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885B1 -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885B1
KR100730885B1 KR1020000055986A KR20000055986A KR100730885B1 KR 100730885 B1 KR100730885 B1 KR 100730885B1 KR 1020000055986 A KR1020000055986 A KR 1020000055986A KR 20000055986 A KR20000055986 A KR 20000055986A KR 100730885 B1 KR100730885 B1 KR 10073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discharge hole
heating
cent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590A (ko
Inventor
김석구
허석수
심영섭
윤유원
주동호
정창현
이돈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8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수유입구멍(11)과 난방수배출구멍(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회전되면서 기포가 가운데로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난방수배출구멍(12) 내측 단부에서 몸체(10) 내측 중앙부로 연장되면서 몸체(10) 내측의 벽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0)와,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몸체(10)의 가운데로 모인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멍(21)이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30)의 통로폭(L)은 난방수배출구멍(12)의 지름(Φ)보다 작게 형성하여,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난방수가 원통형의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면 가이드돌기(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중앙에 모이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몸체(10)의 가운데로 모인 공기는 덮개(20)에 형성된 배출구멍(2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난방환수관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난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Steam and water separator for gas boilers}
도 1은 종래 기수분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수분리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수분리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수분리그를 보인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난방수유입구멍
12 : 난방수배출구멍 20 : 덮개
21 : 배출구멍 30 : 가이드돌기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난 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분리되면서 난방환수관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서, 가스보일러의 난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 및 급탕기능을 동시에 갖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에 연결된 난방환수관에는 기수분리기를 설치하여, 난방수내에 섞여있는 공기가 제거된 상태로 순환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측부에 난방수유입구멍(12')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난방수로부터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멍(21')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난방수유입구멍(1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를 난방환수관으로 배출하는 난방수배출구멍(1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난방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분리하는 가이드돌기(30')가 형성된 몸체(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는 난방수유입구멍(1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난방수가 유입되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물이 흐르면서 가이드돌기(30')에 부딪치면서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분리되고, 상기 공기가 분리된 난방수는 몸체(10')에 형성된 난방수배출구멍(11')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난방수와 분리된 공기는 배출구멍을 통해 덮개(20')의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는 덮개(20')의 일측부에 형성 된 난방수유입구멍(12')으로 유입된 난방수가 몸체(10')에 형성된 난방수배출구멍(11')으로 흐르게 하여 물의 흐름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높은 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게 되어 난방수속의 기포가 상승하는데 방해가 되는 흐름이었다. 따라서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난방수배출구멍(11')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난방환수관에 기포가 잘배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스보일러의 난방효율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난방수유입구멍과 난방수배출구멍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난방수유입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회전되면서 기포가 가운데로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몸체의 가운데로 모인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된 덮개로 구성하여, 난방수유입구멍을 통해 난방수가 원통형의 몸체 내부로 유입되면 가이드돌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중앙에 모이도록 기포가 발생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몸체의 가운데로 모인 공기는 덮개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난방환수관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 어지게 되어 난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난방수유입구멍(11)과 난방수배출구멍(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회전되면서 기포가 가운데로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난방수배출구멍(12) 내측 단부에서 몸체(10) 내측 중앙부로 연장되면서 몸체(10) 내측의 벽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0)와,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몸체(10)의 가운데로 모인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멍(21)이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돌기(30)의 통로폭(L)가 난방수배출구멍(12)의 지름(Φ)보다 작게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원통형의 몸체(10)의 내부로 난방수가 유입되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난방수의 일부는 가이드돌기(30)에 의해 형성된 통로(L)로 일부는 기포와 함께 몸체(10)의 중앙으로 회전되면서 기포가 몸체(10)의 내부 중앙 상부에 모이게 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모인 기포는 덮개(20)에 형성된 배출구멍(2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기포가 분리된 순수한 상태의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0)의 높이(T)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난방수배출구멍(12)의 지름(Φ)보다 길게 형성하여, 기포가 섞여있는 난방수가 난방수배출구멍(12)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을 밝혀 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난방수가 원통형의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면 가이드돌기(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중앙에 모이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몸체(10)의 가운데로 모인 공기는 덮개(20)에 형성된 배출구멍(2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난방환수관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난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돌기의 통로길이를 난방수배출구멍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난방수유입구멍을 통해 난방수가 원통형의 몸체 내부로 유입되면 가이드돌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난방수에 섞여있는 공기가 중앙에 모이면서 덮개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을 통해 난방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난방환수관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난방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발명.

Claims (2)

  1. 난방수유입구멍(11)과 난방수배출구멍(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난방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가 회전되면서 기포가 가운데로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순수한 난방수는 난방수배출구멍(12)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난방수배출구멍(12) 내측 단부에서 몸체(10) 내측 중앙부로 연장되면서 몸체(10) 내측의 벽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0)와,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몸체(10)의 가운데로 모인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멍(21)이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30)의 통로폭(L)은 난방수배출구멍(12)의 지름(Φ)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30)의 높이(T)는 난방수배출구멍(12)의 지름(Φ)보다 길게 형성됨을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KR1020000055986A 2000-09-23 2000-09-23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KR10073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86A KR100730885B1 (ko) 2000-09-23 2000-09-23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986A KR100730885B1 (ko) 2000-09-23 2000-09-23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90A KR20020023590A (ko) 2002-03-29
KR100730885B1 true KR100730885B1 (ko) 2007-06-20

Family

ID=1969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986A KR100730885B1 (ko) 2000-09-23 2000-09-23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53A (ko) 2018-11-28 2020-06-08 선다코리아주식회사 고온 열매체용 기수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41Y1 (ko) * 2010-02-08 2010-10-20 우종윤 기수 분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314A (ko) * 1992-07-28 1994-02-21 죠셉 제이. 락스 라스터 왜곡 보정 회로
KR20000042207A (ko) * 1998-12-24 2000-07-15 권상훈 기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314A (ko) * 1992-07-28 1994-02-21 죠셉 제이. 락스 라스터 왜곡 보정 회로
KR20000042207A (ko) * 1998-12-24 2000-07-15 권상훈 기수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53A (ko) 2018-11-28 2020-06-08 선다코리아주식회사 고온 열매체용 기수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590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253B1 (ko) 열교환기
ES2689119T3 (es) Intercambiador de calor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CN110736094A (zh) 蒸汽发生器的汽水分离结构及该蒸汽发生器
KR100730885B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CN213090129U (zh) 热交换式锅炉
CA2092934C (en) Liquid heating apparatus
JP4895173B2 (ja) 給湯器
KR100454279B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장치
JP2004249164A (ja) 気水分離器
KR100581589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CN116624846A (zh) 一种蒸汽发生器及蒸汽发生器系统
JP6114142B2 (ja) 潜熱熱交換器
US868085A (en) Hot-water heater.
KR960009753Y1 (ko) 보일러의 순환펌프에 부착된 기수분리장치
CN216868460U (zh) 一种蒸汽发生器及蒸汽发生器系统
CN220892210U (zh) 一种高效锅内汽水分离装置及其锅炉
JPH0711291Y2 (ja) 多管式貫流ボイラーの気水分離構造
KR950007457Y1 (ko) 기수분리기겸 공기 자동 배출장치
KR100512297B1 (ko) 수관식 증기 및 급탕 보일러
EP2133627A2 (en) Device for recovery of the fume heat and discharge of combustion fumes for a boiler
KR200192165Y1 (ko) 열회전식 보일러
KR200248938Y1 (ko) 증기보일러용 수위감지장치
KR200226811Y1 (ko) 가정용 보일러
KR200297432Y1 (ko) 목욕탕용 수관식 온수급탕 및 온수난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