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053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5053A KR20110055053A KR1020090111915A KR20090111915A KR20110055053A KR 20110055053 A KR20110055053 A KR 20110055053A KR 1020090111915 A KR1020090111915 A KR 1020090111915A KR 20090111915 A KR20090111915 A KR 20090111915A KR 20110055053 A KR20110055053 A KR 201100550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member
- ring
- support rod
- precast
- bicycl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 바닥판, 거더 및 콘크리트 복공판 등과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구조체(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제작 단계, 또는 제작 완료 후 현장 설치 단계에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양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거푸집 등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뒤, 걸림장치를 쉽게 걸어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용이하게 양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양을 위한 샤클(5)이 걸리게 되는 양중고리 장치(1)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서, 양중고리 장치(1)는, 슬리브 부재(10)와, 고리(12)와, 슬리브 부재(10) 및 고리(12)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슬리브 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11)을 포함하며; 슬리브 부재(10)가 수직하게 놓인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봉(11)의 외부 돌출 단부와 슬리브 부재(10)의 외면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로 양중고리 장치(1)가 콘크리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고리(12)는 슬리브 부재(10) 내에 위치하고 있다가, 인양시에는 고리(12)의 상단부가 슬리브 부재(10) 외부로 노출되어 샤클(5)이 고리(12)에 걸리고, 고리(12)의 하부가 지지봉(11)에 걸리게 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가 인양되는 양중고리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와,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 바닥판, 거더 및 콘크리트 복공판 등과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구조체(이하, "프리캐스트 구조체"라고 약칭함) 및 강재 구조체의 제작 단계, 또는 제작 완료 후 현장 설치 단계에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양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거푸집 등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뒤, 로프나 슬링벨트(Sling belt) 등에 붙어 있는 걸림장치를 쉽게 걸어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용이하게 양중할 수 있는 양중고리 장치와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보, 바닥판, 거더 및 콘크리트 복공판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체를 미리 공장 또는 현장 제작장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여 현장에 가설하는 조립식 공법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제작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후 양생을 위하여 양생실로 이동하거나, 제작이 완료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이송용 차량에 상차하거나 또는 시공 현장에서 차량으로부터 하차를 하여 완제품이 필요한 현장 위치에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거치할 때를 비롯하여, 여러 단계에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양중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에 러그 등과 같은 양중고리 부재를 고정 설치하고, 로프 등에 연결된 걸림부재를 양중고리 부재에 걸어서 양중작업을 수행하였다. 걸림부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슬링벨트의 단부에 구비된 샤클(Shackle)이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걸림부재라는 용어 대신 "샤클"을 사용한다. 그러나 "샤클"이라는 용어는 고리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양중고리 부재는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에 그 전체가 항시 돌출되어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적재하여 보관할 때 매우 불편하였으며, 자칫 다른 구조체와 충돌하여 양중고리 자체가 파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복공판과 같은 프리캐스트 구조체는 사용시 그 외면에 돌출된 것이 없어야 하므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설치한 후에는 양중고리 부재를 절단하여야 하 므로 추가적인 현장 작업이 필요하며, 나중에 복공판을 다시 철거하기 위하여 양중할 때에는, 이미 설치시에 이용하였던 양중고리 부재가 절단되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양중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양중고리 부재가 위치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 양중고리 부재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보다 항시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샤클을 양중고리 부재에 끼우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양중고리 부재를 설치할 때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구조적 성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중고리 부재를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오목부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좁은 폭의 오목부에 양중고리 부재가 위치하게 되면, 좁은 폭의 오목부로 샤클을 삽입하여 양중고리에 샤클을 걸은 후에 샤클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장치를 조작할 때, 오목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이러한 샤클 걸기 작업 및 샤클의 잠금장치 조작이 매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양중고리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수직하게 적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처럼 필요한 경우에는 양중고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재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중고리가 항시 돌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충격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양중고리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보다 항시 낮은 위치에 있거나 오목부의 폭이 좁았기 때문에 야기되는, 양중고리에 샤클을 끼우고 샤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설치한 후에는 양중고리 부재를 절단하지 않고도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사용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나중에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철거하기 위하여 양중할 때에도 다시 양중고리 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공판과 같은 재활용 부재의 양중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양을 위한 샤클이 걸리게 되는 양중고리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서, 상기 양중고리 장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리브 부재와, 폐합 루프형상을 가지며 슬리브 부재 내에 담겨있는 고리와, 상기 슬리브 부재 및 고리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슬리브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지지봉이 관통되어 있는 상태의 슬리브 부재가 수직하게 놓인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부 돌출 단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슬리브 부재의 외면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로 양중고리 장치가 콘크리트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슬리브 부재 내에 위치하고 있다가, 인양시에는 고 리의 상단부가 슬리브 부재의 상부 방향으로 당겨져서 슬리브 부재 외부로 노출되어 샤클이 고리에 걸리고, 고리의 하부가 지지봉에 걸리게 되어 인양하중을 지지봉을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 전달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가 인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고리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에 구비되는 양중고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리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로 끄집어내어 충분한 외부 작업 공간에서 샤클을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샤클의 안전 잠금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인양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양중고리 장치의 고리가 슬리브 부재 내에 위치하여 고리의 상단부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또는 작은 높이로만 노출되어 있지만, 인양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고리를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상면 위쪽으로 충분한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샤클을 거는 작업 및 샤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을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부에서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공판과 같은 바닥판 부재의 경우, 종래에는 바닥판 부재를 현장에 설 치한 후에는 바닥판 부재의 사용 편의 등을 위해, 양중시 사용하였던 철근 또는 강재 러그(lug) 등으로 이루어진 양중고리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수행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 부재를 인양하여 이동한 후 현장에 거치하여 사용 상태에 놓은 후 샤클을 고리부터 분리하게 되면, 슬리브 부재의 하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리가 자동적으로 슬리브 부재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고 바닥판 부재의 외면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고리의 존재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고리를 제거하는 등의 추가적인 현장 작업도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사용 후 이동을 위하여 재인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슬리브 부재 속에 들어가 있던 고리를 도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부재 밖으로 꺼내어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외면으로 돌출시킨 후 샤클을 걸어 위와 같이 인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재인양시에도 별도의 고리부재를 더 설치하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의 개략적인 분해사 시도와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는, 통형상의 슬리브 부재(10)와, 상기 슬리브 부재(10)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슬리브 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11)과, 상기 지지봉(11)에 걸려 있는 폐합 루프형상의 고리(12)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 부재(10)는 프리캐스트 구조체(2)와 일체화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재인데, 중앙에 공간이 있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1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지만, 하면은 개방될 수도 있고 막혀 있을 수도 있다. 하면의 개방여부는 사용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종류, 사용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리브 부재(10)의 단면 형상이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및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부재(10)의 통 직경 크기나 길이, 두께 등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종류, 중량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10)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지지봉(11)이 관통된다. 상기 지지봉(11)이 슬리브 부재(10)를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봉(11)의 단부는 슬리브 부재(10)의 외면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지지봉(11)의 돌출된 단부는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상기 지지봉(11)은 고리(12)가 걸리게 되는 부재로서, 인양을 위하여 고리(12)가 당겨질 때, 인양하중이 고리(12)로부터 지지봉(11)으로 전달되고, 프리캐스트 구조체 내에 매립된 지지봉(11)의 단 부와, 지지봉(11)이 관통하고 있는 슬리브 부재(10)를 통해 프리캐스트 구조체로 인양하중이 전달된다.
슬리브 부재(10)에 지지봉(11)이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봉(11)이 슬리브 부재(10)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지지봉(11)의 돌출된 단부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슬리브 부재(10)에 지지봉(11)을 관통시킨 후, 지지봉(11)의 관통 부위에서 지지봉(11)과 슬리브 부재(10)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크기가 커져서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 필요하다면 슬리브 부재(10)의 외부면에 지지봉(11)처럼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추가적인 고정봉(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용접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봉은 인양하중이 슬리브 부재(10)를 통하여 충분히 프리캐스트 구조체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그 형상이 봉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양한 형태의 돌출 철물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고리(lifting loop)(12)는 폐합된 구조를 가지는 루프형 부재인데, 후술하는 것처럼 샤클(5)이 걸리게 된다. 상기 고리(12)는 일반 강재 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식성 강재, 그 외 아연도금강재 등을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리(12)는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종류, 질량에 맞추어 직경과 길이, 및 그 형상을 선택할 수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일축이 길게 되어 있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부재(10) 내에 하나의 고리(12)만 구비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고리(12)의 개수는 필요에 따 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제작과정과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에는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일예로서 두께가 얇은 바닥판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가 구비되어 인양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닥판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를 설치하고 인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3의 원 B 부분의 실물 사진이다.
바닥판 부재를 시공하기 위한 바닥 거푸집(3) 위에 슬리브 부재(10)가 수직하게 놓이도록 양중고리 장치(1)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은 바닥판 부재의 경우에는 고리(12)의 길이가 슬리브 부재(10)의 높이보다 더 길어도 무방한데, 고리(12)가 슬리브 부재(10)의 높이보다 더 긴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12)의 하면이 바닥 거푸집(3)에 닿게 되고, 그에 따라 고리(12)는 기울어져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구조체(2)로서 바닥판 부재를 시공하게 되는데(도 5 참조), 이 때 슬리브 부재(10)를 관통하여 슬리브 부재(10)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던 지지봉(11)의 단부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슬리브 부재(1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연질 재질로 만들어진 임시 덮개를 슬리브 부재(10)의 중공에 끼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슬리브 부재(10)는 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프리캐스트 구조체(2)는 슬리브 부재(10)의 설치에 의해 관통된 상태가 되는데, 콘크리트 양생 후 바닥 거푸집(3)을 제거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12)는 무게로 인하여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 때 고리(12)의 상부는 지지봉(1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또는 철재 갈고리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고리(12)를 위쪽으로 당기게 되면 고리(12)의 상부가 슬리브 부재(10) 위쪽으로, 즉 바닥판 부재의 상면 위로 올라와서 노출된다. 이렇게 고리(12)의 상부가 노출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샤클(5)을 고리(12)에 걸고, 샤클(5)에 연결된 슬링 벨트 등을 당기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12)의 하부가 지지봉(11)에 걸리면서 바닥판 부재가 인양된다.
이와 같이,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고리(12)가 슬리브 부재(10) 내에 위치하여 고리(12)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거나 또는 작은 높이로만 노출되어 있지만, 인양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고리(12)를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상면 위쪽으로 충분한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샤클(5)을 거는 작업 및 샤클(5)의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을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외부에서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바닥판 부재가 복공판인 경우, 바닥판 부재를 인양하여 이동한 후 현장에 거치하여 사용 상태에 놓은 후 샤클(5)을 고리(1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슬리브 부재(10)의 하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리(12)는 자동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슬리브 부재(10)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고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외면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리(12)의 존재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고리(12)를 제거하는 등의 추가적인 현장 작업도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사용 후 이동을 위하여 재인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슬리브 부재(10) 속에 들어가 있던 고리(12)를 도구를 이용하여 슬리브 부재(10) 밖으로 꺼내어 프리캐스트 구조체(2)의 외면으로 돌출시킨 후 샤클(5)을 걸어 위와 같이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인양시에도 별도의 고리부재를 더 설치하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슬리브 부재(10)의 길이보다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두께가 더 큰 경우인데, 도 9에는 프리캐스트 구조체가 양중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양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거더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슬리브 부재(10)가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관통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슬리브 부재(10)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앞서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도 슬리브 부재(10)와 고리(12)를 지지봉(11)이 관통하여 지지봉(11)의 양단이 슬리브 부재(10)의 외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10)의 외면과 지지봉(11)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양중고리 장치(1)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에 구비된다.
이 때, 고리(12)는 슬리브 부재(10)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고리(12)의 길이가 슬리브 부재(10)의 높이 이하인 경우 고리(12)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적재해놓을 때 고리(12)의 돌출로 인한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는다.
앞서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살펴본 것처럼 작업자가 손으로 또는 갈고리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고리(12)를 위쪽으로 당기게 되면 고리(12)의 상부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상면 위로 올라와서 노출되고, 이렇게 고리(12)의 상부가 노출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샤클(5)을 고리(12)에 걸게 된다. 샤클(5)에 연결된 로프 등을 당기게 되면 고리(12)의 하단부가 지지봉(11)에 걸리면서 인양하중이 고리(12)로부터 지지봉(11)으로, 그리고 프리캐스트 구조체 내에 매립된 지지봉(11)의 단부와, 지지봉(11)이 관통하고 있는 슬리브 부재(10)를 통해 프리캐스트 구조체로 인양하중이 전달되면서 프리캐스트 구조체가 인양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에서, 프리캐스트 구조체를 적층할 필요가 없어 고리가 돌출되어도 무방한 경우에는 고리(12)의 길이가 슬리브 부재(10)의 높이보다 더 클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양중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리(12)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되고, 따라서 고리(12)를 슬리브 부재(10) 밖으로 꺼내는 수고조차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가 공장 또는 현장 제작장 에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강재로 제작되는 구조체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강재로 제작되는 구조체의 경우, 지지봉이 강재에 걸리도록 하거나 또는 용접할 수도 있으며, 슬리브 부재(10)를 구조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켜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1)는 임시 가교 및 지하철 공사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부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스트레스 교량 바닥판과 같이 중량이 큰 영구구조물이나 도 9 및 도 10에 예시한 것과 같은 거더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리캐스트 구조체의 일예로서 두께가 얇은 바닥판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되어 인양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닥판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양중고리 장치를 설치하고 인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원 B 부분의 실물 사진이다.
도 9는 슬리브 부재의 길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구조체가 양중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가 인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중고리 장치
10 : 슬리브 부재
11 : 지지봉
12 : 고리
Claims (3)
- 인양을 위한 샤클(5)이 걸리게 되는 양중고리 장치(1)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서,상기 양중고리 장치(1)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리브 부재(10)와, 폐합 루프형상을 가지며 슬리브 부재(10) 내에 담겨있는 고리(12)와, 상기 슬리브 부재(10) 및 고리(12)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슬리브 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11)을 포함하며;지지봉(11)이 관통되어 있는 상태의 슬리브 부재(10)가 수직하게 놓인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지지봉(11)의 외부 돌출 단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슬리브 부재(10)의 외면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로 양중고리 장치(1)가 콘크리트에 일체로 구비되고;상기 고리(12)는 상기 슬리브 부재(10) 내에 위치하고 있다가, 인양시에는 고리(12)의 상단부가 슬리브 부재(10)의 상부 방향으로 당겨져서 슬리브 부재(10) 외부로 노출되어 샤클(5)이 고리(12)에 걸리고, 고리(12)의 하부가 지지봉(11)에 걸리게 되어 인양하중을 지지봉(11)을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 전달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가 인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고리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는 슬리브 부재(10)의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바닥판 부재이며;상기 슬리브 부재(10)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고리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구조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구조체를 인양하기 위한 샤클(5)이 체결되는 양중고리 장치(1)로서,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조체와 일체화되는 슬리브 부재(10)와,상기 슬리브 부재(10)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슬리브 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조체와 일체화되는 지지봉(11)과,상기 지지봉(11)에 걸려 있는 폐합 루프형상의 고리(12)로 이루어지며;상기 고리(12)는 상기 슬리브 부재(10) 내에 위치하고 있다가, 인양시에는 고리(12)의 상단부가 슬리브 부재(10) 외부로 노출되어 샤클(5)이 고리(12)에 걸리고, 고리(12)의 하부가 지지봉(11)에 걸리게 되어 인양하중을 지지봉(11)을 통해 프리캐스트 구조체로 전달하여 프리캐스트 구조체가 인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고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915A KR101042026B1 (ko) | 2009-11-19 | 2009-11-1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915A KR101042026B1 (ko) | 2009-11-19 | 2009-11-1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5053A true KR20110055053A (ko) | 2011-05-25 |
KR101042026B1 KR101042026B1 (ko) | 2011-06-16 |
Family
ID=4436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915A KR101042026B1 (ko) | 2009-11-19 | 2009-11-1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02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ko) *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
CN109335953A (zh) * | 2018-12-08 | 2019-02-15 | 江苏海港成套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起重油管的吊臂及制造方法 |
FR3127209A1 (fr) * | 2021-09-22 | 2023-03-24 | Bouyer Leroux | Dispositif de levage pour panneau mural préfabriqué |
KR20230068580A (ko) * | 2021-11-11 | 2023-05-18 | 주식회사 브리콘 | 중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KR102540504B1 (ko) * | 2023-02-16 | 2023-06-08 | 서금석 | 수중 앵커블록 |
KR102707507B1 (ko) * | 2023-03-23 | 2024-09-13 |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7101111U1 (de) * | 2017-02-28 | 2017-03-11 | C.B.S. Team-Projektgesellschaft mbH | Porenbeton-Hybrid-Bauelement |
KR102257540B1 (ko) * | 2019-09-17 | 2021-05-3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트러스 합성 구조의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6690A (ko) * | 1990-09-28 | 1992-04-28 | 이헌조 | 프로브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자레인지 |
JP2639399B2 (ja) * | 1993-07-28 | 1997-08-13 | 東急工建株式会社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製作型枠 |
KR100964155B1 (ko) * | 2008-02-04 | 2010-06-17 | 김근택 | 리프팅 보조장치가 구비된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
EP2088112A1 (fr) | 2008-02-08 | 2009-08-12 | Marcel Arteon | Ancre de manutention d'éléments de construction aux branches divergentes maintenues |
-
2009
- 2009-11-19 KR KR1020090111915A patent/KR101042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ko) *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
CN109335953A (zh) * | 2018-12-08 | 2019-02-15 | 江苏海港成套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起重油管的吊臂及制造方法 |
FR3127209A1 (fr) * | 2021-09-22 | 2023-03-24 | Bouyer Leroux | Dispositif de levage pour panneau mural préfabriqué |
EP4155483A1 (fr) * | 2021-09-22 | 2023-03-29 | Bouyer Leroux | Dispositif de levage pour panneau mural préfabriqué |
KR20230068580A (ko) * | 2021-11-11 | 2023-05-18 | 주식회사 브리콘 | 중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KR102540504B1 (ko) * | 2023-02-16 | 2023-06-08 | 서금석 | 수중 앵커블록 |
KR102707507B1 (ko) * | 2023-03-23 | 2024-09-13 |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2026B1 (ko) | 2011-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02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 |
EP2347067B1 (en) |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 |
KR100760286B1 (ko) |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 |
KR101941885B1 (ko) | 철골 구조물 | |
KR10119551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셸을 이용한 피어캡부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07320741A (ja) | 揚重用吊り具 | |
CN112709434A (zh) | 钢梁安装方法 | |
KR100812262B1 (ko)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 |
JP3977400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 |
KR102327935B1 (ko) |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 |
KR101328663B1 (ko) | 천정 슬라브의 거푸집패널 해체장치 및 방법 | |
JP4926851B2 (ja) | 高架床版の補修方法 | |
JP2010168806A (ja) | 地下タンク構造の側壁の構築方法 | |
KR102455291B1 (ko) |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 |
CN215202663U (zh) | 一种新型钢筋笼绑扎预制用支架结构 | |
JP7576371B1 (ja) | 場所打ち杭の施工方法、該施工方法に用いるケーシング仮受装置、及び場所打ち杭用の掘削機 | |
JP5764079B2 (ja) | 吊上げ装置 | |
CN217417861U (zh) | 钢筋笼用吊具 | |
KR200410995Y1 (ko) | 갱폼 고정 수단 | |
CN210395670U (zh) | 钢筋拉环及预埋钢筋拉环结构 | |
JPH08218638A (ja) | 吊下げ治具及び、該吊下げ治具を用いた鉄筋の建込み方法及び、該吊下げ治具に用いる鉄筋揺動防止治具 | |
JP2002037583A (ja) | 鉄筋かご吊込兼用位置保持治具 | |
US20230417072A1 (en) | Thermally Insulated Tilt-Up Wall Lift and Brace Assemblies | |
JP3538806B2 (ja) | 深礎用鉄筋組立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円形作業台 | |
JPH0978836A (ja) |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