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943A -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943A
KR20110061943A KR1020090118493A KR20090118493A KR20110061943A KR 20110061943 A KR20110061943 A KR 20110061943A KR 1020090118493 A KR1020090118493 A KR 1020090118493A KR 20090118493 A KR20090118493 A KR 20090118493A KR 20110061943 A KR20110061943 A KR 2011006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vehicle
parking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283B1 (ko
Inventor
어재홍
정찬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Priority to KR102009011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2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wo or more types of vehicles, e.g. between motor-cars and cy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노드와 게이트웨이, 메인 서버 및 출입 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노드는 차량을 인식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 상기 다중 센서 모듈을 통해 검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센서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서 노드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통신 모듈, 상기 센서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메인 서버로 송신하는 복합 유.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와 빈 주차 공간 정보를 분석하는 공간관리 모듈, 식별된 각 주차 차량이 주차 공간 점유 시간을 분석하는 시간관리 모듈 및 상기 공간관리 모듈과 시간관리 모듈로부터 분석된 각 주차 차량의 해당 주차 공간 점유 시간으로부터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요금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주차, 다중센서, 모듈, 차량, 시스템

Description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Managing System of Parking and Stoppage Using Multi-function Sensor Module}
본 발명은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에 매설되는 다중 센서 모듈로부터 수집된 차량 인식 정보 및 차량 진입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정차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행 차량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주차공간의 확보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이미 확보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진·출입 차량을 인식하고 주차 위치를 안내하거나, 자동으로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무인 주·정차 관리를 위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주차공간의 바닥에 루프식 센서나 압력식 센서 등의 차량 감지기를 매설하여 이를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비가 과다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과다한 바닥 굴착 및 이에 따른 초기 투자비 증가와 센서 손상 시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문제된다. 또한 루프식 센서의 감도는 루프의 크기, 리드선의 길이, 지면과의 단락 저항 및 바닥면 포장(Over-lay) 층의 두 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차량 인식 정보 수집 오차를 일으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종전의 차량의 무인 주·정차 시스템은 부정확한 차량 감지 및 인식으로 인하여 주차 요금 관리 체계상에 문제가 있었고, 주차 차량의 위치가 제대로 감지되지 않아, 현재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새로운 진입 차량의 주차 위치로 안내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충돌 등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차량의 진·출입 방향을 확인할 수 없어서, 차량의 흐름에 역행할 수 있어 차량 충돌 위험이 상존하였다.한편, 대형 주차장의 경우, 메인 컨트롤러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주차 정보를 수집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므로 복수의 주차 차량 감지기와 메인 컨트롤러를 연결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배선을 주차장 내부에 새롭게 포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오차가 감소된 차량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다중 센서 모듈을 소형으로 제작하여 과다한 바닥 굴착을 방지하고, 유지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밖에도, 효율적인 정보 전송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시간 차량 인식 및 수집된 정보에 따른 경고, 주차 위치 안내 및 요금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센서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오차가 감소된 차량 인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다중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바닥 굴착을 최소화하여 바닥면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 관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밖에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 정보 수집이 가능하고, 배선이 필요 없어 주차 공간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와 게이트웨이(20), 메인 서버(30), 출입 관리기(40)를 포함한다. 주차 공간의 바닥면에 매설된 센서 노드(10)에서 주차 공간을 통과하는 차량을 인식하면, 그 정보는 게이트웨이(20)로 전송되고, 게이트웨이(20)에서는 전송 정보에 따라서 카메라를 동작시켜 차량 비디오 영상을 획득한 후, 영상 정보를 센서 노드(1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함께 메인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 노드(10)와 게이트웨이(20) 간의 정보 전송에는 지그비(ZigBee) 통신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20)와 메인 서버(30) 간의 정보 전송에는 광대역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서버(30)는 수신한 차량의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주 차 공간을 안내하거나 요금을 계산하고, 차량의 출입 시 출입 관리기(40)를 제어한다. 상기 메인 서버(3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출입 관리기(4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차량의 요금을 정산하여, 개폐기를 작동시키고, 주차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게 주차 공간에 대해 안내한다.
상기 센서 노드(10)는 도 2에서 보듯이 다중 센서 모듈(11)과 센서통신 모듈(12), 전원 모듈(13) 및 센서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대표적으로 지자기 센서가 사용된다. 차량이 도로에 정차하거나 도로를 통과하면 차량에 의해 땅에서 올라오는 지구 자기장의 값이 바뀌는데, 이러한 지구의 자기장을 지자기(地磁氣) 센서로 감지하여,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지자기 센서 및 차량이 지나간 후에, 지자기의 변화로 인한 차량 인식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에서 VCC는 전원(전압), R1 및 R2는 각각 저항, GND는 그라운드, V_OUT은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VCC에 전원을 인가하면 R1, R2의 저항값에 의해 VCC 전압이 분배되어 V_OUT(일정한 값)으로 출력되는데, R1은 지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저항이고(저항값이 변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변함), R2가 자기장의 영향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성질이 있으면(저항값 변함) 출력전압(V_OUT) 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V_OUT의 변화량으로부터 자기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b에는 이러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인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금속성분이 강한 부분에 자기장이 집중하는 지자기의 성질에 따라, 차량을 통과하는 지자기 밀도선의 소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바퀴부분에는 지자기 밀도가 높고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 차량의 바퀴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이 지자기 센서 위를 지나가면 지자기 센서는 자기장의 변화를 도 3b의 하단 그래프와 같이 출력전압의 변화로 인식하게 된다.
지자기 센서는 종류에 따라서 검지 영역 범위(gauss)가 다양한데, 차량 인식에는 이방성 자기저항 센서(AMR : Anisotropic Magnetoresistive, 이하 'AM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구에서 발생하는 지자기 범위를 검지 영역에 포함하는 지자기 센서는, Squid, Fiber-Optic, Optically Pumped, Nuclear Procession, Search-Coil, Anisotropic Magnetoresistive(AMR) 및 Flux-Gate 등이 있다. 지구 자기장(Earth's Field)의 범위 뿐 아니라, 차량이 지나가면서 변할 수 있는 범위의 지자기까지 검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 중, 경제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는 AMR(Anisotropic Magnetoresistive)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은 지자기 센서와 상기 지자기 센서의 자세를 보정하는 보정 센서, 검지 조건에 따라서 지자기 센서의 검지값을 보정하는 보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MR 센서는 도 4a에서 보듯이, X, Y, Z의 3축의 지자기 변화를 검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Z축의 지자기 변화로는 차량의 존재 유무를 파악할 수 있고, Y축의 지자기 변화로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X축의 지자기 변화로는 차량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지나가면 Z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가 감지되므로 Z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차량을 검지할 수 있고, Y축 방향의 지자기 값이 "0"에서 양수가 된 경우를 정방향으로 볼 때, "0"에서 음수가 된 경우를 역방향으로 분류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X축 방향의 지자기 값으로 차량의 넓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종류 식별이 가능하다. 한편, 하나의 센서 노드(10)와 이에 인접한 다른 센서 노드(10)에서 차량이 검지된 시각 및 센서 노드(10) 사이의 거리를 분석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b에는 AMR 센서의 검지 영역을 보여주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는데, 차량이 통과하기 전에는 AMR 센서의 검지값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초기화 상태이다.
이러한 초기화 상태는 AMR 센서가 매설된 위치로부터 반경 1.5m 이내의 영역 내에 차량이 없는 경우에 지속되며, 상기 영역 내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AMR 센서는 지자기 변화를 측정하는 검지 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이 AMR 센서 매설 위치를 통과하기 0.5m 전부터 AMR 센서를 통과한 후 약 0.3m까지의 영역에서 지자기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재질, 차량의 크기, 차체의 높이 및 차체 금속의 양 등에 따라 검지 거리가 달라지므로 상기한 차량 인식 반경이 모든 차량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차량이 지자기 변화량 측정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AMR 센서는 휴면 상태가 되고, 다음 차량이 통과하기 전까지 초기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검지 및 휴면 상태를 반복한다.
상기 AMR 센서 등의 지자기 센서로 차량의 존재, 진행방향, 크기를 식별할 수 있으나, 지자기 변화의 검지는 온도와 습도, 진동에 영향 받으므로, 실제 검지 환경이 검지 기준 온도, 습도와 다르거나 진동이 있는 경우, 이를 보상함으로써 지자기 센서의 검지값을 보정하는 보조 센서인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 진동 센서가 센서 모듈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 다중 센서 모듈(11)이 주차공간의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에 경사나 회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지자기 센서의 위치 및 자세 변화로 인한 지자기 변화 검지값의 이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 및 자세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정 센서가 상기 센서 모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3축 AMR 센서, 보조 센서, 보정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11)에서 검지된 결과값은 센서통신 모듈(12)을 통하여 게이트 웨이(20)로 전송되며 게이트 웨이(20)에서 메인 서버(30)로 전송된다. 상기 센서 노드(10)의 센서통신 모듈(12)은 매립형 안테나로, 도 5a 및 도 5b에서 보듯이, 다중 센서 모듈(11), 전원 모듈(미도시)과 함께 센서 케이스(14)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 케이스(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센서 모듈(11), 센서통신 모듈(12) 및 전원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며, 주차 공간의 바닥 하면에 매설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본체(15)와 상기 케이스 본체(15)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케이스(14)는 노상 하면에 매설되므로, 상기 전원 모듈로 배터리를 사용하며, 부피가 큰 전원 모듈은 상기 센서 케이스 본체(15)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과 센서통신 모듈(12)은 상기 덮개(16) 하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16)의 상면에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검지할 수 있도록, 차량 진행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센서 케이스가 매설되도록 방향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는 덮개 상면에 화살표가 차량 진행의 정방향을 가리키도록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화살표 방향에 맞추어 상기 지자기 센서의 Y축 (진행 방향 감지 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을 배치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케이스(14) 매설 후에 경사 또는 회전이 발생하는 등 최초 매설 자세 및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지자기 센서에서 검지한 결과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경사 센서, 회전 센서와 같은 보정 센서가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게이트웨이(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센서 노드(10)로부터 차량 인식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메인 서버(30)로 송신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이 포함된 센서 노드(10)로부터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수신한다. 상기 게이트웨이(20)와 상기 센서 노드(10) 사이의 통신에는 단거리 지그비(ZigBee) 통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게 이트웨이(20)는 인접한 여러 개의 센서 노드(10)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웨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노드(10)의 센서통신 모듈(12)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센서통신 모듈(22) 및 메인 서버(3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합 무선통신 모듈(21)을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센서 노드(10)와는 단거리 지그비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게이트웨이(20) 또는 메인 서버(30)와는 WiBro, Wi-Fi, Wi-MAX 등 광대역 무선통신이나 Ethernet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시각 센서로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어, 센서 노드(10)로부터 수신한 지자기 변화 검지값에 따라 카메라를 작동시켜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이 역방향으로 진행하거나 규정 속도를 위반한 경우 등 이상 검지값이 수신될 경우 상기 검지값을 분석하여 카메라가 상기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진·출입 방향이 정해진 주차공간에서 차량이 역방향으로 진행할 경우에 센서 노드(10)에 의하여 역방향 진행이 감지되며, 해당 정보가 게이트웨이(20)로 전송되면 카메라가 정보를 전송한 센서 노드(10)를 찾아 해당 차량을 촬영한다. 이처럼, 카메라 작동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센서 노드(10)로부터 수신한 지자기 변화 검지값과 함께 상기 메인 서버(30)로 전송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메인 서버(30)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 다. 상기 메인 서버(30)는 무선통신 모듈(31), 공간관리 모듈(32), 시간관리 모듈(33), 요금관리 모듈(34)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31)은 게이트웨이(20)의 복합 무선통신 모듈(21)로부터 지자기 변화 검지값과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지자기 변화 검지값으로부터 차량을 인식하고,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자기 센서의 3축 감지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는 주·정차 정보를 설명한다.
먼저 Z 축 방향 센서 검지값의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차량의 존재 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Z 축 방향 센서의 검지값에 변화가 없는 경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해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X 축 방향 센서 검지값의 분석을 통해 차량 진행방향에 수직한 차량의 폭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차종을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크기나 차종을 구별함으로써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종을 파악하여 적절한 주차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주차 요금 산정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Y 축 방향 센서 검지값의 분석을 통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이동 공간에서의 반대 방향 진입이나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지자기 센서의 검지값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면 상기 지자기 센서가 매립된 도로 상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속 배치된 지자기 센서 사이의 거리와 상기 양 지자기 센서에서 검지된 Z 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이용하여 양 지자기 센서 사이의 거리를 통과하는 차량의 통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Z 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통해 차량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통과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지만, Y 축 또는 X 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 검지값 역시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여 변화되므로, 양 지자기 센서에서 X (Y) 축 방향의 지자기 변화가 검지되는 순간 사이의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지자기 센서는 초기화 상태에서 차량이 검지 영역 내로 들어오면 검지 상태로 전환되는데, 인접한 지자기 센서를 통과할 때, 초기화 상태에서 검지 상태로 전환되는 시각을 확인하여 양 지자기 센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양 지자기 센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통과 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화 상태에서 검지 상태로 전환되는 시각은 X 축, Y 축 또는 Z 축 방향의 센서 중 어느 것에서나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주차 공간 내에서 이동는 차량의 속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진·출입하는 다른 차량과의 충돌 등 위험이 있으므로, 게이트웨이(20)의 알람부가 작동하여 과속 경보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센서 노드(10)의 지자기 변화 검지값으로부터 메인 서버(30)가 차량을 인식하면, 공간관리 모듈(32)과 시간관리 모듈(33)에서는 각각 해당 차량이 주차 공간을 얼마나 점유하고 있었는지 시간을 계산한다. 상기 요금관리 모듈(34)은 상기 시간관리 모듈(33)을 통해 계산된 주차 시간에 따라 차량의 주차 요 금을 계산하는데, 이는 주차된 공간, 주차 차량의 크기 및 종류 등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차가 2층 주차장의 주차 공간 크기가 작은 A 구역에 주차되어 있던 경우와 중형차가 1층 주차장의 주차 공간 크기가 큰 B 구역에 주차되어 있던 경우에 각기 다른 시간당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20)에 알람부가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알람부의 작동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순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a를 살펴보면, 센서 노드(10)로부터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수신한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지자기 변화 검지값 중에서 별도로 알람 데이터를 분리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알람에 해당되는지를 분류한다. 상기 알람의 종류로는 역주행, 불법 주·정차 등이 있으며, 상기 알람 데이터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경보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각 분류에 해당하는 알람 경보를 발하고, 해당 알람 경보를 발한 기록을 메인 서버(30)로 전송한다.
도 8b에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알람의 제어 명령이 게이트웨이(20)로 전송되는 작동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의 작동 순서와 달리, 상기 게이트웨이(20)에서 수신된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분석하지 않고, 메인 서버(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센서 노드(10)로부터 메인 서버(30)로 직접 정보가 전송된 경우, 메인 서버(30)에서는 상기 지자기 변화 검지값 중에서 별도로 알람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알람에 해당되는지를 분류한다. 상기 알람의 종류로는 역주행, 불법 주·정차 등이 있으며, 상기 알람 데이터가 기준값을 초과 하여 경보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게이트웨이(20)에 알람 경보 등의 추가조치 사항을 요청하는 명령이 전송된다. 이처럼, 센서 노드(10)로부터 수신된 지자기 변화 검지값 중에서 알람 데이터를 분리 수집하여 어느 종류의 알람에 해당하는지를 분류하고, 알람 경보 등의 조치를 하는 프로세스는 메인 서버(30)를 거치지 않고 게이트웨이(20)에서 직접 알람 데이터를 분리, 분류, 알람 경보하는 방법과 메인 서버(30)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웨이(20)에서는 알람 경보 등의 추가 조치만 취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도 8a와 도 8b의 프로세스가 병렬적으로 진행되거나, 직렬적으로 연속하여 진행될 수도 있으며,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특정 알람 경보는 게이트웨이(20)에서 알람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보를 수행하고, 특정 알람 경보에 대해서는 메인 서버(30)에서 이를 분석하여 게이트웨이(20)로 추가 조치 명령을 전송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게이트웨이(20)에 구비되는 알람부의 제어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프로세스가 상술한 카메라의 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출입 관리기(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출입 관리기(4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진·출입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41), 메인 서버(30)의 제어에 따라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 모듈(42),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개폐 모듈(43), 진입 차량에게 빈 주차 공간을 안내하는 안내 모듈(44)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41)은 메인 서버(30)로부터 차량 및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 요금에 관한 정보를 메인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정산 모듈(42)을 통해 요금을 정산한 후 개폐 모듈(43)을 통해 개폐기를 작동시켜 차량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출입 관리기(40) 통과 전에 설치된 센서 노드(10)에서 감지된 차량 진입에 관한 검지값 정보가 게이트웨이(20)를 거쳐 메인 서버(30)로 전송되는데, 상기 메인 서버(30)의 공간관리 모듈(32)에서 현재 빈 주차 공간이 없다고 분석되면, 상기 메인 서버(30)는 상기 출입 관리기(40)에 개폐기 작동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출입 관리기(40)의 개폐 모듈(43)은 개폐기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밖에도, 상기 출입 관리기(40)의 안내 모듈(44)은 메인 서버(30)의 공간관리 모듈(32)에서 분석한 주차 가능한 공간 정보를 수신하여 진입 차량에 주차 가능한 공간을 안내하는데,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주차 가능한 공간을 표시하거나, 주차 가능한 공간의 구역 번호 (예: 2층 A구역 103번)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디스플레이에는 주차 가능한 공간 뿐 아니라,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 공간까지의 개략적인 경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1)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주차장의 주차 공간 및 차량 이동 통로 하부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11)과 센서통신 모듈(12)을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14)가 매설되어 있어, 그 상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정보를 지자기 변화 검지값의 형태로 수집한다. 상기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존재, 크기, 차종, 속도, 진행 방향 등이며 단거리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게이트웨이(20)로 전송된다.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센서 노드(10)로부터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전송받아 이를 메인 서버(30)로 전송하는데, 상기 지자기 변화 검지값에 따라, 게이트웨이(20)에 구비된 알람이나 카메라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기 변화 검지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역방향 이동이 판단되면 게이트웨이(20)에 구비된 알람이 운전자에게 역주행임을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차량 주차와 이에 대한 요금 관리뿐 아니라, 불법 주·정차의 단속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법 주·정차 단속 구간의 노상 하면에 센서 노드(10)를 설치하고, 그 상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노드(10)에서 차량의 존재와 차량을 식별하고, 그 정보를 게이트웨이(20)를 거치거나 직접 메인 서버(30)로 전송하면, 메인 서버(30)의 시간관리 모듈(33)에서 상기 차량이 일정 시간 이상 주차 또는 정차하는지를 분석하고, 불법 주차 또는 정차라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20)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불법 주·정차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게이트웨이(20)에서 불법 주차 또는 정차를 판단하여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선불식 주차 시스템의 경우에도, 차량의 존재가 인식된 후, 센서 노드(10)에서 지자기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시간을 주차 시간으로 분석하여, 선불한 주차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거나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지연된 시간만큼의 주차 요금을 징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지자기 센서의 원리와, 차량이 지나간 후에 지자기의 변화로 인한 차량 인식 원리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센서 노드를 구성하는 지자기 센서 중 AMR 센서의 측정 결과와 측정 내용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b는 AMR 센서의 측정가능 거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센서 노드가 설치된 매립 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 서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에 구비된 알람부의 작동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출입 관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10...센서 노드
11...다중 센서 모듈 12, 22...센서통신 모듈
13...전원 모듈 14...센서 케이스
15...케이스 본체 16...덮개
20...게이트웨이 21...복합 무선통신 모듈
30...메인 서버 31, 41...무선통신 모듈
32...공간관리 모듈 33...시간관리 모듈
34...요금관리 모듈 40...출입 관리기
42...정산 모듈 43...개폐 모듈
44...안내 모듈

Claims (11)

  1. 센서 노드(10)와 게이트웨이(20), 메인 서버(30) 및 출입 관리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노드(10)는 차량을 인식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11),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을 통해 검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하는 센서통신 모듈(12)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센서 노드(1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통신 모듈(22), 상기 센서통신 모듈(22)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메인 서버(30)로 송신하는 복합 유.무선통신 모듈(21)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서버(30)는 상기 게이트웨이(2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31),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와 빈 주차 공간 정보를 분석하는 공간관리 모듈(32), 식별된 각 주차 차량이 주차 공간 점유 시간을 분석하는 시간관리 모듈(33) 및 상기 공간관리 모듈(32)과 시간관리 모듈(33)로부터 분석된 각 주차 차량의 해당 주차 공간 점유 시간으로부터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요금관리 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기(40)는 상기 메인 서버(30)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41), 메인 서버(30)의 제어에 따라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 모듈(42),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개폐 모듈(43) 및 진입 차량에게 빈 주차 공간을 안내하는 안내 모듈(44)을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10)와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센서 노드(10)와 상기 게이트웨이(20)에 각각 구비된 센서통신 모듈(12, 22) 사이의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20)와 상기 메인 서버(30)는 상기 게이트웨이(20)의 복합 무선통신 모듈(21)과 상기 메인 서버(30)의 무선통신 모듈(31) 사이의 광대역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센서는 AMR 센서로서 X, Y, Z축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은 지자기 센서,
    상기 지자기 센서의 검지 환경에 따른 검지값 오차를 보상하는 보조 센서,
    상기 지자기 센서의 위치 및 자세 변화를 보상하는 보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센서는 경사 센서, 회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10)에 포함되는 다중 센서 모듈(11), 센서통신 모듈(12) 및 전원 모듈(13)은 센서 케이스(14) 내부에 수용되어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센서 케이스(14)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본체(15)와 상기 케이스 본체(15)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 본체(15)의 수용 공간에는 전원 모듈(13)이 배치되고,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과 센서통신 모듈(12)은 상기 덮개(16)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6)의 상면에는 차량 진행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케이스(14)가 매설되도록 방향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20)에는 카메라 또는 알람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1. 센서 노드(10)와 게이트웨이(20)), 메인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주·정차 단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노드(1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지점에 설치되며, 차량을 인식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 센서 모듈(11), 상기 다중 센서 모듈(11)을 통해 검지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하는 센서통신 모듈(12)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센서 노드(1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통신 모듈(22), 상기 센서통신 모듈(22)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메인 서버(30)로 송신하는 복합 무선통신 모듈(21), 카메라부, 알람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서버(30)는 상기 게이트웨이(2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31), 불법 주·정차 단속 지점에 주차된 차량이 있는지 판별하는 공간관리 모듈(32), 불법 주·정차 차량이 단속 지점을 점유한 시간을 분석하는 시간관리 모듈(33)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2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촬영, 알람 명령에 따라 카메라부와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0090118493A 2009-12-02 2009-12-02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KR10107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93A KR101074283B1 (ko) 2009-12-02 2009-12-02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93A KR101074283B1 (ko) 2009-12-02 2009-12-02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943A true KR20110061943A (ko) 2011-06-10
KR101074283B1 KR101074283B1 (ko) 2011-10-19

Family

ID=443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493A KR101074283B1 (ko) 2009-12-02 2009-12-02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2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50A1 (ko) * 2013-03-26 2014-10-02 Kim Tae Sung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37635B2 (en) 2013-04-01 2016-0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5825705A (zh) * 2016-01-04 2016-08-03 杨彦兵 车位检测与引导系统及方法
WO2016150732A1 (en) * 2015-03-23 2016-09-2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uminaire parking guidance
KR2018004711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이그쉐어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주차 유도 시스템
WO2018139814A1 (ko) * 2017-01-26 2018-08-02 (주)제이엔디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662A (ja) 2006-04-12 2007-11-01 Mitsubishi Electric Corp 駐車場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738514B1 (ko) 2006-10-17 2007-07-11 (주)코아텍코퍼레이션 주차관리 및 주차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0853191B1 (ko) 2006-12-08 2008-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주차 안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50A1 (ko) * 2013-03-26 2014-10-02 Kim Tae Sung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37635B2 (en) 2013-04-01 2016-0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O2016150732A1 (en) * 2015-03-23 2016-09-2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uminaire parking guidance
JP2018517228A (ja) * 2015-03-23 2018-06-28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照明器具による駐車誘導
CN105825705A (zh) * 2016-01-04 2016-08-03 杨彦兵 车位检测与引导系统及方法
KR2018004711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이그쉐어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주차 유도 시스템
WO2018139814A1 (ko) * 2017-01-26 2018-08-02 (주)제이엔디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283B1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701B1 (ko) 터널교통 상황정보 시스템
KR101074283B1 (ko)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주·정차 관리 시스템
CN102339531B (zh) 路边交通探测系统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0969324B1 (ko)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JP3141933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CN111435569B (zh) 车辆控制装置及车辆控制方法
US105658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ccupancy status of parking facilities
KR101014244B1 (ko) 축거 및 축수 기반 차종 인식 시스템
CN104881897B (zh) Etc车道车辆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1448472A (zh) 用于识别机动车的至少一个环境传感器的功能故障的方法和控制装置
CN108172021A (zh) 一种基于摄像机和电子车牌读写器的路侧停车管理系统
KR100988735B1 (ko) 교통상황 정보수집 시스템
KR100814028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CN110880241A (zh) 智能卡口通道系统以及采集在通道内通过的车辆的信息的方法
JP2007047875A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CN109584612A (zh) 停车场巡检机器人及装置
KR101937604B1 (ko) 타이어 패턴 판정 장치, 차종 판별 장치, 타이어 패턴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146837A (ko)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감시시스템
CN208673527U (zh) 高速公路收费通道专用车辆检测传感装置
KR101907506B1 (ko) 하이패스로 진입하는 차량의 통행료의 이중 징수 방지가 가능한 안테나가 구비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
KR102015723B1 (ko)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JPH0896181A (ja) 道路課金システム
WO2011158038A1 (en) Tracking method
KR102270883B1 (ko)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