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621A -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 Google Patents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621A
KR20110058621A KR1020100005519A KR20100005519A KR20110058621A KR 20110058621 A KR20110058621 A KR 20110058621A KR 1020100005519 A KR1020100005519 A KR 1020100005519A KR 20100005519 A KR20100005519 A KR 20100005519A KR 20110058621 A KR20110058621 A KR 2011005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oupling member
deformed
reinforcing ba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11005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조를 이용하는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철근 공사시에 발생하는 철근의 정착을 위한 이형철근 정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형철근의 단부에 인발저항력의 발생을 위한 이형철근에 형성된 돌기에 쐐기부재를 배치하고, 이 쐐기부재의 외주연에 결합부재가 타이트하게 체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형철근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형철근의 돌기에 쐐기부재를 고정 배치하고, 이 쐐기부재의 외주연에 결합부재를 쐐기타입으로 고정시켜, 간편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정착장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과밀배근의 문제점 및 정착구조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재와 이형철근이 간편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정착구조가 완성됨에 따라, 시공 시간, 인건비 및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WEDGE TYPE BAR ANCHORAG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조를 이용하는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철근 공사시에 발생하는 철근의 정착을 위한 이형철근 정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형철근의 단부에 쐐기부재를 배치하고 이 쐐기부재에 인발저항력의 발생을 위한 결합부재를 타이트하게 체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형철근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철근이 콘크리트에 충분히 부착되어야 하므로, 각 철근의 직경과 상황에 따라 필요한 부착 길이가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한 구조물에 있어서는 이형철근을 정착하기 위한 충분한 부착 길이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철근을 적절한 장치를 이용하여 정착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조에서 철근 정착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보 인장철근에 대하여 많이 수행되는데, 철근의 정착을 위한 철근의 구부리기와 보의 철근을 기둥 내부로 정착시키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곡 철근 정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내에 철근(B)의 단부(B')를 구부리고, 이 부분을 수직형 철근(A)과 함께 기둥 내에 배치시키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정착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절곡과 시공의 어려움이 있으며, 과밀 배근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충분히 충진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이런 경우에는 궁극적으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도 1의 (b)와 같이, 철근(B)의 단부에 정착부재(B")를 결합시키고 정착부재(B")의 인발 저항력을 통해 인장 철근이 충분한 강도와 부착력을 갖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정착부재(B")를 철근(B)의 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각종 수지를 사용하거나, 철근(B)의 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야 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형철근의 외부 돌기를 이용하여, 쐐기부재를 배치하고, 이 쐐기부재에 결합부재를 타이트하게 체결하여 결합부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 됨에 따라 복잡한 철근의 절곡이나 정착부재 없이도, 인장 강도 및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정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정착구조에 있어서,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원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는 이형철근과, 상기 돌기에 지지되거나, 상기 돌기를 내입시키며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쐐기부재 및 테두리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측에 배치된 쐐기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중공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외주연에 의해 가압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일측단부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상면 및 하면이 평평한 장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폭은 상기 이형철근의 양측 돌기의 사이의 간격만큼 형성되어, 상기 이형철근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양 돌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하면 또는 상면에 이형철근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 삽입홈은,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상기 쐐기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이형철근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에는,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연과와 대응되는 오목면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연에 상기 오목면이 안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내입홈이 중공 내측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고,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두 개의 상기 쐐기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각 내입홈으로 상기 각 쐐기부재의 외주연이 끼워져 쐐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돌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돌기삽입홈에 상기 돌기 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상기 쐐기부재가 두 개 이상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 내측에 상기 각 쐐기부재의 외주연이 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제 2 돌기 삽입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형철근의 다른 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돌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 나사부에, 상기 외측 나사부와 대응되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된 커버부재가 씌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C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형철근의 돌기에 쐐기부재를 배치하고, 이 쐐기부재에 결합부재를 타이트하게 쐐기방식으로 체결하여, 결합부재를 간편하게 지지,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정착장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과밀배근의 문제점 및 정착구조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쐐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부재가 이형철근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히 고정되는 것으로 정착구조가 완성됨에 따라, 시공 시간, 인건비 및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정착장 시공 방식을 측방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이형철근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와 이형철근의 돌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이형철근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정착구조와 본 발명의 다른 정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다른 정착구조에서 본 발명의 쐐기부재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중공에 제 2 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결합부재에 씌워지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쐐기부재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이형철근의 돌기 사이의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 C형 결합부재를 이용한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쐐기부재를 사용하여 다른 결합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외부에 종형, 횡형돌기를 갖는 이형철근의 형상을 이용하여 정착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이형철근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형철근(100)은 장형의 철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돌기(130)와,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위 돌기들의 사이사이 면은 곡면 형상의 외면(110)이 위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쐐기부재(40)는 이형철근(100)에 형성된 돌기에 배치된다.
이러한 쐐기부재(40)는, 오목면(41), 제 1 돌기 삽입홈(42) 및 종돌기 지지면(45)을 포함한다.
오목면(41)은 이형철근(100)의 외면(110)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으로,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쐐기부재(40)가 이형철근(100)에 배치될 경우, 오목면(41)이 외면(11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제 1 돌기 삽입홈(42)은, 이형철근(100)에 형성된 돌기(120)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제 1 돌기 삽입홈(42)은 오목면(41)의 중앙부에 1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종돌기 지지면(45)은, 이형철근(100)의 외주연에 쐐기부재(40)가 배치될 경우, 종돌기(130)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이형철근의 외면(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쐐기부재(40)의 외주연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와 이형철근의 돌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쐐기부재(40)는 이형철근(100)과 수직으로 만나 이형철근(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데, 수직으로 배치된 쐐기부재(10)가 유동되지 않고 지지되기 위해서는, 쐐기부재(10)의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돌기 삽입홈(42)에 돌기(120)가 삽입되어 쐐기부재(40)가 이형철근(100)의 외면에 지지된다.
도 5a는 쐐기부재(40)에 하나의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이고, 도 5b는 쐐기부재(40)에 두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이다. 도 5c는 쐐기부재(40)의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이다. 이렇게 다양한 쐐기부재(40)를 이용하여 시공시 이형철근(100)의 길이, 두께 및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이형철근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0, 20)는 이형철근의 돌기(120)에 배치된 쐐기부재(40)의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쐐기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재(10, 20)의 중앙부에는 중공(14, 24)이 형성되어 있어, 이형철근(100)의 일측을 중공(14, 24)이 관통하여 결합부재(10, 20)가 이형철근(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부재(10)의 중공(14)의 하측에는 쐐기부재(4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인입홈(16)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입홈(16)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재(20)일 경우, 중공(24)의 크기가 인입홈(16)이 형성된 결합부재(20)의 중공(14)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결합부재(10, 20)는 쐐기부재(40)에 의해 이형철근(100)의 단부에 고정될 경우, 이형철근이 콘크리트층 내에 묻힐 때, 정착구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결합부재(10, 20)가 쐐기부재(40)에 의해 이형철근(100)의 단부에 타이트하게 쐐기결합되어, 결합부재(10, 20)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는 쐐기부재(40)에 의해 지지되어, 견고한 정착구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쐐기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하나가 형성된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a), 이형철근(100)의 돌기(120)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삽입되도록 쐐기부재(40)를 이형철근(100)의 외면(110)에 배치한다. 그 다음 배치된 쐐기부재(40)의 직경이 작은 방향으로, 결합부재(10)의 중공(24) 부분을 통과하여 이형철근(100)이 삽입된다. 이때, 중공(24)의 하측에 형성된 곡면 형상의 인입홈(16)에 쐐기부재(40)의 외주연이 면 접촉된다.
그 다음, (b)와 같이 쐐기부재(40)의 직경이 작은 방향의 결합부재(10)를 강하게 가격하면, 결합부재(10)는 쐐기부재(40)의 직경이 두꺼운 부분까지 타이트하게 쐐기결합된다.
즉, 이형철근(100)에 배치된 쐐기부재(40)의 직경의 크기보다, 결합부재(10)의 내경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10)를 단단하고 무거운 공구를 이용하여 강하게 가격하면, 이 힘에 의해 결합부재(10)는 쐐기부재(40)의 앞측(43)에서 뒤측(44) 까지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형철근(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쐐기부재(40)의 외주연에 결합부재(10)가 쐐기타입으로 끼워져 들어가 타이트하게 고정되며, 결합부재(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리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쐐기부재(40)의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하나 이상이 형성된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a)이다. 이러한 쐐기부재(40) 역시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형철근(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부재(10)가 체결결합된다.
이러한 쐐기부재(40)는 오목면(41)에 도 8a와 같이 제 1 돌기 삽입홈(42)이 두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쐐기부재(40)의 오목면(41)에 여러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여러개의 돌기(120)에 의해 쐐기부재(40)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쐐기부재(40)의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없는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a)이다. 이러한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형철근(100)에 형성된 각 돌기(120) 사이에 쐐기부재(40)가 배치된다. 이러한 쐐기부재(40)의 앞측 모서리(40') 부분과 뒤측 모서리(44') 부분이 돌기(120)와 접촉되며 지지된다.
이때 지지력을 더 높이기 위해 뒤측 모서리(44') 부분을 모따기 형상(도시하지 않음)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쐐기부재(40) 역시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의 외주연에 결합부재(10)가 체결결합된다.
도 10은 종래의 정착구조와 본 발명의 다른 정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는 종래의 철근(B)을 절곡하여 B' 부분이 정착구조가 되도록 하는 방식인데, 본 발명은, (b)(c)와 같이 철근의 절곡없이, 쐐기부재(40)를 이형철근(100)의 단부측에 제 1 돌기 삽입홈(42)에 돌기(120)가 삽입되거나, 각 돌기(120) 사이에 배치하고, 결합부재(10, 20)를 강하게 가격하여 결합부재(10, 20)의 중공(14, 24)이 쐐기부재(40)의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결합시키며 지지되도록 하여, 정착구조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쐐기부재(40) 및 결합부재(10, 20)는 별도의 절곡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이미 시공된 철근의 단부에 별도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공사 위치나 방식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의 다른 정착구조에서 본 발명의 쐐기부재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0)를 도 11a와 같이 중공(14)에 인입홈(16)을 두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이형철근(100)의 외주연에 두개의 쐐기부재(40)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후, 결합부재(10)를 쐐기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와 같이 인입홈(16)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재(20)일 경우, 중공(24)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하여, 두 개의 쐐기부재(40)가 중공(24)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중공에 제 2 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0, 20)에 이형철근(100)의 돌기(1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돌기 삽입홈(18, 28)을 더 형성하고, 이형철근(100)의 돌기(120)가 제 2 돌기 삽입홈(18, 28)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b)와 같이 하측에 인입홈(36)이 형성되고 인입홈(36) 내에 추가적으로 제 1 돌기 삽입홈(18)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결합부재에 씌워지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이형철근(100)의 단부에 체결된 결합부재(10, 20)의 외주연에 외측 나사부(19)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일측이 막힌 반원형의 커버부재(60)의 내주연에 내측 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나사부(51)와 외측 나사부(19가 나사 결합하는데, 회전시 결합부재의 외측에서 컴팩트하게 조여주면서 결합되므로, 결합부재(10, 20)의 외주연에 커버부재(60)를 씌울 수 있다. 그러면, 일정한 크기 및 부피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도 16a과 같이 사각형의 결합부재(6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각형의 결합부재(60)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64)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6b와 같이 결합부재(70)의 외형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중공(74)은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6c와 같이 결합부재(70)의 외형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원형의 중공(74)을 형성하고, 이 중공(74)의 하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인입홈(7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입홈(76)은 반원형을 형성되며 이형철근(100)의 외면(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6d와 같이 결합부재(90)의 외형은 중앙에 중공(94)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C'형으로 형성하여 개방된 간격(97)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쐐기부재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쐐기부재(40)는 도 17a, b 내지 도 1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면(41)과, 돌기 삽입홈(42)이 형성되지 않은 타입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도 17a, b 내지 도 19a, b에 도시되고 있는 쐐기부재(40)는 이형철근(100) 외면(110)과 대응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결합부재(10, 20, 60, 80, 90)가 이형철근(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일측을 강하게 가격 하면, 이 힘에 의해 결합부재(10, 20, 60, 80, 90)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쐐기부재(40)에 의해 이형철근(100)에 결합부재(10, 20, 60, 80, 90)가 타이트하게 쐐기결합되므로 정착구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7c, d 내지 19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의 배면에 돌기 삽입홈(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쐐기부재(4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 돌기 삽입홈(42) 두 개 이상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0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재(40)의 길이방향 배면에, 종돌기(130)에 삽입되는 종돌기 삽입홈(41)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돌기 삽입홈(41)이 형성된 쐐기부재(40)를 일측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쐐기부재(40)는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10, 20, 60, 80, 90)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를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이형철근의 돌기 사이의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결합부재(20)는 이형철근(100)과 수직으로 만나 결합 또는 접촉 또는 체결되는데, 수직으로 배치된 결합부재(20)가 유동되지 않고 지지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20)의 측 모서리 부분이 돌기(120)와 접촉되며 지지된다. 이때 지지력을 더 높이기 위해 결합부재(20)의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상으로 경사진 면(12")이 되도록 형성하여, 돌기(120)의 돌기경사면(122)과 면접촉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24는 돌기상단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 C형 결합부재를 이용한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16d와 같이 결합부재(90)의 중공(94)에 이형철근(100)을 배치하고, 도 18에 도시된 장형의 쐐기부재(40)를 쐐기방식으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90)는 개방된 간격(97)에 의해 탄성을 가지므로, 결합부재(4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쐐기부재(40)를 쐐기방식으로 삽입하는 것도 용이하다.
도 2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쐐기부재를 사용하여 다른 결합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3a는 쐐기부재(40)의 오목면(41)에 제 1 돌기 삽입홈(42)이 없는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a)이다. 이러한 쐐기부재(40)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형철근(100)에 형성된 각 돌기(120) 사이에 쐐기부재(40)를 배치시켜 사용하고, 도 23b는 제 1 돌기 삽입홈(42)이 없는 두 개의 쐐기부재(40)를 이형철근(100)의 외면(110)의 상하에 각각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결합부재 16 : 인입홈
18 : 제 1 돌기 삽입홈 19 : 걸림돌출부
20 : 결합부재 26 : 인입홈
28 : 제 1 돌기 삽입홈 29 : 걸림돌출부
40 : 쐐기부재 41 : 오목면
42 : 제 1 돌기 삽입홈 60 : 커버부재
100 : 이형철근 110 : 외면
120 : 돌기 122 : 돌기경사면
124 : 돌기상단면 130 : 종돌기

Claims (16)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정착구조에 있어서,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원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는 이형철근;
    상기 돌기에 지지되거나, 상기 돌기를 내입시키며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쐐기부재; 및
    테두리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측에 배치된 쐐기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중공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외주연에 의해 가압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일측단부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상면 및 하면이 평평한 장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폭은 상기 이형철근의 양측 돌기의 사이의 간격만큼 형성되어, 상기 이형철근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양 돌기 사이에 배치되고,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하면 또는 상면에 이형철근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삽입홈은,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상기 쐐기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이형철근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9.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에는,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연과와 대응되는 오목면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연에 상기 오목면이 안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내입홈이 중공 내측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두 개의 상기 쐐기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각 내입홈으로 상기 각 쐐기부재의 외주연이 끼워져 쐐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돌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돌기삽입홈에 상기 돌기 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상기 쐐기부재가 두 개 이상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 내측에 상기 각 쐐기부재의 외주연이 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제 2 돌기 삽입홈;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형철근의 다른 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돌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 나사부에, 상기 외측 나사부와 대응되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된 커버부재가 씌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C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KR1020100005519A 2009-11-25 2010-01-21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KR20110058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49 2009-11-25
KR20090114549 2009-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21A true KR20110058621A (ko) 2011-06-01

Family

ID=4439408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32A KR20110058618A (ko) 2009-11-25 2010-01-12 결합방식 철근 정착구조
KR1020100002634A KR20110058619A (ko) 2009-11-25 2010-01-12 철근 끼움형 정착구조
KR1020100005521A KR20110058622A (ko) 2009-11-25 2010-01-21 판형 정착 부재를 이용한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KR1020100005519A KR20110058621A (ko) 2009-11-25 2010-01-21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32A KR20110058618A (ko) 2009-11-25 2010-01-12 결합방식 철근 정착구조
KR1020100002634A KR20110058619A (ko) 2009-11-25 2010-01-12 철근 끼움형 정착구조
KR1020100005521A KR20110058622A (ko) 2009-11-25 2010-01-21 판형 정착 부재를 이용한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100586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69B1 (ko) * 2012-02-18 2014-01-10 (주)예건종합건설 철근정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69B1 (ko) * 2012-02-18 2014-01-10 (주)예건종합건설 철근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19A (ko) 2011-06-01
KR20110058618A (ko) 2011-06-01
KR20110058622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KR101849257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1093185B1 (ko)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1530420B1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20110058621A (ko) 쐐기방식 철근 정착구조
KR20060041639A (ko) 기초보강재
KR20100113901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30006591A (ko)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지는 클램핑 디바이스 및 콘크리트 거푸집 시스템
US11199013B2 (en) Formwork panel, formwork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tie rod
KR20140048487A (ko)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2523001B1 (ko)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20110109570A (ko) 보조 장치를 이용한 철근 정착구조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072414B1 (ko) 보강토 옹벽
KR101264573B1 (ko) 보강철근 결속용 고정클립
KR20090035892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체
KR101091846B1 (ko) 절토면 옹벽 시공용 커넥터
KR102588552B1 (ko) 철근 고정구
KR101527703B1 (ko)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0468872Y1 (ko)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KR102322914B1 (ko) 조립형 옹벽구조
KR20190029156A (ko) 그라우트 앵커 조립체
KR200466790Y1 (ko) 조립식 천막의 빔 간격유지구
KR101157462B1 (ko) 기계적인 결합구조를 가지는 기설기둥의 내진 보강장치, 내진 보강구조 및 내진 보강방법
JPH0715829U (ja) アンカー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