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467B1 -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467B1
KR100663467B1 KR1020060015813A KR20060015813A KR100663467B1 KR 100663467 B1 KR100663467 B1 KR 100663467B1 KR 1020060015813 A KR1020060015813 A KR 1020060015813A KR 20060015813 A KR20060015813 A KR 20060015813A KR 100663467 B1 KR100663467 B1 KR 10066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image
screen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467B1/ko
Priority to US11/441,052 priority patent/US7800635B2/en
Priority to CN200610141827XA priority patent/CN101026828B/zh
Priority to EP06020715A priority patent/EP182128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하나의 DC(Device Context)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를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기록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중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해당 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세로화면모드, DC(Device Context), 영역, 폴더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하나의 DC(Device Context)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를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기록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LCD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에 DC(Device Context)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DC에는 상기 LCD에 출력할 이미지를 기록한 다음 해당 DC에 기록된 이미지를 상기 LCD에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DC(Device Context)는 출력장치의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출력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구조체이다. 폰트종류, 선의 색상과 굵기, 채움 무늬와 색상 및 출력방법 등이 모두 출력에 필요한 정보들이다. 상기 DC(Device Context)내에서 가상 표시 버퍼(Virtual Display Buffer)가 포함되며, 상기 가상 표시 버퍼에 기록된 이미지가 최종적으로 상기 LCD 드라이브로 전송되어 상기 LCD에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 가상 표시 버퍼의 크기는 X*Y*Color Bit 로 이루어진다.
현재, 폴더의 위치에 따라 가로화면모드 및 세로화면모드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에서는 상기 가로화면모드 및 상기 세로화면모드를 위한 두 개의 DC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 176x220 일 경우 상기 176x220 크기의 DC 1개와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 220x176일 경우 상기 220x176 크기의 DC 1개씩 총 2개의 DC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세로/가로화면모드에 따라 DC를 가지므로 각 화면모드에 적합한 표시를 표현 하고 그 표현을 계속 유지할 수 있어 빠른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각각의 세로/가로화면모드에 해당하는 DC을 개별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각 DC간에 이미지 연속성이 없고 각각의 DC에 이미지를 쓰기 위한 함수를 개 별적으로 작성해아 함으로 코드의 양에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세로화면모드에서 5개의 메뉴목록을 출력하고 그 중 3번째 메뉴목록을 선택을 하기 위해 가로화면모드로 반전을 시켜 놓을 때, 상기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어도 상기 세로화면모드에서 출력된 상태를 유지해야하는데 DC를 개별 운용하게 되면 가로화면모드를 위한 DC에 해당 정보를 LCD에 출력하기 전에 새롭게 구성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하나의 DC(Device Context)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를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기록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중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해당 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제2 화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이,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3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2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제2 화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이,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2화면모드 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C(Device Context)는 상기 DC 내의 가상의 표시 버퍼(Display Buffer)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세로/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 176*220이며, 상기 가로화면모드가 220*176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176*220일 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면 화면크기는 220*177로 전환된다. 즉,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서 가로의 크기(176)는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서 세로의 크기(176)가 되면,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서 세로의 크기(200)는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서 가로의 크기(200)이 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DC의 표시 버퍼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DC의 표시 버퍼는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176*220)와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220*176)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220 * 220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220 * 220 크기의 DC의 표시 버퍼는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 및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는 176 * 176크기의 제1영역(A1)과,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만을 위해 사용되는 44 * 176크기의 제2영역(A2)과,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만을 위해 사용되는 176 * 44크기의 제3영역(A3)과 그 외 44 * 44크기의 나머지 영역(A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영역(A1)과 상기 제3영역(A3)이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DC의 표시 버퍼이며, 상기 제1영역(A1)과 상기 제2영역(A2)이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DC의 표시 버퍼이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하나의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화면/가로화면모드를 판단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한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 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열리는 방향이 다른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상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우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2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1과 같은 DC의 표시 버퍼의 제1영역(A1)과 제3영역(A3)에서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이격 또는 회전되어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204단계의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2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1과 같은 DC의 표시 버퍼의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에서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출력될 해당 이미지 기록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회전되어 상기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206단계의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204단계에서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DC의 표시 버퍼의 제1영역(A1)과 제3영역(A3)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 또는 상기 206단계에서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DC의 표시 버퍼의 제1영역(A1)과 제3영역(A2)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는 표시부 드라이브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표시부의 해당 화면모드에 출력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세로/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 176*220이며, 상기 가로화면모드가 220*176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5:4의 고정된 화면크기를 가지고 있다는 조건 하에서 동작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DC의 표시 버퍼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DC의 표시 버퍼는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176*220)와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 (220*176)가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는 176 * 176 크기의 제1영역(B1)과 해당 화면모드에 따라 상기 제1영역(B1)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해당 화면모드의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176 * 44 크기의 제2영역(B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영역(B2)은 5:4라는 고정된 화면크기 조건에 따라 44 * 44 크기로 이루어진 4 개의 영역(b1 ~ b4)으로 구분되며, 상기 4개의 영역은 세그먼트/뱅크(segment/bank)단위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의 (a)는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해 상기 제1영역(B1)의 물리적 하측에 상기 제2영역(B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도 3의 (b)는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해 상기 제1영역(B1)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B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된 하나의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화면/가로화면모드를 판단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한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열리는 방향이 다른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상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우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4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제1영역(B1)의 하측에 제2영역(B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영역(B1)의 하측에 제2영역(B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한 상기 DC의 표시 버퍼에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 시키면서 상기 제1영역(B1)의 시작 주소 값인 (0,0)부터 상기 제1영역(B1)의 마지막 주소 값인 (176,176)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제1영역의 해당 이미지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영역(B2)의 시작 주소 값인 (0,176)부터 상기 제2영역(B2)의 마지막 주소 값인 (176,220)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면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이격 또는 회전되어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404단계 및 상기 405단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4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1영역(B1)의 우측에 제2영역(B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영역(B1)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B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한 상기 DC의 표시 버퍼에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1영역(B1)의 시작 주소 값인 (0,0)부터 상기 제2영역(B2)의 마지막 주소 값인 (220,176)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는 4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8단계에서 수행되는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살펴보면,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다가 (176,Y) 주소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영역(B1)의 우측에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B2)의 4개영역(b1 ~ b4) 중 해당 영역의 해당 라인에서 해당 이미지의 픽셀을 기록하고, (220,Y) 주소 값을 초과하면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1영 역(B1)의 해당라인과 제2영역(B2)에 해당 이미지의 픽셀을 기록한다.
그러나 상기 제2영역(B2)에서 해당 이미지가 기록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메모리에서 기록되는 방향으로 계산되어 기록된다. 상기 도 3의 (b)에서 제2영역(B2-1)은 상기 제2영역에 기록되는 해당 이미지가 상기 물리적이 메모리에서 실질적으로 기록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이격 또는 회전되어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407단계 및 상기 408단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405단계에서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제1영역(B1)의 하측에 제2영역(B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 또는 상기 408단계에서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제1영역(B1)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B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는 표시부 드라이브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표시부의 해당 화면모드에 출력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의 화면비율이 고정비율이 경우에 DC의 표시버퍼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DC의 표시 버퍼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실 시 예에서는 세로/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가 128*228이며, 상기 가로화면모드가 228*128인 16:9 비율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DC의 표시 버퍼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DC의 표시 버퍼는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128*228)와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228*128)가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는 128 * 128 크기의 제1영역(C1)과 해당 화면모드에 따라 상기 제1영역(C1)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해당 화면모드의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128 * 100 크기의 제2영역(C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영역(C2)은 세그먼트/뱅크(segment/bank)단위로 이루어진 1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5의 (a)는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해 상기 제1영역(C1)의 물리적 하측에 상기 제2영역(C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도 5의 (b)는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해 상기 제1영역(C1)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C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와 같이 구성된 하나의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DC의 표시 버퍼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화면/가로화면모드를 판단하는 6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한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본체에 대응하여 열리는 방향이 다른 폴더를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상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또는 닫힌 상태의 상기 폴더가 상기 본체에 대응하여 일정방향 예를 들어, 우측방향으로 열려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6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6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의 (a)와 같이 제1영역(C1)의 하측에 제2영역(C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6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영역(C1)의 하측에 제2영역(C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한 상기 DC의 표시 버퍼에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 키면서 상기 제1영역(C1)의 시작 주소 값인 (0,0)부터 상기 제1영역(C1)의 마지막 주소 값인 (128,128)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는 6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제1영역의 해당 이미지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영역(C2)의 시작 주소 값인 (0,128)부터 상기 제2영역(C2)의 마지막 주소 값인 (128,228)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면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이격 또는 회전되어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604단계 및 상기 605단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602단계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로화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6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제1영역(C1)의 우측에 제2영역(C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DC의 표시 버퍼를 구성하는 6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영역(C1)의 우측에 제2영역(C2)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한 상기 DC의 표시 버퍼에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다가 (128,Y)주소 값을 초과하면 제2영역(C2)에 기록하고, (228,Y)주 소 값을 초과하면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1영역(C1)의 시작 주소 값인(0,0)부터 상기 제2영역(C2)의 마지막 주소 값인 (228,128)까지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는 6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608단계에서 수행되는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살펴보면,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다가 (128,Y)주소 값을 초과하면 우측에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에 기록하고, (228,Y)주소 값을 초과하면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출력될 해당 이미지를 기록한다. 그러나 상기 제2영역(C2)에서 해당 이미지가 기록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메모리에서 기록되는 방향으로 계산되어 기록된다.
상기 도 5의 (b)에서 제2영역(C2-1)은 상기 제2영역에 기록되는 해당 이미지가 상기 물리적이 메모리에서 실질적으로 기록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영역(C1)에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에서는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하면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물리메모리의 제2영역(C2-1)에서는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고 있다.
제2영역(C2-1)에 실질적으로 물리메모리에 기록되는 방향은 제2영역(C2-1)을 논리적으로 제2영역(C2)에 추가하는 방법에 따라 바뀔 수 있다.
(ㄱ) 제2영역(C2-1)의 (0,129)주소 값이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의 (129,0)에 위치한다면 실질적인 물리메모리의 제2영역(C2-1)에서는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값을 증가시킨다.
(ㄴ) 제2영역(C2-1)의 (0,228)주소 값이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의 (129,0) 주소 값에 위치한다면 실질적인 물리메모리의 제2영역(C2-1)에서는 (Y,228)주소 값부터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증가시키면서 기록한다.
(ㄷ) 제2영역(C2-1)의 (128,129)주소 값이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의 (129,0)주소 값에 위치한다면 실질적인 물리메모리의 제2영역(C2-1)에서는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라인(line)주소 값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칼럼(column) 값을 감소시킨다.
(ㄹ) 제2영역(C2-1)의 (128,228)주소 값이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의 (129,0)주소 값에 위치한다면 실질적인 물리메모리의 제2영역(C2-1)에서는 (Y,228)주소 값부터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라인(line) 주소 값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칼럼(column) 주소 값을 감소시키면서 기록한다.
< 식 1>
MAX(Y) = MAX(Y(C1영역+(C2-1영역))), MAX(X) = MAX(XC1영역)
삭제
삭제
(ㄱ)논리 제2영역(x, y) = 실제메모리 제2영역(y, x)
(ㄴ)논리 제2영역(x, y) = 실제메모리 제2영역(y, MAX(Y)- x+MAX(YC1))
(ㄷ)논리 제2영역(x, y) = 실제메모리 제2영역(MAX(X)-y, MAX(YC1)+x)
(ㄹ)논리 제2영역(x, y) = 실제메모리 제2영역(MAX(Y)-x+ MAX(YC1), MAX(X)-y)
상기 < 식 1>은 논리적으로 추가된 제2영역(C2)에서 기록되는 해당 이미지의 픽셀 위치에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메모리에서 기록되는 픽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식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이격 또는 회전되어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할 때 또는 상기 세로화면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측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감지할 때, 상기 607단계 및 상기 608단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 기록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시간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세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영역(C1)의 하측에 상기 제2영역(C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 또는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가로화면모드의 화면크기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영역(C1)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C2)이 논리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 DC의 표시 버퍼에 기록된 해당 이미지는 표시부 드라이브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표시부의 해당 화면모드에 출력하는 609단계를 진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하나의 DC의 표시 버퍼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화면모드 전환 시에 연속성을 가지면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DC의 표시 버퍼를 중복이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복잡한 코드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크기정보만 보유하며 필요메모리가 최대 50%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중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해당 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영역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를 위한 해당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화면모드들 중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일정개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7. 제1, 제2 화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3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2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는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2영역 및 상기 제1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 열림/닫힘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 회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모드가 세로화면모드이면,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3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모드가 가로화면모드이면,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를 위한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2. 제1, 제2 화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에 대응되게 표시하기 위한 해당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하나의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1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가 제2화면모드이면, 상기 DC(Device Context)에 존재하는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는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 및 상기 해당 화면모드의 화면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영역의 일정위치에 논리적으로 추가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일정개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 열림/닫힘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 회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제2화면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이,
    상기 제1화면모드가 세로화면모드이면,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의 하측에 상기 제2영역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과정이,
    상기 제2화면모드가 가로화면모드이면, 상기 표시버퍼(Display Buffer)에서 상기 제1, 제2 화면모드 각각의 화면크기들이 공유되는 제1영역의 우측에 상기 제2영역을 논리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기록하여 상기 제1화면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 기록되는 해당 이미지는 물리적인 메모리에 기록되는 방향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0060015813A 2006-02-17 2006-02-17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066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13A KR100663467B1 (ko) 2006-02-17 2006-02-17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US11/441,052 US7800635B2 (en) 2006-02-17 2006-05-26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CN200610141827XA CN101026828B (zh) 2006-02-17 2006-09-30 在无线终端中显示图像的方法
EP06020715A EP1821285A1 (en) 2006-02-17 2006-10-02 Image display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13A KR100663467B1 (ko) 2006-02-17 2006-02-17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467B1 true KR100663467B1 (ko) 2007-01-02

Family

ID=3786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13A KR100663467B1 (ko) 2006-02-17 2006-02-17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00635B2 (ko)
EP (1) EP1821285A1 (ko)
KR (1) KR100663467B1 (ko)
CN (1) CN1010268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00A (ko) * 2009-06-30 201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센서를 이용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500B2 (en) * 2006-06-05 2010-04-06 Palm, Inc. Panoramic display for a wireless device
JP5811602B2 (ja) * 2010-12-16 2015-11-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3248944B (zh) * 2012-02-03 2017-08-25 海尔集团公司 一种图像传输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150A (ko) * 2000-01-31 2001-08-20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화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디지털 화상 기록장치 및 방법, 디지털 화상 전송 방법, 및 그 데이터 기록매체
JP2002258825A (ja) 2001-03-01 2002-09-1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選択方法
KR20050084678A (ko) * 2002-11-06 2005-08-26 노키아 코포레이션 예측 참조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상 버퍼링
KR20060056675A (ko) * 2004-11-22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3465T2 (de) * 1990-01-25 1997-06-26 Radius Inc Verfahren zur Änderung der Abmessungen von Computeranzeigefenstern und ihrer Bewegung
US5432720A (en) 1992-11-13 1995-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pen-based computer
EP0766168A3 (en) * 1995-09-28 1997-11-19 Hewlett-Packard Company Icons for dual orientation display devices
US6011585A (en) * 1996-01-19 2000-01-04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the display orientation of a captured image
US6262751B1 (en) * 1998-10-26 2001-07-17 Seiko Epson Corporation Hardware rotation of an image on a computer display
US6639603B1 (en) * 1999-04-21 2003-10-28 Linkup Systems Corporation Hardware portrait mode support
US6809737B1 (en) * 1999-09-03 2004-10-26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monitor orientations
US20030013483A1 (en) * 2001-07-06 2003-01-16 Ausems Michiel R. User interface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6760035B2 (en) * 2001-11-19 2004-07-06 Nvidia Corporation Back-end image transformation
US20030222889A1 (en) * 2002-03-26 2003-12-04 Kenneth Parulski Portable imaging display device employing an aspect ratio dependent user interface control window
KR100446747B1 (ko) * 2002-05-29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JP2004145291A (ja) * 2002-10-03 2004-05-20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223004A1 (en) * 2003-05-05 2004-11-11 Lincke Scott 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landscape user experience in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327873B2 (en) * 2003-06-06 2008-02-05 Intel Corporation Fast software rotation of video for portrait mode displays
US7085590B2 (en) * 2003-12-31 2006-08-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US7868890B2 (en) * 2004-02-24 2011-01-11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processor for a wireless device
US20060187239A1 (en) * 2005-02-22 2006-08-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visual appearance of efficient rotation algorithm
KR20060105307A (ko) * 2005-04-04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US7394465B2 (en) * 2005-04-20 2008-07-01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an image using memory control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150A (ko) * 2000-01-31 2001-08-20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화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디지털 화상 기록장치 및 방법, 디지털 화상 전송 방법, 및 그 데이터 기록매체
JP2002258825A (ja) 2001-03-01 2002-09-1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選択方法
KR20050084678A (ko) * 2002-11-06 2005-08-26 노키아 코포레이션 예측 참조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상 버퍼링
KR20060056675A (ko) * 2004-11-22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00A (ko) * 2009-06-30 201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센서를 이용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KR101649098B1 (ko) * 2009-06-30 2016-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센서를 이용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5114A1 (en) 2007-08-23
EP1821285A1 (en) 2007-08-22
CN101026828B (zh) 2011-09-07
US7800635B2 (en) 2010-09-21
CN101026828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377B2 (en) Image data output controller using double buffering
US7071930B2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method of processing signal, computer program executed for driving the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US200602325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US20070030362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6140996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JP2009514080A (ja) ウィンドウ・フロー操作を使用してウィンドウ表示領域を最大化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ウィンドウ・フロー操作を使用したウィンドウ表示領域の最大化)
CN102087847A (zh) 显示屏幕再定向的方法和装置
JP4924427B2 (ja) レンダリング表示装置
CN112419973B (zh) 数据补偿电路、显示装置和电子装置
KR100663467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CN102663989B (zh) 一种用于移动终端显示的缓存处理方法及装置
US95427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3936141B2 (ja) Ram内蔵型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を搭載する画像表示装置
US20100026694A1 (en) Portable terminal
JP200425210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180261142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4133283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3296095A (ja) 表示方法及び装置
KR101719273B1 (ko)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3015609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2010151905A (ja) 表示装置
KR100613517B1 (ko)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JP200623544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084132B2 (ja) 画像データ出力装置、及び、画像データ出力方法
JP2004252103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