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67B1 -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67B1
KR101424067B1 KR1020120098805A KR20120098805A KR101424067B1 KR 101424067 B1 KR101424067 B1 KR 101424067B1 KR 1020120098805 A KR1020120098805 A KR 1020120098805A KR 20120098805 A KR20120098805 A KR 20120098805A KR 101424067 B1 KR101424067 B1 KR 10142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eedling
comparative example
soil composition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579A (ko
Inventor
현동윤
강승원
김용범
김영창
방경환
김장욱
박홍우
김동휘
차선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9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묘삼을 생산하면 규격화된 우량 묘삼을 생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삼과 관련하여 묘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병충해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상토 조성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활용하여 묘삼을 재배하게 되면 품질이 우수한 인삼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인삼 농가의 수입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Bed soil composition for producing ginseng seedling}
본 발명은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의 묘삼 생육을 촉진하고, 인삼 육묘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병충해에 대한 예방 효과가 우수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 인삼 속의 식물은 약 12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Panax ginseng C. A. Meyer (Oriental ginseng), P.quinquefolium L. (American ginseng) 및 P. notoginseng (Burkill) F.H.Chen(Sanchi)의 3종이 주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P. ginseng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서, P. quinquefolium L.은 미국, 캐나다, 중국에서, P. notoginseng (Burkill) F.H. Chen은 중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데, 아주 오래 전부터 여러 병 등의 예방과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었고, 최근 항산화 작용, 항피로, 항암 등 다양한 기능성이 계속 보고됨에 따라 인삼의 주산지인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유럽과 오세아니아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 (Panax ginseng)은 아시아 극동지방에서 자생하는 약용식물로, 자생지 분포 형태가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영토 및 한반도와 일치하며, 고대의 많은 문헌 기록에서 엿볼 수 있듯 역사적으로 명성이 높으며, 전통적으로 국제 인삼 시장에서 고려인삼의 가치와 품질이 고가로 인정되는 바, 한국이 세계 인삼의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인삼의 육종은 채종까지 3년, 생육상과 뿌리의 형질 등을 조사하여 우량개체를 선발하는데 5~6년의 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특수성으로 인해 품종 육성까지 수십 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다.
종래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삼의 재배과정을 살펴보면, 인위적으로 종자를 개갑한 후 일정기간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본포로 옮겨 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량 묘삼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은 인삼의 생육 촉진 및 품위 등급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묘삼은 성장 조건이 까다로워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 주는 것이 묘삼 재배의 관건이라 하겠다. 그러나 공정육묘 안전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 주는 상토 조성물의 개발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이렇게 성장 조건이 까다로운 묘삼임에도 이의 생육 촉진, 우량 개체 형성 및 병충해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상토 조성물이 개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재배 시 묘삼의 생육을 촉진하고 우량 개체를 형성하는 묘삼을 생산하게 하며, 병충해 예방에 효과가 있는 인삼 공정육묘 상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은 피트머스 45~55부피%, 부엽 25~35부피% 및 잔량의 퍼얼라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pH가 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머스와 퍼얼라이트의 입자크기는 입도가 0.01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머스의 입자크기는 피트머스 100중량%에 대하여 입도 0.5 내지 2mm의 입자가 45 내지 55 중량%, 입도 2 내지 4 mm의 입자가 15 내지 25 중량%, 0.5mm 미만의 입자가 25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입도 4mm 초과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얼라이트의 입자크기는 퍼얼라이트 100중량%에 대하여 입도 2 내지 4 mm의 입자가 77 내지 87 중량%, 입도 0.5 내지 2mm의 입자가 10 내지 15 중량%, 4mm 초과 입자가 3.5 내지 4.5 중량% 및 잔량의 입도 0.5mm 미만의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인삼은 상기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묘삼 상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묘삼 생산 시 규격화된 우량 묘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묘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병충해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상토 조성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활용하여 묘삼의 안정적 생산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품질이 우수한 인삼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인삼 농가의 수입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배된 인삼 묘삼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묘삼 재배 시 모잘록병의 발생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 재배 시 묘삼의 생육 촉진 및 우량 개체 형성에 기여하고, 묘삼 재배 시 발생하는 각종의 인삼 관련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피트머스, 부엽 및 퍼얼라이트를 포함하는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트머스 45~55부피%, 부엽 25~35부피%, 잔량의 퍼얼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트머스(Peat moss)는 세계적으로 상토의 유기물 자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피트머스는 부피의 89% 정도를 차지하는 수분세포를 가지고 있고 물과 공기가 이상적인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 통기성 및 보수력이 매우 우수하다. 양이온 치환 용량이 커서 보비력이 좋으며 상토 내에서 분해가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화학성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무기성분 함량이 없고 가벼워 취급이 용이 할 뿐만 아니라 섬유질상으로 되어 있어 자체결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pH가 3.2~5.5로 낮으나 조정 후에는 안정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피트머스는 보수력이 지나치게 좋아 과습의 우려가 있으며 한번 건조된 후에는 재흡수가 어려우며, 토양에 정식할 경우에는 토양과 친화력이 낮아 정식초기 3~4일 이내에는 포장의 수분관리에 상당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활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엽은 낙엽을 썩힌 것으로서 산지에서 퇴적된 것이라든지, 또는 인위적으로 퇴적하여 만들며 다른 용토나 배합토와 혼용하여 쓰면 배수와 통기가 잘되며 흙을 팽연화 시켜서 물리적 성질을 오랫동안 좋게 지속시킨다. 낙엽의 재료로는 잎몸이 두꺼운 떡갈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이 이상적이다. 침엽수의 낙엽은 작물 반근에 해로운 테레핀유를 함유하고 대나무 잎은 백견병, 균핵병 따위의 발생이 많아서 좋지 않다. 또한 상기 퍼얼라이트(Perlite)는 화산의 용암지대에서 캐낸 회백색의 광물을 760℃의 고열 처리를 하여 원광석의 10배 이상으로 팽창시켜 만든 백색의 가벼운 입자이다. 무게가 모래보다 86% 정도 가벼워 관수하면 이동하기 쉬우나 다른 상토 재료와 섞어 쓰면 적정한 공기와 수분을 함유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세근의 발육이 양호하다.
상기 피트머스가 45부피% 미만으로 첨가되면 용적밀도가 낮아져 뿌리 차근이 어렵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55부피%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용적밀도는 높아지나 무기이온 함량이 필요이상으로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부엽이 25부피% 미만으로 첨가되면 묘삼 생육기간 동안 완효성 양분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35부피%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필요이상의 양분공급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이 피트머스 45~55부피%, 부엽 25~35부피% 및 잔량의 퍼얼라이트를 포함하게 되면 인삼 묘삼의 생육을 촉진하고 우량 개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삼 묘삼 생육 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병충해들을 예방하는 효과가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트머스, 부엽 및 잔량의 퍼얼라이트가 상기 범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는 곧게 자란 개체 형성에 보다 유리하며, 생리장해에 발생이 나타나지 않아 효과가 유리하여 바람직하나, 상기 범위를 하나의 물질이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생리장해 발생 등의 영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인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의 pH의 범위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pH가 5 미만인 경우와 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분 흡수에 문제가 발생하여 생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피트머스와 퍼얼라이트의 입자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입도가 0.01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입도가 0.01mm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 수분이나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입도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수분의 유실 및 영양분의 손실이 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피트머스의 입자크기는 상기 0.01 내지 10mm 범위 이내에서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트머스 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입도 0.5 내지 2mm의 입자가 45 내지 55중량%, 입도 2 내지 4mm의 입자가 15 내지 25중량%, 0.5 미만의 입자가 25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입도 4mm 초과 입자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인삼 묘삼 생산에 충분한 영양분 보유 및 수분 보유력을 유지할 수 있어 인삼 묘삼의 생육을 촉진하고 우량 개체를 형성하며, 인삼 묘삼 생육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퍼얼라이트의 입자크기는 상기 0.01 내지 10mm 범위 이내에서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퍼얼라이트 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입도 2 내지 4mm의 입자가 77 내지 87중량%, 입도 0.5 내지 2mm의 입자가 10 내지 15중량%, 4mm 초과 입자가 3.5 내지 4.5중량% 및 잔량의 입도 0.5mm 미만의 입자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인삼 묘삼 생산에 충분한 영양분 보유 및 수분 보유력을 유지할 수 있어 인삼 묘삼의 생육을 촉진하고 우량 개체를 형성하며, 인삼 묘삼 생육 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병충해들을 예방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묘삼은 상기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된 묘삼은 다른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산된 묘삼에 비해 우량 개체가 형성되며, 인삼 묘삼 생육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생산된 묘삼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묘삼을 생산하게 되면 품질이 우수한 인삼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피트머스는 캐나다 아카디안 회사로부터 구입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국내 GFC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식물성 부엽은 활엽수의 낙엽을 썩힌 것을 의미한다. 활엽 낙엽과 부숙 촉진제인 쌀겨 및 유박을 혼합한다. 부숙 촉진제는 1/20 비율로 첨가한다. 퇴적된 낙엽에 수분을 공급하는데 활엽 전체가 물기가 있을 정도로 관수 한다. 관수가 끝나면 비닐로 덮어놓고 온도상승을 유도 하여 잘 썩을 수 있도록 방치한다. 때때로 퇴적물을 섞어 놓는데 한 달에 한 번 정도 시도하는데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6월에서 9월 까지)에는 2번씩 섞어 놓는다. 이렇게 제조된 부엽의 화학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CuO(%) Cu(㎎/l) Fe(㎎/l) K2O(%) MgO(%) Mn(㎎/l) Na2O(%) P2O5(%) Zn(㎎/l) OM
(g/kg)
3.86 36.83 5690.24 1.01 0.67 759.67 0.05 0.72 142.59 10.32
이렇게 구입 및 제조된 피트머스, 퍼얼라이트 및 부엽을 가지고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그 부피비를 피트머스 50부피%, 퍼얼라이트 20부피% 및 부엽30부피%로 하여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pH
1:10(v/v)
EC
dS/m
NO3-N
㎎/L
P2O5
㎎/L
K+ Ca2 + Mg2 + Na+
cmol+/L
실시예 5.50 0.12 19 36.1 0.35 3.34 1.97 0.09
비교예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서 부엽 30부피% 대신에 식물성 유기물로서 미강을 30부피%가 되게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강은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쌀눈으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를 말한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에서 부엽 30부피% 대신에 동물성 유기물로서 갈매기 배설물을 3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은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식물성 유기물로서피마자박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피마자박은 온난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피마자의 열매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식물성 유기물로서팜박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팜박은 야자유에서 팜유를 짜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식물성 유기물로서미강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동물성 유기물로서갈매기 배설물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동물성 유기물로서우분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우분은 소의 배설물을 말한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예서 피트머스는 70부피%가 되게 하고, 부엽 대신에 동물성 유기물로서계분을 10부피%로 하였으며, 퍼얼라이트는 20부피%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계분은 닭의 배설물을 말한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한 상기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의 각각의 화학성분은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pH
1:10(v/v)
EC
dS/m
NO3-N
㎎/L
P2O5
㎎/L
K+ Ca2 + Mg2 + Na+
cmol+/L
실시예 5.50 0.12 19 36.1 0.35 3.34 1.97 0.09
비교예 1 4.97 0.45 149 123.3 0.18 3.76 2.17 0.28
비교예 2 4.87 0.60 176 191.8 0.19 3.89 1.97 0.31
비교예 3 5.45 0.19 49 44.1 0.47 2.44 1.53 0.11
비교예 4 5.66 0.08 66 60.0 0.13 3.09 2.16 0.21
비교예 5 5.33 0.15 102 99.6 0.11 3.09 2.05 0.22
비교예 6 4.97 0.33 134 94.4 0.19 3.95 2.19 0.26
비교예 7 5.05 0.24 137 95.8 0.18 3.29 1.88 0.20
비교예 8 4.97 0.45 146 173.3 0.18 3.76 2.17 0.28
비교예 9 4.98 0.55 152 185.6 0.17 3.68 1.77 0.28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의 각각의 조성 비율을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구분 피트머스(부피%) 퍼얼라이트(부피%) 부엽,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기물(부피%)
실시예 50 20 부엽 30
비교예 1 50 20 미강(식물성 유기물) 30
비교예 2 50 20 갈매기 배설물(동물성 유기물) 30
비교예 3 70 20 부엽 10
비교예 4 70 20 피마자박(식물성 유기물) 10
비교예 5 70 20 팜박(식물성 유기물) 10
비교예 6 70 20 미강(식물성 유기물) 10
비교예 7 70 20 갈매기 배설물(동물성 유기물) 10
비교예 8 70 20 우분(동물성 유기물) 10
비교예 9 70 20 계분(동물성 유기물) 10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배 후 수확된 인삼을 도 1의 사진으로 나타냈다.
실험예
<실험예 1: 인삼의 각 부위별 생육 정도 측정>
묘삼 생산을 위하여 선택한 품종은 천풍이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원 인삼특작부에서 시험포장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상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인삼 품종을 파종한 후 1년간 재배하였다. 이렇게 재배한 묘삼을 수확한 후 수세하였다. 수세한 각각의 묘삼을 가지고 부위별 생육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구분 초장 엽장 엽폭 근장 근직경 근중(g) 100본중(g)
실시예 9.5 3.6 2.0 10.4 4.7 0.8 80
비교예 1 7.4 3.2 1.7 9.9 3.6 0.7 57
비교예 2 6.1 2.8 1.7 7.9 3.8 0.5 56
비교예 3 9.7 3.6 2.2 10.1 4.3 0.7 77
비교예 4 7.7 3.4 1.8 9.8 4.0 0.7 69
비교예 5 8.4 3.6 1.9 9.8 4.0 0.7 68
비교예 6 7.0 3.1 1.7 10.0 3.6 0.6 54
비교예 7 6.6 2.9 1.6 8.6 3.5 0.6 58
비교예 8 6.8 2.9 1.6 9.7 4.0 0.7 67
비교예 9 6.4 3.0 1.5 9.7 4.0 0.7 65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9와 실시예를 비교하면 모든 부위에 있어서 실시예의 생육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에 있어서도 초장과 엽폭이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생육 정도를 보이며 나머지 부위는 실시예의 경우가 생육이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의한 상토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상토 조성물이 묘삼의 전체적인 생육을 촉진하고 우량 개체를 형성하는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삼의 생리장해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묘삼의 생장 시 생육에 장해를 주는 뿌리가 적색으로 변화되는 적변 발생율(%)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생리장해(적변률, %)
실시예 4.2
비교예 1 39.6
비교예 2 65.5
비교예 3 8.2
비교예 4 24.4
비교예 5 35.5
비교예 6 35.6
비교예 7 42.3
비교예 8 57.0
비교예 9 60.1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상토 조성물의 경우 생리장해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비하여 월등히 감소하는 상토 조성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실시예의 경우가 품질이 우수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인삼 재배시 발생하는 병충해 예방 여부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른 인삼의 재배에 있어서, 봄부터 여름까지인 4월 내지 7월 기간 중의 모잘록병 발병률을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잘록병은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는 4월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습도가 높아지는 장마철인 6월경에 많이 나타나는 병이다. 이러한 모잘록병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의 경우에는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는 5월경부터는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모잘록병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장마철에 접어든 6월경에는 실시예의 경우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모잘록병의 발병이 증가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험을 통해 실시예의 상토 조성물은 모잘록병 등 인삼 묘삼 재배시 발생 가능한 병충해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6)

  1. 피트머스 45~55부피%, 부엽 25~35부피% 및 잔량의 퍼얼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퍼얼라이트의 입자크기는 퍼얼라이트 100 중량%에 대하여 입도 2 내지 4 ㎜의 입자가 77 내지 87 중량%, 입도 0.5 내지 2 ㎜의 입자가 10 내지 15 중량%, 4 내지 10 ㎜의 입자가 3.5 내지 4.5 중량% 및 잔량은 입도 0.01 내지 0.5 ㎜의 입자이며,
    상기 피트머스의 입자크기는 피트머스 100 중량%에 대하여 입도 0.5 내지 2 ㎜의 입자가 45 내지 55 중량%, 입도 2 내지 4 ㎜의 입자가 15 내지 25 중량%, 0.01 내지 0.5 ㎜ 미만의 입자가 25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은 입도 4 내지 10 ㎜의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가 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98805A 2012-09-06 2012-09-06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KR10142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05A KR101424067B1 (ko) 2012-09-06 2012-09-06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05A KR101424067B1 (ko) 2012-09-06 2012-09-06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579A KR20140032579A (ko) 2014-03-17
KR101424067B1 true KR101424067B1 (ko) 2014-08-04

Family

ID=5064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05A KR101424067B1 (ko) 2012-09-06 2012-09-06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18A (ko) 2016-11-30 2018-06-08 윤용길 배지묘삼의 재배방법
KR102511232B1 (ko) * 2020-11-20 2023-03-20 농업회사법인 퓨리원 합자회사 인삼 재배용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609A (ko) * 2007-12-26 2009-07-01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바실러스 속 미생물 함유 상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6872B1 (ko) 2009-11-25 2012-04-20 목성균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609A (ko) * 2007-12-26 2009-07-01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바실러스 속 미생물 함유 상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6872B1 (ko) 2009-11-25 2012-04-20 목성균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동원. 인삼(Panax ginseng C.A.Meyer)의 논 하우스 해가림 재배법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2011.08.31. *
김동원. 인삼(Panax ginseng C.A.Meyer)의 논 하우스 해가림 재배법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2011.08.31.*
최재을 외 6명. 상토의 물리 화학성이 시설하우스 묘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6): 441-445. 2011.12.31. *
최재을 외 6명. 상토의 물리 화학성이 시설하우스 묘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6): 441-445. 2011.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579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4540B (zh) 一种石斛伴生茶
CN107750506B (zh) 一种有效提高烟叶质量的烟田土壤改良方法
CN103843574A (zh) 福鼎大白茶的种植方法
KR100521346B1 (ko) 복제 산삼 재배법
CN101606464A (zh) 一种半夏与冬小麦间套作及半夏双覆盖栽培方法
CN105660295A (zh) 一种省沽油硬枝扦插苗的培育方法
KR101424067B1 (ko)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CN105052703A (zh) 一种风兰的栽培方法
KR101851592B1 (ko)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N112293077A (zh) 一种缩短蜡梅育种年限的方法
KR101836799B1 (ko) 새싹삼의 재배방법
CN105638143A (zh) 一种老虎姜的规范化种植方法
CN104145651A (zh) 一种桔梗科多年生草本植物南沙参的种植方法
KR102511232B1 (ko) 인삼 재배용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KR101314102B1 (ko) 잣나무 구과의 부산물을 사용한 배양토 제조 방법과 그로부터 제조한 배양토
KR20010069891A (ko) 삽목에 의한 은행나무의 조기 결실 방법
Islam et al. Yield and nutrient uptake by wheat as influenced by integrated use of manures and fertilizers
CN113142000A (zh) 一种暗紫贝母人工种植方法
CN106665070A (zh) 一种独蒜兰盆花的栽培方法
Chowdhuri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 growth regulators on propagation of Chinese juniper (Juniperus chinensis Var. pyramidalis) in subtropical zone
KR20110101570A (ko) 꾸지뽕나무의 무성생식방법
CN110933969A (zh) 一种提高赤苍藤种子发芽率的方法
CN111052943A (zh) 一种国庆期间菊花开花穴盘苗生产方法
CN109937826B (zh) 一种有效控制蛞蝓对三七种苗危害的方法
CN116420617B (zh) 一种小黄姜脱毒试管苗节本增效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