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92B1 -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92B1
KR101851592B1 KR1020160031568A KR20160031568A KR101851592B1 KR 101851592 B1 KR101851592 B1 KR 101851592B1 KR 1020160031568 A KR1020160031568 A KR 1020160031568A KR 20160031568 A KR20160031568 A KR 20160031568A KR 101851592 B1 KR101851592 B1 KR 10185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zeolite
growing
pearlit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796A (ko
Inventor
김창수
김동원
김효진
이용문
김희준
김정만
송영주
이왕휴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3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와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 3~8%와, 피트모스 30~50%, 코코피트 30~50%, 펄라이트 10~20% 및 팽화왕겨 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트모스는 입자 크기가 0~40mm, 펄라이트는 입자 크기가 1~4mm인 것이 좋으며, 상기 제올라이트 입자는 크기가 1~3mm, 숯 입자 크기는 1~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은 코코피트, 피트모스, 펄라이트, 팽화왕겨 등에 제올라이트 내지 숯을 구성물로 가감하여 제조하되 이들의 조성비율을 최적화하여 천마수량성이 높고 균사 생육정도 및 오염정도가 매우 양호한 천마재배용 배양토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Culture soil for growing Gastrodia elata Blume and the method of growing Gastrodia elata Blu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마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마 수량성이 높고 균사생육 및 오염정도가 양호하며 동시에 성마비율이 양호한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난과식물 중 비교적 특수한 다년생 초본식물로 적전, 정풍초, 선익각 등으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옛부터 땅속 괴경의 건조체를 여러 질병 특히 신경질환 치료제와 건강 보양식품으로 이용하여 왔다. 천마는 전세계적으로 약 50여종이 분포하나 우리나라에는 홍천마 등 3종 정도가 분포한다. 천마는 부식질이 많은 계속의 숲속에서 자생하며 지상부는 대부분의 기관이 퇴화되어 있으나 지하부의 구근은 마치 고구마가 형성되듯이 비대해진다. 이 구근은 성숙도에 따라 성숙마, 백마, 미숙마로 분류되며, 성숙마는 약재로 이용되며 백마와 미마는 종마로 이용된다.
천마의 인공재배법은 다양하나 근본적으로 야생 천마의 생활습성을 모방하여 천마의 생장이 양호한 환경조건, 즉 천마, 뽕나무버섯균, 원목간의 양호한 영양관계 수립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천마의 인공재배 즉 무성번식(영양번식)은 천마의 소괴경(백마와 미마)을 종마로 사용하는 일종의 재배번식법으로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고 또한 뽕나무버섯균의 세력이 왕성하면 백마(2-11cm)와 일부 미마(2cm이하)가 당년에 성마(천마) 또는 백마로 성장한다.
천마는 한번 접종하여 3-4년간 수확이 가능하고 이후 원목만 교체하면 계속 재배가 가능하므로 재배장소 선택이 중요하다. 재배장소는 북동향의 약간 경사진 곳으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양토-사양토가 적합하며 천마와 뽕나무버섯균의 환경조건은 근본적으로 일치한다. 즉 서늘하고 습윤한 삼림부식토를 좋아하며 폭염을 피한다. 토양은 통기성이 좋은 함수량 15-20% 사이가 요구된다. 함수량이 높으면 천마가 부패하기 쉽고 낮으면 뽕나무버섯 균의 정상 생장이 불가능하다. 토양의 산도(pH)는 4.5-6.5가 적당하다. 뽕나무버섯균의 온도에 따른 생장기점은 토양온도가 6℃가 되면 뽕나무버섯균은 생장을 시작하고, 토양온도가 10℃가 되면 천마도 생장을 시작한다. 양자간의 생장에 적합한 토양 온도는 20-25℃이며 토양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양자간 모두 생장이 억제된다. 인공재배시에는 생장온도가 각기 다른 점에 근거하여 늦가을, 초겨울 또는 초봄에 원목, 뽕나무버섯균, 천마를 동시에 접종한다. 봄에 온도가 5℃로 회복되면 천마는 아직 휴면 상태이나 뽕나무버섯균은 생장을 시작하며, 토양온도가 10℃가 되면 천마는 발아하기 시작하고, 이 시기에 뽕나무버섯균은 이미 균사속이 형성되어 천마와 결합하며, 기온이 서서히 상승하면 천마와 뽕나무버섯균 양자 모두 생장단계에 진입한다.
배양토(床土)란 작물의 육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지류를 말한다. 농민들이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하고 나아가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좋은 묘를 제때에 그리고 짧은 기간에 안전하고 손쉽게 길러내야 하며, 육묘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 육묘용 배양토는 과거 주변의 흙이나 부재료를 이용하거나 이를 농가 자체적으로 섞어 쓰는 관행배양토가 대부분이었으나 갈수록 작형이 보다 세분화되고, 고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입맛도 까다롭게 변하고 있어 관행배양토로는 이같은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추세이다.
농가에서 그동안 사용해 온 원예용 배양토는 대부분 흙과 가축분뇨 또는 부산물비료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기간 퇴적 후 이를 이용해 왔다. 따라서 흙과 퇴비의 종류가 해마다 상이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배양토의 조제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미숙퇴비를 시용해 육묘시 가스장해를 받는 등 배양토로 인한 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천마 수량성이 높고 균사 생육정도가 뛰어나며 오염정도가 양호하며 성마비율이 높은 천마 재배용 배양토를 제공하며, 또한 이를 이용한 천마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와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 3~8%와, 피트모스 30~50%, 코코피트 30~50%, 펄라이트 10~20% 및 팽화왕겨 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트모스는 입자 크기가 0~40mm, 펄라이트는 입자 크기가 1~4mm인 것이 좋으며, 상기 제올라이트 입자는 크기가 1~3mm, 숯 입자 크기는 1~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활용하여 베드·상자에 천마를 재배하는 것이며, 배수가 잘 되도록 처리하고, 제1항의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을 깐 다음, 천마를 재배하는 방법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마재배용 배양토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펄라이트, 팽화왕겨 등에 제올라이트 내지 숯을 구성물로 가감하여 제조하되 이들의 조성비율을 최적화하여 천마수량성이 높고 균사 생육정도 및 오염정도가 매우 양호한 천마재배용 배양토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기존 배양토에 가축분퇴비량의 첨가율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2는 기존 배양토에 녹비의 첨가율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천마재배용 적정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해서 베드시설을 갖추고, 참나무 원목(Φ10x30cm)과, 10-15g의 종마, 뽕나무버섯균 및 배양토 재료로 피트모스, 코코피트, 펄라이트, 팽화왕겨를 준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양토 재료로써 여기에 더해서 제올라이트와 숯(목탄, 차콜)을 더 준비한다. 일정 시간 배양을 실시한 후, 균사생육, 오염정도, 성마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월별 배양실 온도는 생장균 및 천마의 생장기인 3월상순에서 8월하순은 24-27℃로 유지하고 비대기인 9월상순에서 11월 하순은 10-24℃까지 변온처리를 유도하며, 휴면기인 12월상순부터 2월하순까지는 5-10℃로 유지한다.
아래의 처리내용과 같이,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주재료로 하고 펄라이트와 팽화왕겨와 제올라이트와 숯을 부재료로 하여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배양토에서 시험하여 천마재배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 시험1 ] 배양토 비용 절감을 위한 재료 선발 및 비율 설정을 위한 시험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1
(주: 상기 표에서 주재료와 부재료의 수치는 이들이 혼합되는 혼합비율이며 부피비를 수치로 표현함 것임, 이하 동일)
상기 시험1의 결과를 살펴보면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주원료로 하고 펄라이트 및 팽화왕겨를 부원료로 하여 제작된 배양토의 균사생육정도, 오염정도 및 천마수량, 성마비율 및 재료비지수 등을 보여주고 있다.
즉, 기존에 피트모스 80% + 펄라이트 20% 활용하여 재배하는 경우(위 시험1의 처리1 방식)에 배양토비용이 19.4백만원/10a이 필요하였으나, 위 시험1의 처리3의 경우 재료비가 20% 감소하였다. 그리고, 천마수량을 보면, 수량(㎏/10a)을 기준으로 기존(3,150) 대비 3,088로 거의 대등한 것을 알 수 있다(자마:성마 비율 = 8:2).
위 시험1을 보면,
피트모스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낮아지고 성마비율은 높이지는 관계이며,
코코피트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높아지고 성마비율은 낮아지는 관계이다.
(즉, 피트모스 비율↑ : pH·EC↓,성마비율↑; 코코피트 비율↑ : pH·EC↑ 성마비율↓)
[ 시험2 ] 무기 또는 유기 성분 추가에 따른 성마율 향상 시험
[제올라이트를 첨가한 경우]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2
[숯(목탄,차콜)을 첨가한 경우]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3
위 시험2에서 사용된 배양토 원재료 조건은 아래와 같다.
- 피트모스 : 입자 크기 0~40㎜, 수분함량 40~50%, pH(1:5) 3.5~4.5, EC(dS/m) 0.5 이하
- 코코피트 : EC(dS/m) 0.5 이하, 수분함량 20%이하
- 펄라이트 : 입자 크기 1~7(바람직하게 1~4)㎜
- 제올라이트 : 입자 크기 1~3㎜, CEC(양이온치환능력) 40~50이상
- 숯(목탄) : 입자 크기1~3㎝, 오염률 억제, 공극률 향상
위 시험2의 결과로 성마비율을 보면, 제올라이트를 5% 포함시키거나, 숯을 5%포함시킨 경우 성마비율이 모두 40%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배양토에 무기/유기 성분으로 제올라이트 내지 숯을 첨가함으로써 성마비율이 모두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또는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를 개발한 것이다.
여러 시험을 통해 확인할 결과, 제올라이트와 숯을 각각 따로 포함하거나 이들을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도 성마비율이 유사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험결과, 제올라이트와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 3~8%와, 피트모스 30~50%, 코코피트 30~50%, 펄라이트 10~20% 및 팽화왕겨 2~7%를 포함하는 경우에 성마비율이 가장 좋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3 ] 가축분퇴비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 비교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4
위 시험3은 가축분퇴비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 시험4 ] 녹비(옥수수)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 비교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5
위 시험4는 녹비(옥수수)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 시험5 ] 혼합유박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 비교
Figure 112016025371403-pat00006
위 시험5는 혼합유박 비율별에 따른 자마수량 및 균사생육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은 기존 배양토에 가축분퇴비량의 첨가율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2는 기존 배양토에 녹비의 첨가율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 배양토에 유기물 첨가율에 따른 수량을 비교한 결과, 적정 가축분퇴비량은 18.5%, 녹비(옥수수)는 15.8%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제올라이트와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 5%와, 피트모스 40%, 코코피트 40%, 펄라이트 10% 및 팽화왕겨 5%를 부피 기준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로,
    상기 제올라이트는 입자 크기가 1~3mm이고, 상기 숯 입자의 크기는 1~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모스는 입자 크기가 40mm이하이며, 펄라이트는 입자 크기가 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3. 삭제
  4. 베드·상자에 배수가 잘 되도록 처리하고, 제1항의 천마재배용 배양토 조성물을 깐 다음, 천마를 재배하는 방법.
KR1020160031568A 2016-03-16 2016-03-16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KR10185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68A KR101851592B1 (ko) 2016-03-16 2016-03-16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68A KR101851592B1 (ko) 2016-03-16 2016-03-16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96A KR20170107796A (ko) 2017-09-26
KR101851592B1 true KR101851592B1 (ko) 2018-06-04

Family

ID=6003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68A KR101851592B1 (ko) 2016-03-16 2016-03-16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469B1 (ko) 2020-12-16 2021-09-15 김연하 친환경 배양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7806B1 (ko) 2023-09-27 2024-01-23 오경훈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830A (zh) * 2019-07-08 2019-09-06 正安县顺发中药材种植有限公司 一种乌天麻种植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446A (ja) * 2008-03-12 2009-09-24 Hirohito Morifuji 人工ゼオライトを含む培養土改良材及び培養土
KR101432471B1 (ko) * 2014-03-27 2014-08-2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446A (ja) * 2008-03-12 2009-09-24 Hirohito Morifuji 人工ゼオライトを含む培養土改良材及び培養土
KR101432471B1 (ko) * 2014-03-27 2014-08-2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469B1 (ko) 2020-12-16 2021-09-15 김연하 친환경 배양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7806B1 (ko) 2023-09-27 2024-01-23 오경훈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96A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1699B (zh) 一种蚯蚓培养料及其制备方法
CN105532216A (zh) 一种乌天麻的种植方法
CN103891496B (zh) 一种人参果的种植方法
KR101432471B1 (ko)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N104025865A (zh) 一种紫花苜蓿的栽培方法
CN109122142A (zh) 一种有机水稻的种植方法
KR101851592B1 (ko) 천마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N108770667A (zh) 一种食用菌菌糠种植豆类芽苗菜的方法
CN107624560A (zh) 一种提高有机糯玉米产量的种植方法
Kusvuran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doses on herbage and seed yields of annua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cv. caramba)
CN111096205A (zh) 一种香芋的高产量种植方法
CN106212025A (zh) 一种葛根苗的培育方法
CN112219635A (zh) 一种菠萝蜜套种黄秋葵的方法
CN103053312B (zh) 一种枝江枫杨繁育方法
JP2008253242A (ja) 植物の生育方法および肥料用おから
CN104170631A (zh) 一种春夏季紫花苜蓿播种方法
JP3561682B2 (ja) 堆肥の製造方法
CN114128854A (zh) 一种富硒黄秋葵食片及制备方法
CN108967366B (zh) 一种制备蚯蚓粪中性肥的方法
KR101424067B1 (ko)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CN111837874A (zh) 一种草莓母苗培育复合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70116669A (ko)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Sharma et al. MULBERRY-A multi purpose tree species for varied climate
JP2824127B2 (ja) 芝の生育促進方法
CN109627068A (zh) 一种活性生物炭有机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