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974A -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974A
KR20110059974A KR1020090116432A KR20090116432A KR20110059974A KR 20110059974 A KR20110059974 A KR 20110059974A KR 1020090116432 A KR1020090116432 A KR 1020090116432A KR 20090116432 A KR20090116432 A KR 20090116432A KR 20110059974 A KR20110059974 A KR 2011005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ontainer
sealing piece
flang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206B1 (ko
Inventor
안종원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09011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열성형 하여 일정한 공간의 용기부를 만들고 그 공간 안에 약품이나 기타 제품을 충입(衝入)시키고 용기부의 플랜지에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커버지를 부착시켜 구성되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에 있어 반복적인 재 밀봉이 가능하고 개봉된 토출구의 밀폐성을 개선하도록 한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부의 상측 플랜지를 연장시키고 이에 절첩 유도홈이 구비된 절첩 실링편을 구성하여 내용물의 사용 후 절첩 실링편을 절첩하여 토출구를 밀폐차단토록 함은 물론 용기부의 플랜지와 절첩 실링편의 양측에 각각 걸림변부 및 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가진 걸편을 두어 필요에 따라 절첩 상태의 절첩 실링편이 절첩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로킹시켜 주도록 하며, 절첩 실링편과 걸편의 하변 연결부에는 일정 깊이로 내향되는 절결부를 두어 걸편에 휨에 대한 탄성적인 변형력을 향상시켜 로킹 시 걸림돌부의 외력 감소와 작동의 원활함 및 커버지의 초기 절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절첩 실링편의 상부에는 걸림구멍을 가진 고리부를 두도록 하여 용기의 진열이나 보관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블리스터 패키지, 재 밀봉, 절첩유도홈, 절첩실링편, 걸편, 절결부.

Description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RESEALABLE BLISTER PACKAGE}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열성형 해, 일정한 공간의 용기부를 만들고 그 공간 안에 약품이나 기타 제품을 충입(衝入)시키고 용기부의 플랜지에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커버지를 부착시켜 구성되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에 있어 반복적인 재밀봉이 가능하고 개봉된 토출구의 밀폐성을 개선하도록 한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부의 상측 플랜지를 연장시키고 이에 절첩 유도홈이 구비된 절첩 실링편을 구성하여 내용물의 사용 후 절첩 실링편을 절첩하여 토출구를 밀폐차단토록 함은 물론 용기부의 플랜지와 절첩 실링편의 양측에 각각 걸림변부 및 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가진 걸편을 두어 필요에 따라 절첩 상태의 절첩 실링편이 절첩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로킹시켜 주도록 하며, 절첩 실링편과 걸편의 하변 연결부에는 일정 깊이로 내향되는 절결부를 두어 걸편에 휨에 대한 탄성적인 변형력을 향상시켜 로킹 시 걸림돌부의 외력 감소와 작동의 원활함 및 커버지의 초기 절결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절첩 실링편의 상부에는 걸림구멍을 가진 고리부를 두도록 하여 용기의 진열이나 보관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필름 또는 시트로서의 포장방법의 일종이며 포장하려고 하는 상품의 형상에 따라 제작한 금형을 성형기에 설치하고, 압공 또는 진공 성형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부푼 부분에 내용물 또는 제품을 넣은 뒤, 성형된 필름 또는 시트의 평평한 부분(플랜지 부분)만을 히트 실(heat seal)또는 접착하는 방법으로서 식용품, 일용품, 잡화, 정제약품, 화장품 등의 포장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한편 각종 소스류 등의 식품이나 화장품과 같은 액상이나 크림상 또는 왁스상의 내용물도 블리스터 패키지를 이용하여 포장하고 있으며 이에 적용되는 블리스터 패키지는 임의 형상을 갖는 융출된 용기의 일측 단부에는 제조 공정상 용기와 동일소재로 구성되고 필요시 내부를 개방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단관 형태의 토출부를 연통상태로 두고 있으며 용기의 연부는 평판상의 플랜지부로 구성하되 용기의 개구부와 플랜지부에는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구성되는 봉합용의 커버지를 접착 구성하여서 된 구성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 블리스터 패키지에 있어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종래 구조는 성형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토출부를 횡으로 가로지르는 상태로 플랜지부의 양 단부까지 이어지는 절취선을 두고 내용물의 인출 시 절취선을 기준으로 꺽어 줌으로써 토출부가 절단되면서 입구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구조와, 용기의 플랜지에 부착되는 커버지를 플랜지와 접착되어 밀봉기능을 하도록 하는 접착부와 커버지의 분리 제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와 미접착시켜 분리 가능토록 하는 미접착부가 구성되도록 하되 접착부의 절개부위가 상기 토출부를 직선으로 관통하도록 절취선을 부여하도록 하는 구성이 있는 것이다.
한편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량은 일회용으로 모두 소모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다수 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을 수용하는 것이어서 토출부를 개방시킨 후에도 사용 후에 입구를 실링시켜 줄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는 것이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토출부의 개봉구조는 절취선을 통해 토출부에 접하는 커버지를 절취시키면 반원형의 토출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내용물의 토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개방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막아 줄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별도의 마개 등을 준비하여 막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만일 입구를 밀봉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입구를 통해 용기 내로 침투하여 내용물을 변색 및 변취 등의 변질을 유발하게 되거나 또는 경화시켜 사용수명의 단축과 부작용을 유발할 위험이 농후하여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으며,
또한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누출될 우려가 많아 토출부 주변을 오염시켜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주의력를 가지고 용기를 똑바로 세워 놓아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노출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인의 선 출원 등록번호 20-0316761호의 구조에서는 용기의 플랜지에 부착되어 밀폐기능을 하는 커버지를 접착부와 분리를 위한 미접착부가 구성되도록 접착시킴에 있어, 커버지의 접착부 내에 용기의 토출부와 통하는 상태로 일정 면적의 토출용 미 접착부를 인위적으로 구성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미접착부에 용기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고 절개부위가 상기 토출용 미접착부 를 직선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절취선을 구성하도록 하여 평판형 플랜지 상에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도록 하여 용기의 압압과 압압 해제에 따라 토출용 미접착부가 강제적으로 벌어지면서 내용물을 토출하거나 토출용 미접착부가 원상태로 팽팽히 당겨져 평면을 유지하면서 플랜지상에 밀착되도록 하여 자동적으로 입구를 폐쇄시켜주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실링성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구조가 알려지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본인의 선 출원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개선의 여지가 있어 왔던 것이다.
첫째,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플랜지에서 분리된 미접착부를 절취시켜 개봉된 토출구는 내용물의 원하는 양의 내용물의 인출 후 용기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토출용 미접착부를 팽팽하게 당겨 토출구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나,
이는 토출된 내용물의 잔류물이 그대로 토출구 입구 주변에 묻어 외부로 노출되는 관계로 용기의 외관이 지저분하게 되고 노출된 내용물의 경화 및 산패 우려가 많아 추후 사용 시 일일이 입구 부분의 내용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노출 오염되는 내용물이 나머지 내부의 전체 내용물까지 오염시킬 우려가 커서 비위생적이며,
둘째, 탄성 복귀력만을 통해 밀폐되는 토출구는 토출구 입구측의 잔존 내용물로 인해 토출구의 완전한 밀착 밀폐가 어려워 사실상 입구가 미약하게 열려있는 상태가 되어 용기의 이동이나 소지 등 용기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어려워 토출구를 추가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보강 밀폐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의 사용 후 절첩 실링편을 절첩하여 일차적으로 밀폐된 토출구를 추가적으로 밀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밀폐력을 보강하고 토출구 주변의 내용물을 커버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의 토출구 실링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걸편이 걸림변을 통해 선택적으로 로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첩 실링편이 절첩 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용기의 휴대 등에 따른 외력 부여 시에도 내용물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의 토출구 실링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결부를 통해 로킹 시 걸림돌부로의 외력 감소와 작동의 원활함 및 커버지의 초기 절결을 유도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의 토출구 실링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부의 상측 플랜지를 연장시키고 이에 절첩 유도홈이 구비된 절첩 실링편을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의 플랜지와 절첩 실링편의 양측에 각각 걸림변부 및 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가진 걸편을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 실링편과 걸편의 하변 연결부에 일정 깊이로 내향되는 절결부를 두어 걸편에 휨에 대한 탄성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존에 식품, 의약품, 화장품의 소량 포장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파우치(샤쉐) 또는 블리스터 포장의 경우에는 한번 사용하면 다시 밀봉하는 것이 불가능해 일회 사용 후 대부분 폐기해야하나,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를 사용함으로서 수회에 걸쳐 나눠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절첩 가능한 절첩 실링편을 통해 내용물의 사용 후 개봉된 토출구를 추가적으로 밀폐 커버하게 됨으로써 토출구의 밀폐력을 보강하고 토출구 주변의 내용물을 커버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의 플랜지와 절첩 실링편의 양측에 각각 걸림변부 및 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부를 가진 걸편을 둠으로써 절첩 실링편이 절첩 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기의 휴대 등에 따른 외력 부여 시에도 내용물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절결부를 통해 걸편의 탄성적인 변형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로킹 동작 시 걸편의 휨이나 절곡등의 변형이 원활하도록 하여 걸편의 로킹동작이 신속 간편하게 함은 물론 로킹이나 언로킹 시 걸림돌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소되어 해당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토출구의 개봉을 위한 커버지의 초기 절결 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통해 커버지 절결이 원활하고 균일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임의 형상을 갖는 융출된 용기부(1)의 상측 단부에 단관 형태의 토출부(2)를 두며, 용기부(1)의 플랜지(1')에 부착되는 커버지(3)에는 플랜지(1')와 접착되어 밀봉기능을 접착부(3')와 커버지(3)의 분리 제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접착 상태로 구성되는 미접착부(3") 및 용기부(1)의 토출부(2)와 연통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일정 면적의 토출용 미접착부(4)가 구비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상단에 근접되게 플랜지(1')에 횡으로 요입 구성되며 후술하는 절첩 실링편(20)의 절첩시 꺽임 라인의 설정과 저항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절첩 유도홈(10)과;
상기 절첩 유도홈(10)의 상측으로 구성되는 절첩 실링편(20)과;
상기 절첩 실링편(20)의 양단에 돌출 구성되며 내측 상단에 걸림돌부(22)를 구비하는 한 조의 걸편(21)과;
상기 절첩 유도홈(10) 양단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플랜지(1')의 연부에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부(22)가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기 위한 한 조의 걸림변부(30) 와;
상기 걸편(21)의 하측 변부에서 절첩 실링편(20)의 내측으로 절결 구성되며 걸편(21)에 휨에 대한 탄성적인 변형력을 부여시키기 위한 절결부(40)와;
상기 절첩 실링편(20)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구성되며 걸림공(51)을 가진 고리편(5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는 도 3에서와 같이 용기부(1)의 토출부(2)를 토출용 미접착부(4)와 연결되는 상태로 돌출되게 구성하되 이 토출용 미접착부(10)가 접착부(3')의 내부에 위치되어 토출용 미접착부(4)의 둘레에 접착부(3')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미개봉 시 접착부(3')가 토출용 미접착부(4)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부(1)내의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 3및 도 7에서와 같이 걸편(21)에서 미 접착 상태로 분리된 커버지(3)의 미접착부(3")의 일단을 잡고 잡아당기면 미접착부(3")의 절개부위는 절첩 실링편(20)의 내부까지 구성되는 절결부(40)를 따라 찢어지면서 절결부(40)와 이어지는 접착부(3') 및 토출용 미접착부(4)를 연이어 절결시키며 끝까지 잡아당기면 절첩 실링편(2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용기부(1)를 누르기 전에는 실선과 같이 토출용 미접착부(4)가 절첩 실링편(20)상에 밀착되어 절개된 토출구를 밀봉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내용물의 유출방지는 물론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상 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용기부(1)를 눌러주게 되면 용기의 수축에 따라 내용물은 절개된 토출용 미접착부(4)로 이동되면서 토출용 미접착부(4)를 강제적으로 밀어 벌려주면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원하는 양의 내용물이 인출되어 용기부(1)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소멸되고 용기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토출용 미접착부(4)를 팽팽하게 당겨주게 되는 것이어서 토출용 미접착부(4)가 절첩 실링편(20)상에 밀착되면서 개봉된 토출구를 어느 정도 밀폐하게 되는 것이나 토출되지 못한 내용물이 토출용 미접착부(4)내에 잔존함으로 인하여 닫힘 상태가 불완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와 이물질의 접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불완전 밀폐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절첩 실링편(20)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실링성을 보강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걸편(21)과 고리편(50)이 일체로 구성된 절첩 실링편(20)을 잡은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꺽어 주게 되면 절첩 실링편(20)은 절첩 유도홈(10)을 중심으로 뒤로 꺽여져 절첩되고 따라서 절첩 유도홈(10)이 중간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하는 상태로 위치되는 미완전 밀폐된 토출용 미접착부(4)는 중간부분이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꺽여져 출구가 밀폐 차단된다.
이와 같이 절첩 실링편(20)을 완전히 꺽어 절첩시킴으로써 토출용 미접착 부(4)를 완벽하게 밀봉시키고 출구 주변의 오염 상태를 완전히 커버하여 은폐시킨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절첩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절첩 실링편(2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펴지지 않도록 절첩된 위치를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 바, 이때에는 양 걸편(21)을 잡고 살짝 비틀어 내측의 걸림돌부(22)를 용기부(1)가 있는 쪽으로 밀어 주게되면 도 5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걸편 전체(21)는 플랜지(1')의 뒤편에 절첩된 상태로 있고 걸림돌부(22)만이 걸림변부(30)을 타고 앞으로 넘어가 플랜지(1')의 앞편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양 걸편(21)이 걸림변부(30)에 걸려져 로킹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인위적으로 절첩 상태를 해제하기 전에는 절첩 실링편(20)의 절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것으로,
한꺼번에 여러 개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도록 이종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용기부(1)를 하나의 유니트로 연결 구성한 것으로, 각 용기부(1)마다 2개씩의 걸림변부(30)와 걸림돌부(22)가 구비되는 것으로, 작용, 효과는 도 1에서의 단일 용기부의 구조에서와 동일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의 배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용기의 내용물 토출 상태를 보이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절첩 실링편을 절첩시킨 상태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6은 절첩 실링편이 절첩된 상태에서 걸편의 로킹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7은 도 3의 A-A선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커버지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로서 복수개의 용기를 일체로 횡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구조에서 절첩 실링편을 절첩시킨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용기부
1':플랜지
2:토출부
3:커버지
3':접착부
3":미접착부
4:토출용 미접착부
10:절첩 유도홈
20:절첩 실링편
21:걸편
22:걸림돌부
30:걸림변부
40:절결부
50:고리편
51:걸림공

Claims (6)

  1. 임의 형상을 갖는 융출된 용기부(1)의 상측 단부에 단관 형태의 토출부(2)를 두며, 용기부(1)의 플랜지(1')에 부착되는 커버지(3)에는 플랜지(1')와 접착되어 밀봉기능을 접착부(3')와 커버지(3)의 분리 제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접착 상태로 구성되는 미접착부(3") 및 용기부(1)의 토출부(2)와 연통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일정 면적의 토출용 미접착부(4)가 구비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상단에 근접되게 플랜지(1')에 횡으로 요입 구성되며 후술하는 절첩 실링편(20)의 절첩시 꺽임 라인의 설정과 저항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절첩 유도홈(10)과;
    상기 절첩 유도홈(10)의 상측으로 구성되는 절첩 실링편(20)과;
    상기 절첩 실링편(20)의 양단에 돌출 구성되며 내측 상단에 걸림돌부(22)를 구비하는 한 조의 걸편(21)과;
    상기 절첩 유도홈(10) 양단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플랜지(1')의 연부에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부(22)가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기 위한 한 조의 걸림변부(30)와;
    상기 걸편(21)의 하측 변부에서 절첩 실링편(20)의 내측으로 절결 구성되며 걸편(21)에 휨에 대한 탄성적인 변형력을 부여시키기 위한 절결부(40)와;
    상기 절첩 실링편(20)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구성되며 걸림공(51)을 가진 고리편(5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 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유도홈(10)을 절결부(4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절첩 실링편(20)의 절첩 시 내용물의 토출 통로인 토출용 미접착부(3C)의 중간부분이 꺽여져 절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3)는 일축 연신필름으로 구성되는 외층(3A), 인쇄층(3B), 중간 차단층(3C), 무연신 또는 일축 연신필름으로 구성되는 내층(3D)으로 각각 적층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3A)을 구성하는 소재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일축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일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일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에서 택일하여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3D)을 구성하는 소재는 열접착이 가능한 무연신 필름 또는 일축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일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에서 택일하여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차단층(3C)을 구성하는 소재는 내용물 보호를 위한 차단성을 갖는 알루미늄 호일 또는 차단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특히 알루미늄 호일,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 니트릴 필름 중에서 택일하여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20090116432A 2009-11-30 2009-11-30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106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32A KR101064206B1 (ko) 2009-11-30 2009-11-30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32A KR101064206B1 (ko) 2009-11-30 2009-11-30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74A true KR20110059974A (ko) 2011-06-08
KR101064206B1 KR101064206B1 (ko) 2011-09-14

Family

ID=4439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432A KR101064206B1 (ko) 2009-11-30 2009-11-30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7A (ko) * 2017-05-31 2018-12-10 (주)이시스코스메틱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20200127321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036U (ko) 2018-02-01 2019-08-09 엘앤피코스메틱 (주) 책갈피가 구비된 샘플 테스트용 포장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89A (ja) * 1998-11-06 2000-05-23 Sony Corp ブリスタパッケージ
JP2002179140A (ja) * 2000-12-11 2002-06-26 Toppan Printing Co Ltd ブリスターパック
KR200316761Y1 (ko) * 2003-02-28 2003-06-18 안종원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2005008257A (ja) * 2003-06-20 2005-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ブリスター包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7A (ko) * 2017-05-31 2018-12-10 (주)이시스코스메틱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20200127321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206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81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再封かん可能クロージャ
US10583968B2 (en) Sanitary dispensing package
KR100994113B1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EP2480462B1 (en) Reclosable package
WO2010026964A2 (ja) 注出口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US7204368B2 (en) Resealable package
WO2012141355A1 (ko)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CZ116396A3 (en) Self-closing dosing package for a liquid
JP2002536261A (ja) レトルトパッケージ
US20090294315A1 (en) Disposal and Packaging Device
US20080073244A1 (en) Package closure device
KR101064206B1 (ko)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2010143621A (ja) 包装袋
KR200316761Y1 (ko) 개봉된 토출구의 실링성을 개선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5160472B2 (ja) 包装袋
KR20030063353A (ko) 유연한 용기 클로저
JPH10175666A (ja) 同時開封トレー収納カートン
JP2004123152A (ja) 取出口付き袋体
KR200307698Y1 (ko) 친환경적 소재의 적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의토출구 개봉구조
JP3841875B2 (ja) 扱き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容器用中蓋
JP3077569U (ja) 食品包装袋
JP2005298020A (ja) 商品見本収納容器
JP2004106849A (ja) フィルム内袋入り紙袋
JP2011105353A (ja) 袋内包容器及び袋内包容器包装体
CA2477641A1 (en) Pom pt one step with a cross directional ripping-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