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116A -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116A
KR20110056116A KR1020090112806A KR20090112806A KR20110056116A KR 20110056116 A KR20110056116 A KR 20110056116A KR 1020090112806 A KR1020090112806 A KR 1020090112806A KR 20090112806 A KR20090112806 A KR 20090112806A KR 20110056116 A KR20110056116 A KR 2011005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ochromic
glass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chromic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607B1 (ko
Inventor
이미현
심면기
박수호
문동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607B1/ko
Priority to US12/848,933 priority patent/US8390915B2/en
Priority to EP10251965A priority patent/EP2327543A1/en
Publication of KR2011005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4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electro-conductive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써모크로믹 층이 코팅된 기판에 있어서,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전기 전도층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유리가 개시되는데, 상기 써모크로믹 유리는 전기 전도층의 발열 기능을 통하여 적외선 투과율을 임의로 조절하고, 전기 전도층의 색 보정 기능을 통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색감을 제공한다.
유리

Description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glass coated thermochromic layer with electric conductive layer}
본 발명은 써모크로믹 특징을 가지는 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 전도층을 더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층이 코팅된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 등의 화학 에너지원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의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로 일반 가정의 에너지 소비량 중 60% 이상은 냉 난방비로 사용된다. 특히 일반 주택 및 건물에서 창문을 통해 소비되는 에너지는 24%에 이른다.
이와 같이 창문을 통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창문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서부터 고단열 창유리를 설치하는 방법까지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 노력을 하고 있다.
고단열 창유리 중에서 열적 특성을 지닌 써모크로믹 층을 유리에 코팅하여 적외선 투과율을 통한 에너지 유입을 조절하는 써모크로믹 유리가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써모크로믹 특징을 가지는 유리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전도층을 더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층이 코팅된 유리를 제공하고, 상기 전기 전도층을 통하여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감을 보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써모크로믹 층이 코팅된 기판에 있어서,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전기 전도층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유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전도층은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 지며 상시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조를 제어하는 제1층; 및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 지며 발열 기능을 가지는 제2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보강 간섭을 통하여 색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다공질 카본, 도전성 고분자,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다공질 카본으로 흑연, CNT 또는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도전성 고분자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설퍼니트리드, 폴리페닐렌 비닐렌 또는 폴리아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금속, 금속의 산화물 또는 금속의 질화물로 은, 금, 구리, 알루미늄, 백금, 니켈, 납, 코발트, 로듐, 루테늄, 주석, 이리듐, 팔라듐, 아연, 지르코늄, 니오븀, 바나듐,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그 산화물 또는 그 질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모크로믹 층은 산화 바나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을 포함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스트라이프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개구율이 20%-95%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전도층을 통하여 발열함으로써, 써모크로믹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층을 통하여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감을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는 기판(10), 써모크로믹 층(20), 전기 전도층(30)을 구비한다.
기판(10)은 창유리로 사용되는 판유리이며 투명성, 평활성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질, 두께, 치수, 형상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기판(10) 외에도 창유리로 사용하기 위한 투명한 재질의 기판이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유리, ITO 유리 상에 발색물질(NiO, Cr2O3, CoO)을 증착한 기판,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메틸펜탄(polymethylpenta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비닐 염화물 등의 고분자 필름 또는 고분자 필름상에 발색 물질을 증착한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에는 써모크로믹 층 또는 전기 전도층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써모크로믹 층(20)은 특정 온도에서 금속-반도체 상전이(MIT, metal insulator transition)현상이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정 온도란, 상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즉, 주변 온도가 써모크로믹 층(20)의 상전이 온도보다 높은 경 우 써모크로믹 층(20)은 적외선을 차단 또는 반사한다. 주변 온도가 써모크로믹 층(20)의 상전이 온도보다 낮은 경우 써모크로믹 층(20)은 적외선을 투과한다.
써모크로믹 층(20)은 산화 바나듐(VxOy)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나듐과 산소의 양론비가 1:2인 이산화 바나듐 VxOy (x:y =1 : 2), 산화 바나듐 VOx(x<2) 또는 오산화 바나듐 VxOy (x:y =2 : 5)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바나듐 VOx(x<2)을 포함하는 이유는 산화 바나듐이 균질한 구조에서는 이산화 바나듐 VxOy (x:y =1 : 2)으로 존재하나 불균질한 구조에서는 상이 비교적 적게 산화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원자 상태의 바나듐 원자를 그대로 수반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산화 바나듐(VO2)의 경우 약 68°C의 상전이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산화 바나듐(VO2)은 68°C 보다 높은 온도에서 금속적인 상태를 가지며, 적외선을 차단 또는 반사한다. 또한 이산화 바나듐은 68°C 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도체적인 상태를 가지며 적외선을 투과한다.
써모크로믹 층(20)은 산화 바나듐 외에도 전이 온도 안팎에서 적외선 투과율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재료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써모크로믹 층(20)은 복수개의 산화 바나듐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산화 바나듐과 유전층의 복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전층은 산화 탄탈(Ta 2O 5), 산화 아연(ZnO), 산화 주석(SnO 2), 산화 니오브(Nb 2O 5), 산화 티탄(TiO), 이산화 티탄(TiO 2) 또는 상기 산화물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써모크로믹 층(2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써모크로믹 층(20)을 형성 하는 방법의 예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 코팅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전기 전도층(30)은 기판(10) 또는 써모크로믹 층(20) 상에 메쉬 형태 또는 스프라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전기 전도층(30)은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기 전도층(30)은 발열층의 기능을 하며,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감을 보정하는 색보정층의 기능도 수행한다.
발열층의 기능을 하는 전기 전도층(30)은 전기 전도층을 가열함에 따라 복수의 써모크로믹 층(20)의 적외선 투과율을 변화시킨다. 즉, 외부에서 전력을 전기 전도층(30)에 공급하고, 전기 전도층(30)의 저항 성분으로 발열이 일어나면, 이 열이 써모크로믹 층(20)으로 전달되어 써모크로믹 층(20)을 전이 온도 전후로 변화시켜 적외선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기 전도층(30)은 버스(bus) 또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부에 전력원에 접속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색보정층의 기능을 하는 전기 전도층(30)은 산화 바나듐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층(20)이 옐로우 계열의 색감을 띄는 것을 보정하여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가 전체적으로 블루 그레이, 또는 그린 계열을 띄게 한다.
전기 전도층(3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전기 전도층(30)을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 코팅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전도층(3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는 기판(10) 위에 코팅된 써모크로믹 층(20)과 써모크로믹 층(20) 위에 형성된 전기 전도층(3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b)는 기판(10)과 써모크로믹 층(20) 사이에 전기 전도층(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c)는 전기 전도층(30) 위에 적층된 기판(10)과 써모크로믹 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써모크로믹 층(20) 또는 기판(10)의 단면에 전기 전도층(30)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전기 전도층(30)은 써모크로믹 층(20)이 코팅된 기판(10)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층 판유리의 경우 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판유리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전기 전도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기 전도층(30)은 메쉬(mesh)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므로 전기 전도층(30) 사이의 빈 공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절연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고, 비어있는 채로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에 포함된 전기 전도층(3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포함된 전기 전도층(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전도층(30)은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층은 제1층(31) 및 제2층(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층(31)은 옐로우 계열의 색감을 가진 써모크로믹 층(20)의 색을 보정하는 층이며, 제2층(32)은 발열 기능을 하는 열적인 성질을 가지는 층일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전도층(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층(31) 및 하나의 제2층(32)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층(31)과 제2층(32)이 각각 복수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제1층(31)과 제2층(32)의 적층 순서는 제한이 없다.
전기 전도층(30)에 포함된 제1층(31)과 제2층(32)은 모두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제1층(31)과 제2층(32)은 서로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층에 포함된 제1층(31) 및 제2층(32)은 다공질 카본, 도전성 고분자, 금속, 금속의 산화물 또는 금속의 질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카본으로 흑연, CNT(carbon nano tube) 또는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로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나이트리드(polysulfur nitrid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vinylene)) 또는 폴리아센(Polyac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금속의 산화물 또는 금속의 질화물로는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니켈(Ni), 납(Pb), 코발트(Co), 로듐(Rh), 루테늄(Ru), 주석(Sn), 이리듐(Ir), 팔라듐(Pd), 아연(Zn), 지르코늄(Zr), 니오븀(Nb), 바나듐(V),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탄(T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종 이상 또는 그 산화물 또는 그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써모크로믹 층(20) 또는 기판(10)에 적층이 용이하고, 수백 nm의 두께로 성형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 제2층(32)은 상기 물질 중에서 저항이 대체로 높은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발열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층(32) 발열 기능을 통하여 써모크로믹 층에 포함된 이산화 바나듐의 상전이 온도 전후로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적외선 투과율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전기 전도층(30)이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의 색조를 제어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색조를 제어하는 제1층(3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층(31)은 색 보정층의 기능을 하는데, 그 원리는 수학식 1과 같이, 제1층(31)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하여, 원하는 가시광선 파장대가 눈에 보이도록 한다.
Figure 112009071493771-PAT00001
여기서 d는 제1층의 두께를 의미하며,
Figure 112009071493771-PAT00002
는 광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n은 정수이며,
Figure 112009071493771-PAT00003
는 빛의 파장을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 좌측 항이 파장의 정수배 (λ,2λ,3λ,,,) 일 때 보강 간섭이 일어나며, 좌측 항이 (n+1/2) λ일 (λ/2, 3λ/2,,,,)일 때는 상쇄 간섭이 일어난다.
수학식 1과 같이 원하는 파장대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기 위한 제1층(31)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기를 원하는 파장대가 380nm 내지 400nm 대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n이 1일 때, 380nm 내지 400nm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기 위하여 제1층(31)은 약 380nm 내지 400nm 두께로 형성해야 한다. 또한 n이 2일 때 380nm 내지 400nm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기 위하여 제1층(31)은 약 760nm 내지 800nm 두께로 형성해야 한다. 즉, 보강 간섭을 원하는 파장대에서 n이 정수배가 될 때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데, 이 때의 제1층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수백 nm 에서 수십μm까지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보강 간섭을 원하는 파장대는 옐로우 색감을 보정하고 소비자가 창유리로 선호하는 블루 계열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블루 계열의 가시 광선 파장대인 450nm 내지 490nm 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야 한다. n이 1 인 경우를 가정하면, 제1층(31)의 두께는 450nm 내지 490nm 이며, n이 2인 경 우를 가정하면 제1층(31)의 두께는 900nm 내지 980nm 이다. 바람직하게는 n이 1 내지 100 범위에서 제1층(31)의 두께가 고려될 수 있는데, 이는 제1층으로 인하여 창유리가 너무 두꺼워질 경우 설치 및 가공상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층(31)은 스퍼터링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제1층의 두께는 스퍼터링 공정시의 증착 시간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층(31)을 통하여 색조를 제어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층(31)의 두께를 조절하는데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전기 전도층의 미세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안에 색소를 채워 전체적인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감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전도층에 포함된 제1층(31)은 써모크로믹 층에 포함된 산화 바나듐으로 인하여 옐로우 계열의 색감을 가지는 것을 보강 간섭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가 블루, 그레이 또는 그린 계열을 띄도록 색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전기 전도층(30)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에 포함된 전기 전도층(30)은 메쉬 형태(a)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b), (c)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 전도층(30)은 써모크로믹 층(20) 또는 기판(10)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되고, 전기 전도층(30)으로 인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의 개구율이 20% 내지 95%에 해당하는 배치 형태는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개구율이 20%이하가 되면,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를 창유리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개구율이 95%이상이 되면 전기 전도층(30)을 이루는 전기 전도선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 전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변화시키기 어렵다. 즉, 전기 전도층(30)을 구성하는 전기 전도선 주변의 영역만 온도가 상승되고, 전기 전도선에서 원거리에 있는 영역은 온도가 상승되지 않아 일부 영역은 써모크로믹 층(20)의 전이 온도 이상을 유지하나, 일부는 써모크로믹 층(20)의 전이 온도 미만이 되어 창유리 전반의 투과율이 일정하게 조절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치 형태와 개구율을 통하여 써모크로믹 유리 전면에 편차 없는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전도층(30)의 일부 구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전기 전도성 선이 10μm의 폭(y)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 때, 전기 전도성 선 사이 간격이(x) 400mm 이상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할 경우 개구율이 95%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도층의 폭과 배치 간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개구율이 20~95% 범위에 해당할 수 있으면 족하다.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100a, 100b, 100c)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층(30)을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전기 전도층(30)은 적외선 투과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써모크로믹 층은 전이 온도 전후에서 적외선 투과율이 크게 조절되는데, 써모크로 믹 층에 주로 사용하는 이산화 바나듐은 전이 온도가 고온이다. 또한 이산화 바나듐에 각종 원소를 첨가하여 전이 온도를 30°C전후로 변화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외선 투과율을 조절할 수는 없었다. 이에 대항 전기 전도층을 써모크로믹 유리에 포함함으로써 전기 전도층(30)의 발열에 의한 온도 조절로 적외선 투과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전기 전도층(30)은 써모크로믹 유리를 대형 창유리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일정 개구율을 가지면서, 써모크로믹 층의 온도를 전면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메쉬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선 각격이 일정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도층은 써모크로믹 층이 띄는 옐로우 색감을 보정하는 특징이 있다. 이산화 바나듐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층은 이산화 바나듐의 고유의 색 때문에 옐로우 색감을 가진다. 그러나 써모크로믹 유리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블루, 그레이 또는 그린 계열의 창유리를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간섭 원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장대가 보강 간섭이 되도록 전기 전도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에 색소를 코팅하거나, 다른 색 보정층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없이 전기 전도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색 보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써모크로믹 유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포함된 전기 전도층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기 전도층이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조를 제어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기 전도층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전도층의 일부 구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a, 100b, 100c : 써모크로믹 유리
10 : 기판
20 : 써모크로믹 층
30 : 전기 전도층
31 : 제1층
32 : 제2층

Claims (11)

  1. 써모크로믹 층이 코팅된 기판에 있어서,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전기 전도층;
    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층은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써모크로믹 유리의 색조를 제어하는 제1층; 및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발열 기능을 가지는 제2층;
    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보강 간섭을 통하여 색조를 제어하는 써모크로믹 유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상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다공질 카본, 도전성 고분자, 금속,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된 써모크로믹 유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다공질 카본으로 흑연, CNT 또는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써모크로믹 유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도전성 고분자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설퍼니트리드, 폴리페닐렌 비닐렌 또는 폴리아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써모크로믹 유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금속, 금속의 산화물 또는 금속의 질화물로 은, 금, 구리, 알루미늄, 백금, 니켈, 납, 코발트, 로듐, 루테늄, 주석, 이리듐, 팔라듐, 아연, 지르코늄, 니오븀, 바나듐,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의 금속 또는 그 산화물 또는 그 질화물로 구성되는 써모크로믹 유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모크로믹 층은 산화 바나듐을 포함하는 써모크로믹 유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써모크로믹 유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스트라이프 형태 또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써모크로믹 유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개구율이 20%-95%가 되도록 배치된 써모크로믹 유리.
KR1020090112806A 2009-11-20 2009-11-20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KR10112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06A KR101127607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US12/848,933 US8390915B2 (en) 2009-11-20 2010-08-02 Panel including thermochromic layer and electric conductive layer
EP10251965A EP2327543A1 (en) 2009-11-20 2010-11-19 Panel including thermochromic layer and electric conductiv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06A KR101127607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16A true KR20110056116A (ko) 2011-05-26
KR101127607B1 KR101127607B1 (ko) 2012-03-22

Family

ID=4387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806A KR101127607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0915B2 (ko)
EP (1) EP2327543A1 (ko)
KR (1) KR1011276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31B1 (ko) * 2011-08-11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윈도우용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 및 제조방법
KR101286170B1 (ko) * 2011-12-26 2013-07-15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9761B1 (ko) * 2012-03-26 2013-12-10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의 상전이 온도 제어 방법
KR101398602B1 (ko) * 2012-11-29 2014-05-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윈도우
KR101496857B1 (ko) * 2012-12-28 2015-02-27 전자부품연구원 써모 크로믹 스마트 윈도우용 기능화된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
WO2016052949A3 (ko) * 2014-09-29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4053A (ko) * 2018-11-09 2020-05-19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나노 구조체의 전기변색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전기변색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3472A1 (en) * 2010-04-20 2011-06-09 Joerg Middendorf Wind Turbine, Nacelle, And Method Of Assembling Wind Turbine
KR101319263B1 (ko) 2012-05-22 2013-10-18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윈도우용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
KR101520741B1 (ko) * 2012-06-27 2015-05-15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도펀트가 도핑된 써모크로믹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80046A1 (es) * 2012-11-23 2014-05-30 Vera Llavería David Elemento de recubrimiento y/o decorativo con superficie de diseño cambiante a voluntad mediante control de su temperatura
KR101417957B1 (ko) 2013-05-13 2014-07-09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495371A (zh) * 2020-03-20 2021-10-12 北京石墨烯研究院 主动型调光器件及制作方法
US11692350B2 (en) * 2021-06-30 2023-07-04 Solar Turbines Incorporated Composite noise-attenuating pane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9692A (en) * 1967-04-17 1974-08-13 Texas Instruments Inc Image conversion and amplifying device
JP3315187B2 (ja) 1993-03-30 2002-08-19 新日本石油株式会社 調光体用対向電極および調光体
US5786838A (en) * 1996-04-01 1998-07-28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Self-erasing thermochromic writing board and system
US6596398B1 (en) 1998-08-21 2003-07-22 Atofina Chemicals, Inc. Solar control coated glass
DE19941295A1 (de) * 1999-08-31 2001-03-0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FR2809388B1 (fr) * 2000-05-23 2002-12-20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comprenant au moins une couche a proprietes thermochromes
JP3483544B2 (ja) 2000-12-13 2004-01-06 株式会社東海ヒット 透明面温度センサ及び透明面温度制御装置
US7781047B2 (en) * 2004-10-21 2010-08-24 Eastman Kodak Company Polymeric conductor donor and transfer method
US7362663B2 (en) * 2005-09-21 2008-04-22 Timestrip Uk Limited Elapsed time indicator device
US20070179239A1 (en) * 2006-01-30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ynamic optical components based on thermochromic materials
JP2007277790A (ja) * 2006-04-07 2007-10-25 Jae Woo Yang 熱色性物質層を備えたウォール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17204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899228B2 (ja) 2006-10-06 2012-03-2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二酸化バナジウム系薄膜の製法及び製品
DE102006049633B4 (de) 2006-10-20 2010-07-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teuerbares thermochromes System, dess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hermochromen Systems
KR20090031045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단석산업 다중 패턴을 가진 카메라용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93126A (ja) 2007-10-05 2009-04-30 Kunio Isono 発熱源を一体化させて熱効率の良いスライドガラス基板又はシャー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31B1 (ko) * 2011-08-11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윈도우용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 및 제조방법
KR101286170B1 (ko) * 2011-12-26 2013-07-15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9761B1 (ko) * 2012-03-26 2013-12-10 전자부품연구원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의 상전이 온도 제어 방법
KR101398602B1 (ko) * 2012-11-29 2014-05-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윈도우
KR101496857B1 (ko) * 2012-12-28 2015-02-27 전자부품연구원 써모 크로믹 스마트 윈도우용 기능화된 그래핀 기반 vo2 적층체
WO2016052949A3 (ko) * 2014-09-29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4053A (ko) * 2018-11-09 2020-05-19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나노 구조체의 전기변색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전기변색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543A1 (en) 2011-06-01
US20110122478A1 (en) 2011-05-26
US8390915B2 (en) 2013-03-05
KR101127607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607B1 (ko) 전기 전도층이 포함된 써모크로믹 유리
KR101137373B1 (ko) 스마트 창호
Zhang et al. Electrochromic displays having two‐dimensional CIE color space tunability
TWI536403B (zh) 導電結構體及其製造方法
KR101496567B1 (ko)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7627B1 (ko) 개선된 코일 강도를 갖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09838B1 (ko) Cigs 태양 전지를 갖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1410B1 (ko) 표면 개질된 전도성 코팅을 지지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JP2008532080A (ja) 可変の光学および/またはパワー特性を有する電気的に制御可能な装置およびその電力供給方法
JP2007102197A (ja) 全固体型反射調光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調光部材
KR102507564B1 (ko) 개선된 코일 강도를 갖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507641B1 (ko) 표면 개질된 전도성 코팅을 지지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TWI594886B (zh) Low resistanc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102507640B1 (ko) 표면 개질된 전도성 코팅을 지지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20098739A (ko) 광전자소자를 위한 다층 금속성 전극
KR20060043609A (ko) 유기발광 표면요소의 제조방법 및 유기발광 표면요소
JP2005108467A (ja) 透明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増感太陽電池。
KR102507625B1 (ko) 개선된 코일 강도를 갖는 전위차 구동 셰이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작동 방법
CN108803183B (zh) 一种双层全无机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519888B1 (ko)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545146A (ja) 電気的制御可能な光及び/又はエネルギー透過特性を有する電気化学デバイス
TWI528095B (zh) 電致變色元件及其製造方法
JP2011530815A (ja) フレキシブルな光電および表示デバイスに使用される集電システ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7101885A (ja) 反射調光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
KR102657182B1 (ko) 광 선택 투과형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