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485A -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485A
KR20180103485A KR1020170030502A KR20170030502A KR20180103485A KR 20180103485 A KR20180103485 A KR 20180103485A KR 1020170030502 A KR1020170030502 A KR 1020170030502A KR 20170030502 A KR20170030502 A KR 20170030502A KR 20180103485 A KR20180103485 A KR 2018010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case
unit
lid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481B1 (ko
Inventor
조정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Priority to KR102017003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토경재배와 수경재배의 장점만을 추출한 것으로 이끼에 묘삼을 균등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으며, 새싹삼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싹삼 재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SPROUT GINSENG USING MOSS}
본 발명은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약용식물이다. 항당뇨, 항산화, 항암, 신경세포보호, 간기능 개선, 항스트레스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인삼에는 대표적인 성분인 사포닌이 3~6%, 단백질, 아미노산, 펩타이드, 핵산, 알칼로이드와 같은 함질소화합물이 12~16%, 지질, 지방산, 정유, 테르페노이드, 폴리아세틸렌, 페놀화합물과 같은 지용성 성분 1~2%, 비타민 0.05%, 탄수화물 60~70%, 회분 4~6%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Rg1, Rg2, Rb1, Rb2, Rg3 등 34여 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중 Rg2는 이미 항암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각각의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이 밝혀지고 있지만, 새로운 진세노사이드가 발견되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간의 혼합물에 대한 효능이나, 진세노사이드와 다른 무기 영양성분 등과의 혼합사용에 따른 효능을 밝히는 것 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인삼의 약용성분은 인삼의 종류마다 그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고, 잎, 줄기, 뿌리 등 부위 별로도 함유량이 다르다.
최근에는 2년근 이하의 인삼을 25 내지 30일 동안 싹을 키워 재배한 새싹삼이 웰빙채소로 널리 각광받고 있다. 새싹삼은 일반 인삼에 비해 줄기나 잎에 사노닌이 최대 9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 채소와 같이 뿌리, 줄, 잎을 통째로 섭취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새싹삼 재배방법은 크게 배지경(토경)재배와 수경재배로 구분된다. 배지경재배는 새싹삼을 토양에서 재배하는 법으로 시설비가 적게 들지만 뿌리에 흙이 묻어 있기 때문에 수출이 불가능하고 수시로 관수를 해야 하며 출하시 흙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수경재배는 새싹삼을 물에 담겨 재배하는 담수재배와 물을 분사하여 재배하는 분무재배가 있으며 대량재배가 가능하나 시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지경재배와 수경재배의 장점만을 추출하여 종래의 재배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끼에 묘삼을 균등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는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싹삼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양액을 제시한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식재케이스에 이끼를 충진하고 충진된 이끼내로 묘삼을 식재한 다음 묘삼이 식재된 단위식재케이스를 외부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와; 외부케이스내의 단위식재케이스 내로 양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다층으로 구획되며 저면에는 LED광을 하방으로 조사하는 지지프레임 상측에 상기 외부케이스를 안착시킨 다음 묘삼을 22℃ 내지 25℃ 및 상대습도 70% 내지 80%의 공조환경과 LED광 조사에 의해 15일 내지 20일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새싹삼 재배방법은 배지경재배와 수경재배의 장점만을 추출한 것으로 이끼에 묘삼을 균등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으며, 새싹삼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에 이용되는 단위식재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에 이용되는 단위식재케이스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단위식재케이스에 묘삼을 식재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식재케이스를 외부케이스에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에 적용되는 시설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삼 재배방법은 이끼를 이용하여 새싹삼을 재배하는 것이 특징으로 바람직하게는 수태가 사용된다.
수태(sphagnum palustre)는 이끼류에 속하는 물이끼이다. 수태는 자신의 부피의 15배 내지 20배의 수분을 빨아들일 정도로 물 흡수력이 뛰어나며 수분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식재된 새싹삼에 지속적으로 자체 수분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수태, 청태는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각종 병충해에 강하다는 특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지경재배는 시설비가 적게 드는 반면 수출이 불가능하고 출하시 흙을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수경재배는 대량재배가 가능하나 시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끼를 통해 새싹삼을 재배하는 방법은 토경재배와 같이 시설비가 절감할 수 있는 반면 수경재배와 같이 이끼를 통해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출하시 새싹삼 뿌리에 흙이 묻어 있지 않으므로 수출이 가능함은 물론 흙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은 단위식재케이스에 이끼를 충진하고 충진된 이끼내로 묘삼을 식재한 다음 묘삼이 식재된 단위식재케이스를 외부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묘삼은 양분과 LED광을 균등히 섭취하고 조사되도록 균등한 간격으로 이끼에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위식재케이스를 이용한다.
상기 단위식재케이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1), 양측판(112), 후면판(113)으로 이루어져 전면과 상면과 개구된 형상이다.
상기 개구된 상면은 덮개(114)에 의해 마감되는 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115)에 의해 덮개(114)의 후단이 후면판(113)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덮개의 전단 측면에는 걸쇠(116)가 설치되고 양 측면 외면에는 상기 걸쇠가 걸려 고정되는 걸고리(117)가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114)를 회동시킨 다음 걸쇠(116)를 걸고리(117)에 걸어 고정하면 단위식재케이스의 개구된 상면이 덮개(114)에 의해 마감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판(112) 내측 상단에는 레일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114)는 평판으로 구성되되 양측면에는 레일돌기(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의 레일돌기(118)가 레일홈(11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가 개구된 상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11), 양측판(112), 후면판(113) 및 덮개(114)는 양액이 서로 유동할 수 있도록 다공판재로 구성된다. 즉, 양액이 인접이 단위식재케이스로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유동공이 형성된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와 같은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는 새싹삼이 균등한 간격으로 식재되도록 식재위치를 표시하는 눈금(111-1)이 균등간격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식재케이스의 폭은 상기 눈금의 1눈금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식재케이스에 이끼를 식재하는 방법을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식재케이스(110)를 바닥판(111)이 지면과 밀착되게 배치한 다음 상기 단위식재케이스의 바닥판(111)에서 양측판(112) 중간까지 이끼를 차곡차곡 충진한다. 그 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묘삼의 뿌리가 이끼에 밀착되고 묘삼의 뇌두가 전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묘삼을 눕혀 배치한다. 이 때, 묘삼은 바닥판의 전면에 표시된 눈금에 따라 배치하므로 균등간격으로 자연스럽게 식재될 수 있다.
이후에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이끼를 양측판 상단까지 충진한 다음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로 개구된 상면을 마감한다.
이와 같이 묘삼을 식재하게 하면 묘삼의 뿌리가 손상하지 않고 묘삼을 직립하여 식재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품의 퀄러티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묘삼을 균등한 간격으로 식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양분과 LED광이 균등히 섭취되고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식재케이스(110)를 세워셔 식재된 묘삼의 뇌두가 상측으로 가도록 외부케이스(120)에 수납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20)는 단위식재케이스를 6 내지 8개를 밀착하여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위식재케이스(110)를 외부케이스(120)에 수납하면 묘삼이 좌우가 정렬되어 식재되며, 특히 단위식재케이스(110)의 폭이 바닥판(111)에 표시된 눈금(111-1)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하 좌우가 균등한 간격으로 식재될 수 있다.
이후에는 외부케이스(120)내의 단위식재케이스(120) 내로 양액을 주입한다.
상기 양액은 물 대비 페크마타이트(7/1,000), 수용성 SiO3(3/1,000), 유황 (1/10,000),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2/1,000) 및 생클로 추출수(5/1,000)로 혼합 조성된다.
여기에서, 괄호안의 표시는 기준이 되는 물의 양을 ㎖로 하고, 이에 대한 첨가성분의 희석량을 g으로 표기한 것으로, 예컨대 물 대비 페그마타이트(7/1,000)의 의미는 물 1,000㎖에 페그마타이트 미분 7g을 첨가하여 희석한 것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수용성 SiO3(3/1,000)은 물 1,000㎖에 수용성 SiO3 3g을 첨가하여 희석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페크마타이트는 마그마의 분화 광상 생성물로서 거정질 화강암이라고도 불리며, 약리 작용을 할 수 있는 광석을 특히 거정석 페그마타이트라고 하는데 조 크러셔 혹은 임팩트 크러셔로 분쇄된 후 마쇄기(제트밀)로 마쇄하여 미분 상태로 첨가된다.
이러한 페그마타이트는 단일 20종의 성분 중 인체에 유리한 9종의 성분을 함유한 광물질인 바, 단독 방사체의 소재로서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고유 기능과 함께 체내 세포 활성화와, 혈액 순환 촉진을 상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만, 효능 증대를 위해 과량 사용하면 좋겠지만, 방사능 물질이 미량 함유되어 있음은 물론 과량 첨가시 성형을 어렵게 하므로 상기 범위로 첨가 희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SiO3는 독성을 제거하여 인체 유해성을 없애기 위해 첨가되는데, 삼 재배시 불필요하게 함유되는 중금속 등의 6대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삼의 발육을 촉진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유황은 곰팡이 억제 및 재배 삼의 육질을 단단하게 하면서 항균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AHCC는 표고버섯 균사체에서 추출하는 성분으로, 면역력 증강뿐 아니라 간 기능 보호 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증된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고유 기능을 해하지 않도록 상기 범위로 희석되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생클로 추출수는 당분해 능력이 뛰어나 세포 활성화를 촉진하므로 진세노사이드를 농축시키는데 유효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때, 생클로(Live Chlorella)는 담수에 살고 있는 플랑크톤의 한 종류로서, 직경 2-10㎛ 크기의 단세포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식물보다 매우 많은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작용이 활발하며, 하루에도 4-8분열하여 55%의 고급단백질과 인체에 필수적인 5대 영양소는 물론 섬유질,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C.G.F라는 성장촉진인자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생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생클로를 정제수에 담고 가열한 후 즙을 짜내는 방식으로 추출한 추출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단위식재케이스(110) 내로 주입된 양액은 단위식재케이스의 유동공을 통해 인접한 단위식재케이스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식재케이스에 양액을 주입한 다음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구획되며 저면에는 LED광을 하방으로 조사하는 LED램프(130)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40) 상측에 상기 외부케이스(120)를 안착시킨 다음 새싹삼을 22℃ 내지 25℃ 및 상대습도 70% 내지 80%의 공조환경과 LED광 조사에 의해 15일 내지 20일간 재배하게 된다.
인삼이 LED광원 조사에 재배되었을 때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대된다는 사실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23212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76386호등에 의해 익히 알려진 사실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새싹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대하기 위해 LED광의 조사에 의해 재배한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전단에는 LED광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반사갓(150)이 형성되어 외부로 조사되는 LED광을 다시 하방의 새쌈삼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단위식재케이스 111: 바닥판
112: 양측판 113: 후면판
114: 덮개 120: 외부케이스

Claims (5)

  1. 단위식재케이스에 이끼를 충진하고 충진된 이끼내로 묘삼을 식재한 다음 새싹삼이 식재된 단위식재케이스를 외부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와;
    외부케이스내의 단위식재케이스 내로 양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다층으로 구획되며 저면에는 LED광을 하방으로 조사하는 지지프레임 상측에 상기 외부케이스를 안착시킨 다음 묘삼을 22℃ 내지 25℃ 및 상대습도 70% 내지 80%의 공조환경과 LED광 조사에 의해 15일 내지 20일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식재케이스는 바닥판, 양측판, 후면판으로 이루어져 전면과 상면과 개구되며 개구된 상면은 덮개에 의해 마감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 양측판, 후면판 및 덮개는 양액이 서로 유동할 수 있도록 다공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식재케이스의 바닥판에서 양측판 중간까지 이끼를 충진한 다음 묘삼의 뿌리가 이끼에 밀착되고 묘삼의 뇌두가 전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묘삼을 균등한 간격으로 눕혀 배치한 다음 계속해서 이끼를 양측판 상단까지 충진한 다음 덮개로 개구된 상면을 마감한 다음 단위식재케이스를 세워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후단은 경첩에 의해 후면판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덮개의 전단측면에는 걸쇠가 설치되고 양 측면 외면에는 상기 걸쇠가 걸려 고정되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삼 재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판 내측 상단에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평판으로 구성되되 단부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레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의 레일돌기가 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가 개구된 상면을 마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삼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은 물 대비 페크마타이트(7/1,000), 수용성 SiO3(3/1,000), 유황 (1/10,000),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2/1,000) 및 생클로 추출수(5/1,000)로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삼 재배방법.
KR1020170030502A 2017-03-10 2017-03-10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KR10194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02A KR101942481B1 (ko) 2017-03-10 2017-03-10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02A KR101942481B1 (ko) 2017-03-10 2017-03-10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85A true KR20180103485A (ko) 2018-09-19
KR101942481B1 KR101942481B1 (ko) 2019-04-11

Family

ID=6371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02A KR101942481B1 (ko) 2017-03-10 2017-03-10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391A (ko) * 2009-02-23 2009-03-25 안정현 즉석재배보호묘상과 이의 제작방법
KR20110057827A (ko) 2009-11-25 2011-06-01 목성균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862A (ko) 2012-06-26 2014-01-06 방명천 산양삼의 재배방법
KR20150081058A (ko) * 2014-01-03 2015-07-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20150130898A (ko) * 2014-05-14 2015-11-24 최진하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391A (ko) * 2009-02-23 2009-03-25 안정현 즉석재배보호묘상과 이의 제작방법
KR20110057827A (ko) 2009-11-25 2011-06-01 목성균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0862A (ko) 2012-06-26 2014-01-06 방명천 산양삼의 재배방법
KR20150081058A (ko) * 2014-01-03 2015-07-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20150130898A (ko) * 2014-05-14 2015-11-24 최진하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81058호(2015.07.13.)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481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7427A (zh) 富硒百香果的种植方法
CN107493940B (zh) 一种番茄绿色栽培方法及植株残体再利用方法
CN105941070A (zh) 一种石榴果树的栽培方法
CN102754579A (zh) 一种魁蜜猕猴桃的栽培方法
CN103964973A (zh) 花生专用拌种剂
CN105532218A (zh) 一种白芨的种植技术
CN104956882B (zh) 三棱柱红霸王花及果实的高产种植方法
CN104072309B (zh) 一种花生生物肥
CN108925358A (zh) 一种有机白牛茶树的种植方法
CN107439187A (zh) 一种绿色环保高产优质菊花种植方法
Prisa Opuntia ficus-indica the key plant in climate change: characteristics, cultivation and uses
KR101942481B1 (ko) 이끼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CN110066200A (zh) 基于澳洲茶树精油加工剩余物的羊肚菌栽培基质及其制作方法
Li et al. Sea buckthorn production guide
CN106472591B (zh) 一种生态杀虫杀菌剂及其制备方法
CN101933452A (zh) 一种苗木用基质土消毒方法
CN111213534B (zh) 一种轻简防控红心莲多肉石蒜绵粉蚧的方法
CN109392639B (zh) 一种林下栽培参的种植方法及其应用
CN113207536A (zh) 一种木本金银花栽培方法
CN106376359A (zh) 一种提高土豆与茄子嫁接成活率的配方及其方法和装置
CN106069159A (zh) 血叶兰的培植方法
CN109197369A (zh) 一种葡萄的种植方法
Parya Effect of integrated plant nutrient system for gerbera flower production under protected cultivation
CN109328849A (zh) 一种降低重金属含量的葡萄种植方法
CN103300075B (zh) 育苗移栽种植用保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