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827A -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827A
KR20110057827A KR20090114393A KR20090114393A KR20110057827A KR 20110057827 A KR20110057827 A KR 20110057827A KR 20090114393 A KR20090114393 A KR 20090114393A KR 20090114393 A KR20090114393 A KR 20090114393A KR 20110057827 A KR20110057827 A KR 2011005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mixing
mixed
weigh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872B1 (ko
Inventor
목성균
Original Assignee
목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성균 filed Critical 목성균
Priority to KR2009011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8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염류장해를 방지하고, 5년 이상의 고년생 생장기에도 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 등 이화학성 개선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인삼포 예정지 관리 및 생육과정(묘포, 본포)에 따라서 재배와 생육조건에 부합되는 최적 유기질퇴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양 중에서 염류 흡착력이 강해서 고년생이 생장하는 기간에도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고년생에서 염류장해를 억제하면서 장기적으로 양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토양 중에서 미량요소 부족으로 인삼의 생육과 품질을 저하 시킬 수 있는 생리장해를 예방 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보수성과 배수성 및 통기성이 좋게 유지되도록 하며, 토양에 유용미생물의 서식과 번식을 촉진함과 동시에 토양에 잔류 된 유해물질(중금속, 농약잔류성분)을 흡착 정화 시키는 등 다방면으로 효과적인 최적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퇴비제조용 최적 원료를 선발하여 제조된다. 이들 조건에 부합되는 원료는 피트(갈대 주원료), 피트모스(이끼 주원료), 코코피트, 왕겨(팽화왕겨),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질석), 유박류(유료작물), 미강, 유박류(유료작물), 톱밥, 활엽수 수피, 축분, 황산고토 또는 이산화고토, 붕소, 유용미생물(길항미생물) 등으로서, 본 발명의 복합퇴비는 이 원료들을 생장과정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혼합 부숙 제조한다.
피트, 길항미생물, 예정지 관리, 인삼재배용 퇴비

Description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compost for cultivation of ginseng complex}
본 발명은 인삼 재배용 친환경 복합 퇴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염류장해를 방지하고, 5년생 이상의 고년생이 생장하는 동안에도 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토양 중에 부족 되기 쉬운 미량요소 보충과 동시에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 등 이화학성 개선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생장속도가 매우 느리고 건물 생산량이 극히 적은 특성이 있다. 즉 인삼의 개체중이 100년간 자란 산삼은 대부분 100g이하이고, 밭에서 재배한 6년근 인삼은 평균 100g 정도로 1년간 자란 무의 개체중이 1,000g 이상인 것에 비해서 훨씬 작다. 이와 같이 인삼은 연간 생장속도가 매우 느리고 건물 생산량이 적은 특성 때문에 일반농작물에 비해서 양분 요구량이 극히 적은 특징이 있다.
또한 인삼의 뿌리는 표피가 매우 얇아 세근의 내부에 물이 차 있는 것이 보일 정도로 얇기 때문에 예로부터 인삼의 잔뿌리를 물뿌리 또는 수근(水根)이라고까 지 불려왔다. 이와 같이 인삼의 세근은 표피가 매우 얇기 때문에 토양 중에 비료성분이 많거나, 염류농도가 약간 이라도 높으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뿌리 중에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세근과 지상부가 시들면서 심해지면 인삼이 썩게 된다. 이와 같이, 인삼재배용 퇴비에 비료성분이 다량 함유된 축분이나 유박류 등 농후유기질 원료 비율이 너무 높으면 토양 중에 비료과다와 염류고농도장해로 각종 생리장해와 병해가 증가된다.
생리장해는 동식물에 발생되는 병으로 병원균에 의한 것이 아니고, 주변의 환경이나 토양 조건이 불량해서 생장에 장해를 주는 현상을 말한다. 염류는 토양 중에서 식물체가 흡수 이용할 수 있는 양분의 총칭을 말한다. 염류장해는 토양 중에 염류 농도가 과다해서 식물 뿌리의 삼투압보다 토양의 삼투압이 높아서 식물체 안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가 시들게 되어 생장에 장해를 주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삼비료는 예로부터 구벽토(舊璧土)(즉, 옛날 폐가옥의 벽의 흙을 부셔서 가루로 만든 흙)나 약토(산에서 갈잎을 채취하여 2년간 퇴적 완전히 부숙시켜서 만든 퇴비)만 사용하도록 표준경작법에 규정되어 왔다. 그리고 표준인삼 경작방법과 인삼 산업법서 인삼재배포지에는 화학비료나 축분 등 농후 유기질 거름의 사용을 금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화학비료나 축분 등 농후 유기질 거름을 다량 사용할 경우에는 토양 중에 염류고농도 장해로 인삼의 세근 발육불량에 의한 각종 생리장해와 병해가 증가되어 생육과 수량 및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인삼재배 시 또 하나의 문제점은 인삼이 누수가 전혀 되지 않는 해가림 시설 하에서 장기간(예컨대, 5년 이상) 재배되는데, 해가 갈수록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됨에 따라 염류고농도장해가 발생하여 인삼 싹이 출아 시 연약한 뇌두(인삼의 지상부가 생장하기 시작하는 머리모양의 부위)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고, 그 상처를 통해서 회색곰팡이병의 확산 때문에 되어 인삼의 부패현상이 증가되어 막대한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인삼의 잔뿌리가 주로 분포 된 심토층의 양분은 대부분 표층으로 이동되어 양분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에, 표토층에는 양분과다집적에 의한 염류고농도 장해가 발생되는 기현상이 발생 되면서 각종 생리장해와 병해가 증가 되어 고년생으로 갈수록 농약 사용량이 증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삼재배에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퇴비는 토양 중에서 양분 흡착력이 강해서 고년생이 생장하는 동안에도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막아서 염류장해를 방지하면서 양분을 장기적으로 균형 있게 공급할 수 있는 완효성 유기질 퇴비 개발이 필요하다.
인삼의 또 하나의 생리적 특징은 토양이 과습 하거나 작토층이 단단해 통기성이 불량해지면 뿌리가 바로 부패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삼퇴비의 구비 조건은 퇴비 시용에 의해서 토양을 부드럽게 조성해 주고 배수와 통기성을 좋게 하여 토양 과습을 방지할 수 있는 퇴비를 많이 시용해야 한다.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좋게 유지 하려면 토양에 유용미생물의 서식과 번식을 활성화 시켜야 하는데, 유용미생물의 활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토양 중에 적당한 유기물과 수분을 적당히 함유해야 할 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 배수성과 통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퇴비원료를 선정 배합해서 퇴비를 만드는 것이다. 유용미생물 은 토양 중에서 유해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작물에 피해가 없으면서 토양 유기물의 부숙을 촉진 또는 토양을 부드럽게 해주어 통기성과 배수성을 양호하게 하는 작물 생장에 이로운 미생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농경지에서 인삼재배 시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일반작물 재배 시 장기간에 걸쳐서 다수확을 목적으로 화학비료와 축분을 다량 시용해 왔기 때문에 토양에 비료 과다 오염에 의한 염류과다 축적 때문에 전반적으로 인삼재배에 불리한 조건에 있다. 따라서 정관장 홍삼을 생산하는 한국인삼공사에서 계약 재배 시에는 사전에 반드시 토양을 채취 분석해서 토양 중 염류농도가 기준치 이상 되면 계약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와 같이 인삼재배 토양에 염류장해가 심하기 때문에 토양 중에 비료 성분이 오염되지 않았던 과거 8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인삼포 예정지에 퇴비용으로 신선한 산야초를 채취 토양에 혼입하거나, 비료성분이 오염되지 않은 산야초를 채취하여 퇴비를 제조한 소위 약토(藥土)를 사용함으로써 무(저)농약 고품질 인삼을 생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농촌 인력의 노령화, 고임금 인력난 등으로 산야초 채취가 불가능하게 되었고, 인삼포 예정지에 축분이나 축분을 주원료로 제조한 농후유기질 거름을 위주로 사용해서 염류장해 증가로 인삼생육 중에 각종 생리장해와 병해충 증가로 인삼의 생육 수량 품질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이와 같은 현상 때문에 최근에 와서 우리나라 농경지에는 친환경 청정 유기농법 재배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시판용 유기질거름 제조회사가 난립해 왔고, 지금까지 시판되고 있는 일반 유기질거름은 일반 작물에는 적합하나, 인삼재배용으로 는 아주 부적합한 퇴비였다.
그리고 최근 많은 농가에서 인삼밭에 유용한 미생물을 다량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토양이 이화학성 악화로 미생물의 활성에 적합한 토양환경 조건으로 조성되지 못해서 농가에서 인삼밭에 시용하는 미생물의 처리 효과가 가시화되지 않는 실정이기 때문에 토양에 사용한 유용미생물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는 친환경 미생물 유기질 퇴비 개발이 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인삼재배 시 또 하나의 문제점은 과거 70년대 이전에 우리나라 농경지에 주로 사용 해 왔던 살충제인 DDT나 BHC 또는 최근 인삼을 재배하기 전 일반작물 재배 시에 시용한 농약 잔류성분이 인삼에 흡수 잔류되는 문제점이 가끔 있어서 토양 중에 유해물질인 농약잔류 성분을 흡착 정화 할 수 있는 퇴비 개발의 필요성도 대두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삼은 1년생 작물이 아니고 다년생 작물로서 작업 및 생육과정별로 재배와 생육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인삼재배 과정(예정지, 묘포, 본포)에 부합되는 최적 유기질퇴비도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염류장해를 방지하고, 5년 이상의 고년생 생장기에도 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 잔류되어 있는 유해물질(중금속, 농약 잔류성분)을 흡착 정 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 등 이화학성 개선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친환경 복합퇴비로서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인삼포 예정지 관리 및 생육과정(묘포, 본포)에 따라서 재배와 생육조건에 부합되는 최적 유기질퇴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예정지 녹비작물 파종 전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 제조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원료와 유박류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70중량%와 30∼60중량%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정지 녹비작물 파쇄 토양 혼입 시 또는 볏짚 등 신선한 농산부산물 토양 혼입 시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 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70중량%와 30∼60중량%로 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 제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L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묘포 또는 두둑 형성 전 시용용 복합퇴비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70∼80중량%와 20∼30중량%로 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ℓ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혼합 후 부숙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포 상면 부초 위 복토 전 시용용 복합퇴비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80∼90중량%와 10∼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 부숙 제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양 중에서 양분 흡착력이 강해서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막아서 고년생에서도 염류장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심토층에서 양분을 장기적으로 균형 있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 등 이화학성 개선 등으로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 시켜 인삼의 생육과 수량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해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청정 우량인삼을 생산할 수 있는 인삼재배 최적의 친환경 유기질 복합퇴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재배용 친환경 최적 유기질 복합퇴비는 생장과정별(예정지 단계를 포함함. 이하 같음)로 원료가 다르고 그 배합비율도 다르다. 인삼을 심 기 위해 준비하는 예정지 관리단계와 인삼종자를 파종 하거나, 묘삼을 심은 이후의 생육과정(묘포, 본포)단계에 따라 혼합되는 원료가 다르고 그 배합비율도 또한 다르다.
즉, 본 발명의 복합퇴비는, 예정지 녹비작물(농작물을 수확 전에 갈아엎어서 퇴비 대용 거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재배하는 작물로서, 보리, 밀, 호밀, 수단그리스, 옥수수 등이 있음) 파종 전 시용용 퇴비, 예정지 녹비작물 재배 후 녹비작물 파쇄 토양 혼입 시나 볏짚 등 신선한 농산부산물을 토양에 혼입 시 시용용 퇴비, 묘포 또는 본포용 두둑 형성 전 시용용 퇴비, 본포 상면 부초 위 복토 시 시용용 퇴비로 구분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퇴비는 토양 중에서 염류 흡착력이 강해서 고년생이 생장하는 기간에도 심토층의 양분이 표토층으로 이동 집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고년생에서 염류장해를 억제하면서 장기적으로 양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토양에 부족하기 쉬운 미량요소 공급뿐만 아니라 토양의 보수성과 배수성 및 통기성이 좋게 유지되도록 하며, 토양에 유용미생물의 서식과 번식에 최적 조건을 조성 유지함과 동시에 토양 중에 잔류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흡착 정화할 수 있는 퇴비제조용 최적 원료를 선발하여 제조된다.
이들 조건에 부합되는 원료는 피트(갈대피트), 피트모스(이끼피트), 코코피트,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질석), 왕겨(팽화왕겨), 유박류(유료작물), 미강, 톱밥, 활엽수 수피, 축분, 황산고토 또는 이산화고토, 붕소, 유용미생물(길항미생물) 등으로서, 본 발명의 복합퇴비는 이 원료들을 생장과정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혼합 제조한다.
여기서, 피트는 수천 년을 반복하여 얕은 늪 호수의 수초, 수서 미생물이 고사하여 반 부숙 상태로 유기물만이 매몰 퇴적되어 탄화된 유기질체를 피트(토탄, 이탄)이라고 칭한다. 피트에는 대표적으로 다음 2종류로 분류하는데, 모식물체가 주로 갈대인 것을 갈대피트, 모 식물체가 주로 물이끼인 것은 피트모스(이끼피트)라고 한다. 코코피트는 야자나무 과일 껍질의 섬유층의 물질을 말한다. 이 피트류는 토양에 퇴비로 사용할 경우에는 유기물 증대 기능을 하고, 보수력, 보비력, 염류 흡착력 증대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 잔류되어 있는 유해물질(중금속, 농약성분의) 흡착 정화 기능을 하며, 공극률, 통기성, 배수성 증대 기능을 하고, 유용미생물 활성화에 좋다.
제올라이트는 화학 조성 상 Na, K, Ca, Mg, Sr 및 Ba를 양이온으로 소량 함유하는 함수규산염 광물이고, 구조는 결정구조상의 공동이 형성될 정도로 엉성한 구조를 갖는데, 여기에 각종 양이온이 존재 치환될 수 있고, 수분과 염류 등 흡착력이 강해서 토질 및 수질 개선제로 활용되고, 각종 가스 제거제로 활용된다.
버미큐라이트(질석)는 광물질 관점에서 질석은 2:1층형 광물로 두 개의 사면체층과 그 사이의 팔면체층이 이루는 단위 격자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단위층 사이에 물분자 또는 다른 양이온들을 흡착하며, 팽창하기 때문에 높은 흡수력과 양이온 치환능력을 가질 수 있다.
유용미생물은 공극률, 통기성, 배수성 증대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성과 병해 예방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바실러스스트, 토마이세스, 슈도모나스, 트리코테르 마, 아그로박테리움, 사이코테리마, 유산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퇴비는 이러한 다양한 유용미생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첨가하여 제조하게 된다.
팽화 왕겨는 왕겨를 고압상태에서 튀긴 것으로서, 보수력, 보비력, 염류 흡착력 증대뿐만 아니라, 토양 중에 잔류되어 있는 유해물질(중금속, 농약성분의) 흡착 정화 기능을 하며, 공극률, 통기성, 배수성 증대 기능을 하며, 유용미생물 활성화 기능을 한다.
유박류는 유료작물(참깨, 들깨, 콩, 땅콩, 피마자, 올리브, 옥수수 등)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서, 유기물 증대 기능을 하고, 질소 등 영양원 공급 기능을 하며, 유용미생물 활성화 기능을 한다.
미강은 벼의 겉껍질인 왕겨를 벗기고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쌀눈이 포함된 벼의 얇은 속껍질을 미강 또는 쌀겨라고 하는데, 벼 중에 대부분의 영양분이 쌀겨와 쌀눈에 포함되어 있다.
톱밥은 보수력, 보비력, 염류 흡착 증대 기능을 하고, 유용미생물 활성화 기능을 한다.
활엽수 수피는 나무의 껍질로서, 보수력, 보비력, 염류 흡착 증대 기능을 하고, 공극률, 통기성, 배수성 증대 기능을 하며, 유용미생물 활성화 기능을 한다.
축분은 유기물 증대 기능을 하고, 질소 등 영양원 공급 기능을 하며, 유용미생물 활성화 기능을 한다.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와 붕소는 미량 첨가되어 각각 잎의 황증 예방과 은피 예방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각 생장과정별 복합퇴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가. 예정지 녹비작물 파종 전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1.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토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한다.
2.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팽화 왕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 팽화 왕겨가 가장 바람직함. 이하 같음),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한다.
3.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 부숙 시켜서 복합퇴비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70중량%와 30∼60중량%로 하여 배합된다.
여기서, 혼합원료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 되게 되면, 복합퇴비의 기능(염류흡착력, 보비력, 보수력, 배수성, 통기성, 미생물 활성화)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유박류 또는 축분 함량이 과다하게 되어 생리장해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유박이나 미강 또는 축분 함량 감소로 질소 함량이 부족해서 녹비작물의 생육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유박류 또는 축분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게 되면, 녹비작물 생육 촉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묘포나 본포에서 질소함량 과다로 염류장해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 예정지 녹비작물 파쇄 토양 혼입 시 또는 볏짚 등 신선한 농산부산물 토양 혼입 시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1.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한다.
2.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한다.
3.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70중량%와 30∼60중량%로 하여 배합한다.
4.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 혼합하여 복합퇴비를 제조한다.
특히,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L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더 혼합하여 복합퇴비를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혼합원료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함량이 60중량% 초과)이게 되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혼합원료의 함량이 70중량% 초과(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함량이 30중량% 미만)되게 되면, 질소 함량 저하 로 유용미생물의 활성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붕소가 과다하게 함유되면 생리장해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 묘포 또는 두둑 형성 전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1.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한다.
2.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한다.
3.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70∼80중량%와 20∼30중량%로 하여 배합한다.
4.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 부숙 시켜서 복합퇴비를 제조한다.
특히,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ℓ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더 혼합하여 복합퇴비를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혼합원료의 함량이 70중량% 미만(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함량이 30중량%초과)이게 되면, 복합퇴비의 기능(염류흡착력, 보비력, 보수력, 배수성, 통기성, 미생물 활성화)이 저하되고 질소함량 과다로 염류장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 고, 혼합원료의 함량이 80중량% 초과(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함량이 20중량% 미만)되게 되면, 상대적으로 유박류나 미강, 축분 함량 감소로 질소 함량이 저하로 미생물 활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라. 본포 상면 부초 위 복토 전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1.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한다.
2.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한다.
3.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축분,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80∼90중량%와 10∼20중량%로 하여 배합한다.
4.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 혼합한 후 부숙 시켜서 복합퇴비를 제조한다.
여기서, 혼합원료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유박류나 미강 또는 축분의 함량이 20중량% 초과)이게 되면,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 효과가 저하되고, 염류농도 증가로 생리장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혼합원료의 함량이 90중량% 초과(유박류나 미강 또는 축분의 함량이 10중량% 미만)되게 되면, 질소 함량 저하로 미생물 활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토 상면 부초 위 복토 전 시용용 복합퇴비는 복토층 밑에 깔아주는 볏짚 사이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알맞은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예정지 녹비작물 파종 전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토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 제조하여 부숙 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70중량%와 30∼60중량%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2. 예정지 녹비작물 파쇄 토양 혼입 시 또는 볏짚 등 신선한 농산부산물 토양 혼입 시 시용용 복합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40∼ 70중량%와 30∼60중량%로 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 제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L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혼합하여 부숙시키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4. 묘포 또는 두둑 형성 전 시용용 복합퇴비에 있어서,
    갈대피트,이끼피트, 코코피트 토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제올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70∼80중량%와 20∼30중량%로 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 합퇴비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 상기 혼합퇴비 20ℓ당 황산고토 또는 수산화고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 80~120g과 붕소 1~5g을 혼합 후 부숙시키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6. 본포 상면 부초 위 복토 전 시용용 복합퇴비에 있어서,
    갈대피트, 이끼피트,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피트류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피트류와 왕겨류, 톱밥, 활엽수 수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원료에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제조하되, 혼합원료와 유박류, 미강 또는 축분의 배합비율은 각각 80∼90중량%와 10∼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퇴비를 부숙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혼합퇴비에 혼합퇴비 중량 대비 1~3중량% 상당의 길항미생물을 첨가하여 혼합 제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삼 재배용 복 합퇴비.
KR20090114393A 2009-11-25 2009-11-25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13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393A KR101136872B1 (ko) 2009-11-25 2009-11-25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393A KR101136872B1 (ko) 2009-11-25 2009-11-25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27A true KR20110057827A (ko) 2011-06-01
KR101136872B1 KR101136872B1 (ko) 2012-04-20

Family

ID=4439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4393A KR101136872B1 (ko) 2009-11-25 2009-11-25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8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7235A (zh) * 2012-03-29 2012-08-01 常熟市佳盛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人参专用肥及其制备方法
KR20180103485A (ko) 2017-03-10 2018-09-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KR20220069753A (ko) * 2020-11-20 2022-05-27 농업회사법인 퓨리원 합자회사 인삼 재배용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87B1 (ko) 2011-12-30 2014-08-20 치악산유기농영농조합법인 유기농 인삼 및 그의 재배방법
KR101424067B1 (ko) 2012-09-06 2014-08-04 대한민국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KR101289743B1 (ko) 2012-12-24 2013-07-26 신기산업(주) 유기질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98300B1 (ko) * 2013-10-10 2014-05-29 장원근 인삼재배용 토양개량 또는 생장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07B2 (ja) * 1992-01-20 1996-02-28 株式会社三方商工 植物栽培用の土壌改良材、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100729398B1 (ko) * 2005-09-30 2007-06-15 주식회사 네스코 난용성 인산 분해능을 가지는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및 이를함유하는 미생물제제
KR100953950B1 (ko) 2008-10-02 2010-04-21 (주)에코원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763B1 (ko) 2008-11-24 2009-08-31 (주)메덱스에프씨 토양의 지질개선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7235A (zh) * 2012-03-29 2012-08-01 常熟市佳盛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人参专用肥及其制备方法
KR20180103485A (ko) 2017-03-10 2018-09-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KR20220069753A (ko) * 2020-11-20 2022-05-27 농업회사법인 퓨리원 합자회사 인삼 재배용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872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72B1 (ko)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Lasmini et al. Improvement of soil quality using bokashi composting and NPK fertilizer to increase shallot yield on dry land
CN101627706B (zh) 一种蚓粪复配蔬菜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KR100779756B1 (ko) 해조류 부산물을 이용한 농업용 육묘상토 제조방법
CN105104044A (zh) 山区有机稻米的种植方法
KR101263675B1 (ko) 부레옥잠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배지 및 버섯 재배 방법
CN103396262B (zh) 蓝莓种植专用土壤改良剂
CN102986512A (zh) 一种草莓专用无土栽培基质
CN102007865A (zh) 一种生菜的栽培方法
CN104045381B (zh) 一种苗圃种植土壤配方
CN106673878A (zh) 育苗营养钵及其制备方法
CN106365928A (zh) 非洲菊的种植用基肥及其制作方法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CN103011989A (zh) 一种营养种植土以及生产方法
CN107484601A (zh) 一种提高核桃增产的种植方法
KR102228080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CN109588223A (zh) 一种改善土壤酸性的南瓜种植方法
KR101297426B1 (ko)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수박 관비재배용 유기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579B1 (ko) 색다른 영양공급과 보비력 및 보수력 등에 의해 작물성장을 활성화시키는 상토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로 인한 상토조성물
CN108191548A (zh) 一种有机缓释园艺生态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7853132A (zh) 一种草莓无土栽培基质
JP6324042B2 (ja) 菌糸体肥料及びその製法
CN106358914A (zh) 一种火棘的扦插繁育方法
Moreno-Reséndez et al. Vermicompost management: alternative to meet water and nutritive demands for tomato under greenhouse conditions.
RU2301825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поч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