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656A -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 Google Patents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656A
KR20110062656A KR1020090119438A KR20090119438A KR20110062656A KR 20110062656 A KR20110062656 A KR 20110062656A KR 1020090119438 A KR1020090119438 A KR 1020090119438A KR 20090119438 A KR20090119438 A KR 20090119438A KR 20110062656 A KR20110062656 A KR 2011006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sensor
flow
fluid
sens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006B1 (ko
Inventor
민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09011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06B1/ko
Priority to PCT/KR2010/007957 priority patent/WO2011068312A2/ko
Publication of KR2011006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1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기기의 배관 바디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량센서 내부 구성부품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길이의 배관 상에 설치되는 필터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본 발명의 유량센서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기구적으로 움직이는 기구부와, 상기 기구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진 유량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구부는 상기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내부의 상기 센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량센서, 필터, 유량조절링, 마그넷, 홀센서, 배관 바디

Description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Flow sensor and combustor having the flow sensor}
본 발명은 온수기나 보일러 등의 연소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기기의 배관 바디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량센서 내부 구성부품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길이의 배관 상에 설치되는 필터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에 관한 것이다.
연소실 내에서 버너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연소기기에는 크게 보일러와 온수기 등을 들 수 있다.
즉, 일반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난방용이나 온수용으로 이용되고, 온수기는 냉수를 단시간 내에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온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종래 온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관(5) 상에는 유 입된 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하기 위한 필터(1)와, 유입된 직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2)가 구비되고, 열교환기(8)로 유입된 직수는 송풍기(6)에서 공급된 공기와 가스가 버너(7)에 의해 연소되어 발생되는 연소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어 온수공급관(9)을 통해 배출되며, 온수공급관(9) 상에는 온수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4)가 구비된다.
그리고 직수유입관(5)과 온수공급관(9) 사이에는 유입된 직수를 열교환기(8)를 거치지 않고 직접 온수공급관(9)측으로 이송하는 바이패스관(5a)이 연결되어 있어 열교환기(8)를 거쳐 가열된 온수와 직수가 혼합됨으로써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관(5a) 상에는 믹싱밸브(3)가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관(5a)을 통해 이송되는 직수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유량센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유량센서(1)는, 내부에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유체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대향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몸체(10)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20)와, 상기 로터(20)의 회전중심을 이루고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날개(25)가 결합된 회전축(30)과, 상기 몸체(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0)을 지지하는 홀더(40)와, 상기 회전날개(25)의 일측에 구비된 마그넷(5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센서(6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센서(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가 유입구(11)로 유입되면 로터(20)의 회전축(30) 둘레에 일정한 방향의 기울기를 가지고 결합된 회전날개(25)와 회전축(3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유체의 유량에 비례하여 로터(20)의 회전수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로터(20)의 회전날개(25)의 일측에는 N극과 S극이 상호 교차하는 마그넷(50)이 구비되고 로터(20)가 회전되어 N극과 S극이 교차할 때마다 상기 마그넷(50)에서는 자성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마그넷(5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홀센서(60)가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50)에서 발생하는 자성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펄스를 발생하게 되고, 제어부(미도시됨)에서는 상기 홀센서(60)의 주파수 펄스를 입력받아 설정된 유량을 기준으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량센서(1)는 일정 기간 사용된 후에는 회전날개(25)에 구비된 마그넷(50)에 끼어있는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유량센서(1)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량센서(1)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직수유입관(5) 상에 양측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그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내부에 로터(2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량센서(1)를 직수유입관(5)으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회전날개(25)를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량센서(1)는 필터(2)와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설치됨에 따라서 온수기 내부의 구성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필터(2)는 직수유입관(5)의 유로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 망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서 필터(2)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필터(2)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선구간을 그만큼 길게 형성해야 하므로 필터(2)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량센서와 필터를 단일 부품으로 구성하고, 연소기기의 배관 바디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유량센서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정된 길이의 배관 상에서 필터의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센서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기구적으로 움직이는 기구부와, 상기 기구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진 유량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구부는 상기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내부에 상기 센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구부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중심을 이루고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결합된 회전축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분리 결합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에 구비된 마그넷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센서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 상에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상부 몸체부;및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하향 경사져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사이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의 하단부는 원형의 수평한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의 하단부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몸체부 하단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의 하단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위치한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걸려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상기 필터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링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를 구비한 연소기기는, 상기 유량센서;및 연소기기에서 직수가 유입되는 연결배관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져 연소기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량센서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한 배관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의 하단부에는 하부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에 의하면, 유량센서를 연소기기의 배관 바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내부 구성부품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량센서와 필터를 단일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연소기기의 설치구조가 간소화됨은 물론, 유량센서의 내측에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터 용량이 증대되고 필터의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덮개 내측에 구비된 유량조절링에 의해 직수의 유량을 열교환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100)는, 온수기나 보일러 등의 연소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직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직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필터를 조립하여 단일 부품화하고, 직수가 유입되는 연결배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배관 바디(320)에 상기 유량센서(100)의 기구부가 삽입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구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는 상기 배관 바디(320)의 외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센서(100)의 기구부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기구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으로서,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102)를 향하여 통과하도록 내부에 유체의 이동통로가 마련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150)와, 상기 로터(150)의 회전중심을 이루고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날개(154)가 결합된 회전축(152)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의 상측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상부덮개(140)와, 상기 회전축(152)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고정되는 홀더(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 상에는 필터링 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콘 형상의 필터(18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로터(150)와 필터(180)가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상부 몸체부(120)와, 상기 상부 몸체부(12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 몸체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몸체부(130)는 상기 상부 몸체부(120)의 하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복수의 격벽(132)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격벽(132) 사이로 유입구(101)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격벽(132)의 하단부는 원형의 수평한 플랜지부(135)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50)가 수용되는 상부와 필터(180)가 수용되는 하부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80)의 하단부의 외측면과 상부 몸체부(120)의 하단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오링(181)이 결합되어 있어, 필터(180)를 하부 몸체부(130)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끼워서 상부 몸체부(120)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결합할 때 상기 오링(181)에 의해 필터(180)의 하단부와 상부 몸체부(120)의 하단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필터(18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걸림부(185)가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필터(180)가 상부 몸체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85)는 상기 유입구(101)에 위치하는 상부 몸체부(120)의 하단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필터(180)가 밀려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 몸체부(120)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 상에 길이방향으로 콘 형상을 갖는 필터(180)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종래 유체 이동통로 상에 수직방향으로 필터를 겹겹이 설치하는 구조에 비해서 그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필터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터(150)의 회전축(152)을 지지하는 상부덮개(140)를 상부 몸체부(120)의 상측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140) 하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덮개(140)를 상부 몸체 부(120)의 상단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며, 상부덮개(140) 하단부의 외측면과 상부 몸체부(120)의 상단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오링(142)이 결합되어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밀착 결합된다.
또는 상기 상부덮개(140)와 상부 몸체부(120) 간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부덮개(140)와 상부 몸체부(120)가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상부덮개(140)를 상부 몸체부(120)와 분리시킨 후에는 상부 몸체부(1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터(150) 또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회전날개(154)와 마그넷(156)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21과 141은 유량센서(100)가 후술되는 배관 바디(32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100)는 유량을 감지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 이외에, 직수의 급격한 유량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140)의 내측면에 유량조절링(145)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링(145)은 원통형의 하우징(145a)과, 상기 하우징(145a)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신축부재(145b)와, 상기 하우징(145a)과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신축부재(145b)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5c)로 구성된다.
상기 유량조절링(145)은 유출구(102)를 통과하여 열교환기(8)측으로 유입되는 직수의 유량이 열교환기의 열교환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직수의 수압이 일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유량조절링(145)은 수압에 의해 납짝한 형태로 변형되어 직수가 통과하는 유출구(102)의 단면적을 줄이게 되며, 직수의 수압이 다시 떨어지게 되면 원래의 볼록한 형태로 복원되어 유출구(102)의 단면적을 넓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가 연소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유량센서(100)는 보일러나 온수기 등 연소기기(300) 내부에 설치되어 직수와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관 바디(3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기기(300) 내부의 배관 바디(320)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일체형 사출 성형물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 배관 바디(320)의 우측 하단부에는 직수가 유입되는 측의 연결배관(331)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1연결부(321)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져 연소기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량센서(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연결부(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 바디(320)의 제2연결부(322)의 상단 우측으로는 믹싱밸브(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열교환기(8) 측으로 유입되는 직수유입관(5)의 연결배관(332) 및 열교환기(8)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온 수공급관(9)의 연결배관(333)에 결합되는 제3연결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바디(320)의 제3연결부(323)의 좌측에는 온수가 배출되는 연결배관(334)에 결합되는 제4연결부(324)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연결부(324)에 대향되는 상측에는 유량조절밸브(25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5연결부(325)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관 바디(320)의 형성 구조 중, 유량센서(100)가 설치되는 부분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관 바디(320)는 직수가 유입되는 연결배관(331)과 연통되며 우측으로는 하향 경사져 연소기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노출된 배관 바디(320)의 끝단부를 통해 유량센서(100)가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단부에는 하부덮개(190)가 결합된다.
이러한 유량센서(100)가 구비된 연소기기의 구성에 의하면, 도 7에서 화살표시된 바와 같이 직수가 유입되는 연결배관(331)을 통해 제1연결부(321)로 유입된 직수는 배관 바디(320)의 유로를 따라서 우측의 하향 경사진 제2연결부(322)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 몸체부(130)에 형성된 유입구(101)로 유입된 뒤에 상부 몸체부(120)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를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수는 콘 형상의 필터(180)를 거치면서 직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정화된 직수는 상부 몸체(120)의 상측으로 계속 이동되면서 로터(150)의 회전날개(154)를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날개(154)의 일측에 구비된 마그넷(156)의 회전수를 배관 바디(32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부에서 감지함으로써 직수의 유량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홀센서(17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기기(300) 내부에 유량조절밸브(25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유량조절밸브(250) 대신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량조절링(145)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링(145)에 의해 상부덮개(140)의 유출구(102)를 통과하는 직수는 그 공급량이 일정 범위 내로 조절된 뒤에 배출되어 열교환기(8)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기기(300)의 외부에서 유량센서(100)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10)와 상부덮개(140)를 분리하여 로터(150)의 회전날개(154)와 마그넷(156)에 부착된 이물질의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몸체(110)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 상에 콘 형상의 필터(180)를 삽입하여 직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온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유량센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센서가 연소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량센서 101 : 유입구
102 : 유출구 110 : 몸체부
120 : 상부 몸체부 130 : 하부 몸체부
140 : 상부덮개 150 : 로터
154 : 회전날개 156 : 마그넷
170 : 홀센서 180 : 필터
200 : 믹싱밸브 250 : 유량조절밸브
300 : 연소기기 310 : 연소기기 하우징
320 : 배관 바디 321 : 제1연결부
322 : 제2연결부 323 : 제3연결부
324 : 제4연결부 325 : 제5연결부

Claims (9)

  1. 유체의 흐름에 따라 기구적으로 움직이는 기구부와, 상기 기구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진 유량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구부는 상기 연소기기 내부의 배관 내부에 상기 센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중심을 이루고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결합된 회전축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분리 결합되는 상부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에 구비된 마그넷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유체 이동통로 상에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상부 몸체부;및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하향 경사져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사이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격벽의 하단부는 원형의 수평한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하단부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몸체부 하단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하단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위치한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단에 걸려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상기 필터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링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량센서;및
    연소기기에서 직수가 유입되는 연결배관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서 하향 경사져 연소기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량센서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한 배관 바디;
    를 포함하는 유량센서를 구비한 연소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의 하단부에는 하부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센서를 구비한 연소기기.
KR1020090119438A 2009-12-03 2009-12-03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KR10113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38A KR101132006B1 (ko) 2009-12-03 2009-12-03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PCT/KR2010/007957 WO2011068312A2 (ko) 2009-12-03 2010-11-11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438A KR101132006B1 (ko) 2009-12-03 2009-12-03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656A true KR20110062656A (ko) 2011-06-10
KR101132006B1 KR101132006B1 (ko) 2012-03-30

Family

ID=4411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438A KR101132006B1 (ko) 2009-12-03 2009-12-03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2006B1 (ko)
WO (1) WO20110683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48A (ko) 2014-09-16 2016-03-24 주식회사 포스코 유량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91B1 (ko) 2011-11-25 2013-08-07 주식회사 하이트롤 콘 타입 차압식 유량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5A (ja) * 1993-06-30 1995-01-20 Rinnai Corp フローセンサ
JP2001255183A (ja) * 2000-03-13 2001-09-21 Saginomiya Seisakusho Inc フローセンサ
KR20070071476A (ko) * 2005-12-30 2007-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직수 복합연결구
JP2008215867A (ja) 2007-02-28 2008-09-18 Miura Co Ltd 羽根車式流量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48A (ko) 2014-09-16 2016-03-24 주식회사 포스코 유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8312A2 (ko) 2011-06-09
KR101132006B1 (ko) 2012-03-30
WO2011068312A3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5332B2 (ja) 温水器の配管連結構造
JP2013505415A5 (ko)
CN103732996A (zh) 热交换器及制造方法
KR101132006B1 (ko)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RU2548219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822349B (zh) 热水器和用于热水器的压力探头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CN215062828U (zh) 一种加热管自动除垢装置及应用其的内置流量计加热器
WO2015027583A1 (zh) 吸油烟机
CN203454241U (zh) 蒸汽发生器、清洗系统和吸油烟机
CN201463941U (zh) 一种水流流量感应装置
CN204027605U (zh) 燃气采暖热水炉或热水器用的水流量传感装置
EP2438362B1 (en) Gas boiler, in particular condensation gas boiler for producing hot water
CN216557644U (zh) 一种速热加热器
CN213239051U (zh) 一种壁挂炉用塑料板换水路水流传感器组件结构
EP2499438B1 (en)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CN114424001A (zh) 具有集成的水垢控制模块的无水箱热水器
US9835356B1 (en) Fluid heating apparatus utilizing at least two fluid paths
EP2133627A2 (en) Device for recovery of the fume heat and discharge of combustion fumes for a boiler
KR100730885B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CN211925817U (zh) 可减轻转子堵灰的受热面回转式空气预热器
KR200404905Y1 (ko)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KR101131999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CN208269982U (zh) 全预混燃气壁挂炉的水流量传感器
CN2899897Y (zh) 民用低温采暖系统用角式水质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