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068A - 실내기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기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068A
KR20110063068A KR1020090120006A KR20090120006A KR20110063068A KR 20110063068 A KR20110063068 A KR 20110063068A KR 1020090120006 A KR1020090120006 A KR 1020090120006A KR 20090120006 A KR20090120006 A KR 20090120006A KR 20110063068 A KR20110063068 A KR 2011006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unit
electronic switch
control unit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지
Original Assignee
황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지 filed Critical 황의지
Priority to KR102009012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068A/ko
Publication of KR2011006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밸브, 전등, 보일러 및 가전제품을 포함한 실내기기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와; 현관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현관문 감지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현관문이 개방될 시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알림부가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서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들에게 실내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현관문 또는 상기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부를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현관문 외부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기를 OFF상태로 유지시킨 후 외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자스위치부, 제어부, 알림부, 현관문 개방 감지부, 조작부

Description

실내기기 제어장치{THE INTERIOR MACHINERY AND TOOLS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가스밸브, 전등, 보일러 및 가전제품을 포함한 실내기기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와; 현관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현관문 감지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현관문이 개방될 시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는 가스밸브, 전등, 보일러 및 TV 등의 가전제품을 포함한 실내기기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기는 대게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거주자들에 의해 수동으로 ON 및 OFF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거주자들이 부주의로 상기 실내기기를 ON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외출할 경우 화재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 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기를 OFF상태로 유지시킨 후 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내기기 제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알림부가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서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들에게 실내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현관문 또는 상기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부를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현관문 외부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기를 OFF상태로 유지시킨 후 외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실내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밸브, 전등, 보일러 및 가전제품을 포함한 실내기기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와; 현관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현관문 감지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현관문이 개방될 시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현관문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현관문이 설치된 실내공간에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현관문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자스위치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알림부가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서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들에게 실내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현관문 또는 상기 현관문 주변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부를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현관문 외부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기를 OFF상태로 유지시킨 후 외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인체감지센서와 현관문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알림부가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들에게 상기 실내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스위치부와 상기 제어부가 무선송수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블선을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전자스위치부와 상기 제어부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실내기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실내기기 제어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자스위치부(10), 현관문 감지부(30), 알림부(50), 제어부(70) 및 조작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전자스위치부(10)는 가스밸브(51), 전등(53), 보일러(55) 및 TV 등의 가전제품(57)을 포함한 실내기기(5)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크게 상기 가스밸브(51)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스밸브(51)가 구비된 가스공급관(미도시)상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밸브(51)를 열림 믿 닫힘 상태로 작동시켜 상기 가스공급관(미도시)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제 1전자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전등(53), 보일러(55) 및 TV 등의 가전제품(5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상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등(53), 보일러(55) 및 TV 등의 가전제품(57)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여 상기 전등(53), 보일러(55) 및 TV 등의 가전제품(57)을 ON 및 OFF상태로 각각 작동시키는 제 2, 3, 4전자스위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스위치부(10)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현관문 감지부(30)는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현관문(3)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현관문(3)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3)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현관문 감지부(30) 또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알림부(50)는 현관문(3)이 개방될 시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써, 현관문(3)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50)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거주자에게 알리는 진동발생부재; 또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 안내메세지 등의 음성을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여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LED 등의 발광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알림부(50)가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7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50)에 출력하는 것으로써, 현관문(3) 또는 현관문(3)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예를 들어, 상기 알림부(50)를 통해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출력될 경보음 및 안내메세지 등이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90)는 상기 전자스위치(10)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으로 현관문(3) 또는 현관문(3)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9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2, 3, 4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는 제 1, 2, 3, 4조작버튼(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현관문(3)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현관문(3)이 설치된 실내공간(미도시)에는 인체감지센서(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00)와 상기 현관문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5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00)는 예를 들어, 상기 현관문(3)이 설치된 실내공간(미도시)의 천장에 구비된 상태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공지된 초음파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인체감지센서(100)와 상기 현관문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50)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알림부(50)가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에게 상기 실내기기(5)를 작동시키는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보다 더욱 용잉하게 알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주자가 상기 현관문(3)을 개방하여 외부로 외출하고자 할 시 상기 현관문(3)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현관문(3)이 설치된 실내 공간(미도시)의 천장에 구비된 상기 인체감지센서(100)는 외출하고자 하는 거주자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외출하고자 하는 거주자가 상기 현관문(3)을 개방할 시 상기 현관문 감지부(30)는 개방된 상태의 상기 현관문(3)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제 2전자스위치(미도시)가 상기 전등(53)을 ON상태로 작동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53)을 ON상태로 작동시키고 있는 상기 제 2전자스위치(미도시)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5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알림부(50)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70)에 내장된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경보음 및 안내메세지 예를 들어, 경보음과 함께 " 전등이 켜졌습니다."라는 안내메세지를 외출하고자 하는 거주자에게 음성출력하게 된다.
상기 알림부(50)가 경보음과 함께 안내메세지를 출력할 시 외출하고자 하는 거주자는 상기 조작부(90) 중 제 2조작버튼(미도시)를 OFF상태로 조작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 2조작버튼(미도시)의 제어신호, 즉 OFF신호는 상기 제어부(7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2조작버튼(미도시)의 제어신호, 즉 OFF신호에 따라 상기 제 2전자스위치(미도시)가 상기 전등(53)을 OFF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전자스위치부(10)와 제어부(70)가 무선송수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스위치부(10)와 상기 제어부(70)는 무선송수신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전자스위치부(10)와 인접한 거리에는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는 제 1송신부(101)와; 상기 제어부(70)가 출력하는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수신부(10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현관문(3) 또는 상기 현관문(3) 주변에는 상기 제 1송신부(101)가 출력하는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수신하는 제 2수신부(703)와; 상기 제 1수신부(103)로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 2송신부(70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스위치부(10)와 상기 제어부(70)가 무선송수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블선을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전자스위치부(10)와 상기 제어부(70)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알림부(50) 및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조작부(90) 또한 무선송수신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알림부(50)와 인접한 거리에는 상기 제 2송신부(701)가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70)에 내장된 메모리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경보음 및 안내메세지 등을 수신하는 제 3수신부(50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작부(90)와 인접한 거리에는 상기 제 2수신부(703)로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 3송신부(9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알림부(50) 및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조작부(90) 또한 무선송수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블선을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알림부(50)와 조작부(90) 또한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관문(3) 또는 현관문(3) 주변에 구비된 상기 알림부(50)가 가정집 등의 실내공간(미도시)에서 외부로 외출하는 거주자들에게 실내기기(5)를 작동시키는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작동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현관문(3) 또는 상기 현관문(3) 주변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90)를 통해 상기 제어부(70)로 상기 전자스위치부(1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부(10)를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외출하는 거주자들이 현관문(3) 외부에서 상기 조작부(90)를 조작하여 상기 실내기기(5)를 OFF상태로 유지시킨 후 외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실내기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전자스위치부와 제어부가 무선송수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현관문, 5; 실내기기,
51; 가스밸브, 53; 전등,
55; 보일러, 57; 가전제품,
10; 전자스위치부, 101; 제 1송신부,
103; 제 1수신부, 30; 현관문 감지부,
50; 알림부, 501; 제 3수신부,
70; 제어부, 701; 제 2송신부,
703; 제 2수신부, 71; 전원공급부,
90; 조작부, 901; 제 3송신부.
100; 인체감지센서.

Claims (3)

  1. 가스밸브, 전등, 보일러 및 가전제품을 포함한 실내기기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작동시키는 전자스위치부와;
    현관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현관문 감지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현관문이 개방될 시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스위치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알림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현관문 또는 현관문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현관문이 설치된 실내공간에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현관문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스위치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기 제어장치.
KR1020090120006A 2009-12-04 2009-12-04 실내기기 제어장치 KR20110063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06A KR20110063068A (ko) 2009-12-04 2009-12-04 실내기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06A KR20110063068A (ko) 2009-12-04 2009-12-04 실내기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068A true KR20110063068A (ko) 2011-06-10

Family

ID=4439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06A KR20110063068A (ko) 2009-12-04 2009-12-04 실내기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986A (ko) * 2021-03-10 2022-09-19 (주)알트온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986A (ko) * 2021-03-10 2022-09-19 (주)알트온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JP2009032149A (ja) 集合住宅における警報システム
JP529967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10063068A (ko) 실내기기 제어장치
JP5396219B2 (ja) 警報器連動装置
JP6253951B2 (ja) 警報器
JP2010033194A (ja) 火災警報システム
JP2011191976A (ja) 火災警報用装置及び火災警報システム
JP2007233570A (ja) 防犯システム
KR20090114574A (ko)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전등 온/오프 제어 스위치 장치
GB2474479A (en) Power shut off device activated wirelessly via a wireless signal emitted by a smoke alarm
KR200204217Y1 (ko) 가스밸브개폐표시장치
JP2008040854A (ja) 無線警報装置
KR200346962Y1 (ko) 가정용 조명등의 원격제어장치
JP2015178738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WO2017154395A1 (ja) バルブ開閉システム、バルブ制御装置
KR102446611B1 (ko) 청각장애인과 난청인을 위한 센서 감지 정보 알림 시스템
KR200388504Y1 (ko) 가스밸브 개방 경보장치
JP3136714U (ja) センサー機能付き操作パネル
KR100538703B1 (ko)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원격 제어 가스 휴즈콕 밸브장치
KR100661753B1 (ko) 근거리용 무선 화재 경보 장치
JP506032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143543A (ja) トイレ装置
JP2009048666A (ja) 電源中継装置
JP548059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