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371A -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371A
KR20110061371A KR1020090117994A KR20090117994A KR20110061371A KR 20110061371 A KR20110061371 A KR 20110061371A KR 1020090117994 A KR1020090117994 A KR 1020090117994A KR 20090117994 A KR20090117994 A KR 20090117994A KR 20110061371 A KR20110061371 A KR 20110061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end member
coupled
vehicle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716B1 (ko
Inventor
박지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좌,우 양측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단면형상을 리어사이드멤버;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의 후방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의 결합부위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엔드멤버; 상기 리어엔드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백판넬; 그리고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백판넬 사이의 공간에 후방단부가 위치하며, 후방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부가 상기 리어엔트멤버의 장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리어엔드멤버와 리어사이드멤버는, 보강부재 등을 통해서폐단면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은 결합을 할 수 있다.
리어엔드멤버, 리어사이드멤버, 리어플로어, 백판넬, 보강부재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Rear end member connec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엔드멤버와 리어사이드멤버의 결합강도를 확보함으로써 후방충돌성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후방충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어플로어의 좌,우 사이드멤버 양 단부를 연결하는 폐단면 구조의 리어엔드멤버를 장착한다. 도 1의 (a)는 종래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b)는 (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리어엔드멤버(100)는 자동차의 리어플로어(110) 후방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리어플로어(110)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멤버(130)의 후방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리어엔드멤버(100)의 후방으로는 백판넬(140)이 결합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리어엔드멤버(100)에는 사이드멤버(13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1)가 용접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리어엔드멤버(100)가 폐단면을 형성하지 못하고 평평한 판넬형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리어엔 드멤버(100)의 전방면에 사이드멤버(130)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부분에서 굽힘 하중이 취약하며, 그 결과 후방충돌로 인해서 사이드멤버(130)와 리어엔드멤버(100)와의 결합부분 중 하나의 부분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돌하중을 다른 사이드멤버(130)로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후방충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좌,우 양측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단면형상을 리어사이드멤버;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의 후방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의 결합부위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엔드멤버; 상기 리어엔드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백판넬; 그리고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백판넬 사이의 공간에 후방단부가 위치하며, 후방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부가 상기 리어엔트멤버의 장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서, 상기 리어엔드멤버는 상기 장착홀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 상기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상기 보강부재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좌면이 결합되며,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상기 백판넬 사이의 공 간에 설치되는 범퍼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서, 상기 범퍼장착브라켓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후방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서 리어엔드멤버와 리어사이드멤버는, 보강부재 등을 통해서폐단면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은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후방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리어사이드멤버가 좌면에서 리어엔드멤버와 결합됨과 동시에, 리어엔드멤버의 장착부와도 결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보강부재가 리어엔드멤버)와 리어사이드멤버와 결합됨과 동시에 범퍼장착브라켓과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보강부재가 범퍼장착브라켓의 몸체 및 연장부를 통해서 이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 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를 자동차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및 리어엔드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을 자동차의 후방에서 본 수직방향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자동차를 기준으로 하여 앞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자동차의 뒤쪽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2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리어사이드멤버(30)와, 자동차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엔드멤버(10)를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결합함으로써 결합강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어사이드멤버(30)는 자동차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플로어판넬(20)의 좌,우 양측에서 자동차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위치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어사이드멤버(30)는 양측면(31)과 하면(3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단면(U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리어사이드멤버(30)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재이며, 후방단부(33)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좌면(34)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엔드멤버(10)는 자동차의 후방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리어사이드멤버(30)의 후방단부(33)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단부(33)의 좌면(34)이 리어엔드멤버(10)의 전방면에 용접결합된다. 또한 리어엔드 멤버(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어사이드멤버(30)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장착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홀(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장착부(12)가 상부를 제외한 3개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리어사이드멤버(30)의 후방단부(33)는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 장착부(12)를 감싸면서 리어엔드멤버(10)와 결합된다. 즉, 리어사이드멤버(20)의 후방단부(33)의 좌,우 양측면 및 하면은 3개의 장착면(12)과 각각 용접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10)는 장착면(12)에서 리어사이드멤버(30)와 결합되며, 아울러 리어사이드멤버(30)의 좌면(34)에서 결합됨으로써, 2 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백판넬(40)은 리어엔드멤버(1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어엔드멤버(10)와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에서 리어엔드멤버(10)와 용접결합된다. 또한 백판넬(40)과 리어엔드멤버(10)의 공간(S)에는 보강부재(50) 및 범퍼장착브라켓(60)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재(50)는 도 2의 (b)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면(52)이 형성된 후방단부가 공간(S) 내에 위치한다. 보강부재(50)는 공간(S) 내에 위치하는 후방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부(51)를 구비하며, 전방부(51)는 그 단부가 위에서 설명한 리어엔드멤버(10)의 장착홀(11)을 통과하여 리어사이드멤버(30) 및 리어엔드멤버(10)의 장착면(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용접결합된다. 따라서 리어사이드멤버(30)는 리어엔드멤버(10)의 장착부(12)와 결합됨과 동시에 보강부재(50)의 전방부(51)와도 용접결합된다.
보강부재(50)의 좌면(52)은 그 후방에 위치하는 범퍼장착브라켓(60)과 용접결합된다. 범퍼장착브라켓(60)은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61)와, 몸체(61)에 형성된 홀(62)을 구비한다. 또한 범퍼장착브라켓(60)은 이 홀(62)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를 구비한다. 연장부(62)는 보강부재(5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보강부재(50)와 용접결합된다. 즉, 범퍼장착브라켓(60)은 몸체(61)가 보강부재(50)의 좌면(52)과 결합하는 동시에, 연장부(62)가 보강부재(50)의 내측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강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에서, 리어엔드멤버(10)와 리어사이드멤버(30)는, 보강부재(50) 등을 통해서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은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리어사이드멤버(30)가 좌면(34)에서 리어엔드멤버(10)와 결합됨과 동시에, 리어엔드멤버(10)의 장착부(12)와도 결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보강부재(50)가 리어엔드멤버(10)와 리어사이드멤버(30)와 결합됨과 동시에 범퍼장착브라켓(60)과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는, 보강부재(50)가 범퍼장착브라켓(60)의 몸체(61) 및 연장부(62)를 통해서 이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b)는 (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를 자동차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및 리어엔드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을 자동차의 후방에서 본 수직방향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어엔드멤버 20 : 리어플로어
30 : 리어사이드멤버 40 : 백판넬
50 : 보강부재 60 : 범퍼장착브라켓

Claims (4)

  1.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좌,우 양측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단면형상을 리어사이드멤버,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판넬 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의 후방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의 결합부위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엔드멤버,
    상기 리어엔드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백판넬, 그리고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백판넬 사이의 공간에 후방단부가 위치하며, 후방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부가 상기 리어엔트멤버의 장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엔드멤버는 상기 장착홀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와 상기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좌면이 결합되며, 상기 리어엔드멤버와 상기 백판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범퍼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장착브라켓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후방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구조.
KR1020090117994A 2009-12-01 2009-12-01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KR10104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94A KR101047716B1 (ko) 2009-12-01 2009-12-01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94A KR101047716B1 (ko) 2009-12-01 2009-12-01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71A true KR20110061371A (ko) 2011-06-09
KR101047716B1 KR101047716B1 (ko) 2011-07-08

Family

ID=4439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994A KR101047716B1 (ko) 2009-12-01 2009-12-01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3017B2 (ja) * 2002-11-01 2008-05-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JP4486337B2 (ja) * 2003-10-14 2010-06-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4399475B2 (ja) * 2007-04-04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フレー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716B1 (ko) 201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3060B2 (ja) 車体後部のフロア構造
CN105313982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JP6346979B2 (ja) シート用フレーム
JP4853080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14097714A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JPWO2013069086A1 (ja)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JP6139501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9248818A (ja) 車体前部構造
JP4421380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6225653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9415095B (zh) 驾驶室的底面部构造
JP4753071B2 (ja) 車両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け構造
JP5320371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0820139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1047716B1 (ko) 자동차의 리어엔드멤버 결합 구조
KR100931215B1 (ko) 차량의 크로스멤버구조
CN101541620B (zh) 车辆的前部结构
JP2012171390A (ja) リヤ・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KR102630556B1 (ko) 차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4729015B2 (ja) 車体のフレーム用連結部材
JP6172046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13100108A (ja) 車体下部構造
JP2012166599A (ja) 車両の車体構造
JP5134324B2 (ja) 車体前部構造
JP2010167979A (ja) 車両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