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349A -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349A
KR20110062349A KR1020090119047A KR20090119047A KR20110062349A KR 20110062349 A KR20110062349 A KR 20110062349A KR 1020090119047 A KR1020090119047 A KR 1020090119047A KR 20090119047 A KR20090119047 A KR 20090119047A KR 20110062349 A KR20110062349 A KR 2011006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or
tank
high pressure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798B1 (ko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7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와, 유압을 동력조향장치쪽으로 공급하는 오일펌프(20)와, 공압을 압력충진탱크쪽으로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40)사이를 유성기어(3)로 연결함으로써, 모터(1)의 동력을 오일펌프(20)와 에어컴프레서(40)로 동시에 분배하는 상태에서 모터출력이 증가될 때, 에어컴프레서(40)쪽에 일정한 토크를 분배하고, 증가된 토크로 오일펌프(20)의 회전수(rpm)를 제어하므로, 풀리(또는 기어)를 이용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 구성에서 발생될 수밖에 없는 풀리비(또는 기어비)로 인한 에어컴프레서(40)쪽 문제를 해소하는 특징을 갖는다.
유성기어, 조향펌프, 에어컴프레서

Description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Selective power connecting device and automotive operational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동력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행을 위해 독립적으로 기능과 작용을 하는 독립된 여러 장치들을 구비한다.
일례로, 유압을 사용하는 동력조향장치는 엔진을 통해 구동되는 오일펌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오일펌프는 엔진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에어브레이크는 고압에어를 충진하기 위한 에어컴프레서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에어컴프레서도 엔진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 전장품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엔진과 함께 구동됨으로써,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량에 적용된 에어컴프레서 경우 에어의 충진여부와 상관없이 엔진구동시 항상 작동되는 비효율성을 갖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에어컴프레서의 비효율적인 운용을 해소한 예로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가 있다.
상기 전동식 에어컴프레서는 엔진구동과 관계없이 에어탱크의 에어충진여부를 고려해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에서는 전기차 모드 주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전장품이다.
하지만, 브레이크와 연계되어 운영되는 전동식 에어컴프레서는 하나의 압력(고압)만을 에어탱크로 충진함으로써, 효율이 극히 낮은 조건으로 에어컴프레서를 운용하는 측면이 있다.
이는, 저압만으로도 충분히 제동이 가능한 일반적인 제동시에비해 급제동시나 ABS 작동시는 약 8.5bar에서 9.5bar까지 고압공기를 필요로 함으로써, 전동식 에어컴프레서는 낮은 효율구간에서 주로 가동해 에어탱크를 항상 준비된 상태로 만들 수밖에 없다.
에어컴프레서는 그 특성상 고압에서의 압축효율은 저압일때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므로, 상기와 같이 낮은 효율 구간가동은 차량의 에너지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하고 연비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례로, 7bar와 10bar에서의 소요동력은 약 20% 정도 차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에어컴프레서의 낮은 효율 구간가동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급제동시나 ABS 작동시를 위해 하나의 압력(고압)만을 저장하는 에어탱크로 인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에어컴프레서는 엔진구동과 관계없는 독립적인 운용의 장점으로 별도의 전장품과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와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펌프를 병합한 구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는 모터를 오일펌프에 직결하고, 풀리로 에어컴프레서를 연결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모터속도제어를 불가능하게 하는 측면이 있게 된다.
일례로, 모터는 1000rpm ~ 5000rpm 사이로 작동하고 풀리(또는 기어)는 약 1:2 풀리비를 형성하면, 에어컴프레서쪽은 약 2000rpm ~ 10000rpm에 맞추어야 하지만, 에어컴프레서를 이에 맞출 수 없어 결국,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 구성에서는 오일펌프에 대한 속도조절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를 구성하면서 양쪽에 대한 동력전달을 유성기어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연결해줌으로써, 모터가 에어컴프레서 작동/비작동 시 모두 오일펌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에어컴프레서 작동/비작동 시 모두 오일펌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를 구성함으로써, 오일펌프를 유압동력조향장치로 연결하고 에어컴프레서를 브레이크 에어탱크쪽으로 연결해 차량 에너지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전장품 운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로 오일펌프를 함께 구동하는 전동식 에어컴프레서쪽 에어탱크를 저압과 고압 이중구조로 적용하고, ABS를 사용하는 급제동시에만 고압 공기를 제동에 이용함으로써, 낮은 압축효율 구간가동을 피해 차량의 효율적인 에너지사용으로 연비를 높일 수 있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전장품 운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택적 동력연결장치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유성기어를 갖춘 동력원유닛과;
상기 모터구동시, 상기 유성기어를 통해 상기 모터 회전력을 항상 전달받는 펌프와;
상기 모터구동시, 고정클러치가 상기 유성기어쪽을 구속하지않은 상태에서만 상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컴프레서;
를 포함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성기어는 모터축에 고정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성기어와, 펌프쪽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위성기어와 외접된 선기어와, 상기 위성기어를 내접하고, 고정클러치를 통해 구속되고 해제되는 링기어로 구성한다.
상기 펌프는 동력조향장치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이고, 상기 컴프레서는 에어탱크쪽으로 공압을 충진시키는 에어컴프레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가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모터구동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를 통해 항상 회전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 구동시 발생된 유압을 받는 동력조향장치와;
상기 모터구동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쪽의 구속을 해제하면,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고정클러치를 구비한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 구동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압과 고압으로 구분해 충진하고, 제동시 저장된 저압과 고압을 제동장치쪽으로 공급하는 이중에어탱크;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에어탱크는 에어컴프레서에서 인출된 에어충전라인이 연결된 고압탱크와, 상기 에어충전라인에서 분기된 분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고압탱크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저압탱크를 모두 갖추고, 상기 에어충전라인과 분기라인에는 압력조절밸브를 설치한다.
상기 고압탱크가 이중에어탱크에서 점유하는 압축공기충진부피는 상기 저압탱크가 점유하는 압축공기충진부피에 비해 작게 형성한다.
상기 고압탱크에는 제동장치쪽으로 이어진 고압배출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고압배출라인에는 고압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저압탱크에는 제동장치쪽으로 이어진 저압배출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저압배출라인에는 상기 고압탱크쪽 고압압축공기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가 유성기어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오일펌프와 함께 전동식 에어컴프레서를 구성하므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와 오일펌프 운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모터가 유성기어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오일펌프를 유압동력조향장치로 연결하고, 에어컴프레서를 브레이크 에어탱크쪽으로 연결해 차량전장품 운용장치를 구성하므로, 차량 에너지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상기 전동식 에어컴프레서쪽 에어탱크를 저압과 분리한 고압이중구조로 하고, 고압공기를 ABS를 사용하는 급제동시에만 이용하므로, 낮은 압축효율 구간가동을 피한 에어컴프레서운용으로 차량의 효율적인 에너지사용에 따른 연비향상도 가져오는 효과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는 ECU(70)의 제어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유닛(10)과, 상기 동력원유닛(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항상 전달받는 펌프와, 고정클러치(8)를 통해 상기 동력원유닛(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선택적 전달받는 컴프레서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원유닛(10)은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모터축(2)에 연결되어 모터(1)의 회전력을 펌프쪽으로 항상 전달하고, 고정클러치(8)를 통해 컴프레서쪽으로는 모터(1)의 회전력을 선택적 전달하는 유성기어(3)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성기어(3)는 모터축(2)을 통해 모터(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될 때 모터(1)의 회전력은 펌프쪽으로 항상 전달되지만, 컴프레서쪽으로는 고정클러치(8)를 통해서만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유성기어(3)는 모터축(2)에 고정된 캐리어(6)와, 상기 캐리어(6)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성기어(5)와, 펌프쪽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위성기어(5)와 외접된 선기어(4)와, 상기 위성기어(5)를 내접하고, 고정클러치(8)를 통해 구속된 링기어(7)로 구성한다.
상기 위성기어(5)는 3개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클러치(8)는 링기어(7)를 잡아 모터(1)를 통한 링기어(7)의 회전을 차단하지만, 컴프레서 구동시 링기어(7)의 구속을 풀어 모터(1)의 회전력을 컴프레서쪽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는 동력조향장치(30)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 프(20)이고, 상기 컴프레서는 공압충전유닛(50)을 이루는 에어탱크쪽으로 공압을 충진시키는 에어컴프레서(40)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모터(1)의 회전력을 항상 전달받는 펌프는 동력조향장치(30)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20)이고, 모터(1)의 회전력을 고정클러치(8)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컴프레서는 공압충전유닛(50)을 이루는 에어탱크쪽으로 공압을 충진시키는 에어컴프레서(40)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가 구동되면, 에어컴프레서(40)가 작동되더라도 오일펌프(20)는 항상 작동된다.
고정클러치(8)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ECU(70)로 모터(1)가 구동되면, 오일펌프(20)만 작동된다.
즉, 모터(1)의 회전력은 모터축(2)에 고정된 캐리어(6)로 전달되어 위성기어(5)를 회전시키고, 상기 위성기어(5)의 회전으로 외접된 선기어(4)가 회전됨으로써, 선기어(4)에 연결된 축이 회전되어 오일펌프(20)를 구동하여 동력조향장치(30)쪽으로 유압을 공급한다.
이때, 링기어(7)는 고정클러치(8)의 작용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링기어(7)와 에어컴프레서(40)간 회전은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오일펌프(20)의 속도를 조절하려면, 차량의 속도와 회전각에 따라 모터(1)의 회전속도만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구현된다.
하지만, 모터(1)구동시 고정클러치(8)가 연결되면, 선기어(4)를 통해 오일펌 프(20)가 구동되고, 링기어(7)를 통해 에어컴프레서(40)도 함께 구동된다.
즉, 모터축(2)에 고정된 캐리어(6)가 모터(1)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위성기어(5)에 외접된 선기어(4)의 회전으로 오일펌프(20)가 구동되고, 함께 회전되는 링기어(7)쪽에 연결된 고정클러치(8)가 링기어(7)를 구속하지 않아 에어컴프레서(4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1)의 동력이 오일펌프(20)와 에어컴프레서(40)로 분배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40)에는 일정량의 토크가 지속적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1)의 출력을 높이면, 유성기어(3)의 작용으로 모터(1)의 증가된 출력은 오일펌프(20)로 전달되므로, 별도로 추가되는 장치없이 일정한 토크로 에어컴프레서(40)를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오일펌프(20)의 회전수(rpm)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현함으로써, 풀리(또는 기어)를 이용한 전동식 에어컴프레서 + 오일펌프 구성에서 발생될 수밖에 없는 풀리비(또는 기어비)로 인한 에어컴프레서쪽 문제를 해소할수 있게 된다.
오일펌프(20)와 에어컴프레서(40)가 함께 작동되다 에어컴프레서(40)가 정지되면, 링기어(7)에 연결된 고정클러치(8)가 작동되어 링기어(7)를 고정함으로써, 모터(1)쪽 동력은 오일펌프(20)로만 전달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모터(1)의 동력을 유성기어(3)로 오일펌프(20)와 에어컴프레서(40)에 분배하는 유성기어식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는 특히, 차량에 적용될 때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동력조향장치와, 제동장치쪽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와 유성기어(3)를 갖춘 동력원유닛(10)이 동력조향장치(30)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20)와, 급제동에 따른 ABS 작동시 고압을 제동장치(60)로 공급하는 공압충전유닛(50)에 공압을 충진시키는 에어컴프레서(40)와 함께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조향장치(30)와 오일펌프(20)간 유압라인은 기존 차량에 적용된 유압회로이며, 공압충전유닛(50)과 제동장치(60)간 공압라인도 기존 차량에 적용된 공압회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공압충전유닛(50)을 구성하며 에어컴프레서(40)를 통해 공압이 충진되는 에어탱크는 고압과 저압을 함께 충진하는 이중에어탱크(51)로 구성하고, 에어컴프레서(40)와 이중에어탱크(51)로 이어지는 공압라인도 달리 구성한다.
즉, 에어컴프레서(40)에서 인출된 에어충전라인(52)은 이중에어탱크(51)쪽에서 분기라인(52a)을 가지며, 상기 에어충전라인(52)이 이중에어탱크(51)의 고압탱크(51b)쪽으로 이어지고, 상기 분기라인(52a)은 이중에어탱크(51)의 저압탱크(51a)쪽으로 이어진다.
상기 저압탱크(51a)는 이중에어탱크(51)의 전체중 약 80%이상이고, 상기 고압탱크(51b)는 전체중 약 20%이하로 구성하며, 고압탱크(51b)에는 약 9bar의 고압만을 저장하고, 저압탱크(51a)에는 약 7bar의 저압만을 저장한다.
상기 에어충전라인(52)과 분기라인(52a)에는 압력조절밸브(53)를 설치해줌으 로써, 충진시 분기라인(52a)쪽 통로를 막아 에어컴프레서(4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먼저 고압탱크(51b)에 채우고 난 후, 에어충전라인(52)쪽 통로를 막고 분기라인(52a)쪽 통로를 열어 저압탱크(51a)를 채우도록 한다.
상기 이중에어탱크(51)는 저압탱크(51a)쪽 압축공기는 정상적인 제동시 사용하고, 약 9bar인 고압탱크(51b)쪽 압축공기는 급제동으로 ABS가 작동될 때 제동장치(6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압탱크(51a)와 제동장치(60)는 저압배출라인(56)으로 연결되고, 고압탱크(51b)와 제동장치(60)는 고압배출라인(54)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압배출라인(54)에는 ECU(70)제어되는 고압밸브(55)를 설치해 급제동으로 ABS가 작동될 때 열림으로써, 약 9bar 압축공기를 제동장치(60)로 공급한다.
상기 저압배출라인(56)쪽에는 체크밸브(57)를 설치하며, 상기 체크밸브(57)는 저압탱크(51a)쪽 저압압축공기를 제동장치(60)쪽으로 배출하지만, 고압배출라인(54)을 통해 빠져나간 고압 압축공기가 저압탱크(51a)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가 적용된 상태에서 급제동시ABS 작동에 대한 고압공기흐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어탱크(51)를 이루는 저압탱크(51a)에 약 7bar 압축공기와, 고압탱크(51b)에 약 9bar 압축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 급제동에 따른 ABS작동여부를 판단한다.
ABS작동이 없으면, 고압탱크(51b)를 닫고 저압탱크(51a)쪽 저압압축공기를 제동장치(60)쪽으로 공급한다.
하지만, ABS작동이 이루어지면 고압밸브(55)를 열어 약 9bar 압축공기를 제동장치(60)로 공급해 제동을 구현하며, 이때 고압탱크(51b)쪽 고압압축공기는 제동시 모두 소모한다.
상기와 같이 고압공기를 모두 소진한 후 차량제동이 완료되지 않으면, 저압탱크(51a)쪽 약 7bar 저압압축공기를 제동장치(60)를 보내 저압제동을 구현하면서 차량을 정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가 적용된 상태에서 이중에어탱크로 압축공기를 충전하는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의 구동으로 유성기어(3)가 회전되면, 선기어(4)의 회전으로 오일펌프(20)가 구동되고 동시에 링기어(7)를 구속하지 않은 고정클러치(8)의 작용으로 링기어(7)가 에어컴프레서(40)를 구동한다.
이때, 압력조절밸브(53)는 분기라인(52a)쪽 통로를 막고 에어충전라인(52)을 열어준 상태이다.
에어컴프레서(40)가 구동되어 발생된 압축공기는 에어충전라인(52)을 통해 압력조절밸브(53)쪽으로 흘러가고, 압력조절밸브(53)쪽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압력조절밸브(53)의 작용으로 막힌 분기라인(52a)쪽이 연결된 저압탱크(51a)로 유입되지 않고 모두 고압탱크(51b)로 유입된다.
고압탱크(51b)가 약 9bar 압축공기로 모두 충진되면, 압력조절밸브(53)는 에어충전라인(52)쪽 통로를 막고 분기라인(52a)쪽 통로를 열어줌으로써, 저압탱 크(51a)에도 약 7bar 압축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이어, 이중에어탱크(51)를 이루는 저압탱크(51a)와 고압탱크(51b)를 압축공기로 모두 채운 후에는 모터(1)를 정지해 에어컴프레서(40)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모터(1)가 구동된 상태에서 고정클러치(8)로 유성기어(3)의 링기어(7)를 구속해 에어컴프레서(40)를 정지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의 한쪽동력 전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가 적용된 상태에서 급제동시 고압공기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동력연결장치가 적용된 상태에서 에어탱크쪽 고압공기충전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모터축
3 : 유성기어 4 : 선기어
5 : 위성기어 6: 캐리어
7 : 링기어 8 : 고정클러치
10 : 동력원유닛 20 : 오일펌프
30 : 동력조향장치 40 : 에어컴프레서
50 : 공압충전유닛 51 : 이중에어탱크
52 : 에어충전라인 52a : 분기라인
53 : 압력조절밸브 54 : 고압배출라인
55 : 고압밸브 56 : 저압배출라인
57 : 체크밸브 60 : 제동장치
70 : ECU

Claims (8)

  1.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유성기어를 갖춘 동력원유닛과;
    상기 모터구동시, 상기 유성기어를 통해 상기 모터 회전력을 항상 전달받는 펌프와;
    상기 모터구동시, 고정클러치가 상기 유성기어쪽을 구속하지않은 상태에서만 상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컴프레서;
    를 포함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는 모터축에 고정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성기어와, 펌프쪽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위성기어와 외접된 선기어와, 상기 위성기어를 내접하고, 고정클러치를 통해 구속되고 해제되는 링기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동력조향장치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이고, 상기 컴프레서는 에어탱크쪽으로 공압을 충진시키는 에어컴프레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4.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모터구동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를 통해 항상 회전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 구동시 발생된 유압을 받는 동력조향장치와;
    상기 모터구동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쪽의 구속을 해제하면,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고정클러치를 구비한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 구동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압과 고압으로 구분해 충진하고, 제동시 저장된 저압과 고압을 제동장치쪽으로 공급하는 이중에어탱크;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중에어탱크는 에어컴프레서에서 인출된 에어충전라인이 연결된 고압탱크와, 상기 에어충전라인에서 분기된 분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고압탱크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저압탱크를 모두 갖추고, 상기 에어충전라인과 분기라인에는 압력조절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압탱크가 이중에어탱크에서 점유하는 압축공기충진부피는 상기 저압탱크가 점유하는 압축공기충진부피에 비해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압탱크에는 제동장치쪽으로 이어진 고압배출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고압배출라인에는 고압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압탱크에는 제동장치쪽으로 이어진 저압배출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저압배출라인에는 상기 고압탱크쪽 고압압축공기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체크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동력연결장치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KR1020090119047A 2009-12-03 2009-12-03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KR10145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47A KR101459798B1 (ko) 2009-12-03 2009-12-03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47A KR101459798B1 (ko) 2009-12-03 2009-12-03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349A true KR20110062349A (ko) 2011-06-10
KR101459798B1 KR101459798B1 (ko) 2014-11-07

Family

ID=4439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047A KR101459798B1 (ko) 2009-12-03 2009-12-03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79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7603A (zh) * 2012-09-19 2012-12-26 济南宏昌车辆有限公司 五档变速四轮电动搬运车
KR101297649B1 (ko) * 2011-09-26 2013-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dps 및 컴프레셔 통합 작동 구조
US8954236B2 (en) 2011-07-28 2015-02-10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combining motor driven power steering with compres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235498A (zh) * 2015-11-13 2016-01-13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复合泵总成
CN105437965A (zh) * 2015-11-13 2016-03-30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驱动复合泵总成
CN105438257A (zh) * 2015-11-13 2016-03-30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用电气辅助系统
CN106080761A (zh) * 2016-07-04 2016-11-09 玉林市璟晗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空气压缩机与液压转向泵集成机构
KR20210101028A (ko) * 2020-02-07 2021-08-18 조성배 공기 압축기와 파워스티어링 펌프의 모터 일체형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863A (ja) * 1997-04-21 1998-11-13 Hitachi Ltd 変速操向機
JP2003239852A (ja) 2002-02-20 2003-08-27 Tadano Ltd 油圧ポンプ駆動装置
US20050057094A1 (en) * 2003-09-16 2005-03-17 Koelzer Robert L. System for regulating the supply of power to a brake system
US20070137626A1 (en) 2005-12-21 2007-06-21 David Turner Engine supercharg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4236B2 (en) 2011-07-28 2015-02-10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combining motor driven power steering with compres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97649B1 (ko) * 2011-09-26 2013-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dps 및 컴프레셔 통합 작동 구조
CN102837603A (zh) * 2012-09-19 2012-12-26 济南宏昌车辆有限公司 五档变速四轮电动搬运车
CN105235498A (zh) * 2015-11-13 2016-01-13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复合泵总成
CN105437965A (zh) * 2015-11-13 2016-03-30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驱动复合泵总成
CN105438257A (zh) * 2015-11-13 2016-03-30 湖南南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用电气辅助系统
CN106080761A (zh) * 2016-07-04 2016-11-09 玉林市璟晗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空气压缩机与液压转向泵集成机构
KR20210101028A (ko) * 2020-02-07 2021-08-18 조성배 공기 압축기와 파워스티어링 펌프의 모터 일체형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798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2349A (ko) 선택적 동력연결장치 및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장품 운용장치
US7314425B2 (e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s
CN101321642A (zh) 包括动力分置式传动装置的机械-液压驱动机构
US9683631B2 (en) Hydraulic system for vehicle
US8827853B2 (en) Hydraulic power split engine with enhanced torque assist
US10281034B2 (en) Hydrostatic breaking concept
KR20130060046A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CN104903622A (zh) 用于设有内燃机的车辆传动系的液压致动无级变速器
US20120324879A1 (en) Hydraulic Hybrid Vehicle with Safe and Efficient Hydrostatic Operation
JP201252132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BR112012010510B1 (pt) Trator
JP433767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6249990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WO2018036731A1 (de) Hydrostatisches system und pumpstation für eine öl- oder gas-pipeline
US20070026989A1 (en) Drive system for a machine
US9360025B2 (en) Hydraulic soft start system
US9605411B2 (en) Brake charge valve with set minimum fixed hydro-mechanical pressure by-pass function
US8181458B2 (en) Pressure recovery system
US20150252859A1 (en) Hydraul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5121088A (ja) 特に自走式建設機械、特にコンパクタ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
US9777834B2 (en) Booster device comprising a hydraulic motor driving a booster pump
US5165764A (en) Braking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KR101746532B1 (ko) 2단 속도 제어 유압 시스템
KR20110087520A (ko) 하이브리드 윈치
WO2015137906A1 (en) Hydraul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