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935A -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935A
KR20110057935A KR1020090114566A KR20090114566A KR20110057935A KR 20110057935 A KR20110057935 A KR 20110057935A KR 1020090114566 A KR1020090114566 A KR 1020090114566A KR 20090114566 A KR20090114566 A KR 20090114566A KR 20110057935 A KR20110057935 A KR 2011005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mounting
pai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은
심기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935A/ko
Publication of KR2011005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되며, 헤드유닛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와, 상기 베이스의 실장영역에 다수로 설치되며, 분배되는 기판을 기판 이송경로와 직각 방향으로 안착 또는 이동시키는 실장스테이지와, 상기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 기판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판 공급방향과 배출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기판공급유닛과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판을 회전을 통해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 분배하고, 다시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상기 기판을 전달받아 복귀회전을 통해 상기 기판배출유닛으로 전달하는 기판분배유닛을 포함한다.
부품실장기, 컨베이어, 기판, 회전, 분배

Description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Conveyer device of chip Mounter}
본 발명은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동작이 가능한 기판분배유닛이 공급되는 기판을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 공급하거나 실장이 완료된 기판은 다시 전달받아 배출을 이룸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다이 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간섭 없이 다이 부품의 공급 및 배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실장기(칩마운터)는 기판(PCB)상에 집적회로,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이하, '부품'이라 칭하기로 함)을 실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부품실장기는, 기판상에 실장 될 부품들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Feeder)에서 공급하는 부품들이 실장 될 수 있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컨베이어)와, 테이프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부품들을 픽업한 후 픽업된 부품들을 기판상에 실장 할 수 있도록 노즐 스핀들(nozzle spindle)을 구비한 헤드유닛과, 상기 헤드유닛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X-Y 갠트리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컨베이어(미도시)장치는 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로 기판(PCB)을 전송하고, 기판상에 부품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실장한다. 이후, 실장일 완료된 기판을 소정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배출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는, 기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실장스테이지가 복수로 구비된 것이 있으나, 이는 기판을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 분배하는 과정과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여 작업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실장기의 실장영역에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고, 부품실장기에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를 적용할 경우 기판을 공급하거나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져 장비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기판분배유닛이 회전동작을 통해 실장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실장스테이지에 기판을 순차적으로 분배하고, 다시 실장스테이지들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전달받아 복귀회전을 통해 기판을 배출 방향으로 전달하여 배출을 이룸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다이 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수 있고, 하나의 기판분배유닛이 다수의 실장스케이지로 기판을 일괄 분배하여 다이 부품을 공급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되며, 헤드유닛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와, 상기 베이스의 실장영역에 다수로 설치되며, 분배되는 기판을 기판 이송경로와 직각 방향으로 안착 또는 이동시키는 실장스테이지와, 상기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 기판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판 공급방향과 배출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기판공급유닛과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판을 회전을 통해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 분배하고, 다시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상기 기판을 전달받아 복귀회전을 통해 상기 기판배출유닛으로 전달하는 기판분배유닛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갠트리는,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기판 이송경로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한 쌍의 겐트리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장스테이지에는, 상기 기판 이송경로와 직각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제1슬라이드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장스테이지는, 상기 기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공급된 상기 기판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장스테이지의 상기 이송장치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 및, 상기 기판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에 양단이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공급유닛, 상기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분배유닛은, 상기 기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공급유닛, 상기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분배유닛의 상기 이송장치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 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 및, 상기 기판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에 양단이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분배유닛의 하부에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분배유닛이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제2슬라이드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 개의 기판들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다수의 기판을 분배하는 과정과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기판분배유닛이 다수의 실장스테이지에 기판을 일괄적으로 분배할 수 있어, 기판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장치 구성이 복잡하지 않으며, 기판 안착용 실장스테이지를 좁은 공간에 다수로 배치할 수 있어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에서 기판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기판이 수평회전된 기판분배유닛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기판분배유닛이 수평회전하여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실장스테이지에 기판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2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판분배유닛이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부터 다시 전달받아, 수평회전에 의해 기판배출유닛으로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3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는 베이스(100), 갠트리(200), 실장스테이지(300), 기판공급유닛(400), 기판배출유닛(500) 및 기판분배유닛(6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0)에는 웨이퍼에서 다이(Die: S) 부품을 공급하는 웨이퍼 핸들러(110)가 기판(P) 공급 및 배출방향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퍼 핸들러(110)에는 다이(S)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다이셔틀(1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이셔틀(120)의 일측에는 공급된 다이(S) 부품에 플럭스 디핑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플럭스 도포장치(130)와, 비전인식을 위한 카메라(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30)는 후술 될 각각의 헤드유닛(210) 마다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웨이퍼 헨들러(110)에서 공급되는 다이(S) 부품을 다이셔틀(120)이 실장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헤드유닛(210)이 이송된 다이(S) 부품을 픽업하여 플럭스 디핑 공정을 실시한다. 이후, 카메라(140)를 통해 다이(S) 부품의 얼라인을 확인 및 보정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다음으로, 갠트리(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헤드유닛(2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길이를 갖도록 베이스(1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갠트리(200)에 설치되는 헤드유닛(210)은, 한 쌍의 겐트리(200)에 복수로 설치되어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갠트리(200)에는 헤드유닛(210)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리니어 모터(미도시)와 볼스크류(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헤드유닛(210)이 정해진 기판(P) 이송경로(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실장스테이지(3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된 실장영역에 다수로 설치되며 분배된 기판(P)을 안착시키거나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배출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다시 말해, 실장스테이지(300)는 후술 될 기판분배유닛(600)으로부터 전달되는 기판(P)을 상부에 안착시켜 헤드유닛(210)이 실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후술 될 기판분배유닛(600)으로 다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장스테이지(300)에는 기판(P)을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와,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 사이에 설치되며 공급된 기판(P)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미도시)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 트(31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P)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실장스테이지(300)의 이송장치(미도시)에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P)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미도시)에 양단이 걸려 회전되는 이송벨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적인 컨베이어의 구성이므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즉, 공급되는 기판(P)이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 상부에 안착 되면, 백업핀(미도시)이 안착 된 기판(P)을 지지하면서 일정높이로 상승 위치시킨 후, 갠트리(200)에 설치된 다수의 헤드유닛(210)이 이동하면서 기판(P)상에 부품을 실장 한다.
실장이 완료되면, 백업핀(미도시)이 기판(P)을 하강시켜 백업플레이트(310) 안착시킨 후, 기판(P)을 후술 될 기판분배유닛(600)으로 다시 전달하는 동작 순서를 가진다.
한편, 실장스테이지(300)에 설치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공급되는 기판(P)의 크기에 따라 그 지지 폭을 가변시키기 위해 별도의 폭 조절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폭 조절장치(미도시)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미도시)와, 상기 가이드부(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310)의 폭을 조절하는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장스테이지(300)의 하부에는 기판(P) 이송경로(A)와 직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슬라이드유닛(3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유닛(320)은 실장스테이지(300)의 하부에서 기판(P) 이송경로(A)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321)와, 상기 가이드부(321)에 설치되어 실장스테이지(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공급유닛(400)은 실장스테이지(300)로 기판(P)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00)의 기판(P) 공급방향에 설치되며, 기판(P)을 기판분배유닛(6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기판공급유닛(400)에는 기판(P)을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410)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41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P)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기판공급유닛(400)의 이송장치(미도시)에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410) 사이에서 이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미도시) 및, 기판(P)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미도시)에 양단이 걸려 회전되는 이송벨트(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기판배출유닛(500)은,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전달받아 다음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기판(P)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베이스(100)의 기판(P) 배출방향에 설치되며, 기판분배유닛(6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실장완료 기판(P)을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기판배출유닛(500)에는 공급되는 기판(P)을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510)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51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P)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배출유닛(500)의 이송장치(미도시)에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510) 사이에서 이송경로(A)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미도시) 및, 기판(P)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미도시)에 양단이 걸려 회전되는 이송벨트(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기판분배유닛(600)은 기판공급유닛(400)과 기판배출유닛(500)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공급유닛(400)으로부터 전달받은 기판(P)을 수평회전에 의해 상기 실장스테이지(300)들로 분배하고, 다시 상기 실장스테이지(300)들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상기 기판(P)을 전달받아 수평회전에 의해 상기 기판배출유닛(5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기판분배유닛(600)에는 공급되는 기판(P)을 상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610)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61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P)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기판분배유닛(600)의 이송장치(미도시)에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서 이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미도시) 및, 기판(P)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미도시)에 양단이 걸려 회전되는 이송벨트(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분배유닛(600)의 하부에는, 기판분배유닛(600)이 기판(P) 이송경 로(A)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제2슬라이드유닛(620)은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길이를 갖도록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621) 및, 상기 가이드부(621)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분배유닛(600)을 슬라이드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판분배유닛(600)의 회전을 위해 회전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장치(미도시)는 기판분배유닛(600)의 하부에 회전중심이 되는 수직축(미도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분배유닛(600)이 실장스테이지(300)로 기판(P)을 분배하는 순서와, 실장스테이지(300)에서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기판분배유닛(600)로 다시 전달하는 순서는, 부품실장기의 제어부(미도시)에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분배유닛(600)은 90°로 직각 회전을 통해 기판공급유닛(400)으로부터 기판을 전달받아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이동하여 해당 실장스테이지(300)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기판분배유닛(600)은 다시 직각 회전을 통해 실장스테이지(300)들로 기판(P)을 공급한다.
이후, 실장스테이지(300)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다시 전달받은 기판분배유닛(600)은 다시 90°로 직각 회전하여 기판배출유닛(500)을 통해 기판(P)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에 대한 동작순서를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공급유닛(400)을 통해 공급되는 기판(P)이 직각 회전된 기판분배유닛(600)에 전달되고, 기판(P)을 전달받은 기판분배유닛(600)은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이동하면서 직각 회전을 통해 다수의 실장스테이지(300)에 순차적으로 기판(P)을 모두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분배유닛(600)은 분배 순서는 제어부(미도시)에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분배유닛(600)이 다수의 실장스테이지(300)에 기판(P)을 순차적으로 모두 분배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헤드유닛(210)은 갠트리(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다수의 실장스테이지(300)에 분배된 기판(P)상에 다이(S) 부품을 실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다수의 실장스테이지(300)는 실장이 완료된 기판(P)들을 직각으로 회전된 기판분배유닛(600)으로 다시 전달하며, 기판분배유닛(600)은 기판(P) 이송경로(A)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달받은 기판(P)을 기판배출유닛(500)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이때, 기판배출유닛(500)은 전달받은 실장완료 기판(P)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 개의 기판(P)들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고, 다수의 기판(P)을 분배하는 과정과 실장이 완료된 기판(P)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또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기판분배유닛(600)이 다수의 실장스테이지(300)에 기판(P)을 일괄적으로 분배할 수 있어, 기판(P)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장치 구성이 복잡하지 않으며, 기판(P) 안착용 실장스테이지(300)를 좁은 공간에 다수로 배치할 수 있어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에서 기판공급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기판이 수평회전된 기판분배유닛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기판분배유닛이 수평회전하여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실장스테이지에 기판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2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판분배유닛이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부터 다시 전달받아, 수평회전에 의해 기판배출유닛으로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3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200: 갠트리
210: 헤드유닛 300: 실장스테이지
400: 기판공급유닛 500: 기판배출유닛
600: 기판분배유닛 A: 이송경로
P: 기판 S: 다이

Claims (8)

  1. 베이스에 설치되며, 헤드유닛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
    상기 베이스의 실장영역에 다수로 설치되며, 분배되는 기판을 기판 이송경로와 직각 방향으로 안착 또는 이동시키는 실장스테이지;
    상기 다수의 실장스테이지로 기판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판 공급방향과 배출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기판공급유닛과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판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기판을 회전을 통해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 분배하고, 다시 상기 실장스테이지들로부터 실장이 완료된 상기 기판을 전달받아 복귀회전을 통해 상기 기판배출유닛으로 전달하는 기판분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는,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기판 이송경로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한 쌍의 겐트리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스테이지에는, 상기 기판 이송경로와 직각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제1슬라이드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스테이지는, 상기 기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공급된 상기 기판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스테이지의 상기 이송장치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 및;
    상기 기판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에 양단이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공급유닛, 상기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분배유닛은, 상기 기판 을 안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공급유닛, 상기 기판배출유닛 및 상기 기판분배유닛의 상기 이송장치는, 한 쌍의 백업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 및
    상기 기판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에 양단이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분배유닛의 하부에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분배유닛이 상기 기판 이송경로를 따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제2슬라이드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KR1020090114566A 2009-11-25 2009-11-25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KR20110057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66A KR20110057935A (ko) 2009-11-25 2009-11-25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66A KR20110057935A (ko) 2009-11-25 2009-11-25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35A true KR20110057935A (ko) 2011-06-01

Family

ID=4439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66A KR20110057935A (ko) 2009-11-25 2009-11-25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9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015B1 (ko) 판상 부재의 반송지지장치 및 그 방법
US9844170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US9357686B2 (e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substrate inverter system and clamp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US8529185B2 (en) Work handling apparatus
KR100530743B1 (ko) 부품실장장치
WO2000020154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solder balls on a substrate
US20150132483A1 (e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substrate inverter system and roller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JP4694983B2 (ja) 表面実装機
JP5721071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基板製造方法
JP6387164B2 (ja) 被実装物作業装置
JP6307668B1 (ja) 被実装物作業装置
JP4494910B2 (ja) 表面実装装置
KR20110057935A (ko)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US20130220773A1 (en) Process machine, in particular for treating and/or inspecting substrates
CN110248777B (zh) 作业机
JP2008130583A (ja) 部品実装装置
KR101465989B1 (ko) 기판 코팅 장치
EP1771877B1 (de) Wafertisch zum bereitstellen von elektrischen bauelementen und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substraten mit den bauelementen
JP4146985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方法、並びに部品実装装置
JP2011054900A (ja) 部品実装機、部品実装ライン
KR20110052215A (ko)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JP4194813B2 (ja) バックアップピンの段取り替え方法及びその段取り替え装置
JP2007214429A (ja) 表面実装機
JP5798835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22118841A (ja) 作業機、および干渉回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