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192A -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 Google Patents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192A
KR20110059192A KR1020090115845A KR20090115845A KR20110059192A KR 20110059192 A KR20110059192 A KR 20110059192A KR 1020090115845 A KR1020090115845 A KR 1020090115845A KR 20090115845 A KR20090115845 A KR 20090115845A KR 20110059192 A KR20110059192 A KR 2011005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module
post
driving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932B1 (ko
Inventor
강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일
Priority to KR102009011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9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입고모듈과,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모듈과, 상기 적재모듈이 커플링되어 승강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을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포스트부와,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는 주차모듈을 포함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듀얼 포스트부는 제 1 포스트 및 제 2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포스트 및 상기 제 2 포스트와 함께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가능하여, 동일 면적에 최대한의 주차 대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주차에 소요되는 총 시간이 감소하며, 소비 전력이 저감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를 제공한다.
자전거, 주차타워, 장방형, 방향전환, 듀얼포스트

Description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Rectangular bycicle parking tower}
본 발명은 장방형 대지에 설치 가능한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입고모듈과,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모듈과, 상기 적재모듈이 커플링되어 승강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을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포스트부와,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는 주차모듈을 포함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듀얼 포스트부는 제 1 포스트 및 제 2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포스트 및 상기 제 2 포스트와 함께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가능하여, 동일 면적에 최대한의 주차 대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주차에 소요되는 총 시간이 감소하며, 소비 전력이 저감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주차의 고집적화를 이루기 위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대량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타워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런 자전거 주차타워들은 입고되는 자전거를 일정한 수직 간격으로 이루어진 격납실 내에 자전거를 보관, 방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주차타워들 중에서는 자동차 주차타워 시스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차 방식을 적용한 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자전거별로 정해진 주차대가 회전구동하는 방식에 의해서 정해진 구역에 입고 내지 출고가 되는 구조인데, 상기 주차대 별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공간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일정한 공간에 적재할 수 있는 자전거의 대수가 한정되는 한계가 있게 된다.
종래의 주차타워 기술 중 다른 방식으로는, 자전거를 별도의 수송 수단(이하, 적재모듈)에 의해 이송하여 격납실 내의 고정된 별도의 주차대에 이동시켜서 각각 주차하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기의 방식을 보면, 입고되는 자전거가 진행 방향을 그대로 유지한 채 이동하여 승강 구동을 하는 적재모듈에 인계되어 격납고 내부에서 비어 있는 주차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입고 과정에서 자전거의 진행 방향의 변동 없이 입고 과정이 진행되면, 상기 적재모듈에 입고를 요하는 자전거를 인계하고 다시 입고를 기다리는 다음 자전거에 이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전력의 소모가 증가하게 되며, 특히 자전거를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수단을 써서 강제로 이끌어야 하므로 스트로크 길이가 증가하여 소모 전력은 한층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경제적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주차타워의 궁극적인 목적 중 하나는 좁은 대지 면적 내에 최대한 많은 대수의 자전거를 경제적으로 주차시키는 것인데, 그 대지 면적은 정방형(正方 形) 형상이 아닌 장방형(長方形) 형상인 경우가 다수 존재하여 문제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종래의 주차타워로서 기둥(1)이 회전 및 승강함으로써 기둥(1)에 커플링된 적재모듈이 회전 및 승강하며, 이를 통하여 진입로(103)로 투입된 자전거(10)를 해당 위치에 주차시키는 정방형 주차타워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장방형 대지에 적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장방형 대지에서 자전거(10)가 적재되는 적재모듈이 주차타워의 중앙에 위치하며 기둥(1)은 이와는 약간 이격되어 적재모듈을 회전 및 승강 구동하기 위한 레일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장방형 대지에서는 기둥(1)이 길이 방향으로 주행 구동을 하기 때문에(도 2 참조) 이와 동시에 레일 역할을 하는 기둥이 주차타워의 축(도 2의 가로축(920))에서 벗어나 이동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적재모듈의 회전 반경이 커질 수 있으며, 주차를 하기 어려운 사각지대가 생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적재모듈이 주차타워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여, 주차 대수가 감소하거나 주차 시간이 과도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방형 대지에 자전거 주차타워를 설치하는 경우 적재모듈이 중앙에 위치하면서도 이를 안내하는 레일 역할을 하는 기둥 또는 포스트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적재모듈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최대의 주차 대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입고되는 자전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격납실 내에 주차시켜 소요되는 시간과 전력을 감소함과 더불어 협소한 공간 상에 다량의 자전거를 효율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방형 대지에서 최대의 경제성 효과를 갖도록 듀얼 포스트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전력 감소를 위해, 자전거가 적재모듈에 입고되기 전에 180도 방향전환하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입고를 위한 진입구와 자전거의 출고를 위한 진출구를 포함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입고모듈;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모듈; 상기 적재모듈이 커플링되어 승강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을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포스트부; 및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는 주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듀얼 포스트부는 제 1 포스트 및 제 2 포스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포스트 및 상기 제 2 포스트와 함께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적재모듈의 승강 구동,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는, 상기 듀얼 포스트부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상기 듀얼 포스트부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 상기 듀얼 포스트부를 주행 구동시키도록 상기 듀얼 포스트부에 연결된 주행 구동부; 및 상기 듀얼 포스트부 내에 커플링된 상기 적재모듈을 승강 구동시킬 수 있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주행 구동부는 상기 격납실 내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휠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는 상기 입고모듈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적재모듈이 인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입고모듈은 입고된 자전거의 전륜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된 자전거의 후륜이 고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주차모듈은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된 자전거의 전륜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장방형 대지에서 적재모듈이 중앙에 위치하면서도 이를 안내하는 레일 역할을 하는 기둥 또는 포스트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적재모듈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구동시키고, 최대의 주차 대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차타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듀얼 포스트 개념을 도입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총 주차 대수에서 큰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자전거 주차시에 승강 구동,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자전거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타워는 자전거를 주차하는데 필요한 스트로크 길이를 줄임으로써 소요되는 전력을 크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방향전환" 또는 "방향이 전환된 상태"는, 자전거의 전륜이 자전거 적재모듈 측에 인접한 상태로 자전거가 입고모듈에 입고된 후 제 1 회전지지부가 180°회전을 행함으로써 자전거의 후륜이 자전거 적재모듈 측에 인접하게 되는 됨으로써 자전거가 향하는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주행 구동"은, 자전거 또는 적재모듈 또는 듀얼 포스트부 가로축(920)을 따라 앞뒤로 주행하는 구동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승강 구동"은, 자전거 또는 적재모듈이 세로축(910)을 따라 아래위로 상승 및/또는 하강하는 구동을 의미한다.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 구조의 설명
도 2, 도 3 및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의 사시도에서는 설명을 위해 격납실(101)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자전거(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입고모듈(200), 적재모듈(300), 주차모듈(400)을 포함한다. 자전거(10)는 진입구(103)를 통해 진입하여 입고모듈(200)과 적재모듈(300)을 걸쳐서 최종적으로 주차모듈(400)에서 고정되어 주차된다.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적재모듈(300)을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포스트부(500)를 포함한다. 듀얼 포스트부(500)는 제 1 포스트(510) 및 제 2 포스트(520)를 포함한다. 또한,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는 적재모듈(300)과 함께 듀얼 포스트부(50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부(600)와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주행 구동부(70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적재모듈(300)은 듀얼 포스트부(500)에서 승강 구동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가 입고되면 입고모듈(200)에 적재되고, 다음 입고모듈(200)의 자전거(10)가 적재모듈(300)에 적재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가 적재된 적재모듈(300)이 커플링된 듀얼 포스트부(500)에 의해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되면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최종 주차될 장소에 이동하여 주차모듈(400)에 자전거(10)가 인계되어 주차된다.
자전거(10)가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는 진입구(103)와 진출구(104)는 장방형 대지의 좁은 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구(103)는 자전거(10)의 진입을 위한 입구로서 그리고 진출구(104)는 자전거(10)의 진출을 위한 출구로서 각각 개별적인 기능을 할 수도 있으나, 진출구(104) 없이 진입구(103)만 위치하여, 하나의 입구가 진입구와 진출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b을 참조하여 입고모듈(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입고모듈(200)의 측면도이며, 도 5b는 정면도이다.
입고모듈(200)은 격납실(101) 내면에 수평하게 고정지지되는 입고지지체(201), 입고지지체(20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지지부(220), 제 1 회전지지부(220) 중앙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회전지지부(2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부(210),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서 직선운동하는 제 1 클램프부(240) 및 제 1 클램프부(24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휠 감지부(230)를 구비한다. 입고모듈(200)로 진입한 자전거(10)의 전륜(11)을 휠 감지부(230)에서 감지한 경우 제 1 클램프부(240)는 전륜(11)을 양측에서 클램핑하여 고정한다. 이를 통해 자전거(10)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게 직립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는 제 1 클램프부(240)가 직선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게 제 1 레일(222)이 구비되고, 제 1 클램프부(240)는 제 1 슬라이딩 체인(250)에 연결되는 제 1 슬라이딩 모터(242)에 의해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 1 슬라이딩 모터(242)가 구동력을 제공하면 제 1 슬라이딩 체인(250)에 연결된 제 1 클램프부(240)가 제 1 레일(222)을 따라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적재모듈(300)에 대해 설명한다.
적재모듈(300)은 제 1 포스트(510) 및/또는 제 2 포스트(520) 사이에서 승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회전지지부(320), 제 2 회전지지부(320)의 승강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310), 및 상기 제 2 회전지지부(320) 상에서 직선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 2 클램프부(340)를 구비한다.
제 2 회전지지부(320) 상에는 제 2 클램프부(340)가 직선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게 제 1 레일(322)이 구비되고, 제 2 클램프부(340)는 제 2 슬라이딩 체인(350)에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딩 모터(342)에 의해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 2 슬라이딩 모터(342)가 구동력을 제공하면 제 2 슬라이딩 체인(350)에 연결된 제 1 클램프부(340)가 제 1 레일(322)을 따라 제 1 회전지지부(320)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회전지지부(320) 상면에서 제 2 클램프부(340)에 이르도록 일정 경사를 갖는 클램프 경사판(344)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클램프 경사판(344)은 자전거(10)의 후륜(12)이 제 2 클램프부(340)에 탑재 또는 이탈되는 과정에서 운동성을 확보하여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기구적인 외형을 제공한다.
적재모듈(300)은 제 1 포스트(510) 및/또는 제 2 포스트(520) 사이에 커플링 되며, 제 1 포스트(510) 및/또는 제 2 포스트(520) 사이에서 승강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포스트(510) 및/또는 제 2 포스트(520)가 회전 구동하거나 주행 구동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독립적인 승강 구동이 가능하다.
도 2, 3을 참조하여 주차모듈(400)에 대해 설명한다.
주차모듈(400)은 자전거(10)의 전륜(11) 및 후륜(12)을 안내하는 제 3 레일(422) 및 자전거의 전륜(11)을 클램핑할 수 있는 제 3 클램프부(410)를 포함한다. 적재모듈(300)에서 자전거(10)가 인계되고, 주차모듈(400)의 제 3 레일(422)을 따라 전륜(11) 및 후륜(12)이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최종 주차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제 3 클램프부(410)가 전륜(11)을 클램핑하여 직립 위치에서 요동 없이 자전거(11)를 최종 주차시킨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회전 구동부(600)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 구동부(600)가 듀얼 포스트부(500)의 상부에 위치하나 설치 위치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회전 구동부(6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를 자전거 주차 위치의 주차모듈(400)에 상응하도록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세로축(910)을 중심으로 듀얼 포스트부(500)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 내의 적재모듈(300)을 회전시켜서, 도 4b와 같이 적재모듈(300)과 주차모듈(400)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회전 구동부(600)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 모터(620), 회전 구동 모터(620)에 연결되어 기둥(610)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622)를 포함하며, 기둥(610)은 지지 기둥(614), 지지 기둥(614)과 베어링(613)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 기둥(61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회전 구동 모터(620)가 회전하면 세로축(910)을 중심으로 기둥(610)이 회전하여 듀얼 포스트부(500)가 회전한다.
한편, 이러한 회전 구동은 듀얼 포스트부(500)의 가로축(920)을 따른 주행 구동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동부(600)는 상부 지지대(602)의 다수의 레일(680)을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의 가로축(920) 방향 주행을 돕는 다수의 휠(681)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주행 구동부(700)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주행 구동부(700)가 듀얼 포스트부(500)의 하부에 위치하나 설치 위치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주행 구동부(7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를 자전거 주차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 주행시킨다. 즉, 가로축(920)을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를 주행 공간(580) 내에서 주행시키며, 이에 따라 듀얼 포스트부(500) 내의 적재모듈(300)이 함께 주행하여 도 4b와 같이 적재모듈(300)과 주차모듈(400)이 연결되도록 한다.
주행 구동부(700)는 주행 동력을 제공하는 주행 구동 모터(720), 주행 구동 모터(720)에 연결되어 듀얼 포스트부(500)를 주행시키는 주행 기어(722)를 포함한 다. 한편, 회전 구동부(600)에 의해 듀얼 포스트부(5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주행 동력이 공급되도록 기둥(710)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710)은 지지 기둥(714), 지지 기둥(714)과 베어링(713)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 기둥(71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주행 구동은 회전 구동과 독립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 구동부(700)는 가로축(920)을 따른 듀얼 포스트부(500)의 주행을 안내하도록 하부 지지대(702)의 다수의 레일(78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수의 휠(781)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도 8을 참조하여 듀얼 포스트부(500)를 설명한다.
듀얼 포스트부(500)는 제 1 포스트(510)와 제 2 포스트(520)의 2개의 포스트로 이루어져서, 적재모듈(300)이 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자전거(10)가 적재된 적재모듈(300)이 회전 구동, 상승 구동 및 주행 구동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제 1 포스트(510)와 제 2 포스트(520) 상단에는 상단 지지체(530)가 위치하여 회전 구동부(600)와 연결되며, 하단에는 하단 지지체(540)가 위치하여 주행 구동부(700)와 연결된다.
상단 지지체(530) 및 이에 연결된 기둥(610)의 회전 각속도와, 하단 지지체(540) 및 이에 연결된 기둥(710)의 회전 각속도를 동일하게 하도록 듀얼 포스트부(500)의 일 측에 회전체(550)가 위치한다. 회전체(550)는 그 상단에서 상단 기 어(551) 및 이에 연결된 상단 연결부(552)와 커플링되며, 하단에서 하단 기어(553) 및 이에 연결된 하단 연결부(554)가 커플링됨으로써 상하단 회전 각속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 내의 주차 방법의 설명
도 9a 내지 도 9e은 입고모듈(200)에 자전거(10)가 진입하여 적재모듈(300)에 위치하기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주차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100) 내에 자전거(10)를 주차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1단계 : 자전거(10)를 입고모듈(200)에 위치시키는 단계(S100)>
도 9a과 같이 주차를 요하는 자전거(10)가 진입문(103) 너머 투입로(105)를 따라 이동하여 자전거(10)의 전륜(11)이 제 1 클램프부(240)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전륜(11)이 휠 감지부(230)에 접촉하게 되고, 휠 감지부(230)로부터 자전거(10)의 입고를 감지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클램프부(240)가 전륜(11)의 양측을 클램핑하도록 하여 자전거(10)의 직립을 유지시킨다.
이후, 도 9b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던 휠 감지부(230)는 회전하여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 수평하게 눕혀지게 된 후에, 제 1 클램프부(240)는 제 1 레일(222)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실시한다. 제 1 클램프부(240)가 제 1 회전지지부(2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여 자전거(10)의 전륜(11)과 후 륜(12)이 모두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 위치한다.
<2단계 : 입고모듈(200)을 방향전환시키는 단계(S200)>
상기의 상태에서 제 1 구동부(210)가 제 1 회전지지부(2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제 1 회전지지부(220)가 180°회전구동을 하게 됨으로써 도 9c과 같이 자전거(10)의 전륜(11)과 후륜(12)이 위치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을 행한다. 전륜(11)은 제 1 클램프부(240)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이며 후륜(12)은 자유로운 상태이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후륜(12)이 먼저 자전거 적재모듈(300) 측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게 된다.
<3단계 : 자전거(10)를 적재모듈(300)에 위치시키는 단계(S300)>
평상시 적재모듈(300)은 입고모듈(200)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회전지지부(220)와 제 2 회전지지부(320)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1)을 클램핑하고 있는 제 1 클램프부(240)가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서 자전거 적재모듈(300) 측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함에 따라 자전거(10)의 후륜(12)이 자전거 적재모듈(300)의 제 2 클램프부(340)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클램프 경사판(344)은 완만하게 경사진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후륜(12)의 제 2 클램프부(340)로의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한다. 즉, 자전거(10)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클램프 경사판(344)에 적절한 경사를 제공하면 자전거(10) 가 제 2 클램프부(340) 상에 위치하는 과정에 있어서 속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 경사판(344)은 추후에 주차모듈(400)로 자전거(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제 2 클램프부(340)가 릴리싱할 경우에 그 경사로 인하여 자전거(10)가 자연스럽게 주차모듈(400)로 이동하도록 한다.
다음, 제 2 클램프부(340)가 후륜(12)을 클램핑하고, 제 1 클램프부(240)는 전륜(11)을 릴리싱한다. 이후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의 후륜(12)을 클램핑하고 있는 제 2 클램프부(340)가 입고모듈(200)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제 2 회전지지부(320)의 일측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하고 전륜(11)이 제 2 회전지지부(320)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입고모듈(200)의 제 1 회전지지부(220)는 180°회전하여 제 1 클램프부(240)가 진입구(103)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추가로 진입되는 자전거에 대해 즉시 입고준비를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4단계 : 적재모듈(300)이 승강/회전/주행 구동하는 단계(S400)>
자전거(10)가 적재모듈(300) 상에 위치하면, 그 다음 단계로서 적재모듈(300)을 주차모듈(400)이 있는 주차할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적재모듈(300)은 승강 구동부(310)에 의해 듀얼 포스트부(500) 내에서 승강 구동을 한다. 이와 동시에 듀얼 포스트부(500)가 회전 구동부(600)에 의해 세로축(9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주행 구동부(700)에 의해 가로축(920)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듀얼 포스트부(500)에 커플링된 적재모듈(300)이 승강 구동과 함께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을 한다.
승강 구동,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에 의해 적재모듈(300)은 주차할 위치에 위치하여 주차모듈(400)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된다.
<5단계 : 자전거(10)를 주차모듈(400)에 위치시키는 단계(S500)>
마지막으로, 제 2 클램프부(340)가 주차를 요하는 주차모듈(400) 방향으로 제 2 회전지지부(320)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한다. 자전거(10)는 제 3 레일(422)을 따라 안내되며, 주차모듈(400) 상의 제 3 클램프부(410)에 의해 자전거(10)의 전륜(11)이 클램핑되어 주차가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적재모듈(300)은 평소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주차되는 자전거(10)를 즉시 적재할 준비를 한다.
주차된 자전거를 진출구(104)를 통하여 배출하는 과정은 주차하는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 입고모듈(200)의 제 1 회전지지부(220) 상에 입고를 위한 자전거(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지지부(220)를 180°회전을 행하고, 자전거(10)의 후륜(12)을 이용하여 자전거 적재모듈(300) 측에 인계하는 주차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자전거의 입고시 소요되는 스트로크(stroke)를 줄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주차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동시에 초기 설치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전거 주차타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a 및 도 4b는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입고모듈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적재모듈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3의 A의 확대도로서,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회전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B의 확대도로서,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의 주행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자전거가 입고되는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순서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자전거 11 : 전륜
12 : 후륜 100 :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101 : 격납실 103 : 진입구
104 : 진출구 105 : 투입로
200 : 입고모듈 201 : 입고 지지체
210 : 제 1 구동부 220 : 제 1 회전지지부
222 : 제 1 레일 230 : 휠 감지부
240 : 제 1 클램프부 242 : 제 1 슬라이딩 모터
250 : 제 1 슬라이딩 체인 300 : 적재모듈
310 : 승강 구동부 320 : 제 2 회전지지부
322 : 제 2 레일 340 : 제 2 클램프부
342 : 제 2 슬라이딩 모터 344 : 클램프 경사판
350 : 제 2 레일 400 : 주차모듈
410 : 제 3 클램프부 422 : 제 3 레일
500 : 듀얼 포스트부 510 : 제 1 포스트
520 : 제 2 포스트 530 : 상단 지지체
540 : 하단 지지체 550 : 회전체
551 : 상단 기어 552 : 상단 연결부
553 : 하단 기어 554 : 하단 연결부
600 : 회전 구동부 602 : 상부 지지대
610 : 기둥 612 : 회전 기둥
613 : 베어링 614 : 지지 기둥
620 : 회전 구동 모터 622 : 구동 기어
680 : 레일 681 : 휠
700 : 주행 구동부 702 : 하부 지지대
710 : 기둥 712 : 회전 기둥
713 : 베어링 714 : 지지 기둥
720 : 회전 구동 모터 722 : 구동 기어
780 : 레일 781 : 휠
910 : 세로축 920 : 가로축

Claims (6)

  1. 자전거의 입고를 위한 진입구와 자전거의 출고를 위한 진출구를 포함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입고모듈;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모듈;
    상기 적재모듈이 커플링되어 승강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을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포스트부; 및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받은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는 주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듀얼 포스트부는 제 1 포스트 및 제 2 포스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제 1 포스트와 상기 제 2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포스트 및 상기 제 2 포스트와 함께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모듈의 승강 구동, 회전 구동 및 주행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는,
    상기 듀얼 포스트부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상기 듀얼 포스트부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
    상기 듀얼 포스트부를 주행 구동시키도록 상기 듀얼 포스트부에 연결된 주행 구동부; 및
    상기 듀얼 포스트부 내에 커플링된 상기 적재모듈을 승강 구동시킬 수 있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주행 구동부는 상기 격납실 내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휠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를 통해 입고된 자전거는 상기 입고모듈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적재모듈이 인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모듈은 입고된 자전거의 전륜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입고모듈로부터 인계된 자전거의 후륜이 고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주차모듈은 상기 적재모듈로부터 인계된 자전거의 전륜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KR1020090115845A 2009-11-27 2009-11-27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KR10114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845A KR101147932B1 (ko) 2009-11-27 2009-11-27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845A KR101147932B1 (ko) 2009-11-27 2009-11-27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192A true KR20110059192A (ko) 2011-06-02
KR101147932B1 KR101147932B1 (ko) 2012-05-18

Family

ID=4439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845A KR101147932B1 (ko) 2009-11-27 2009-11-27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2928A (zh) * 2020-07-29 2020-11-20 常熟理工学院 自行车停车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0729B2 (ja) 2004-11-30 2009-04-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輪場
KR100880011B1 (ko) 2008-09-11 2009-01-22 김승호 자전거용 주차 타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2928A (zh) * 2020-07-29 2020-11-20 常熟理工学院 自行车停车库
CN111962928B (zh) * 2020-07-29 2024-04-19 常熟理工学院 自行车停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932B1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5033B (zh) 用于车辆的自动停泊系统
CN103122721B (zh) 可按需配置出入口的机械式立体储存设备
CN104295140A (zh) 多层升降旋移式立体车库
CN1314875C (zh) 具有堆装起重机的无托板台架型停车系统
CN210370095U (zh) 一种具有两个升降轿厢的平面移动类立体停车库
CN104005584B (zh) 带平衡架式旋移升降立体停车设备
CN104947980A (zh) 一种双塔式多层无避让立体车库及其存取车方法
KR20070063651A (ko) 리프트 장치를 갖춘 주차 타워
CN103726698B (zh) 一种升降装置
KR101147932B1 (ko) 장방형 자전거 주차타워
KR101100927B1 (ko) 자전거 주차용 클램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클램핑 방법
JP2006152537A (ja) 自転車駐輪設備
WO2011039893A1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JP5206827B2 (ja) 機械式自転車駐輪設備及び方法
JP2003041794A (ja) 立体駐車場
CN1300432C (zh) 存储站
KR20120101899A (ko) 다단 주차 시스템
CN212201481U (zh) 一种中心柱旋转式自行车立体停车库
JP2745283B2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
NL2032985B1 (en) Stereo Car-bicycle-hybrid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JP2009243223A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KR101157120B1 (ko) 자전거 주차 타워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주차 방법
CN109057444A (zh) 一种立体停车场拨片式载车板存储装置及立体停车场
CN109797998A (zh) 位于道路上方的立体停车库
CN109057443A (zh) 一种基于舵轮的载车板驱动系统及立体停车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