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064A -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064A
KR20110059064A KR1020090115678A KR20090115678A KR20110059064A KR 20110059064 A KR20110059064 A KR 20110059064A KR 1020090115678 A KR1020090115678 A KR 1020090115678A KR 20090115678 A KR20090115678 A KR 20090115678A KR 20110059064 A KR20110059064 A KR 2011005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tellite
rotating
fix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414B1 (ko
Inventor
이동우
문상무
임종민
은희광
문남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4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고, 인공위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시키게 되는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인공위성(S)이 놓이는 밑면프레임(13)과,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측면프레임(11, 12)과,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회전축(14) 및 제 2측면프레임(1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회전축(15)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10);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14, 15)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측에 제 1회전축(14)이 결합되도록 제 1회전지지부(24)가 형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과, 상측에 제 2회전축(15)이 결합되도록 제 2회전지지부(25)가 형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과, 하면이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 양측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과 제 2지지프레임(22)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2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구비되고, 상기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구동시키는 회전조정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운반 및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공위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공위성 조립 공정이 수월해지고, 인공위성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인공위성의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인공위성 조립 작업에 있어서 취급 부주의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인공위성, 각도, 위치, 회전

Description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Rotary Apparatus for Satellite}
본 발명은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고, 인공위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시키게 되는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위성은 조립단계에서 각각의 부품이 모여 조립된다. 각각의 부품의 무게는 50kg에서 100kg가 넘는 부품도 있으며 전체 부품이 조립된 인공위성의 무게는 수백kg에서 수톤에 이른다. 무거운 부품을 위성에 조립해야 될 경우 방향이나 각도가 일반적으로 부품이 안전하게 놓인 상태와 다르게 변경하여 조립할 때도 있다.
조립이 다된 상태에서도 필요시 인공위성을 90도 회전, 180도 회전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 환경시험을 수행할 때도 마찬가지로 위성의 각도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 부품은 일반적인 전자부품 박스나 기계와 같이 만지거나 하는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전기 방지나 기름, 오염 등에 민감하므 로 취급을 하는데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무게까지 무겁다 보니 인공위성 부품을 취급하는데 작업자들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위성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손쉽게 인공위성을 필요한 각도에 맞추어 회전시켜줄 회전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수단과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인공위성이 안착 고정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되어 인공위성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인공위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 시켜 고정시키게 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인공위성(S)이 놓이는 밑면프레임(13)과,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측면프레임(11, 12)과,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회전축(14) 및 제 2측면프레임(1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회전축(15)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10);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14, 15)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측에 제 1회전축(14)이 결합되도록 제 1회전지지부(24)가 형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과, 상측에 제 2회전축(15)이 결합되도록 제 2회전지지 부(25)가 형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과, 하면이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 양측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과 제 2지지프레임(22)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2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구비되고, 상기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구동시키는 회전조정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조정부(30)는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구동시키기 위해 파지 가능한 손잡이(31a)와 구동축(31b)이 구비되는 핸들(31); 일측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증가시켜 타측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가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핸들(31)의 구동축(31b)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 또는 제 2측면프레임(12) 상에 형성되되,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내측고정부(41)와,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 또는 제 2지지프레임(22)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상기 내측고정부(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외측고정부(42)와, 상기 내측고정부(41)와 외측고정부(42)에 끼워져 상기 회전프레임(10)을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43)을 포함하는 고정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51a, 51b)가 각각 형성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일측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측단에 형성되는 내측고리홈(52)과, 상기 로드(51)의 타측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내측고리홈(52)과 인접되는 상기 바닥프레임(23)의 측단에 형성되는 외측고리홈(53)을 포함하는 보조고정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23)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캐스터부(26); 상기 바닥프레임(23)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캐스터부(2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캐스터부(27)는 상기 이동캐스터부(26)를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시키거나, 지면과 밀착시키도록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10)은 상기 회전프레임(10)의 밑면프레임(13)에 인공위성(S)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밑면프레임(13)의 측면에 형성되는 로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인공위성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운반 및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공위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공위성 조립 공정이 수월해지고, 인공위성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인공위성의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인공위성 조립 작업에 있어서 취급 부주의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조정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90도 회전된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 및 보조고정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180도 회전된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RAS)는 인공위성(S)의 안착돼 고정되는 회전프레임(10), 상기 회전프레임(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회전프레임(10)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정부(30), 상기 회전프레임(10)을 원하는 각도에 맞춰 고정시키는 고정부(40), 상기 고정부(40)와 더불어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50) 및 상기 회전프레임(10)에 인공위성(S)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10)은 제 1측면프레임(11), 제 2측면프레임(12), 밑면프레임(13), 제 1회전축(14) 및 제 2회전축(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밑면프레임(13)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Beam)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밑면프레임(13)은 제1 전방빔(13a)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 후방빔(13b)과 상기 제1 전방빔(13a)과 제1 후방빔(13b)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일측빔(13c)과 상기 제1 전방빔(13a)과 제1 후방빔(13b)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타측빔(1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빔(13a)의 상면과 상기 제1 후방빔(13b)의 상면에는 인공위성(S)의 하단부가 안착되며 후술되는 로킹부(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빔(13c)의 상방으로 제 1측면프레임(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은 하단이 상기 제1 일측빔(13c)의 일측 상면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일측빔(11a)과, 하단이 상기 제1 일측빔(13c)의 타측 상면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타측빔(11b)과, 상기 제1 측면일측빔(11a)과 상기 제1 측면타측빔(1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상측빔(11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1상측빔(11c)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회전축(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빔(13d)의 상방으로 제 2측면프레임(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측면프레임(12)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측면프레임(12)은 하단이 상기 제1 타측빔(13d)의 일측 상면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측면일측빔(12a)과, 하단이 상기 제1 타측 빔(13d)의 타측 상면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측면타측빔(12b)과, 상기 제2 측면일측빔(12a)과 상기 제2 측면타측빔(12b)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상측빔(12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2상측빔(12c)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회전축(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회전프레임(10)은 인공위성(S)을 안착시켜 상기 제 1회전축(14) 및 제 2회전축(15)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제 1지지프레임(21), 제 2지지프레임(22), 바닥프레임(23), 제 1회전지지부(24), 제 2회전지지부(25), 이동캐스터부(26) 및 고정캐스터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23)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Beam)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23)은 제2 전방빔(23a)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 후방빔(23b)과 상기 제2 전방빔(23a)과 제2 후방빔(23b)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일측빔(23c)과 상기 제2 전방빔(23a)과 제2 후방빔(23b)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타측빔(2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방빔(23a)의 양측 및 상기 제2 후방빔(23b)의 양측 하단에는 이동캐스터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캐스터부(26)는 상기 바닥프레임(23)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퀴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방빔(23a)의 양측 및 상기 제2 후방빔(23b)의 양측에는 상기 바닥프레임(2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캐스 터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캐스터부(27)는 지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프레임(23)을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캐스터부(27)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캐스터부(27)를 높이면 상기 이동캐스터부(26)를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상기 바닥프레임(23)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캐스터부(27)를 낮추면 상기 이동캐스터부(26)를 지면과 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바닥프레임(2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일측빔(23c)의 상방으로 제 1지지프레임(2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은 하단이 상기 제2 일측빔(23c)의 상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중앙빔(21a)과, 하단이 상기 제2 일측빔(23c)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 1중앙빔(21a)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일측경사빔(21b)과, 하단이 상기 제2 일측빔(23c)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 1중앙빔(21a)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타측경사빔(21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1중앙빔(21a)의 상단에는 제 1회전지지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지지부(24)는 판체 형상으로 중앙에 제 1홀(24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홀(24a)에는 상기 제 1회전축(14)이 끼워진다.
상기 제2 타측빔(23d)의 상방으로 제 2지지프레임(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은 하단이 상기 제2 타측빔(23d)의 상면 중앙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중앙빔(22a)과, 하단이 상기 제2 타측빔(23d)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 2중앙빔(22a)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일측경사빔(22b)과, 하단이 상기 제2 타측빔(23d)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 2중앙빔(22a)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타측경사빔(22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2중앙빔(22a)의 상단에는 제 2회전지지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지지부(25)는 판체 형상으로 중앙에 제 2홀(25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홀(25a)에는 상기 제 2회전축(15)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제 1회전축(14)과 제 2회전축(15)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0)을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상기 제 1회전지지부(24) 및 상기 제 2회전지지부(25)를 통해 고정시킨다. 또한 이동캐스터부(26)를 구비하여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고정캐스터부(27)를 통해 완벽한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조정부(30)는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제 1지지프레임(21)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정부(30)는 제 1지지프레임(2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 2지지프레임(22)의 상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조정부(30)는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의 상단에 구비될 경우 제 1회전축(14)의 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지지프레임(22)의 상단 에 구비될 경우, 제 2회전축(15)의 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조정부(30)는 핸들(31) 및 감속기어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31)은 파지 가능한 손잡이(31a)와 중심에 구동축(31b)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핸들(31)의 구동축(31b)에는 상기 감속기어부(3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32)는 일측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타측으로 전달하되, 그 회전력은 증가시키고 회전수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감속기어가 내장된 일반적인 감속기어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감속기어부(32)의 일측은 상기 구동축(31b)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회전축(1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조정부(30)는 상기 핸들(31)을 구동시켜 발생하는 회전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 1회전축(14)에 전달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상기 회전프레임(1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회전축(14)과 제 1회전지지부(24), 또는 제 2회전축(15)과 제 2회전지지부(25) 상에는 고정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회전조정부(30)에 의해 회전된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내측고정부(41)와 외측고정부(42) 및 고정핀(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가 제 1회전축(14)과 제 1회전지지부(24)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측고정부(41)는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회전축(14)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부(41)는 다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고정부(41)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홀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고정부(42)는 상기 제 2측면프레임(1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측고정부(41)와 대응되는 부위에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핀(43)이 상기 외측고정부(42)와 상기 내측고정부(41)를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회전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고정부(41)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외측고정부(42)에 각각 대응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원하는 각도에 맞추어 상기 각도에 대응되는 내측고정부(41)에 의해 상기 고정핀(4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측고정부(41)는 홀형상으로 상기 외측고정부(42)는 홈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핀(43)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고정부(50)는 밑면프레임(13)의 제1 후방빔(13b)과 바닥프레임(23)의 제2 전방빔(23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지면에서부터 90도 회전하여 고정될 경우 인공위성(S)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회전프레임(10)에 가해지는 측면 하중이 최대가 되어 상기 고정부(40)를 도와 상기 회전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고정부(50)는 로드(51), 내측고리홈(52) 및 외측고리홈(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51)는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양단에 내측으로 관통홀을 가공한 후 관통홀의 내주면으로는 나사가공을 하여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51a, 5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51)는 필요에 맞는 길이만큼 상기 고리부(51a, 51b)를 회전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내측고리홈(52)은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제1 후방빔(13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고리홈(52)은 상기 제1 후방빔(13b)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드(51)의 일측 고리부(5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고리홈(53)은 상기 바닥프레임(23)의 제2 전방빔(23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고리홈(53)은 상기 제2 전방빔(23a)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드(51)의 타측 고리부(51b)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조고정부(50)는 상기 내측고리홈(52)과 외측고리홈(53)의 거리에 맞추어 상기 로드(51)를 길이 조정시킨 후 상기 고리부(51a, 51b)는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50)는 한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용도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들들면 내측고리홈이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제1 후방빔(13b)에 형성되고 외측고리홈은 상기 바닥프레임(23)의 제2 전방빔(23a)에 추가 형성되어, 추가 구비되는 로 드(5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10)의 밑면프레임(13)에는 로킹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60)는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밑면프레임(13)에 안착되는 인공위성(S)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로킹부(6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걸림 결합용 로킹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60)는 적어도 하나이상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10)의 밑면프레임(13)에 인공위성(S)을 안착시킨 후 로킹부(60)를 통해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조정부(30)의 핸들(31)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프레임(10)이 회전하여 인공위성(S)의 각도가 변경되며 원하는 각도에 맞추어 상기 고정부(40)의 고정핀(43)을 외측고정부(42)와 내측고정부(41)에 관통시켜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부(40)만으로 고정이 힘든 각도에 위치될 경우 상기 보조고정부(50)의 로드(51)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프레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조정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90도 회전된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 및 보조고정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180도 회전된 인공위성 회전 장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프레임 11 : 제 1측면프레임
12 : 제 2측면프레임 13 : 밑면프레임
14 : 제 1회전축 15 : 제 2회전축
20 : 고정프레임 21 : 제 1지지프레임
22 : 제 2지지프레임 23 : 바닥프레임
24 : 제 1회전지지부 25 : 제 2회전지지부
26 : 이동캐스터부 27 : 고정캐스터부
30 : 회전조정부 31 : 핸들
31a : 손잡이 31b : 구동축
32 : 감속기어부
40 : 고정부 41 : 내측고정부
42 : 외측고정부 43 : 고정핀
50 : 보조고정부 51 : 로드
51a, 51b : 고리부 52 : 내측고리홈
53 : 외측고리홈
60 : 로킹부

Claims (6)

  1. 인공위성(S)이 놓이는 밑면프레임(13)과,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측면프레임(11, 12)과,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회전축(14) 및 제 2측면프레임(1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회전축(15)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10);
    상기 회전프레임(10)이 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14, 15)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측에 제 1회전축(14)이 결합되도록 제 1회전지지부(24)가 형성되는 제 1지지프레임(21)과, 상측에 제 2회전축(15)이 결합되도록 제 2회전지지부(25)가 형성되는 제 2지지프레임(22)과, 하면이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 양측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과 제 2지지프레임(22)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2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구비되고, 상기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구동시키는 회전조정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조정부(30)는
    상기 회전프레임(10)을 구동시키기 위해 파지 가능한 손잡이(31a)와 구동축(31b)이 구비되는 핸들(31);
    일측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증가시켜 타측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가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핸들(31)의 구동축(31b)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상기 제 1측면프레임(11) 또는 제 2측면프레임(12) 상에 형성되되, 제 1회전축(14) 또는 제 2회전축(15)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내측고정부(41)와, 상기 제 1지지프레임(21) 또는 제 2지지프레임(22)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상기 내측고정부(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외측고정부(42)와, 상기 내측고정부(41)와 외측고정부(42)에 끼워져 상기 회전프레임(10)을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43)을 포함하는 고정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 회전 장치는
    일측과 타측에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51a, 51b)가 각각 형성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의 일측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밑면프레임(13)의 측단에 형성되는 내측고리홈(52)과, 상기 로드(51)의 타측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내측고리홈(52)과 인접되는 상기 바닥프레임(23)의 측단에 형성되는 외측고리홈(53)을 포함하는 보조고정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23)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캐스터부(26);
    상기 바닥프레임(23)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캐스터부(2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캐스터부(27)는 상기 이동캐스터부(26)를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시키거나, 지면과 밀착시키도록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0)은
    상기 회전프레임(10)의 밑면프레임(13)에 인공위성(S)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밑면프레임(13)의 측면에 형성되는 로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회전 장치.
KR1020090115678A 2009-11-27 2009-11-27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KR10113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78A KR101136414B1 (ko) 2009-11-27 2009-11-27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78A KR101136414B1 (ko) 2009-11-27 2009-11-27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64A true KR20110059064A (ko) 2011-06-02
KR101136414B1 KR101136414B1 (ko) 2012-04-18

Family

ID=4439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678A KR101136414B1 (ko) 2009-11-27 2009-11-27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4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47B1 (ko) * 2013-09-02 2014-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구조물 보관장치
CN104057868A (zh) * 2014-06-05 2014-09-24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停放转运支架车
KR101514569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높이조절 및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KR20160050609A (ko) 2014-10-30 2016-0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 조립용 달리
CN106882111A (zh) * 2017-03-30 2017-06-2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移动遥感测量平台
CN111422384A (zh) * 2020-03-11 2020-07-17 北京零重空间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立方星旋转工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370A (ja) * 2000-11-22 2002-05-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人工衛星搬送結合台車
KR20060116413A (ko) * 2005-05-10 2006-11-1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폴리싱용 항공기 스킨 홀딩장치
US7913390B2 (en) 2006-02-16 2011-03-29 The Boeing Company Transport tool
KR100822754B1 (ko) * 2006-12-29 2008-04-17 억조종합기계(주) 전동회전식 솥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47B1 (ko) * 2013-09-02 2014-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구조물 보관장치
KR101514569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높이조절 및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CN104057868A (zh) * 2014-06-05 2014-09-24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一种停放转运支架车
KR20160050609A (ko) 2014-10-30 2016-0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 조립용 달리
CN106882111A (zh) * 2017-03-30 2017-06-2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移动遥感测量平台
CN111422384A (zh) * 2020-03-11 2020-07-17 北京零重空间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立方星旋转工装
CN111422384B (zh) * 2020-03-11 2023-07-07 北京零重空间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立方星旋转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414B1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414B1 (ko) 인공위성의 회전 장치
CN103561853B (zh) 可调整的轨道不平衡补偿轨道式振动器
US20190106975A1 (en) Apparatus for Testing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 Rotary Steerable Tool in a Horizontal or Inclined State
US10557518B2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CN103802092A (zh) 六自由度运动模拟组件
EP3311968B1 (en) Barrel mixer
PT2265843E (pt) Dispositivo de engrenagem, preferencialmente dispositivo motor
CN106015865A (zh) 一种支架
AU739803B2 (en) A vibrating device for vibrating liquid provided in vessels
CN113294474A (zh) 一种基于自重的设备稳定装置
KR101329297B1 (ko)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060112204A (ko) 종진동 부품 정렬기
JP2020536239A (ja) 荷重計の持ち上がり防止デバイス
KR20100018711A (ko) 고 중량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4270388A (ja) 鉄塔基礎材の据付架台及び鉄塔基礎材据付工法
JP5349431B2 (ja) 杭又は壁体の打設装置及び打設方法並びにバイブロハンマ
CN107907284B (zh) 一种激振器悬挂装置
CN210554882U (zh) 一种受限空间超大构件运输装置
EP3499028B1 (en) Tool for transporting a windturbine power train subset
KR20180092162A (ko) 이동지지대
CN208208973U (zh) 一种能适应多种地形的天线机构
CN203758720U (zh) 光学试验平台
KR20170105815A (ko)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CN216914918U (zh) 一种翻转装置
CN215516450U (zh) 一种机电设备安装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