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412A -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412A
KR20110071412A KR1020090127976A KR20090127976A KR20110071412A KR 20110071412 A KR20110071412 A KR 20110071412A KR 1020090127976 A KR1020090127976 A KR 1020090127976A KR 20090127976 A KR20090127976 A KR 20090127976A KR 20110071412 A KR20110071412 A KR 2011007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ynchronization signal
eye image
level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곽종길
하태현
최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412A/ko
Publication of KR2011007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은,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동기신호의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는 단계,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비의도적으로 삽입된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셔터 글래스의 오작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127976
노이즈, 셔터 글래스

Description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Sutter glas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안경식과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직교한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
이 중 셔터 글래스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여,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두뇌작용으로 인한 공간감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셔터 글래스 방식에 의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신호가 송수신되는데,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삽입됨으로써 셔터 글래스 좌우 양안 온-오프 타이밍이 바뀌는 등, 셔터 글래스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비의도적으로 삽입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로서 셔터 글래스의 오작동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 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 글래스의 오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는 단계;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벨은, 상기 동기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하이 레벨 및 상기 로우 레벨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단계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이상 제2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가공된 구동신호가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래스에 포함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가 한 번씩 개폐되도록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신호는 IR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는, 외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고,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레벨은, 상기 동기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하이 레벨 및 상기 로우 레벨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이상 제2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공된 구동신호가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래스에 포함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가 한 번씩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신호는 IR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은,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D 영상과 동기화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 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구동되는 셔터 글래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비의도적으로 삽입된 노이즈가 제거되어, 셔터 글래스의 오작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3D(3-Dimension)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3D 영상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동기신호를 가공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3D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 제공 시스템은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100), 3D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TV(200) 및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300)로 구성된다.
카메라(100)는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영 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D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교번적으로 제공되면서,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는 좌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안 카메라와 우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우안 카메라로 구성되고,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 간의 간격은, 사람의 두 눈 간의 이격 간격으로부터 고려되게 된다.
카메라(100)는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TV(200)로 전달한다. 특히, 카메라(100)가 TV(200)로 전달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으로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V(200)로 전달되는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안 영상 부분을 백색으로 표시하고 우안 영상 부분을 흑색으로 표시하였다.
우선, 도 2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b는 탑-바톰(top-buttom)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탑-바톰 방식은 상하분할방식으로도 불리며, 이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상하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상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하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축소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하로 통합되어 한 프레임을 구성하며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상)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하)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상)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하)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c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축소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좌우로 통합되어 한 프레임을 구성하며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좌)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좌)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d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 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행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행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e는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열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도 2f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체커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추출되어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들 또는 픽셀 군들에 교번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어,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4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4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이와 같이, 카메라(100)는 전술한 포맷들 중 하나의 포맷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생성하여 TV(200)로 전달하게 된다.
TV(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으로서, 카메라(100) 등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 또는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어 방송국에서 편집/가공된 후 방송국에서 송출된 3D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한 후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TV(200)는 3D 영상의 포맷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가공하고, 가공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TV(2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셔터 글래스(3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TV(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TV(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영상 출력부(230), 제어부(240), GUI(Graphic User Interface) 생성 부(250), 저장부(260),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 및 IR 전송부(280)를 구비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210)는 카메라(100)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3D 영상을 입력받는다. 외부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되거나 각 프레임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즉, 3D 영상은, 전술한 도 2에 따른 포맷들 중 하나에 따라 생성된 영상이다.
따라서,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3D 영상은 다양한 포맷으로 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 탑-바톰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및 체커보드 방식 중 하나에 따른 포맷으로 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수신된 3D 영상을 영상 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된 3D 영상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1920*1080)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 성한다.
즉, 3D 영상의 포맷이 탑-바톰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또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포맷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 스케일링 또는 보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게 된다.
또한, 3D 영상의 포맷이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한편,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는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3D 영상을 분석하여 포맷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거나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220)는 후술할 GUI 생성부(250)로부터 수신된 GUI가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영상 출력부(230)로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220)는 '좌안 영상(L1) -> 우안 영상(R1) -> 좌안 영상(L2) -> 우안 영상(R2) -> …'의 시간적 순서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영상 출력부(230)로 전달한다.
영상 출력부(230)는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GUI 생성부(25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GUI는 영상 처리부(220)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게 된다.
저장부(260)는, TV(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는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IR 전송부(280)는,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신호를 적외선 형태로 셔터 글래스(300)에 전송한다. 이는, TV(200)와 셔터 글래스(300) 간의 동기를 통해, 셔터 글래스(300)가 교번적으로 개폐되어, 셔터 글래스(300)의 좌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부(230)에서 좌안 영상이 표시되고, 셔터 글래스(300)의 우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230)에서 우안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TV(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영상 수신부(210) 및 영상 처리부(2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GUI 생성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GUI가 생성되도록 하며, IR 전송부(280)를 제어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가 생성 및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셔터 글래스(300)는 TV(20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시청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셔터 글래스(3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3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글래스(300)는 IR 수신부(310), 제어부(320), 글래스 구동부(330) 및 글래스부(340)를 구비한다.
IR 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200)의 IR 전송부(280)로부터 3D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IR 전송부(280)는 직진성을 가진 적외선을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방사하고, IR 수신부(310)는 방사된 적외선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IR 전송부(280)에서 IR 수신부(310)로 전달되는 동기신호는 기설 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이 레벨(high level)과 로우 레벨(low level)이 교번된 신호일 수 있고, 하이 레벨인 시간에서는 좌안 영상이 전송되고 로우 레벨인 시간에서는 우안 영상이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IR 수신부(310)는 IR 전송부(28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셔터 글래스(300) 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IR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글래스 구동부(330)로 전달하여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글래스부(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글래스 구동부(330)에서 생성되도록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글래스 구동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후술할 글래스부(340)는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기 때문에, 글래스 구동부(330)는 좌안 글래스(350)를 구동하기 위한 좌안 구동신호와 우안 글래스(360)를 구동하기 위한 우안 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구동신호를 좌안 글래스(350)로 전달하며 우안 구동신호를 우안 글래스(360)로 전달한다.
글래스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며, 글래스 구동부(330)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의 글래스를 개폐한다.
한편, 이와 같이, 셔터 글래스(300)는 TV(200)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동작되게 되는데, TV(200)에서 셔터 글래스(300)로 전송되는 도중에, 또는 TV(200)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할 때 노이즈가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삽입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2. 3D 영상에 대한 처리과정]
이하에서는, 3D 영상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다. 따라서,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의 순서로 입력되며, 입력된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도 5b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 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좌우로 이등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좌우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1)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상하로 2배로 확대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5c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홀수 행별 및 짝수 행별로 구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상하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L1-1, L1-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1, R1-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1, L2-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1, R2-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물론,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전술한 확대 스케일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을 이용해 짝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 부분을 이용해 홀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확대 스케일링 방식이나 보간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홀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직 인터리브 방식이나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행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이 아닌 열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적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여 교번 출력함으로써,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픽셀별 스케일링이나 보간 또는 픽셀군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3. 노이즈 제거 방법]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동기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셔터 글래스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6a는 노이즈가 삽입된 경우의 동기신호와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가공된 경우의 동기신호, 그리고, 각 경우에 있어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의 좌측과 같이, 정상적인 동기신호는 0.2ms 동안 하이레벨을 가지고 16.4ms 동안 로우레벨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동기신호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폐가 변경되게 된다. 즉, 동기신호의 폴링 에지에서, 좌안 글래스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고, 우안 글래스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며, 그 다음 동기신호의 폴링 에지에서, 좌안 글래스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경되고, 우안 글래스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반면, 도 6a의 우측과 같이,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삽입된 경우, 동기신호의 폴링 에지가 추가되어,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온/오프 타이밍이 정상적인 동기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비해 변경되게 된다.
셔터 글래스(300)는 이와 같이 동기신호에 삽입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노이즈가 삽입된 동기신호가 도 6a의 좌측과 같이 정상적인 동기신호로 가공되도록 한다.
도 6b에는 하이레벨을 기초로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셔터 글래스(300)는 정상적인 경우의 동기신호의 하이레벨이 16.4ms동안 지속된다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수신된 동기신호의 하이레벨이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한다.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의 하이레벨이 16.4ms동안 지속되지 않고 로우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로우 레벨로 변경된 구간에 노이즈가 삽입 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도 6b의 하단과 같이, 노이즈가 무시된 동기신호로 가공되어, 정상적인 동기신호가 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의 하이레벨이 16.4ms 를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초과된 구간에 노이즈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c에는 로우레벨을 기초로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셔터 글래스(300)는 정상적인 경우의 동기신호의 로우레벨이 0.2ms동안 지속된다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수신된 동기신호의 로우레벨이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한다.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의 로우레벨이 0.2ms를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초과된 구간에 노이즈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도 6c의 하단과 같이, 노이즈가 무시된 동기신호로 가공되어, 정상적인 동기신호가 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의 로우레벨이 0.2ms 동안 지속되지 않고 하이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하이 레벨로 변경된 구간에 노이즈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16.4ms와 0.2ms라는 수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동기신호는 이와 다른 수치를 가지며 하이레벨과 로우레벨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셔터 글래스(300)는, 반드시 16.4ms와 0.2ms라는 수치만을 기준으로 노이즈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16.4ms±0.4ms, 0.2ms±0.4ms 등으로 판단하여,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4. 셔터 글래스 구동을 위한 동작 흐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300)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7에서는 하이레벨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노이즈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로우레벨의 지속시간을 기초로 노이즈를 판단하는 경우나,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의 지속시간을 모두 기초로 하여 노이즈를 판단하는 경우는, 도 7과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유추가능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TV(200)에서 셔터 글래스(300)로 동기신호가 수신되면(S710-Y),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의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이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하이레벨이 제1 간격인지, 로우레벨이 제2 간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16.4ms나 0.2ms와 같이 한정된 수치를 가지지 않고, 16.4ms±0.4ms, 0.2ms±0.4ms 등과 같이 변동가능한 수치로 될 수 있다.
하이레벨이 제1 간격일 경우(S720-Y),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S730), 수신된 동기신호에 대한 가공없이,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구동된다(S800).
한편, 하이레벨이 제1 간격 미만일 경우(S720-N, S740-Y),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한다(S750). 특히, 셔터 글래스(300)는 노이즈에 의해 하이레벨이 로우레벨로 변경된 것으로 간주하고, 제1 간 격 이전에 추가된 로우레벨이 무시되도록 동기신호를 가공하며(S760),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구동된다(S800).
그리고, 하이레벨이 제1 간격을 초과할 경우(S720-N, S740-N, S770-Y), 셔터 글래스(300)는 수신된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삽입된 것으로 간주한다(S780). 특히, 셔터 글래스(300)는 노이즈에 의해 동기신호가 로우레벨로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제1 간격 이후에 로우레벨이 추가되도록 동기신호를 가공하며(S790),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구동된다(S800).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비의도적으로 삽입된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셔터 글래스의 오작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는 단계;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은, 상기 동기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하이 레벨 및 상기 로우 레벨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이상 제2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가공된 구동신호가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래스에 포함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가 한 번씩 개폐되도록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IR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방법.
  6.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고,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래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은, 상기 동기신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레벨은, 상기 하이 레벨 및 상기 로우 레벨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이상 제2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공된 구동신호가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래스에 포함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가 한 번씩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IR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래스.
  11.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D 영상과 동기화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신호가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변경되는 타이밍들 간의 간격을 체크하며, 제1 타이밍과 제2 타이밍 간의 간격이 제1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타이밍이 제거되도록 상기 동기신호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구동되는 셔터 글래스;를 포함하는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090127976A 2009-12-21 2009-12-21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71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76A KR20110071412A (ko) 2009-12-21 2009-12-21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76A KR20110071412A (ko) 2009-12-21 2009-12-21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12A true KR20110071412A (ko) 2011-06-29

Family

ID=4440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76A KR20110071412A (ko) 2009-12-21 2009-12-21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5822B2 (ja) 再生モード切替方法、出力モード切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KR1014355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2378783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EP2337370A2 (en) 3D glasses, method for controlling 3D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pplied thereto
KR20110080035A (ko) 3d 글래스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글래스와 3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899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3d 영상 제공 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US20110149052A1 (en) 3d imag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KR20120132240A (ko) 복수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영상을 제공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방법 및 듀얼 뷰 안경 구동 방법,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듀얼 뷰 안경
KR20120032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719984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0668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648864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US2011013422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3d image thereof
KR101228916B1 (ko) 멀티 비젼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638959B1 (ko)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20059947A (ko)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KR20110138976A (ko) 영상 분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영상 분배 방법
KR1016347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방법
KR20110071412A (ko) 셔터 글래스 및 이의 구동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EP2560400A2 (en) Method for outputting three-dimensional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713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20015831A (ko) 3d 안경, 3d 안경의 구동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62983A (ko) 3d 영상의 입체감 조절 요소를 설정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101639310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81012A (ko) 하나의 동기신호로 동기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