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743A -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743A
KR20110056743A KR1020090113197A KR20090113197A KR20110056743A KR 20110056743 A KR20110056743 A KR 20110056743A KR 1020090113197 A KR1020090113197 A KR 1020090113197A KR 20090113197 A KR20090113197 A KR 20090113197A KR 20110056743 A KR20110056743 A KR 2011005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format
input
form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연
고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743A/ko
Priority to US12/903,825 priority patent/US20110126160A1/en
Priority to JP2010257804A priority patent/JP5755431B2/ja
Priority to EP12155855.5A priority patent/EP2456214B1/en
Priority to EP12155859A priority patent/EP2456218A3/en
Priority to EP10191864A priority patent/EP2346264A3/en
Priority to EP12155858.9A priority patent/EP2456217B1/en
Priority to EP20120155856 priority patent/EP2456215A3/en
Priority to EP12155857A priority patent/EP2456216A3/en
Publication of KR2011005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43A/ko
Priority to JP2015107271A priority patent/JP606248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8Switch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3D 영상 제공방법에 따르면,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특정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우 간편하게 입력되는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3D, 포맷, 디스플레이

Description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화면에 표시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 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안경식과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직교한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
이 중 셔터 글래스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여,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두뇌작용으로 인한 공간감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사용자가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3D 모드로 변경해야 한다. 그리고,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3D 영상의 포맷을 지원하며, 복수의 3D 영상 포맷 중 입력되는 영상에 맞는 포맷으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입력되는 3D 영상의 포맷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사용자 는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을 파악하는 과정 없이 3D 모드를 더욱 쉽게 구현하여 사용하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3D 영상을 더욱 쉽게 시청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특정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제공방법은, 상기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특정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포맷들이 순차적으로 한번씩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2D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2D 모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이 특정 포맷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이 적용되어 상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특정 조작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 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포맷들이 순차적으로 한번씩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2D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제공방법은,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2D 모드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2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특정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매우 간편하게 입력되는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3D(3-Dimension)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와 구성에 대 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3D 영상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3D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구성 >
이하에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 제공 시스템은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100), 3D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TV(200), TV(2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290) 및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300)로 구성된다.
카메라(100)는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영 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D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교번적으로 제공되면서,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는 좌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안 카메라와 우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우안 카메라로 구성되고,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 간의 간격은, 사람의 두 눈 간의 이격 간격으로부터 고려되게 된다.
카메라(100)는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TV(200)로 전달한다. 특히, 카메라(100)가 TV(200)로 전달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으로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V(200)로 전달되는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안 영상 부분을 백색으로 표시하고 우안 영상 부분을 흑색으로 표시하였다.
우선, 도 2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b는 탑&바톰(top&buttom)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탑-바톰 방식은 상하분할방식으로도 불리며, 이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상하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상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하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프레임으로 통합되어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상)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하)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상)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하)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c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프레임으로 통합되어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좌)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좌)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d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행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행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e는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 직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열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f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체커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 상과 우안 영상이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추출되어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들 또는 픽셀 군들에 교번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어,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4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4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이와 같이, 카메라(100)는 전술한 포맷들 중 하나의 포맷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TV(200)로 전달하게 된다.
TV(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으로서, 카메라(100) 등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 또는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어 방송국에서 편집/가공된 후 방송국에서 송출된 3D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한 후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TV(200)는 3D 영상의 포맷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가 공하고, 가공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TV(2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셔터 글래스(3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TV(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TV(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영상 출력부(230), 제어부(240), GUI(Graphic User Interface) 생성부(250), 저장부(260), 조작부(270) 및 IR 전송부(280)를 구비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210)는 카메라(100)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3D 영상을 입력받는다. 외부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되거나 각 프레임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즉, 3D 영상은, 전술한 도 2에 따른 포맷들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다.
따라서,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3D 영상은 다양한 포맷으로 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 탑&바톰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 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및 체커보드 방식 중 하나에 따른 포맷으로 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수신된 3D 영상을 영상 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된 3D 영상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1920*1080)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D 영상의 포맷이 탑&바톰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또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포맷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 스케일링 또는 보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게 된다.
또한, 3D 영상의 포맷이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는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3D 영상을 분석하여 포맷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거나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220)는 후술할 GUI 생성부(250)로부터 수신된 GUI가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영상 출력부(230)로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220)는 '좌안 영상(L1) -> 우안 영상(R1) -> 좌안 영상(L2) -> 우안 영상(R2) -> …'의 시간적 순서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영상 출력부(130)로 전달한다.
영상 출력부(230)는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GUI 생성부(25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GUI는 영상 처리부(220)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게 된다.
저장부(260)는, TV(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조작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70)는 리모콘(290) 등의 조작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사용자 명령 수신부(275)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조작부(270)는 TV(200)에 배치된 버튼(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조작부(290)는 수신된 사용자 조작을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IR 전송부(280)는,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신호를 적외선 형태로 셔터 글래스(300)에 전송한다. 이는, 셔터 글래스(300)가 교번적으로 개폐되어, 셔터 글래스(300)의 좌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부(230)에서 좌안 영상이 표시되고, 셔터 글래스(300)의 우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230)에서 우안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40)는 조작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TV(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영상 수신부(210) 및 영상 처리부(2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GUI 생성부(250)를 제어하여, 조작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GUI가 생성되도록 하며, IR 전송부(280)를 제어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가 생성 및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셔터 글래스(300)는 TV(20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시청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셔터 글래스(3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3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글래스(300)는 IR 수신부(310), 제어부(320), 글래스 구동부(330) 및 글래스부(340)를 구비한다.
IR 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200)의 IR 전송부(280)로부터 3D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IR 전송부(280)는 직진성을 가진 적외선을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방사하고, IR 수신부(310)는 방사된 적외선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IR 전송부(280)에서 IR 수신부(310)로 전달되는 동기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이 레벨(high level)과 로우 레벨(low level)이 교번된 신호일 수 있고, 하이 레벨인 시간에서는 좌안 영상이 전송되고 로우 레벨인 시간에서는 우안 영상이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IR 수신부(310)는 IR 전송부(28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셔터 글래스(300) 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IR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글래스 구동부(330)로 전달하여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글래스부(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글래스 구동부(330)에서 생성되도록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글래스 구동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후술할 글래스부(340)는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기 때문에, 글래스 구동부(330)는 좌안 글래스(350)를 구동하기 위한 좌안 구동신호와 우안 글래스(360)를 구동하기 위한 우안 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구동신호를 좌안 글래스(350)로 전달하며 우안 구동신호를 우안 글래스(360)로 전달한다.
글래스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며, 글래스 구동부(330)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의 글래스를 개폐한다.
< 3D 영상 처리 과정 >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3D 영상의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처리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다. 따라서,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의 순서로 입력되며, 입력된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도 5b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좌우로 이등분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우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1)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 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좌우 확대 스케일링이 아닌 상하 확대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해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c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홀수 행별 및 짝수 행별로 구분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상하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L1-1, L1-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1, R1-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1, L2-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1, R2-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물론,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전술한 확대 스케일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을 이용해 짝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 부분을 이용해 홀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확대 스케일링 방식이나 보간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홀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직 인터리브 방식이나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행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이 아닌 열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적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해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픽셀별 스케일링이나 보간 또는 픽셀군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2D 모드 및 3D 모드 포맷 전환 방식 >
이하에서는, 도 3, 도 6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 및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2D 모드는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드이다. TV(200)가 2D 모드로 동작할 경우, TV(200)의 영상처리부(220)는 입력되는 영상을 일반적인 영상 처리과정만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230)로 출력하게 된다.
3D 모드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드이다. TV(200)가 3D 모드로 동작할 경우, TV(200)의 영상처리부(220)는 입력되는 영상을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다양한 종류의 3차원 영상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2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영상 출력부(230)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3D 모드인 경우, TV(200)는 3차원 영상이 구현되도록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제어부(240)는 2D 모드 상태에서 조작부(270)를 통해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입력된 영상이 특정 포맷이 적용되어 3D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입력된 3D 영상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처리과정을 거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이 적용되어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3D 모드 상태에서 조작부(270)를 통해 특정 조작이 반복 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포맷들은 TV(200)에서 지원 가능한 3D 영상 포맷들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TV(200)에서 지원 가능한 3D 영상 포맷이 탑&바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프레임 시퀀스 방식인 경우를 설명한다. TV(200)가 2D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입력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다시 입력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하고,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탑&바톰 포맷으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다시 입력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하고,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레임 시퀀스 포맷으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또 다시 입력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로 전환하고, 2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240)는 복수의 포맷들이 순차적으로 한번씩 적용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2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하나의 특정 조작을 반복적으로 입력받아 3D 모드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이 순차적으로 적용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조작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와 3D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고, 3D 모드 상태에서는 적용되는 3D 영상 포맷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된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2D 모드인 상태인 경우, 특정 조작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된다. 그리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3D 모드인 상태이고 모든 포맷이 한번씩 적용된 상태인 경우, 특정 조작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된다. 즉, 특정 조작은 3D 영상의 포맷들과 2D 모드를 전환하는 토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조작은 TV(200)를 제어하는 리모컨(290)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추후 설명한다. 또한, 특정 조작은, TV(200)에 배치된 특정 버튼(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버튼)을 누르는 조작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고하여 추후 설명한다.
한편, 특정 조작은 화면에 표시된 메뉴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GUI 생성부(250)는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23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포맷들은 TV(200)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을 나타낸다. 이 때,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240)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로 설정하고 2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 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메뉴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뉴는 2D 모드 항목 및 3D 모드 항목을 포함하고, 3D 모드 항목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 탑&바톰 항목, 프레임 시퀀스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TV(200)는 하나의 특정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3D 모드에서 다양한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되는 3D 영상이 어떤 포맷인지 알 필요 없이, 하나의 특정 조작을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입력되는 영상에 다양한 포맷을 적용시켜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포맷을 선택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특정 조작을 반복 입력하여 3D 모드를 실행시키고 입력되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적인 특정 조작 입력에 따른 3D 영상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TV(200)는 2D 모드로 동작한다(S610).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620).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S620-Y),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한다(S630). 그리고, TV(200)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40). 즉, TV(200)는 입력된 3D 영상을 도 5b에 도시된 처리과정을 거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그 후에,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S650-Y), TV(200)는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60). 즉, TV(200)는 입력된 3D 영상을 3차원 구현 처리과정을 거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 다음,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또 다시 입력되면(S670-Y), TV(200)는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80). 즉, TV(200)는 입력된 3D 영상을 도 5a에 도시된 3차원 구현 처리과정을 거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TV(200)는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현재 포맷과 다른 포맷이 적용되어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TV(200)는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3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또 다시 입력되면(S690-Y), TV(200)는 다시 2D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S610).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3D 모드인 상태이고 모든 포맷이 한번씩 적용된 상태이므로, TV(200)는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다시 2D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특정 조작은 3D 영상의 포맷들과 2D 모드를 전환하는 토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TV(200)는 하나의 특정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3D 모드에서 다양한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되는 3D 영상이 어떤 포맷인지 알 필요 없이, 하나의 특정 조작을 반복적으로 입력하 여 입력되는 영상에 다양한 포맷을 적용시켜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포맷을 선택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특정 조작을 반복 입력하여 3D 모드를 실행시키고 입력되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모드 및 3D 영상의 포맷을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이 토글 방식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2D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 입력되면, TV(200)는 3D 영상을 3D 구현과정 없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탑&바톰 방식의 3D 영상(700)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9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7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b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 입력 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700)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하지만, 입력된 3D 영상(700)은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므로, 입력된 3D 영상(7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9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한 상태로 다른 포맷을 적용하게 된다. 즉,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7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c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탑&바톰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700)을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c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7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도 탑&바톰이므로, 입력된 3D 영상(700)이 TV(200)에 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9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한 상태로 다른 포맷을 적용하게 된다. 즉,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7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 게 된다.
도 7d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프레임 시퀀스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7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700)을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d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7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프레임 시퀀스이므로, 입력된 3D 영상(7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95)을 누르면, TV(2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3D 모드인 상태이고 모든 포맷이 한번씩 적용된 상태이므로, TV(200)는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다시 2D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모컨(29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95)은 3D 영상의 포맷들과 2D 모드를 전환하는 토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TV(200)는 리모컨(290)의 하나의 특정 버튼(295)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3D 모드에서 다양한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되는 3D 영상이 어떤 포맷인지 알 필요 없이, 리모컨(290)의 하나의 버튼(295)을 반복적으로 눌러 입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포맷을 적용시켜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포맷을 선택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 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모컨(295)의 특정 버튼(295)을 반복적으로 눌러 3D 모드를 실행시키고 입력되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고하여, TV(200)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모드 및 3D 영상의 포맷을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이 토글 방식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2D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 입력되면, TV(200)는 3D 영상을 3D 구현과정 없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탑&바톰 방식의 3D 영상(800)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8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b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800)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하지만, 입력된 3D 영상(800)은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므로, 입력된 3D 영상(8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한 상태로 다른 포맷을 적용하게 된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8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c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탑&바톰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800)을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c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8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도 탑&바톰이므로, 입력된 3D 영상(800)이 TV(200)에 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누르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유지한 상태로 다른 포맷을 적용하게 된다. 즉,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7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d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프레임 시퀀스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8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800)을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8d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8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프레임 시퀀스이므로, 입력된 3D 영상(8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누르면, TV(2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3D 모드인 상태이고 모든 포맷이 한번씩 적용된 상태이므로, TV(200)는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다시 2D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은 3D 영상의 포맷들과 2D 모드를 전환하는 토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3D 모드에서 다양한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되는 3D 영상이 어떤 포맷인지 알 필요 없이,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 하나를 반복적으로 눌러 입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포맷을 적용시켜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포맷을 선택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전환 버튼(275)을 반복적으로 눌러 3D 모드를 실행시키고 입력되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특정 조작은 화면에 표시된 메뉴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TV(200)는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한다.
이에 대해, 도 9 내지 도 10d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를 이용한 3D 영상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S91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표시되는 메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는 2D 모드 항목 및 3D 모드 항목을 포함하고, 3D 모드 항목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 탑&바톰 항목, 프레임 시퀀스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TV(2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의 하이라이트의 위치를 선택한다(S920). 만약, 2D 모드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경우(S930-Y), TV(200)는 2D 모드로 동작하고, 입력된 영상을 2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935).
만약,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의 하이라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에 위치된 경우(S940-Y), TV(200)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945).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의 하이라이트가 탑&바톰 항목에 위치된 경우(S950-Y), TV(200)는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955).
또한,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의 하이라이트가 프레임 시퀀스 항목에 위치된 경우(S960-Y), TV(200)는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965).
이와 같이, TV(200)는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포맷들은 TV(200)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 화면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항목들을 선택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을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2D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2D 모드 항목(1102)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TV(200)는 2D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2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 입력되면, TV(200)는 3D 영상을 3D 구현과정 없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탑&바톰 방식의 3D 영상(1000)이 그대로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하방향 버튼(297)을 누르면, 하이라이트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로 전환하고,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10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0b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1104)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TV(200)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적용된 3D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1000)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하지만, 입력된 3D 영상(1000)은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므로, 입력된 3D 영상(10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하방향 버튼(297)을 누르면, 하이라이트는 탑&바톰 항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를 유지한 상태로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10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0c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탑&바톰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탑&바톰 항목(1106)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TV(200)는 탑&바톰 포맷이 적용된 3D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1000)을 탑&바톰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0c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10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도 탑&바톰이므로, 입력된 3D 영상(1000)이 TV(200)에 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하방향 버튼(297)을 누르면, 하이라이트는 프레임 시퀀스 항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3D 모드를 유지한 상태로 지원 가능한 포맷 중 하나인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입력되는 3D 영상(1000)을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0d는 입력되는 영상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고, TV(2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3D 모드이며 프레임 시퀀스 포맷이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프레임 시퀀스 항목(1108)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TV(200)는 프레임 시퀀스 포맷이 적용된 3D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1000)이 입력되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1000)을 프레임 시퀀스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10d의 경우, 입력된 3D 영상(1000)이 탑&바톰 포맷의 3D 영상이고, TV(200)가 적용한 포맷은 프레임 시퀀스이므로, 입력된 3D 영상(1000)이 TV(200)에 비정상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290)의 하방향 버튼(297)을 누르면, 하이라이트는 다시 2D 항목(1102)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2D 모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TV(200)는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3D 모드에서 다양한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되는 3D 영상이 어떤 포맷인지 알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의 항목들을 선택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포맷을 적용시켜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포맷을 선택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1100)를 이용하여 3D 모드를 실행시키고 입력되는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TV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 모니터, 3차원 영상 프로젝터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적인 특정 조작 입력에 따른 3D 영상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이 토글 방식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조작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이 토글 방식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를 이용한 3D 영상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화면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의 항목들을 선택하여 2D 모드 및 3D 모드의 복수의 포맷을 적용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8)

  1.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2D 모드 상태에서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을 특정 포맷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을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이 순차적으로 한번씩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2D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7.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2D 모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3D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된 영상이 특정 포맷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다른 포맷이 적용되어 상 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모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특정 조작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복수의 포맷들을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포맷들이 순차적으로 한번씩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2D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특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제공방법에 있어서,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2D 모드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 제공방법.
  16.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D 모드 및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3D 영상에 대한 복수의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포맷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에 대응되는 포맷을 적용하여 3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모드를 실행하는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2D 모드로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맷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13197A 2009-11-23 2009-11-23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7A KR20110056743A (ko) 2009-11-23 2009-11-23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US12/903,825 US20110126160A1 (en) 2009-11-23 2010-10-13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257804A JP5755431B2 (ja) 2009-11-23 2010-11-18 3D映像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3Dディスプレイ装置{Methodforproviding3Dimageand3Ddisplayapparatus}
EP12155855.5A EP2456214B1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12155859A EP2456218A3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10191864A EP2346264A3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12155858.9A EP2456217B1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20120155856 EP2456215A3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12155857A EP2456216A3 (en) 2009-11-23 2010-11-19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107271A JP6062488B2 (ja) 2009-11-23 2015-05-27 3D映像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3Dディスプレイ装置{Methodforproviding3Dimageand3Ddisplay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7A KR20110056743A (ko) 2009-11-23 2009-11-23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43A true KR20110056743A (ko) 2011-05-31

Family

ID=4436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97A KR20110056743A (ko) 2009-11-23 2009-11-23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7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08A1 (ko) * 2011-11-29 2013-06-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영상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08A1 (ko) * 2011-11-29 2013-06-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영상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4081766A (zh) * 2011-11-29 2014-10-0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接收3d数字广播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变换图像模式的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6214B1 (en)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933916B2 (ja) 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JP6046192B2 (ja) 3D映像の提供方法、3D映像の変換方法、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3Dディスプレイ装置、そして3D映像の提供システム{Methodforproviding3Dimage、methodforconverting3Dimage、GUIprovidingmethodrelatedto3Dimageand3Ddisplayapparatusandsystemforproviding3Dimage}
US9414041B2 (en)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4355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2541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48864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200668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638959B1 (ko)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6743A (ko)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9310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47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방법
KR101615695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2983A (ko) 3d 영상의 입체감 조절 요소를 설정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10056751A (ko) 3d 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3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10056761A (ko) 3d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6773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79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6780A (ko) 재생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71412A (ko)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79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3d 영상 제공 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61185A (ko) 3d 영상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셔터 글래스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