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628A -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 Google Patents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628A
KR20110055628A KR1020117005820A KR20117005820A KR20110055628A KR 20110055628 A KR20110055628 A KR 20110055628A KR 1020117005820 A KR1020117005820 A KR 1020117005820A KR 20117005820 A KR20117005820 A KR 20117005820A KR 20110055628 A KR20110055628 A KR 2011005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or
computer
internet
removab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코 스기나카
Original Assignee
준코 스기나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코 스기나카 filed Critical 준코 스기나카
Publication of KR2011005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4Loading of the micro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06F21/575Secure bo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08Boot devic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인터넷과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의 듀얼 부트 제어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기동시에 BIOS프로그램에 의하여, HDD에 우선하여, 기억매체장전부에 장전된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로부터 MBR, OS프로그램을 읽어들이고, 게다가, HDD사용시에는 상기 정보처리기를 정보전송로의 일부로서 라우팅설정하고, 상기 기억매체 사용시에는 인터넷과의 접속이 차단되게 라우팅 설정된다. 이로써, 바이러스 감염 및 해킹당하지 않는 높은 수준의 보안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DUAL-BOOT CONTROL METHOD AND DUAL-BOOT COMPUTER}
본 발명은, 2종류의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을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의 듀얼 부트(Dual Boot)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1대의 개인용 컴퓨터에 2개 또는 복수의 OS를 설정하는 듀얼/멀티 부트(Dual/Multi Boot)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하드디스크에 격납된 OS를 컴퓨터 기동 후에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각각의 대응 MBR(Master Boot Recorder)에 의하여 지정된 측의 OS를 읽어 들이는 처리에 대응하여, 1개의 하드 디스크에 2개 이상의 OS를 탑재하여 멀티기동을 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MBR정보의 안전과 함께 시스템 기동의 에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선택적으로 설치(install) 가능한 동종의 2개의 OS에 있어서, 어느 일방에는 브라우저나 메일 소프트웨어 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다른 일방에는 단독 형태(stand alone type)로 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일방의 OS에 대하여만 보안(security) 대책을 시행하도록 한 멀티 부트가 가능한 컴퓨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런 멀티 부트 가능 컴퓨터에 의하면 각 OS에 대하여 통신 보안 대책을 시행하지 않고도 전체로서 보안이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16030호.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201919호.
특허문헌 1, 2에 기제된 멀티 부트 방법은, 복수의 OS가 동일 하드디스크에 탑되된 타입이며, 또한, 선택된 OS를 컴퓨터의 동일 RAM상에 전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 하드디스크가 일단 컴퓨터 바이러스에 감염 당한다면, 타 OS사용시에 있어서도, 당해 타 OS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OS가 동일 하드디스크에 탑재된 형식(TYPE)이기 때문에 사용중인 OS와는 다른 타 OS에서 작성된 문서파일이나 영상파일 등이 외부로부터의 침입(Hacking : 해킹)에 의하여 부당하게 열람, 파괴당하거나, 프로그램이 부당하게 개조 당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1에는 종래기술로써 각 하드디스크에 각각의 OS를 격납하고 멀티 기동하는 일반적인 기술이 개설(開說)되어 있지만, 각 하드디스크가 교환 접속식인가 아닌가에 대한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기존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어떠한 기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부트식의 컴퓨터에 있어서, 일방의 OS에서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가능한 경우라 하여도 타방의 OS사용시에는, 바이러스 감염 및 해킹을 당하지 않는 높은 수준의 보안을 가지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트 컴퓨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 부트 제어방법은,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 처리기의 라우터(Router)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의 듀얼 부트 제어 방법으로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RESET)된 RAM에 전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OS를 기동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적어도 오직 상기 인터넷과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Routing)설정을 상기 정보 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부트 공정; 및 상기 기억매체 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장전된 상기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RESET)된 상기 RAM에 전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OS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오직 상기 정보처리기와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Routing)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부트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 부트 컴퓨터는,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 가능한 듀얼 부트 컴퓨터로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BIOS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된 RAM에 전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OS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적어도 오직 상기 인터넷과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기동 제어수단; 및 기억매체 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엔, 상기 BIOS프로그램이 기동하여 상기 장전된 상기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에 전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OS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오직 상기 정보처리기와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개인용 컴퓨터는 인터넷과 정보처리기와의 사이에 접속을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제1 부트 공정으로서, 하드 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가 리셋된 RAM에 전개됨으로써 상기 제1 OS가 작동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적어도 오직 상기 인터넷과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 설정이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여 진다.
한편, 기억 매체 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는, 상기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제2 부트 공정으로서, 상기 장전된 기억매체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가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에 전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OS가 작동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적어도 오직 상기 정보처리기와의 통신 만을 위한 라우팅 설정이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여 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부트식 컴퓨터에 있어서, 한쪽 OS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가능한 경우라고 하여도, 각각의 라우팅 설정 및 RAM 리셋 처리가 가해지는 것으로 인해, 다른 한쪽의 OS 사용시에 바이러스 감염 및 해킹 당하지 않는 높은 수준의 보안이 유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듀얼 부트 컴퓨터가 적용되는 인터넷 및 전용 네트워크를 가진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의 전체 요약구성도이다.
도 2는, 컴퓨터 단말(1)의 제어 기판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컴퓨터 단말(1)을 통상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부트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컴퓨터 단말(1)의 제어 기판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컴퓨터 단말(1)을 정보 처리기(2)의 보조로 사용하는 경우의 부트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컴퓨터 단말(1)의 CPU인 정보 처리부(12)가 실행되는 부트 제어의 플로어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듀얼 부트 컴퓨터가 적용된 인터넷 및 전용 네트워크를 가진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은, 설립된 단체에 등록된 회원 간의 전자 결제를 지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상거래에 있어서의 결제, 예를 들면 업자 점포로부터의 청구서의 발행, 수령 또는 구매자측으로부터의 청구서발행을 한 계약금융기관의 구좌로의 입금(즉 지불)지시서, 그러한 수령서의 발행, 그 밖에 전자 결제 같이 모든 종류의 전자 서면에서의 송수신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용 형태의 일 예는 후술한다. 또한, 전자 결제의 다른 적용예로서 전자적 형태의 수표용지인 전자수표의 작성, 발행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전자 결제 지원 시스템은, 듀얼 부트 식의 개인용 컴퓨터(컴퓨터 단말)(1); 라우터 기능을 내제한, 예를 들면 모뎀에 위치되는, 기존 소정의 (예를 들면 전자 결제에 관한) 정보처리기도 구비한 정보처리기(2); 라우터를 내제한 공급자(ISP)(3); ISP(3)에 병렬적으로 접속된 인터넷(4); 및 전용 네트워크(5)를 구비한다. 전용 네트워크(5)는, 인터넷(4)과는 다른 것으로 상기 설립된 단체의 회원이 된 소비자, 상점, 기업 및 금융기관만이 전용 네트워크(5)에 접속가능한 권한을 부여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회원은 전용 네트워크(5)를 중계한 타 회원과의 사이에서의 상기 전자 결제 등을 위한 전자 파일의 주고받음(수수(授受))가 가능하게 된다. 회원 단말기(51)는 소비자나 점포, 기업등에 배설된 정보처리기이며, 금융기관 단말기(52)는 은행을 대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융기관에 배설된 것이고, 관리기관 컴퓨터(53)는 단말기 (51), (52) (마찬가지로 정보처리기(2))와의 사이에서 전자 파일의 주고받음, 관리 및 보관을 총괄적으로 행하는 관리기관에 배설되는 것이다. 회원 단말기(51)는, 적어도 정보처리기(2)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망하는 태양(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것 처럼 정보처리기(2)의 기능의 일부, 예를 들면 정보입력조작을 컴퓨터 단말(1)에서 대행(보조적 사용)하는 것 등)으로서, 컴퓨터 단말(1) 및 정보처리기(2)로 이루어진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컴퓨터(41)는 각각의 ISP(도면 생략)를 경유하여 인터넷(4)에 접속되어 있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이며, 서버(42)는 컴퓨터 (41)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정보의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한, Web 서버상의 공개 정보 등을 기억하는 일반적인 정보 기억 수단이다.
컴퓨터 단말(1)은, 크게 나눠 하드디스크(HDD)(11) 및 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부터 구성되는 정보처리부(12)를 구비하는 제어기판부(10);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13); 각종 조작지시 및 정보입력을 행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그 밖에 조작부제로 이루어진 조작부(14); 및 디스크 예를 들면 CDROM을 착탈 가능하게 장전한 디스크 장전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처리부(2)는,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직방체의 케이스(筐體)를 가지며, 내부에 본래의 모뎀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도면에는 나와있지 않은 변조기 및 복조기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표면 적소(表面 適所)에 입출력용 배선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기는 컴퓨터 단말(1)에서 작성된 정보를 인터넷(4)으로 또는 정보 처리기(2)에서 작성된 정보를 전용 네트워크(5)로 전송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조하는 것이며, 복조기는 인터넷(4)를 경유하여 수신한 신호를 컴퓨터 단말(1)로 또는 전용 네트워크(5)를 경유하여 수신한 신호를 정보 처리기(2)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복조 하는 것이다.
정보처리기(2)는, 표면 적소에 액정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21), 모니터(21)에 적층 배치된 터치 패널(22) 및 도면에선 생략된 전원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15)는 화상을 기록지에 프린트 아웃 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처리기(2)는 데이터 기억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기억부(24)는, ROM부에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OS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고(외부로부터 설치되는 태양을 포함한다), 더욱이 각종 서면의 형식(Form)데이터 등이 격납되어 있으며, 한편으로 RAM부에 자신의 전자 결제에 관련하는 전자 파일 등을 보관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처리부(2)는 제어기판부(20)에 제어부(201) 및 라우터 기능부(202)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201)은 CPU를 구비하며 필요한 문서나 화상 등의 정보(파일)의 작성지원처리, 데이터 보관처리 및 파일의 송수신처리를 실행케 하는 것이다.
라우터 기능부(202)는 컴퓨터 단말(1), 정보처리기(2)의 제어부(201), 인터넷(4), 전용 네트워크(5)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로를 분배(라우팅)하는 것이다. 라우터 기능부(202)는 정보처리기(2)만이 기동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기(2)에 의하여 전용 네트워크(5)와 제어부(201)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정되어 인터넷(4)과 분리되어 떨어진다.
한편, 후술하듯이 컴퓨터 단말(1)이 기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기동에 임하여 라우팅 설정 처리가 시행된다. 다시 말하자면, 컴퓨터 단말(1)을 통상의 태양으로 사용하는 때에 정보처리기(2)의 라우터 기능부(202)는, ISP(3) 및 인터넷(4)를 경유하여 컴퓨터 단말(1)과 다른 컴퓨터(41), 서버(42)와 접속되도록 라우팅 설정되어 컴퓨터 단말(1) 및 인터넷(4)과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기(2)는 라우터 기능부(202)에 의하여 단지 전송로의 일부가 된다. 또한 정보처리기(2)는 전원이 들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컴퓨터 단말(1)을 정보처리기(2)의 보조로서 사용하는 때에, 컴퓨터 단말(1)은 후술하는 디스크 장전부(15)에 소정의 디스크(예를 들면 CDROM(6))가 장전된 상태에서 기동된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듯이 컴퓨터 단말(1)이 정보처리기(2)의 제어부(201)(및 데이터 기억부(24)) 하고만 접속됨과 동시에, 정보처리기(2)와 ISP(3) 및 전용 네트워크(5)를 경유한 다른 단말기(51), (52), 관리기관 컴퓨터(53)와 접속되도록 라우터 기능부(202)는 라우팅 설정된다. 라우팅 설정은, 예를 들면 송신 내지 수신 신호로서의 각 페킷(Packet)의 소정위치에 부가되어 있는 송신지를 가리키는 주소(address)정보를, 인터넷(4)용의 규약에 기초한 글로벌 IP 주소나, 이런 글로벌 IP 주소의 부여방법과는 다른(글로벌 IP주소와는 식별가능한 형태이다) 전용 네트워크(5)용의,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상표)용 등에 준한 소정의 로컬 IP 주소(MAC 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정보(라우팅 테이블 이나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테이블)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패킷은 테이블과 조합되어 주소가 일치한 경로(route)로만 송신되며, 이것에 의하여 전송로를 제어하는(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도 3은, 컴퓨터 단말(1)의 제어 기판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는 컴퓨터 단말(1)을 통상의 태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부트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3은 컴퓨터 단말(1)을 정보처리기(2)의 보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부트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3에 있어서, 하드디스크(HDD)(11)은 소정의 용량을 가지며 소정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사전 격납된 ROM이다. BIOS ROM(120)은, 제어기판(10) 내에 설치되며 BIOS 프로그램이 사전 격납된 것이다. RAM(121)은, 제어기판부(10)내에 설치되어 메로리 영역 및 워크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크 드라이브(151)은, 디스크 장전부(15)에 장착된 CDROM(6)에 접속하여 CDROM(6)에 격납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 들이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HDD(11)은,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 기록된 MBR 1(Master Boot Recorder) 영역; 및 예를 들면 Windows(등록상표)등의 오퍼레이션 시스템 프로그매(OS1)이 기록된 OS1영역; 및 문서작성용, 브라우저, 메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AP1영역을 포함한다. BIOS ROM(120)은, 메모리나 주변기기를 체크하고,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HDD(11)의 MBR 1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BIOS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는 것이다. RAM(12)는, 컴퓨터 단말(1)이 기동할 때에, HDD(11)로부터 순차 프로그램이 전개되는(읽어 들여지는)것 이다. 덧붙여, OS 1프로그램에 의하여 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는 정보처리기(2)의 라우터기능부(202)에 대하여 컴퓨터 단말(1)과 인터넷(4)와의 접속을 가능케 하는 라우팅 설정을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단말(1)과 인터넷(4)하고만 접속하는 전송로를 설정하기 위한 주소정보의 설정을 말한다.
도 3에 있어서, CDROM(6)에는,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이 기록된 MBR 2 (Master Boot Recorder)영역; 및 예를 들면 OS 1같거나 혹은 상이한 종류의 오퍼레이션 시스템 프로그램(OS2)가 기록되어 있는 OS2 영역; 및 문서 내지는 정보처리기(2)와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송수신 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AP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BIOS ROM(120)에 격납되어 있는 BIOS 프로그램은, 메모리나 주변기기를 체크하고, 디스크 장전부에 CDROM(6)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HDD(11)에 우선하여 CDROM(6)의 MBR 2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것이다. RAM(121)은, 컴퓨터 단말(1)이 기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CDROM(6)으로부터 순차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것이다. 덧붙여, OS 2프로그램에 의해 기동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는 정보처리기(2)의 라우터 기능부(202)에 대하여 컴퓨터 단말(1)과 정보처리기(2)의 제어부(201), 데이터 기억부(24)하고만의 접속을 허가하는 라우팅 설정을 위한 통신 제어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단말(1)과 정보처리기(2)(및 데이터 기억부(24))하고만 접속하는 전송로를 설정하기 위한 주소 정보의 설정이다.
계속하여, 도 4를 이용한 컴퓨터 단말(1)의 CPU인 정보처리부(12)가 실행하는 부트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플로어차트는, 컴퓨터 단말(1)의 전원이 온 또는 리셋(재기동)됨으로써 기동한다.
우선, CPU인 제어기판부(10)는, BIOS ROM(120)에 집어넣어진 BIOS 프로그램(명령)의 실행을 지시한다(스텝 S1). BIOS 프로그램은 우선 CPU나 메모리, 그 밖의 주변기기인 디스크장치부(15)(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51))의 체크(스텝 S3), 다시 말하자면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디스크 드라이브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BIOS 프로그램의 가장 마지막 부분의 OS기동 루틴(routine)에 의하여 HDD(11)의 가장 앞쪽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MBR 1이 RAM(121)에 읽혀 들어간다(스텝 S9). RAM(121)은, MBR을 읽어 들이기 직전에 데이터가 정보처리부(12)(CPU)에 의하여 모두 소거(클리어), 다시 말하자면 리셋 처리되어 있다(스텝 S7). 덧붙여, 이런 소거처리는, MBR을 읽어 들이기 전이라면 자주, 전원 오프시점의 직전에 행하여져도 좋다.
한편,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BIOS 프로그램의 가장 마지막 부분의 OS기동 루틴에 의하여 CDROM(6)이 우선적으로 기동되고, 다시 말하자면 CDROM(6)의 가장 앞쪽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MBR 2가 정보 처리부(12)(CPU)에 의하여 직전에 모든 데이터의 소거(클리어) 다시 말하자면 리셋 처리된 RAM(121)으로(스텝 S17) 읽혀들어간다(스텝 S19).
HDD(11)의 MBR 1이 RAM(121)으로 읽혀 들어가는 경우(스텝 S9),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면 BIOS기동 루틴에 의한 MBR 1의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부트 스트랩 로더(boot strap loader)) 가 RAM(121)으로 읽혀 들어가서, 이후,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넘겨진다. 이런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은, HDD(11)의 파디션 테이블을 체크하고, 능동적인(active) 기본파티션을 검색하고, 이런 파티션의 가장 앞쪽 위치에 있는 파티션 부트 섹터(PBS)를 읽어 들이는 처리를 행하게 한다. 파티션 부트 섹터는, OS 1에 의하여 포맷된 때 작성되고, 이런 파티션에 설치된 OS1을 기동하기 위한 부트 프로그램(이니셜 프로그램 로더:IPL)와 그 파티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은 능동적인(active) 기본 파티션의 IPL을 메모리로 읽어들여, 이후, IPL로 제어를 넘긴다. IPL은, 최초의 HDD(11)의 기본 파티션 안에서, OS 1을 기동하기 위한 OS로더를 검색하고, 메모리로 읽어들이고, OS 로더에 제어를 넘긴다. OS로더는, OS1의 기동에 필요한 드라이버 등의 파일을 RAM(121)에 로드하고(여기까지가 스텝 S11), OS1을 기동하기 위한 준비를 행하고 나서, OS1의 커널(kernel)을 기동한다. 이렇게 OS1이 기동한다. 계속하여, OS1에 의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1이 RAM(121)으로 읽혀 들어간다(스텝 S15). 더욱이, 읽혀 들어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1내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라우터 기능부(202)에 대하여, 컴퓨터 단말(1)과 인터넷(4)하고만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라우팅 설정이 시행된다.
다른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는 경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면, BIOS 기동 루틴에 의하여 MBR2의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부트 스트랩 로더)이 RAM(121)에 읽혀 들어가고, 이후, CDROM(6)의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넘겨진다. 이런 CDROM(6)의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은, CDROM(6)의 파티션 테이블을 체크하고, 능동적인 기본 파티션을 검색하고, 그러한 파티션의 가장 앞쪽 위치에 있는 파티션 부트 섹터(PBS)을 읽어 들이는 처리가 행하여 진다. 파티션 부트 섹터는, OS2에 의하여 포맷된 때에 작성되고, 그러한 파티션에는 인스톨된 OS2를 기동하기 위한 부트 프로그램(이니셜 프로그램 로더:IPL)과 그러한 파티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마스터 부트 프로그램은 능동적인 기본 파티션의 IPL을 메모리로 읽어들이고, 이후, IPL로 제어를 넘긴다. IPL은, 최초의 CDROM(6)의 기본 파티션 안에서, OS2를 기동하기 위한 OS로더를 찾고, 메모리를 읽어들이고, OS로더로 제어를 넘긴다. OS로더는, OS2의 기동에 필요한 드라이버 등의 파일을 RAM(121)으로 로드하고(여기까지가 스텝 S21), OS2를 기동하기 위한 준비를 행하고 나서, OS2의 커널을 기동한다. 이렇게 OS2가 기동한다. 계속하여, OS2에 의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2가 RAM(121)로 읽혀들어간다(스텝 S23). 더욱이, 읽혀 들어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2 내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라우터 기능부(202)에 대하여, 컴퓨터 단말(1)과 제어부(201) 및 데이터 기억부(24)하고만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는 라우팅 설정이 시행된다(스텝 S25).
이렇게 하여,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컴퓨터 단말(1)은 통상 사용 태양으로서, OS1이 기동되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각종의 처리가 실행되고, 기존 브라우저나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라우터 기능부(202), ISP(3), 인터넷(4)를 경유하여 다른 컴퓨터 (41)이나 서버(42)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런 태양에서는, 정보처리기(2)는 컴퓨터 단말(1)과 인터넷(4) 사이에 정보가 송수신되는 전송로의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송수신되는 정보 중에 만약 바이러스가 혼재해 있어도, 감염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로부터 정보처리기(2)의 데이터 기억부(24)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해킹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HDD(11)가 아닌, CDROM(6)의 OS2로 컴퓨터 단말(1)을 흡사 다른 컴퓨터 처럼 기동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의 염려가 없다. 또한 RAM(121)을 일단 클리어해서, CDROM(6)의 OS2 및 이러한 OS2로 기동 가능한 필요 어플리케이션을 읽어들이는 것처럼 하기 때문에, RAM(121)으로 바이러스가 잔류하는 일 없이, OS2로 동작가능한 필요 어플리케이션이 오염될 염려가 없다. 거기다, 정보처리기(2)의 제어부(201) 및 데이터 기억부(24)는 컴퓨터 단말(1)과 밖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4)를 통해 바이러스가 전송되어 오거나, 해킹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단말(1)로부터 실수로 인터넷(4)으로의 접속을 지시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지시는 거부되게 된다. 따라서, 정보처리기(2)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보안이 유지된다.
이에 의하면, 본 실시 태양은, 컴퓨터 단말(1)의 전원 공급을 받고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RAM(121)의 리셋처리 공정, 컴퓨터 단말(1)에 내장 HDD(11)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OS1을, 리셋된 RAM(121)로 전개함으로써 OS1을 기동 가능하게 하는 공정 및 적어도 인터넷(4)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정보처리기(2)의 라우터로서 기능하는 라우터 기능부(202)에 대하여 행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1 부트 공정을 구비한다. 더욱이,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6)이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컴퓨터 단말(1)의 전원 공급을 받은 받고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RAM(121)의 리셋 처리공정, CDROM(6)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OS2를 우선하여 리셋된 RAM(121)로 전개함으로써 OS2를 작동가능하게 하는 공정 및 정보처리기(2)하고 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정보처리기(2)의 라우터 기능부(202)에 대하여 행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2 부트 공정을 구비한다.
계속하여, 정보 처리기(2)의 사용예, 내지는 컴퓨터 단말(1)에 의한 보조사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정보처리기(2)는, 파일(서면 등)의 수신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고, 파일이 수신된다면, 라우터 기능부(202)에 의하여 해당 파일에 첨부되어 있는 IP주소의 체크를 행한다. 파일의 IP주소가 라우팅 설정된 글로벌 IP 주소인지 아닌지 판단되고, 판단이 긍정된다면, 인터넷(4)를 중계하여 수신된 수신신호인 것으로 하여, 수신 신호는 컴퓨터 단말(1)로 안내된다. 한편, 판단이 부정된다면, 전용 네트워크(5)를 중계하여 수신된 수신신호인 것으로 하여, 수신신호는 제어부(201)로 안내되고, 데이터 기억부(24)로 격납된다.
또한, 정보처리기(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하나인 서면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패널(2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모니터(21)상에서 소요 서면의 작성 처리를 행한다. 서면작성 후에, 터치 패널(22)로부터 작성서면의 송신이 지시된다면, 제어부(201)에 의하여 송신지의 로컬 IP 주소의 부여가 행하여져, 전용 네트워크(5)를 통해 해당하는 단말기 (51)이나 (52) 및 관리 기관 컴퓨터(53)으로 송신처리가 행하여 진다.
또한, 정보처리기(2)에서, 모니터(21) 및 터치 패널(22)를 사용하여 정보입력을 행하는 대신에, 일반적으로 모니터(21)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의 모니터(13) 및 조작부(14)를 사용하여, 고시인성(高視認性) 및 고조작성 하에 컴퓨터 단말(1)을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정보처리기(2)는, 컴퓨터 단말(1)로부터의 읽어들이기 요구를 받아, 요구된 희망 서면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24)로부터 라우터 기능부(202)를 통해 컴퓨터 단말(1)로 읽어낸다. 컴퓨터 단말(1)은, 수신한 서면정보를 모니터(13)에 출력하고, 표시시킨다. 조작부(14)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의해 희망 서면이 작성된다. 작성된 서면은, 라우터 기능부(202)를 통해 테이터 기억부(24)에 격납된다. 그 후, 작성문서를 해당하는 송신지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정보처리기(2)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다시 말하면, 작성문서는, 데이터 기억부(24)로부터 읽혀지고, 전용 네트워크(5)를 통해 송신지로 송신된다.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 기억부(24)로부터 읽혀진 서면은, 모니터(21)에 송신서면으로서 인식표시되고, 송신 명령을 받아, 전용 네트워크(5)를 통하여 해당하는 송신지가 될 단말기(51)나 (52) 및 관리기관 컴퓨터(53)로 송신된다. 관리기관 컴퓨터(53)는, 전용 네트워크(5)를 경유하여 송수신된 서면 파일을 기본적으로 모두 수신하고, 회원마다 내지는 시계열적으로 보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면이란, 구매로부터 발생하는 청구서나 이것에 대응하는 입금서 또는 각종의 전자적인 서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병원과의 관계에서의 의료관계정보의 서류, 정부 기관과의 관계에서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류, 개인이나 기업주 등(개개의)의 재무회계정보서류, 개개의 재무관계서류, 개개의 교육관계정보의 서류, 개개의 법률관계정보의 서류, 개개의 보험정보의 서류, 은행관련처리의 서류, 주민기본대장네트워크 정보의 서류 또는 전자적인 수표용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장전부(15)에 CDROM이 장전된 상태를 BIOS 프로그램이 검지한 경우에, CDROM(6)의 MBR2를 우선하여 읽어내는 것 뿐아니라, 이런 CDROM 대신에, 착탈 가능한 형식인 각종의 흔히 말하는 가변형의 디스크나 메모리 칩 등의 기억매체(ROM)라도 좋다.
또한, BIOS 프로그램이, 컴퓨터 단말(1)의 HDD(11)에 우선하여 CDROM(6)의 MBR2를 읽어들이기 위한 지시방법으로, 이하의 태양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컴퓨터 단말(1)의 케이스 적소(適所), 바람직하게는 표면 적소에 스위치(버튼을 포함한다)를 조작부재로 설치하고, 이런 스위치 등이 조작되는 눌림상태를 플래그(flag)를 세우는 등으로 하여 메모리의 적소에 세트하고, BIOS프로그램이 이런 메모리 플래그 상태를 체크하는 것처럼 하여도 좋다. 혹은, 정보처리기(2)의 케이스 적소에 동일하게 스위치(버튼 포함)를 조작부제로 설치하고, 이런 스위치 등의 눌림상태를 동일하게 플래그로 메모리에 기억하고, BIOS 프로그램으로 체크하는 것처럼 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컴퓨터 단말(1)측의 케이스로의 변경이 필요 없다.
또한, 컴퓨터 단말(1)의 조작부(14)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특수 조작, 예를 들면 특정의 2개의 키를 동시 조작 등을 하여 CDROM(6)의 우선지시를 행하는 태양도 좋다. 혹은, BIOS 프로그램에 의하여, OS1, OS2 중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지의 선택화면을 모니터(13)에 표시하고, 소정의 키 조작을 경유하여 선택되도록 하여도 좋다. 덧붙여, OS1, OS2 중 어떤것을 읽어 들이는지의 분기는, 본 실시태양 처럼의 BIOS로부터 MBR의 시점에서 행하는 방법외에, MBR을 공통으로 하여 파티션 부트 섹터 부분 이어도 좋고, 파티션 부트 섹터까지를 공통으로 하여 OS 로더 부분이어도 좋고, OS 로더 까지를 공통으로 하여 커널 부분까지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 가능하게 된 개인용 컴퓨터의 듀얼 부트제어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은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 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된 RAM에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 OS를 동작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적어도 상기 인터넷하고 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부트 공정과, 기억매체 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는, 상기 BIOS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장전된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에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2 OS를 동작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상기 정보처리기하고 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부트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가능하게 된 듀얼 부트 컴퓨터에 있어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아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 디스크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된 RAM에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 OS를 작동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적어도 상기 인터넷하고 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기동제어수단과, 기억매체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되된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된 경우에, 상기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여 상기 장전된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내의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에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2 OS를 동작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상기 정보처리기 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듀얼 부트 식 컴퓨터에 있어서, 일방의 OS에서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사용 가능한 경우라고 하여도, 각각의 라우팅 설정 및 RAM 리셋 처리가 시행되는 것에 의하여, 타방의 OS 사용시에는 바이러스 감염 및 해킹되지 않는 높은 수준의 보안이 유지된다.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는, CDRO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컴퓨터 단말이 통산사용 중에,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끄집어 내는 것이 가능하여, 물리적으로 접속이 차단된다.
상기 BIOS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매체장전부에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보다도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를 우선하여 접속하도록 우선순위 정보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는 조작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BIOS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보다도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를 우선하여 접속하는 지시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기동시에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우선순위의 지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모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BIOS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처리기를 주변기기로서 체크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및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의 일방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기동시에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우선순위의 지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단말 측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케이스 표면 적소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우선순위의 지시가 용이하게 행하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듀얼 부트식 컴퓨터에 있어서, 기동시에 BIOS 프로그램에 의한 다른 디스크의 MBR, OS를 읽어들임으로써, 일방의 OS에서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사용가능한 경우라 하여도, 각각의 라우팅 설정 및 RAM 리셋처리가 시행됨으로써, 타방의 OS사용시에는, 바이러스 감염 및 해킹당하지 않는 높은 수준의 보안이 유지되는 듀얼 부트식의 컴퓨터가 제공가능하게 된다.
1:컴퓨터 단말(개인용 컴퓨터) 11:HDD
12:정보 처리부(제1 기동제어부) 14:조작부(조작부재)
15:디스크 장전부 2:정보 처리부
201:제어부(제2 기동제어부) 202:라우터 기능부(라우터)
24:데이터 기억부

Claims (7)

  1.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Router)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 가능하게 된 개인용 컴퓨터의 듀얼 부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아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된 RAM으로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 OS를 작동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적어도 상기 인터넷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부트공정 및
    기억매체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된 경우에, 상기 BIOS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장전된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으로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2 OS를 작동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정보처리기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Routing)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부트 공정을 포함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는, CD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IOS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매체장전부에 착탈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보다도 상기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우선하여 접속하도록 우선순위정보가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는 조작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BIOS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보다도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를 우선하여 접속하는 지시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모뎀에 설치되어, 상기 BIOS프로그램은, 상기 정보처리기를 주변기기로서 체크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상태에 응하여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및 상기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의 일방을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케이스 표면 적소(筐體 表面 適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부트 제어 방법.
  7. 인터넷과는 다른 전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처리기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과 접속 가능하게 된 듀얼 부트 컴퓨터에 있어서,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받고 BIOS프로그램이 기동하고, 하드디스크 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1 OS를, 리셋된 RAM으로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 OS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적어도 상기 인터넷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1 기동제어수단 및
    기억매체장전부에 제2 OS가 격납된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가 장전된 경우에, 상기 BIOS프로그램이 기동하여 상기 장전된 상기 착탈가능한 기억매체내에 사전 격납되어 있는 제2 OS를 우선하여, 리셋된 상기 RAM으로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2 OS를 작동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정보처리기하고만의 통신을 위한 라우팅 설정을 상기 정보처리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2 기동제어수단을 구비한 듀얼 부트 컴퓨터.
KR1020117005820A 2008-08-14 2008-08-14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KR20110055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4590 WO2010018632A1 (ja) 2008-08-14 2008-08-14 デュアルブート制御方法及びデュアルブートコンピュー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227A Division KR20120134148A (ko) 2008-08-14 2008-08-14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628A true KR20110055628A (ko) 2011-05-25

Family

ID=41668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820A KR20110055628A (ko) 2008-08-14 2008-08-14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KR1020127028227A KR20120134148A (ko) 2008-08-14 2008-08-14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227A KR20120134148A (ko) 2008-08-14 2008-08-14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38163A1 (ko)
EP (1) EP2325746A4 (ko)
JP (1) JP4951121B2 (ko)
KR (2) KR20110055628A (ko)
CN (1) CN102119379A (ko)
WO (1) WO2010018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512A1 (de) 2011-06-09 2012-12-13 Hyundai Motor Co. Automatikhebelvorrichtung mit Zündsteue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742B1 (en) * 2011-03-16 2013-10-29 Symantec Corporation Detecting and repairing master boot record infections
US10162565B2 (en) * 2014-01-30 2018-1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erasure of a target device
JP6873811B2 (ja) * 2017-05-01 2021-05-19 Dynabook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185509B1 (en) * 2017-06-01 2019-01-22 Amazon Technologies, Inc. Secure storage device sanit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537B1 (ja) * 1998-10-08 2000-01-24 九州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ピュータのブートシステムのブート方法
GB2346715A (en) * 1999-02-11 2000-08-16 Su Chen Chang A computer with multiple operating systems
JP2002082810A (ja) * 2000-09-08 2002-03-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半導体メモリ装置
US20030177344A1 (en) * 2002-03-18 2003-09-18 Harvey Arthur E. Configur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initializing a data-processing device
WO2006064552A1 (ja) * 2004-12-15 2006-06-22 Junko Suginaka ネットワーク接続サービス提供装置
US7469336B2 (en) * 2005-06-24 2008-12-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boot of secondary operating system
KR101121641B1 (ko) * 2006-07-03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IL176890A0 (en) * 2006-07-16 2006-10-31 Portugali Ellie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software installation, recovery, and restoration over a data network
US7991824B2 (en) * 2007-08-28 2011-08-02 Teletech Holdings, Inc. Secure computer working environment utilizing a read-only bootable med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512A1 (de) 2011-06-09 2012-12-13 Hyundai Motor Co. Automatikhebelvorrichtung mit Zündsteu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8163A1 (en) 2011-06-09
JP4951121B2 (ja) 2012-06-13
EP2325746A1 (en) 2011-05-25
EP2325746A4 (en) 2011-08-10
WO2010018632A1 (ja) 2010-02-18
CN102119379A (zh) 2011-07-06
KR20120134148A (ko) 2012-12-11
JPWO2010018632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044B2 (ja)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66613B2 (ja)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198450B (zh) 图像形成装置
KR20080108300A (ko) 데이터 필터링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갖는 바이러스 방지 컴퓨터
US83530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5216024B2 (ja) Usb可搬装置
JP2009518702A (ja) 安全な作業環境を提供する、仮想インターフェースを利用するデバイス
US8739305B2 (en) Secure access to encrypted information
JP2009176213A (ja) ネットワークブート方式
KR20110055628A (ko) 듀얼 부트 제어 방법 및 듀얼 부팅 컴퓨터
KR20130038304A (ko) 외부 부팅 장치, 외부 부팅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JP5381713B2 (ja) 仮想マシン向けデータ格納システム、データ格納方法およびデータ格納用プログラム
JP518344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93949B2 (ja) コンピュータ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WO2011141997A1 (ja) 外部ブートデバイス、外部ブートプログラム、外部ブート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Boswell Inside Windows Server 2003
JP4951122B2 (ja) デュアルブート制御方法
JP2012133811A (ja) デュアルブート制御方法
JP4564477B2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3523A (ja) プリントキオスク装置、広告表示方法及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WO2012053053A1 (ja) 外部ブート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TW497029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data in a rewritable storage medium
JP6962159B2 (ja) サーバー、再現用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再現用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JP2002229621A (ja) ハードウェア管理装置
JP2006235751A (ja) 仮想ストレージ装置、仮想ストレージ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