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533A -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533A
KR20110058533A KR1020090115357A KR20090115357A KR20110058533A KR 20110058533 A KR20110058533 A KR 20110058533A KR 1020090115357 A KR1020090115357 A KR 1020090115357A KR 20090115357 A KR20090115357 A KR 20090115357A KR 20110058533 A KR20110058533 A KR 20110058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layer
area
dumm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9011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533A/ko
Publication of KR2011005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과 저가의 비용으로도 고급스럽고 다양한 패턴 및 컬러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전자기기의 보호와 치장에 적합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두르는 더미영역이 구분 정의된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을 따라 10~100㎛의 두께로 고착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층을 포함하는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의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로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하나를 따라 적층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sheets for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icker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과 저가의 비용으로도 고급스럽고 다양한 패턴 및 컬러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전자기기의 보호와 치장에 적합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본격적인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핸드폰(Mobile phone), MP3 플레이어(MPEG Audio Layer-3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활발하게 보급 및 활용되는 가운데 이들의 주된 사용층이 유행과 개성표현에 민감한 젊은층이라는 사실에 착안,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채롭게 치장할 수 있는 시트류(sheets)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같은 시트류는 스크래치(scratch) 등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 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겸하므로 흔히 '보호필름'라 불리는데, 기본적으로는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base film)에 점착층을 적층한 스티커(sticker) 타입을 나타내며, 목적에 따라 패턴 및/또는 컬러를 부여하여 심미감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때, 시트류의 컬러구현을 위해서는 베이스필름에 소정의 컬러를 착색하고, 패턴구현을 위해서는 '전주도금(electro-forming)에 의한 몰드(mould)'를 이용한다. 여기서 '전주도금에 의한 몰드'란 전주(galvanoplastics)의 방법으로 별도 제조된 음각패턴을 몰드를 지칭하며, 상기 몰드를 베이스필름에 가열 압착해서 전사(轉寫)함으로써 목적하는 양각패턴을 얻는다.
하지만 해당방법은 몰드의 별도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모가 큰 단점과 더불어 구현 가능한 시트류의 패턴이 몰드의 그것에 전적으로 의존함에 따라 다양성에 큰 한계를 나타낸다.
한편,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응하고자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는 형태적 경박단소(輕薄短小)와 기능적 다양화를 거듭하고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종변화 등 진화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때문에 시트류의 수명주기도 크게 단축되면서 공정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한층 더 심각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특히 대부분의 시트류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화면에 부착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표시화면이 대면적화되는 최근의 추세를 적극 반영하여 보다 다채롭고 세련되게 치장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공정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서 이 같은 기대에 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의 보호와 치장을 위한 시트류로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과 저가의 비용으로도 고급스럽고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의 다양한 패턴에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여러 가지 컬러 구현방도를 제시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양을 한층 더 간편하고 세련되게 치장할 수 있는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두르는 더미영역이 구분 정의된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을 따라 10~100㎛의 두께로 고착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층을 포함하는 시트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투명 합성수지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아크릴(acrylic), PC(polycarbon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도료의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특히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금속의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금속의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특히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도료의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따른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로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하나를 따라 적층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스티커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a)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두르는 더미영역이 구분 정의된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에 10~100㎛의 두께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c)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는 단계; (d)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는 단계; (e) 상기 포토레 지스트 패턴을 80~150℃에서 2~4 시간 가열하여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을 따라 고착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층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e) 단계 후 (f)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도료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특히 상기 (f) 단계 후 (g)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금속을 박막 증착하여 박막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e) 단계 후 (f')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금속을 박막 증착하여 박막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특히 상기 (f') 단계 후 (g')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도료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따른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제조방법으로 서, 상기 시트류의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와 스티커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과 저가의 비용으로도 고급스럽고 다양한 패턴 내지는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와 스티커는 유행에 민감하고 기종변화속도가 빠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치장에 매우 적합한 것은 물론 표시화면이 대면적화되는 최근추세를 적극 반영하여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양을 한층 더 간편하고 세련되게 치장할 수 있고, 특히 공정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적어 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른 시트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베이스필름(10) 및 이의 한쪽 면에 적층된 패턴층(20)을 포함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는 편의상 베이스필름(10)의 양쪽 면을 각각 도면상 위쪽을 향하는 일면과 반대편의 이면으로 구분 하고 패턴층(20)은 베이스필름(10)의 일면에 적층된 것으로 가정하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일면 또는 이면은 부착면 또는 노출면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이는 필요 시 별도로 언급한다.
먼저, 베이스필름(1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바람직하게는 내열 및 내식성이 잘 구부러지지만 쉽게 부러지지 않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아크릴(acrylic)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필름(10)의 사이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 내지는 사용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가 휴대폰과 같이 제품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에 표시화면이 설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부착된다는 전제하에, 베이스필름(10)의 두께는 0.1mm 이상인 것이 적절하고, 면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상응하며, 표시화면에 대응되는 안쪽의 표시영역(A)과 케이스에 대응되는 외곽의 더미영역(B)이 구분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표시영역(A) 및/또는 더미영역(B)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 스피커 등을 노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H)가 적절히 관통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패턴층(20)은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ment)을 거친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의 가열 융착물로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따라 10~100㎛의 두께로 고착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란 250~420nm의 자외선(ultraviolet rays)에 의해 연속중합반응을 일으키는 감광성 고분자물질을 총칭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계 선상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결합제(binder polymer), 자외선감응형 광개시재료와 증감제 시스템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중합개시제(Photoinitiators), 아크릴산계 다관능성 단량체와 올리고머(oligomer)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중합성단량체, 용매를 비롯한 염료와 열중합 금지제와 색상안정제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첨가제가 혼합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의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PET, PC, 아크릴 중 하나의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10) 및 이의 일면 더미영역(B)을 따라 10~100㎛ 두께로 가열 융착된 폴리아크릴 기반 포토레지스트 재질의 패턴층(20)을 포함하는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표시영역(A)을 통해 표시화면을 외부로 투영하는 한편 더미영역(B)의 패턴층(20)으로 표시영역 외곽의 케이스를 치장해서 심미감을 창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에 대해 그 제조방법을 토대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단면도이다. 앞서 언급된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4와 같이 투명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필름(10)을 준비한다.(st1)
이때, 베이스필름(10)은 바람직하게는 PET, PC, 아크릴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는 0.1mm 이상이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화면에 대응되는 내측의 표시영역(A)과 케이스에 대응되는 외곽의 더미영역(B)이 구분 정의되어 있다.
참고로, 베이스필름(10)은 수율 등을 감안하여 표시영역(A)과 더미영역(B)이 셀(cell) 별로 구분된 대면적의 필름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 이후에 별도로 추가되는 절단공정을 통해 셀 별로 절단하면 한 차례 공정으로 복수 개의 시트류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베이스필름(10)의 일면에 걸쳐 포토레지스트층(22)을 형성한다.(st2)
이때, 포토레지스트층(22)은 바람직하게는 두께 10~100㎛의 폴리아크릴 기반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포토레지스트층(22)을 얻기 위해서는 흔히 '드라이필름레지스트(dry film resist)'이라 불리는 공지의 제품을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全) 영역에 부착하거나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를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필름레지스트'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의 제 1 필름에 액상 포토레지스트를 얇은 막 형태로 도포 및 건조시켜 합성수지의 제 2 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마스크(mask, 30)를 동원해서 포토레지스트층(22)을 노광한다.(st3)
이때, 마스크(30)에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32)와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부(34)가 존재하고, 이들은 목적하는 패턴층(20)의 형태에 대응된다. 즉, 포토레지스트가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이라면 차단부(32)의 형태가 패턴층(20)에 대응되 고, 네거티브(negative) 타입이라면 투과부(34)의 형태가 패턴층(20)에 대응된다. 또한 마스크(30)는 도면에서와 같이 포토레지스트층(22)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형(contact type)의 필름타입 이외에 근접형(proximity type) 또는 프로젝션형(projection type)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노광 방식도 축소투영의 스탭-엔-리피트(step and repeat) 또는 스탭-엔-스캔(step and scan)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임의로 포토레지스트가 네거티브(negative) 타입이라는 가정하에, 투과부(34)에 대응되는 포토레지스트층(22)의 일부가 경화되어 현상물질에 대한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이어서, 도 7과 같이 마스크(30)를 제거한 후 소정의 현상물질로 포토레지스트층(22)을 현상한다.(st4)
이때, 현상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해당특성을 지닌 공지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크(30)의 차단부(32)에 대응되는 포토레지스트층(22)의 일부가 제거되고,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더미영역(B)을 따라서는 패턴층(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남는다.
이어서, 도 8과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상압의 개방환경에서 80~150℃ 온도로 2~4 시간 동안 가열한다.
그 결과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더미영역(B)을 따라 긴밀하게 가열 융착되어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의 패턴층(20)이 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컬러, 물성 등이 다소 변성될 수 있지만 상기 의 단계를 따른다면 패턴층(20)은 베이스필름(10)에 긴밀하게 고착된다.
이로써, PET, PC, 아크릴 중 하나의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따라 10~100㎛ 두께로 고착된 폴리아크릴 기반 포토레지스트 재질의 패턴층(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가 완성된다.
참고로,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 제조방법의 일부는 흔히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라 불리는 공지의 공정과 다소 유사하지만, 본 발명은 하지막의 패터닝을 위한 중간물로 활용되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가열 융착시켜 패턴층(20)으로 직접 활용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상이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베이스필름(10)은 두께 0.1mm 이상의 PET, PC, 아크릴 중 하나를 사용하고, 포토레지스트는 폴리아크릴 기반을 사용하며,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완성 후 80~120℃ 온도로 2~4 시간 동안 가열한다.
즉, 본 출원인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두께 0.1mm 이상의 PET, PC, 아크릴 중 하나의 베이스필름(10)에 폴리아크릴 기반 포토레지스트로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노광 및 현상하여 80~120℃ 온도로 2~4 시간 동안 가열하면 긴밀하게 가열 융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는바, 해당 현상을 응용하여 포토레지스 패턴의 가열 고착물을 패턴층(20)으로 직접 활용하는 시트류를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출원인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필름(10)은 두께 0.15mm의 PET를 사용하고, 포토레지스트는 'ASAHI KASEI EMD CoRPORATION'사의 SUNFORT DFR(Dry Film resist)를 사용하 였다. 참고로,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광중합개시제(Acrylic/methacrylic monomers) 30~50 중량%, 바인더(Methyl methacrylate/butyl acrylate/methacrylic acid copolymer) 40~60 중량%, 광개시재 1~10 중량%, 기타 첨가물 1~10 중량%로 이루어진 밝은 녹색의 필름형태로서 녹는점 70degC이상, 인화점 190degC 이상, 밀도 1.15이며, 폴리에스터필름(Polyester film)과 폴리에틸렌필름(Polyethylene film)으로 라미네이트 되어 있다.
이러한 포토레지스트를 베이스필름(10)의 일면에 부착하여 포토레지스트층(22)을 형성한 후 마스크(30)를 사용하여 자외선으로 25초 동안 노광하였고, '에스티케이 케미칼' 사의 현상물질(모델번호 DE311)을 이용하여 자동 라인에서 2분 30초간 현상하였으며, 상압의 개방환경에서 10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결과 포토레지스트는 최초의 밝은 녹색에서 노광 후 짙은 청색을 거쳐 가열 후 반투명의 미색으로 변성되면서 베이스필름(10)에 긴밀하게 가열 융착되었고, 이로써 본 발명의 개연성과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에는 목적에 따라 인쇄층, 박막층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층은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 등의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불투명의 도료막을 총칭하며, 더미영역(B)을 따라 적층되어 무광 또는 유광의 다양한 컬러를 표현한다. 그리고 박막층은 도금, 스퍼터링(sputtering),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 CVD) 등의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투과율 50% 이상의 금속박막을 총칭하며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을 따라 적층되어 반사율을 높 임으로써 하프미러(half mirror)의 효과를 나타내거나 채도(saturation)를 낮춰 고급스러운 금속톤을 표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인쇄층과 박막층은 각각의 투명도를 고려하여 적층될 필요가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인쇄층은 패턴층(20)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될 수 있고, 이 경우 박막층은 인쇄층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패턴층(20)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인쇄층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다.
또는 이와 달리 박막층은 패턴층(20)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될 수 있고, 이 경우 인쇄층은 박막층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 패턴층(20)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 박막층을 덮는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구현을 위한 패턴층(20) 이외에 컬러구현을 위한 인쇄층, 박막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고유의 패턴 및 여기에 어울리는 컬러를 통해 심미감을 한층 높인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에는 목적에 따라 점착층이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스티커가 된다.
여기서 점착층은 도포 또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유기접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물질의 막을 총칭하며,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더미영역(B) 또는 전 영역 중 하나를 따라 적층되어 접착력을 발휘한다.
이때, 점착층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부착면 임을 감안하여 그 적층위치는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을 점하는바, 바람직하게는 하지막이 베이스필름(10) 이외의 패턴층(20), 인쇄층, 박막층 등이라면 최 외면의 더미영역(B)을 따라 유기접착제를 적층하고, 하지막이 베이스필름(10)이라면 최 외면의 전 영역을 따라 실리콘 점착물질을 적층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류는 베이스필름(10) 및 패턴구현을 위한 패턴층(20)을 기본으로 하되 컬러구현을 위한 인쇄층, 박막층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컬러를 표현할 수 있고, 점착층을 추가하여 스티커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활용예를 살펴보며, 설명의 편의상 임의의 몇 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제 1 그룹>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베이스필름(10), 패턴층(20), 인쇄층(42)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제 1 및 제 2 활용예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의 st5(도 8 참조, 이하 동일하다.) 단계 후 소정의 도료를 패턴층(20) 위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임의로 st6 이라 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를 함께 표현한다.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의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의 st1(도 4 참조, 이하 동일하다.) 단계 후 소정의 도료를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임의로 st6'이라 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를 함께 표현한다.
<제 2 그룹>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제 1 그룹에 박막층(44)을 추가한 경우로서 베이스필름(10), 패턴층(20), 인쇄층(42), 박막층(44)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제 3 내지 제 6 활용예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 일 면의 더미영역(B)에서 인쇄층(42)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9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여기서 패터닝이란 금속박막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총칭하며, 간략하게는 금속박막 위로 별도의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마스크로 노광하고 현상물질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은 다음 식각하여 노출된 금속박막의 일부를 제거하고 잔류 포토레지스트패턴를 스트립(strip) 및 세정(clean)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는 반도체 공정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3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3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인쇄층(42)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표시영역(A)에도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이 부여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도 9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의 st1(도 4 참조)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4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4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3의 st1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0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5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5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10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에서 인쇄층(42)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0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인쇄층(42)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6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6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인쇄층(42)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10의 st6' 단계 후 금속박막을 인쇄층(42)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제 3 그룹>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베이스필름(10), 패턴층(20), 박막층(44)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제 7 및 제 8 활용예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의 st5 단계 후 소정의 금속박막을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임의로 st7 단계라 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7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7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3의 st5 단계 후 금속박막을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첨부된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3의 st1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는 단계(임의로 st7' 단계라 한다. 이하 동일하다.)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8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제 8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3의 st1 단계 후 금속박막을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에 증착하면 충분하다.
<제 4 그룹>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제 3 그룹에 인쇄층(42)을 추가한 경우로서 베이스필름(10), 패턴층(20), 인쇄층(42), 박막층(44)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제 9 내지 제 12 활용예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5의 st7 단계 후 소정의 도료를 박막층(44)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9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도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상기의 제 9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앞서 살펴본바 있다.
첨부된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5의 st1(도 4 참조) 단계 후 도료를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0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상기의 제 10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앞서 살펴본바 있다.
첨부된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6의 st7' 단계 후 도료를 패턴층(20)을 비롯한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1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상기의 제 11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앞서 살펴본바 있다.
첨부된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2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6의 st7' 단계 후 소정의 도료를 박막층(44)에 실크인쇄 또는 평판인쇄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2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패턴층(20)에 의한 패턴과 인쇄층(42)에 의한 컬러 이외에 박막층(44)에 의한 금속톤을 함께 표현한다.
또한 상기의 제 12 활용예에서 박막층(44)은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앞서 살펴본바 있다.
<제 5 그룹>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제 1 내지 제 4 그룹 내 시트류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을 따라 점착층을 추가한 경우로서, 제 1 내지 제 4 그룹의 모든 시트류가 가능하지만 임의로 몇 가지만 살펴본다. 즉, 이하에서 살펴볼 본 그룹에 따른 시트류는 베이스필름(10), 패턴층(20), 인쇄층(42), 박막층(44), 점착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되며, 임의로 제 13 내지 16 활용예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3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더미영역(B)에서 인쇄층(42)을 덮는 점착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7에서 살펴본 시트류의 최 외면 중 하나인 인쇄층(42) 위로 점착층(46)을 적층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이때, 점착층(46)의 하지막은 베이스필름(10)이 아닌 그 밖의 층, 즉 인쇄층(42)이므로 점착층(46)은 유기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3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으 로 점착층(46)이 부착되어 베이스필름(10) 이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첨부된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4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 이면 전 면적을 덮는 점착층(46)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7에서 살펴본 시트류의 최 외면 중 하나인 베이스필름(10) 이면의 전 면적을 따라 점착층(46)을 적층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이때, 점착층(46)의 하지막은 베이스필름(10) 이므로 점착층은 실리콘 점착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점착층(46)이 접착되어 베이스필름(10)의 일면을 비롯한 인쇄층(4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티커가 된다.
첨부된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5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의 일면 더미영역(B)에서 패턴층(20)을 덮는 점착층(46)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20에서 살펴본 시트류의 최 외면 중 하나인 패턴층(20) 위로 점착층(46)을 적층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이때, 점착층(46)의 하지막은 베이스필름(10)이 아닌 그 밖의 층, 즉 패턴층(20)이므로 점착층(46)은 유기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점착층이 접착되어 인쇄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티커가 된다.
첨부된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6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10) 일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패턴층(20),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을 덮는 박막층(44), 베이스필름(10) 이면의 더미영역(B)에서 박막층(44)을 덮는 인쇄층(42), 베이스필름(10)의 이면 더미영역(B)에서 인쇄층(42)을 덮는 점착층(46)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활용예에 따른 시트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20에서 살펴본 시트류의 최 외면 중 하나인 인쇄층(42)에 점착층(46)을 적층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이때, 점착층(46)의 하지막이 베이스필름(10)이 아닌 그 밖의 층, 즉 인쇄층(42)이므로 점착층(46)은 유기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활용예 따른 시트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점착층(46)이 접착되어 베이스필름(10)의 일면을 비롯한 패턴층(2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티커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 있지만 점착층(46)은 제 1 내지 제 4 그룹의 모든 시트류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모든 조합을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제 5 그룹의 활용예는 그중 몇 가지를 정리한 것에 불과하며, 그외 가능한 조합은 상기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상의 설 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몇 가지 예시에 지나지 않는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층이 증착된 시트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층이 증착된 시트류의 공정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층이 증착된 시트류의 공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2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3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4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5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6 활용예에 대한 단면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필름 20 : 패턴층
22 : 포토레지스트층 30 : 마스크
32,34 : 차단부 및 투과부 42 : 실크인쇄층
44 : 박막층 46 : 점착층

Claims (13)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두르는 더미영역이 구분 정의된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을 따라 10~100㎛의 두께로 고착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층을 포함하는 시트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합성수지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아크릴(acrylic), PC(polycarbonate)을 포함하는 시트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도료의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시트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금속의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시트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금속의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시트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적층된 도료의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시트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의 기재에 따른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로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하나를 따라 적층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스티커.
  8. (a)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두르는 더미영역이 구분 정의된 투명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에 10~100㎛의 두께로 폴리아크릴(polyacrylic) 기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c)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하는 단계;
    (d)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는 단계; 및
    (e)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80~150℃에서 2~4 시간 가열하여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을 따라 고착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층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 (f)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도료를 인 쇄하여 인쇄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후 (g)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인쇄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금속을 박막 증착하여 박막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 (f')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금속을 박막 증착하여 박막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후 (g')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패턴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의 상기 더미영역, 상기 박막층을 덮는 상기 베이스필름 이면의 상기 더미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도료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트류 제조방법.
  13. 청구항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의 기재에 따른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시트류의 상기 베이스필름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의 최 외면에서 상기 더미영역 또는 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커 제조방법.
KR1020090115357A 2009-11-26 2009-11-26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8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57A KR20110058533A (ko) 2009-11-26 2009-11-26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357A KR20110058533A (ko) 2009-11-26 2009-11-26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533A true KR20110058533A (ko) 2011-06-01

Family

ID=4439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357A KR20110058533A (ko) 2009-11-26 2009-11-26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905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81037B1 (ko) * 2017-12-12 2018-07-23 (주)아이엠씨티 자성잉크 및 자기력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CN109917626A (zh) * 2017-12-12 2019-06-21 株式会社爱睦悉缇 利用磁性油墨与磁力的图案形成方法及其夹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905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81037B1 (ko) * 2017-12-12 2018-07-23 (주)아이엠씨티 자성잉크 및 자기력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CN109917626A (zh) * 2017-12-12 2019-06-21 株式会社爱睦悉缇 利用磁性油墨与磁力的图案形成方法及其夹具
CN109917626B (zh) * 2017-12-12 2022-04-05 株式会社爱睦悉缇 利用磁性油墨与磁力的图案形成方法及其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0461B (zh)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film and protective panels
CN105522790B (zh) 电子装置以及制造用于该电子装置的外观构件的方法
JP5585147B2 (ja) ベゼル加飾物
US10590029B2 (en)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JP2010100052A (ja) 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TWI695239B (zh) 用於製造例如時計之可攜式物體的顯示刻度盤之方法及由此方法所獲得的顯示刻度盤
JP2008254428A (ja) 携帯電子装置用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8533A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시트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시트류를 이용한 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EP280816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KR101282081B1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16154A1 (zh) 膜片及其制备方法、壳体以及电子设备
KR101176907B1 (ko) 컬러층이 구비된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55894A (ja) ヘアライン調加飾シート
CN204695276U (zh) 具有纹理外观的透明结构
CN203178965U (zh) 触摸屏盖板
KR101417797B1 (ko) 복합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 복합 패턴이 구비된 시트
CN109283801A (zh) 一种盖板的制备方法及一种盖板
KR20090056037A (ko) 다양한 칼라 및 반거울감을 가지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7279297A (ja) 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
CN211236402U (zh) 摄像头镜片及摄像头
CN210327704U (zh) 改进型手机后盖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KR20045684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TWI626165B (zh) 具有立體多彩圖案表層的矽膠物件及其製作方法
JP2008046279A (ja) パターン形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