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905Y1 -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905Y1
KR200404905Y1 KR20-2005-0028974U KR20050028974U KR200404905Y1 KR 200404905 Y1 KR200404905 Y1 KR 200404905Y1 KR 20050028974 U KR20050028974 U KR 20050028974U KR 200404905 Y1 KR200404905 Y1 KR 200404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il unit
fan coil
inlet pipe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임동균
Original Assignee
범양냉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양냉방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양냉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for connecting a measuring instru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Abstract

본 고안은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팬코일 유니트(100)로부터 이어지는 입구관(110) 또는 출구관(120) 상에서 2웨이밸브(114)(124)를 사이에 두고 탈,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이패스관(1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입구관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에서 수온 측정이 항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 온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바이패스관이 입구관 또는 출구관 상에 탈, 장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PIPE STRUCTURE OF FAN COIL UNIT}
본 고안은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관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에서 수온 측정이 항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 온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바이패스관의 탈, 장착 설치가 용이 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은 건물의 냉.난방시 냉동기(chiller) 또는 보일러(boiler)로부터 냉수나 온수를 공급받아 열교환기(heat exchanger)를 통과시키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뒤, 이 공기를 송풍기(fan)에 의해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종래의 팬코일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팬코일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팬코일 유닛(1)은 외부의 함체를 이룸과 아울러 상측에 토출그릴(11)이 마련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기측으로 불어서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케이스(10)의 토출그릴(11)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가 포함된다.
그리고 열교환기측과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고 공급되는 출구관(20)과 입구관(22)이 케이스(10)로부터 외측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입구관(22) 상에는 자동온도조절기(미도시)를 포함하는 2웨이밸브(24)와 수온감지센서(25)가 설치되며, 이들 입구관(22)과 출구관(20)에는 직교 방향에서 가로지르는 바이패스관(26)에 의하여 연통된다.
따라서 난방의 작동 예를 들면, 입구관(22)측으로 유입되는 온수를 수온감지센서(25)에서 감지하게 되며,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임을 인식하며, 팬코일 유닛(1)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낮으면, 자동온도조절기를 통하여 2웨이밸브(24)의 닫힘 동작 없이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속적인 온수 유입이 이루어지고, 실내 온도가 팬코일 유닛(1)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2웨이밸브(24)를 닫아서 실내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 때, 출구관(20)과 입구관(22)에 연통된 바이패스관(26)측으로는 계속하여 일부의 온수가 흐르게 되며, 위에서와 같이 2웨이밸브(24)가 닫혔을 때에도 온수의 흐름이 바이패스관(26)으로 유도되어 수온감지센서(25)에서는 항시 수온의 감지가 가능하게 되고,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로, 2웨이밸브(24)를 여닫으며 지속적인 난방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바이패스관(26)을 포함하는 팬코일 유닛(10)의 배관 구조에 있어서, 나란한 출구관(20)과 입구관(22)의 사이에 바이패스관(26)을 설치하기가 설치 장소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예컨대, 설치 장소에 따라 출구관(20)과 입구관(22)이 나란히 근접하여 배관되는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며, 또한, 대체적으로 협소한 설치 장소에서 바이패스관(26)을 용접 등으로 연통하여 설치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이패스관이 입구관 또는 출구관에 용이하게 탈, 장착될 수 있도록 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구관과, 입구관과 나란하게 출구관이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입구관 또는 출구관에 2웨이밸브를 사이에 두고 탈,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코일 유니트(100)에는, 냉, 온수가 유입되는 입구관(110)과, 열교환된 냉, 온수가 배출되는 출구관(120)이 각각 외부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입구관(110) 상에는 수온감지센서(112)가 설치되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출구관(120)에는 탈, 장착이 가능한 바이패스관(1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출구관(120)은 미도시된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수직 또는 수평하게 외부로 이어지며, 이 때, 열교환기와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고무패킹을 포함한 너트 등의 나사 체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출구관(120)의 중간 정도에는 자동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출구관(12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2웨이밸브(124)가 설치되며, 출구관(120)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관(122)이 형성된다.
연결관(122)은, 2웨이밸브(124)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출구관(120)의 직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출구관(120)의 제작시 금형으로 일체의 연결관(122) 형성이 가능하다.
이 연결관(122)에 바이패스관(130)이 연결 설치된다.
바이패스관(13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체결수단을 매개로 출구관(120)의 연결관(122)에 탈, 장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결수단은, 출구관(120)의 각 연결관(122)과, 바이패스관(13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는 후레아 너트(flare nut:140)와, 이들 각 후레아 너트(140)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플래어 유니온(flare union:14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3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온감지센서(112)가 설치된 입구관(110)에 탈, 장착이 가능한 바이패스관(1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입구관(110)의 중간 정도에는 자동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입구관(1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2웨이밸브(114)가 설치되며, 입구관(110)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관(116:도 4참고)이 형성된다.
연결관(116)은, 2웨이밸브(114)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입구관(110)의 직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연결관(110)에 위에서 설명한 동일 구조의 바이패스관(130)이 연결 설치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과 작용을 설명한다.
출구관(120)에 바이패스관(130)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팬코일 유니트(100)에 입구관(110)과 출구관(120)을 연결 설치하게 되며, 이 때, 입구관(110)에는 수온감지센서(112)와, 출구관(120) 상에는 2웨이밸브(124)가 미리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출구관(120)에 형성된 두 개의 연결관(122)에 후레아 너트(140)가 각각 체결되어지며. 이와 같이, 바이패스관(130)의 양단에도 후레아 너트(140)가 체결되어 진다.
이에 각 연결관(122)의 후레아 너트(140)와 바이패스관(130)의 후레아 너트(140)는 서로 나사산이 형성된 개구측이 마주하게 되며, 이 마주하는 사이에 플레어 유니온(142)이 체결되어 연결관(122)에 바이패스관(130)을 장착하는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바이패스관(130)의 해체는 플래어 유니온(142)을 풀림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어느 일측의 후레아 너트(140)가 먼저 빠지면서 이루어진다.
이처럼 바이패스관(130)은 다른 실시예로서, 입구관(110) 상에 2웨이밸브(114)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용이한 탈, 장착으로 하여 협소한 설치 공간에서도 바이패스관(130)의 탈, 장착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출구관(120)에 바이패스관(130)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은, 입구관(110)을 통과하는 온수의 수온을 항시 수온감지센서(112)에서 감지되며,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임을 인식하며, 팬코일 유닛(100)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낮으면, 자동온도조절기를 통하여 2웨이밸브(124)의 닫힘 동작 없이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속적인 온수 유입이 이루어지고, 실내 온도가 팬코일 유닛(100)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2웨이밸브(124)를 닫아서 실내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 때, 위에서와 같이 2웨이밸브(124)가 닫혔을 때에도 출구관(120)의 바이패스관(130)을 통해서는 소량의 온수가 계속하여 흐르게 되며, 이 소량이나마 바이패스관(130)을 통하여 온수의 흐름이 연속되어짐으로써 입구관(110)측의 수온감지센서(112)에서는 항시 수온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온감지센서(112)에서는 수온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로, 2웨이밸브(124)를 여닫으며 지속적인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냉방의 경우도 난방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구관(110)에 바이패스관(130)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입구관(110)을 통과하는 온수의 수온을 항시 수온감지센서(112)에서 감지되며,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임을 인식하며, 팬코일 유닛(100)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낮으면, 자동온도조절기를 통하여 2웨이밸브(114)의 닫힘 동작 없이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속적인 온수 유입이 이루어지고, 실내 온도가 팬코일 유닛(100)에서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2웨이밸브(114)를 닫아서 실내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 때, 위에서와 같이 2웨이밸브(114)가 닫혔을 때에도 입구관(110)의 바이팩스관(130)을 통해서는 소량의 온수가 계속하여 흐르게 되며, 이 소량이나마 바이패스관(130)을 통하여 온수의 흐름이 연속되어짐으로써 입구관(110)측의 수온감지센서(112)에서는 항시 수온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온감지센서(112)에서는 수온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감지된 온도로 자동온도조절기에서는 난방 운전 상태로, 2웨이밸브(114)를 여닫으며 지속적인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바이패스관(130)은, 입구관(110) 또는 출구관(120)에 용이하게 탈, 장착됨으로써, 현장의 여건에 따라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는, 입구관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에서 수온 측정이 항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 온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바이패스관이 입구관 또는 출구관 상에 탈, 장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팬코일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팬코일 유니트 110 : 입구관
112 : 수온감지센서 116, 124 : 2웨이밸브
116, 122 : 연결관 120 : 출구관
130 : 바이패스관 140 : 후레아 너트
142 : 플래어 유니온

Claims (3)

  1. 입구관과, 상기 입구관과 나란하게 출구관이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구관 또는 상기 출구관에 2웨이밸브를 사이에 두고 탈, 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이패스관,
    을 포함하는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은,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입, 출구관의 연결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후레아 너트(flare nut)와,
    상기 각 후레아 너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플래어 유니온(flare union)으로 구성되는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KR20-2005-0028974U 2005-10-11 2005-10-11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KR200404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74U KR200404905Y1 (ko) 2005-10-11 2005-10-11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74U KR200404905Y1 (ko) 2005-10-11 2005-10-11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905Y1 true KR200404905Y1 (ko) 2005-12-29

Family

ID=4929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974U KR200404905Y1 (ko) 2005-10-11 2005-10-11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9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1788B2 (en) * 2018-05-11 2022-09-13 Kyungdong Navie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ot water use by using temperature g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1788B2 (en) * 2018-05-11 2022-09-13 Kyungdong Navie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ot water use by using temperature g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9682C (en) A furnace header box having blocked condensation protection, a furnace including the header box and a blocked condensation protection system
US8042495B2 (en) Device for preventing initial hot water supplying in concentric tube type heat exchanger and its control method
JP5465332B2 (ja) 温水器の配管連結構造
US10316981B2 (en)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and an electronic mixing valve
TW201239295A (en) Water heating system
CN104534575B (zh) 空调器
JP6252685B2 (ja) 給湯暖房システム
KR20150025785A (ko) 직수형 전기 순간온수기
US20180274793A1 (en) Water heater appliance with a cold water bypass
US20170211845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heated fluid
KR200404905Y1 (ko)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JP4421525B2 (ja) 給湯装置
EP2965022A1 (en) Fired heat exchanger
KR101789937B1 (ko) 순간식 온수기용 열교환장치
US9920953B2 (en) Water heater appliance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N205842885U (zh) 用于空调器室外机的换热器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室外机
JP5551949B2 (ja) ミスト噴霧装置
JP2017026201A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1671670B1 (ko) 드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SK281453B6 (sk) Elektrický prietokový ohrievač a spôsob výroby jeho rúrkovitého vyhrievacieho modulu
KR200289386Y1 (ko) 동파방지를 위한 댐퍼코일 유니트
JP5687841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96000820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CN217441757U (zh) 空调式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