하도록 함으로써 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여진 컬럼 크기 조정 기술은 그 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가로 위치에서 세로 위치로 회전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컬럼들은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고, 표시되는 텍스트가 자동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사용자들은 세로 위치에서 가로 위치로 회전할 때, 또는 그 역으로 회전 할 때, 텍스트가 줄어드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도 6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로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컬럼 크기는 가로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컬럼 크기 보다 더 작을 수 있다(예를 들어, CP < CL). 그러나, 열 크기는 동일하게 표시된다. 그러나, 열 및 컬럼 모두의 크기가 조정되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변경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보여지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열 및 컬럼은 도 6(a)에서 보여지는 것과 동일하다. 다시, 도 7(a)의 상부에 있는 화살표는 도 7(b)에서 보여지는 가로 위치로 향하는 회전을 지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가로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열 및 컬럼 양자의 크기가 더 커져서 각 열의 컨텐츠가 더 크게 되도록(또한 더 잘 읽혀 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도 6(a)와 유사하게, 도 7(a)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세로 위치로 있는 동안, 열 크기는“RP”로, 컬럼 크기는“CP”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7(b)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로 위치로 있는 동안, 열 크기를 “RL”로, 컬럼 크기는“CL”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6(b)에서와 달리, 당해 실시예에서는 RP < RL 및 CP < CL가 된다. 상기 결과는 더 적은 수의 컨텐츠(즉, 문자들 “A”, “B”, “C” 등)가 가로 위치로 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열의 컨텐츠는 유지하되, 개별 문자들의 크기가 도 6에서보다 더 커진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7의 실시예에서의 변화들(예를 들어,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할 때 표시되는 문자들의 크기 감소 등)이 동일하게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극히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교시는 다른 타입의 방법들 및 장치들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는 충분히 상세하며,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많은 대안, 변형, 변화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도 1a, 1b, 및 1c는 종래 기술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장치 301: 디스플레이 스크린
302: 제어부 303: 저장부
304: 컨텐츠 조정부

Claims (21)

  1. 장치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위치로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한 위치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텐츠는 크기를 갖는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디스프레이 스크린이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단계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조정 및 상기 조정된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인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의 크기 변경은 폰트 크기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크기의 변경은 폰트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2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회전한 후에 수행되는 것인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컬럼들(columns)로 나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각 컬럼에 표시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은 상기 제1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 보다 더 넓은 것인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정 단계는 상기 각 컬럼에 표시된 컨텐츠가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더 넓은 컬럼을 차지하도록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인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장치인 것인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세로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위치는 가로 방향에 대응하 는 것인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열(row)로 나뉘고, 문자들은 각 열에 표시되고,
    여기에서 제1 위치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에 표시된 문자들은 제2위치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에 표시된 문자들과 동일한 것인 제어방법.
  10.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읽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은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컨텐츠 조정부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한 위치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컨텐츠를 읽어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도록 상기 컨텐츠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조정부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표시된 조정된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부를 차지하게 되는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컨텐츠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컨텐츠를 조정하는 것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폰트 크기를 갖는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것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폰트 크기를 변경하는 것인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가 된 후에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인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컬럼들로 나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컬럼에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은 상기 제1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컬럼들보다 더 넓은 것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조정부는 상기 각 컬럼에 표시된 컨텐츠가 제2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더 넓어진 컬럼을 차지하도록 상기 컨텐츠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는 것인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장치인 것인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세로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2위치는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것인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열로 나뉘고, 상기 문자는 상기 각 열에 표시되 고,
    제1 위치로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에 표시된 문자는 제2 위치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열에 표시된 문자와 동일한 것인 장치.
  20.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위치로 있는 동안 제1 컬럼 세트를 포함하고, 제2위치로 있는 동안 제2 컬럼 세트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컬럼 세트의 각 컬럼은 상기 제2 컬럼 세트의 각 컬럼 보다 더 넓은 것이며;
    상기 제2 컬럼 세트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컨텐츠 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제2 컬럼 세트에 맞게 상기 컨텐츠를 조정하도록 상기 컨텐츠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1.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고,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있는 동안 N개 컬럼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R1P는 세로 방향에 있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제1열을 의미하고, R1L은 가로 방향에 있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제1열을 의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로 방햐으로 회전하면, 상기 R1P에 있는 컨텐츠를 조정하여 가로 방향으로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N개 컬럼에 걸쳐 균등하게 R1P에 있는 컨텐츠를 분배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R1L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090126790A 2009-12-04 2009-12-18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10063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31,012 US20110134143A1 (en) 2009-12-04 2009-12-04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reorientation
US12/631,012 2009-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38A true KR20110063238A (ko) 2011-06-10

Family

ID=4362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790A KR20110063238A (ko) 2009-12-04 2009-12-18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34143A1 (ko)
EP (1) EP2352140A1 (ko)
KR (1) KR20110063238A (ko)
CN (1) CN1020878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9A1 (ko) * 2012-10-19 2014-04-24 Lee Sung H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WO2024019359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1760B2 (en) * 2009-11-13 2015-03-17 Teledyne Lecroy, Inc. Rotatable display for test and measurement apparatus
US9811507B2 (en) * 2010-01-11 2017-11-07 Apple Inc. Presenting electronic publication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20210260A1 (en) * 2010-07-14 2012-08-16 Zumobi, Inc. Techniques Providing Spatial Consistency of Graphical Elements
US20120176413A1 (en) * 2011-01-11 2012-07-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bile device display mode selection based on motion direction
CN102820022B (zh) * 2011-06-09 2014-12-24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8854371B2 (en) * 2011-08-31 2014-10-07 Sap A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lumnar tree map
JP2013114424A (ja) * 2011-11-28 2013-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設定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US20130191219A1 (en) * 2012-01-19 2013-07-25 Zumobi,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Generated Content in Media Advertisements
CN108279824A (zh) * 2018-01-30 2018-07-13 深圳市富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逻辑的应用程序页面展示模块及方法
CN109766157A (zh) * 2018-12-27 2019-05-17 益萃网络科技(中国)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080140A (zh) * 2022-04-26 2022-09-2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682A (ja) * 2002-01-03 200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の回転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4145291A (ja) * 2002-10-03 2004-05-20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86462A1 (ja) * 2006-01-27 2007-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9A1 (ko) * 2012-10-19 2014-04-24 Lee Sung Ho 파지에 응답하여 표시 화면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WO2024019359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7847A (zh) 2011-06-08
EP2352140A1 (en) 2011-08-03
US20110134143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238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방향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94886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시작 방법
US881048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US8836711B2 (en) Method for displaying divided screens on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method
JP602522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60128438A1 (en)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tent
US201000112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20090027419A1 (en) Display device
KR20110002344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EP2360573A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multiple screen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JP4812077B2 (ja) 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486913A (zh) 双稳态显示屏刷新方法及装置
US20100033505A1 (en) Method for partially zooming a screen of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method
JP201027745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表示装置
KR100663467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JP2000250513A (ja) フォント制御方法及び装置
JPH0667828A (ja) メニュー表示方法
KR100424468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JP2007011035A (ja) コンピュータ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425210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074558A5 (ko)
JPH04278992A (ja) 文字列表示方法
KR101545292B1 (ko) Osd 생성 장치 및 osd 구현 방법
JP200513470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TWI493443B (zh) 電子裝置及其顯示應用程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