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517B1 -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517B1
KR100613517B1 KR1020040095849A KR20040095849A KR100613517B1 KR 100613517 B1 KR100613517 B1 KR 100613517B1 KR 1020040095849 A KR1020040095849 A KR 1020040095849A KR 20040095849 A KR20040095849 A KR 20040095849A KR 100613517 B1 KR100613517 B1 KR 10061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window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675A (ko
Inventor
홍현택
남윤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517B1/ko
Priority to CNA2005100766863A priority patent/CN1779775A/zh
Publication of KR2006005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윈도우를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화면 갱신 시 소요되는 리소스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가 수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멀티윈도우, 디스플레이 버퍼,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Displaying Multiple Window and a Display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
도 2a는 도 1의 표시부 화면이 임의로 분할된 바가 도시된 도,
도 2b는 도 2의 분할된 화면영역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의 윈도우와 화면유효영역이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부 20 : 마이컴
21 : 디스플레이 버퍼 22 : 화면 컨트롤러
23 : 디스플레이 모듈 30 : 메모리
본 발명은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멀티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별도의 버퍼를 사용하여 화면 갱신 시나 여러 윈도우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멀티 윈도우 디스플레이 시 걸리는 시간이나 리소스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들어 단순히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자료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를 거는 것 외에도 MP3 플레이어 기능이나 카메라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파일을 청취하거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러한 멀티미디어 매체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갈수록 작아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MP3 파일을 선곡하거나 카메라 촬영창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만일 사용자가 전화를 하는 중이거나 문자메시지를 작성 또는 송수신 하는 중이었다면 전화가 걸리는 화면창에 이러한 MP3 파일 선곡창이나 카메라 촬영창이 디스플레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증가할수록 한정된 액정화면의 화면창에 멀티윈도우를 띄워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에 여러 레이어의 윈도우로 이루어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여러 레이어의 윈도우로 이루어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퍼에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보통 하나의 디스플레이 버퍼만을 두고 있어서 화면을 여러 레이어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도 이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버퍼에 기록해야 하므로 화면 연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면을 갱신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버퍼로 순서에 따라 최하위 윈도우부터 최상위 윈도우까지 출력해야 하므로 갱신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윈도우가 출력되는 화면창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화면으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를 2개 이상 사용해 화면으로 디 스플레이 되는 영상 데이터의 반응속도를 높이고 화면 갱신 시 실제 화면이 갱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영역의 출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은 다른 디스플레이 버퍼가 갱신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영역의 출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최 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하위 윈도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이 도시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송수신되는 화면이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른 여러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10)와, 상기 표시부(10)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바를 제어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이 화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된 메모리(30)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0)는 LCD 등의 액정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기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출력수단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기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 PDA 폰 등의 보급으로 터치패드 형식의 액정화면 사용이 증가하면서 상기 키입력부(40)와 표시부(10)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터치패드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기지국과 음성신호 등을 송수신하거나 문자데 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모듈(50)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축되는데, 상기 통신모듈(50) 역시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어 외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20)은 상기 표시부(10)로 멀티윈도우가 빠른 시간내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21)와,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21)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해 화면이 상기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21)를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22)로 구성된다. 이하, 편의를 위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21)와 화면 컨트롤러(22)를 디스플레이 모듈(23)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 컨트롤러(22)는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10)로 어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것인가를 결정하는 동시에 화면창의 분할이나 배치 등을 제어하여 표시부(10)에 멀티윈도우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제어하는데, 출력되어야 하는 윈도우의 레이어 계층이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거나 갱신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윈도우의 레이어 계층이란 멀티윈도우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윈도우간 레이어 계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기화면이 있고 그 위에 메시지 전송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다음과 같다. 대기화면은 최하위 윈도우로서 표시부의 제일 아래 레이어에 디스 플레이 되고 실제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전송중인 메시지 작성화면 또는 메시지 전송화면이 최상위 윈도우로서 표시부의 제일 위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멀티윈도우가 표시되어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항상 본인이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화면창이 최상위 윈도우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 모듈(23)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21)는 각각 표시부(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정영역으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만일 제1 디스플레이 버퍼가 최상위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다른 디스플레이 버퍼인 제2 디스플레이 버퍼는 그 하위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퍼이며 사용자 눈에는 보이지 않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면 컨트롤러(22)는 최상위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 버퍼 외의 제2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하는 바, 제2 디스플레이 버퍼에는 최신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른 멀티미디어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 컨트롤러(22)는 별도로 제2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할 필요 없이 바로 영상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버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화면이 바뀌거나 갱신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는 표시부(10)의 화면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데이 터가 제1,2 혹은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구비하고, 화면이 바뀌거나 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최하위 윈도우부터 최상위 윈도우까지 순차적으로 기록하지 않고도 멀티윈도우가 표시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21)가 표시부의 화면 영역 중 일정 영역으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우이다.
이하, 제2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버퍼가 담당하는 화면 영역과 그에 따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바를 도 2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되는 화면창을 임의로 분할한 도이다. 즉, 보여지는 화면을 가로, 세로 등분하여 크게 5개의 화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b의 ①은 제1 디스플레이 버퍼가 담당하는 윈도우 위치와 화면유효영역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 전체의 크기가 128*160이라고 가정하면, 제1 디스플레이 버퍼의 윈도우 위치는 (0,0):(128,160)까지다. 그러나, 실제 화면유효영역은 (0,0):(20,160)이다. 단, 상기 좌표는 일정영역의 가로축은 x, 세로축은 y라 했을 때 (x1,y1):(x2,y2)로 표시한 좌표이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버퍼가 담당하고 있는 화면 영역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버퍼에서 현재 화면유효영역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화면유효영역이란 실제 화 면에 보여지고 있는 창으로서 좌표 2개를 이용하여 표시 가능하고, 각 윈도우가 가진 값 내에서 여러개가 있을 수 있다.
화면유효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여부, 즉 화면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데, 이 달라진 영역만큼만 실제 화면에 그려지게 되는 것이다.
도 2b의 ②(제2 디스플레이 버퍼 담당)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위치가 (20,0):(128,160)이며, 화면유효영역은 (20,0):(128,30)과 (20,130):(128,160) 이렇게 두 영역이다. 이하 도 2b의 ③(제3 디스플레이 버퍼 담당)와 ④(제4 디스플레이 버퍼 담당)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 도 2b에서 실제 활성화되어 화면에 보여지는 영역은 빗금친 부분이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2번째 윈도우가 활성화된다면, 자신의 위치인 (20,0):(126,160)까지의 영역이 실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이 영역에 포함되는 제3,4 버퍼의 화면유효영역값은 (0,0);(0,0)으로 초기화된다.
즉, 제2 버퍼에 의해 제3,4 버퍼의 윈도우는 화면에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실제 화면유효영역값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화면을 갱신하기 위하여 여러 윈도우 창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기록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화면 컨트롤러는 제2 버퍼가 활성화되는 동안 다른 제3,4 버퍼를 이미 최신의 데이터로 갱신해 놓았으므로 화면을 기존의 방법보다 빠른 속도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윈도우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표시되는 것에 관한 것이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다른 전자기기로서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은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와,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윈도우를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화면 갱신 시 소요되는 리소스를 줄일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가 수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제어하는 화면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는 각각 상기 표시부 화면의 일정 영역으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부 화면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출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 외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부 화면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하위 윈도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영역의 출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은 다른 디스플레이 버퍼가 갱신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버퍼 중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영역의 출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최상위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하위 윈도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퍼를 갱신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윈도우 표시방법은 상기 제2 단계 후 화면 갱신 시 상기 제1,2 단계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윈도우 표시방법.
KR1020040095849A 2004-11-22 2004-11-22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KR10061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849A KR100613517B1 (ko) 2004-11-22 2004-11-22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CNA2005100766863A CN1779775A (zh) 2004-11-22 2005-06-13 显示多视窗的移动通信终端及其多视窗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849A KR100613517B1 (ko) 2004-11-22 2004-11-22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675A KR20060056675A (ko) 2006-05-25
KR100613517B1 true KR100613517B1 (ko) 2006-08-17

Family

ID=3677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849A KR100613517B1 (ko) 2004-11-22 2004-11-22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3517B1 (ko)
CN (1) CN17797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67B1 (ko) * 2006-02-1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0900652B1 (ko) * 2007-11-26 2009-06-02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웹브라우징시 멀티창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675A (ko) 2006-05-25
CN1779775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490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rganizing a menu screen therein
US8264566B2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thereof
RU2656729C2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жидких кристал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201401394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in mobile terminal
CN106507173A (zh) 移动终端和分屏显示控制方法
US20220244819A1 (en) Message viewing method and terminal
US20170116909A1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6097952A (zh) 一种终端显示屏分辨率调整方法和终端
US20150194131A1 (en) Image data out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6559579A (zh) 移动终端和cpu/gpu调度参数更新方法
US10134326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saving power when refreshing a display screen when displayed content does not change
CN103839533A (zh) 一种移动终端图像的显示方法和移动终端
US8018519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on-screen display interface
CN106713661A (zh) 一种移动终端及显示文字的方法
KR100613517B1 (ko) 멀티윈도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멀티윈도우 표시방법
CN106782305A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CN106897044A (zh) 屏幕色温一致性容错方法及终端
JP5458524B2 (ja) 携帯端末
CN106900037A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
CN109361811B (zh) 功能模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040066421A1 (en) Cellular telephone set,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herefor
KR200800872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방법
CN111381407A (zh) 显示面板、显示设备、扫描方法及装置
KR101196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계층적인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50052713A (ko) 화면 부분 갱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