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504B1 - 수중 앵커블록 - Google Patents

수중 앵커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504B1
KR102540504B1 KR1020230020840A KR20230020840A KR102540504B1 KR 102540504 B1 KR102540504 B1 KR 102540504B1 KR 1020230020840 A KR1020230020840 A KR 1020230020840A KR 20230020840 A KR20230020840 A KR 20230020840A KR 102540504 B1 KR102540504 B1 KR 10254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rod member
exposed
pai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금석
서은지
서지원
Original Assignee
서금석
서은지
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금석, 서은지, 서지원 filed Critical 서금석
Priority to KR102023002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부;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중앙부가 상기 홈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및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상기 봉부재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매립 지지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 앵커블록{Underwater Anchor Block}
본 발명은 수중 앵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 시설을 고정하기 위한 다용도 수중 앵커블록에 관한 것이다.
하천, 저수지 또는 바다 위에 설치되는 수상 위락시설, 어패류 양식장 시설, 보트나 어선의 접안시설,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등을 고정하기 위해 수중에 앵커블록을 설치하고 수상 시설과 수중 앵커블록 사이에 와이어 또는 로프를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수중 앵커블록은 콘크리트와 스테인리스스틸 환봉, 강봉, 철근, 와이어 등으로 제작되고 있다.
스테인리스스틸 환봉의 경우, 국내 수급에 어려움이 있고 단가가 높은 재료이다.
강봉, 철근, 와이어 등은 염소에 쉽게 부식되거나 파괴되어서 제품 수명이 짧고 탄소 배출로 인해 국제적 환경 문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고리부가 노출되는 철근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대체하는 재료로서,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수중 앵커블록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64094호(2022.02.14. 등록)
본 발명은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제작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는 수중 앵커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부;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중앙부가 상기 홈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및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상기 봉부재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매립 지지바를 포함한다.
상기 봉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매립 지지바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단 개구면의 면적이 하단 바닥면보다 크게 사각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와, 상기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앵커블록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매립부와, 상기 한 쌍의 매립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봉부재에 감아서 재봉되는 한 쌍의 재봉부와, 상기 봉부재에 감기는 한 쌍의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에 양단이 매듭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로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부재는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와, 상기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앵커블록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봉부재에 감아서 매듭지어지는 매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 및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매립부와 상단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GFRP 일체형 앵커고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앵커고리부재는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매립부와, 상기 수평매립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연결부의 상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블록은 복수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중 앵커블록에 의하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인양고리가 내식성, 내구성, 강도 및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고리부재와 봉부재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6은 고리부재와 봉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로프부재와 봉부재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체형 앵커고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110), 앵커블록의 상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부(120),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중앙부가 홈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130), 및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봉부재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매립 지지바(14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복수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부(112)는 12개의 모서리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4개의 상단 모서리와 4개의 측면 모서리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모따기부(112)에 의해, 몰드 해체, 상하차, 운송, 시공 등의 과정에서 가벼운 접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120)는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120)는 상단 개구면의 면적이 하단 바닥면보다 크게 사각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120)의 수평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홈부(120)의 수평 단면 형태는 사각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육각형, 팔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봉부재(130)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봉부재(130)는 콘크리트 앵커블록(110)에 매립되되 그 중앙부가 홈부(120)에 노출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봉부재(130)는 홈부(120)의 바닥면에서 홈부(120) 깊이의 대략 1/3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매립 지지바(140)는 앵커블록 본체(110) 내부에 전부 매립되되 봉부재(130) 상에 접촉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매립 지지바(140)는 원형 단면의 직선형 바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봉부재(13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앵커블록 본체(110)는 가로, 세로, 높이가 1200mm, 1200mm, 7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112)의 상단 개구면은 한 변이 210mm인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단 바닥면은 한 변이 150mm인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부재(130)는 길이가 1000mm로 형성되고,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200mm 깊이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매립 지지바(140)는 길이가 800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매립 지지바(140)는 500m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봉부재(130)와 한 쌍의 매립 지지바(140)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FRP)은 일반 철근에 비해, 인장강도가 4배 이상이고, 굽힘강도는 대략 2배의 값을 가지고 있다. 또한, GFRP는 철근에 비해 비중이 1/4배 이하이고, 부식되지 않는다. 건축비용도 철근에 비해 적고 소재 가격도 철근의 80% 이하로서 경쟁력이 높다. 그리고, 탄소 배출량이 많은 철근에 비해 유해성이 최소화될 수 있고, 환경에 악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며, 수명이 80년 이상으로 매우 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에 의하면, 수상 시설과의 사이에 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이 홈부(120)에 노출된 봉부재(130)에 연결되어 수상 시설을 고정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수중 앵커블록(100)은 봉부재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강도, 내부식성, 내구성,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고리부재와 봉부재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고, 도 6은 고리부재와 봉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110),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130), 및 봉부재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단부가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리부재(15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복수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부(112)는 12개의 모서리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4개의 상단 모서리와 4개의 측면 모서리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모따기부(112)에 의해, 몰드 해체, 상하차, 운송, 시공 등의 과정에서 가벼운 접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봉부재(130)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봉부재(130)는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에 매립되되 앵커블록 본체(110) 높이의 절반보다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리부재(150)는 봉부재(130)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단부가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고리부재(150)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여 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고리부재(15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그 양단부가 봉부재(130)를 감싸서 소정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고리부재(150)의 상단부는 고리 형태를 이루게 되고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고리부재(150)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고리부재(150)는 앵커블록(110)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152)와,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앵커블록(110)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매립부(154)와, 한 쌍의 매립부에서 연장되고 봉부재(130)에 감아서 재봉되는 한 쌍의 재봉부(156)와, 봉부재에 감기는 한 쌍의 루프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고리부(152)는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고리 형태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 노출고리부(152)에 와이어, 로프, 체인 등을 연결함으로써 수상 시설물을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매립부(154)는 노출고리부(152)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앵커블록 본체(110)의 콘크리트 내부에 수직으로 매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재봉부(156)는 매립부(15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가 봉부재(130)를 거쳐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부와 재봉되는 부분을 말한다. 재봉부(156)의 재봉선은 재봉부(156)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루프부(158)는 재봉부(156)에 의해 봉부재(130)에 감기는 부분을 말한다.
고리부재(150)는 노출고리부(152)를 제외하고, 매립부(154)와 재봉부(156)와 루프부(158)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므로, 봉부재(130)와 함께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의 제작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직경 24mm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130)를 1000mm 길이로 절단한다.
다음에, 두께 13mm, 폭 50mm 이상의 폴리에스터 밴드를 1700mm 길이로 절단한다. 이 폴리에스터 밴드는 4톤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진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이루어져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리부재(150)를 구성한다.
다음에, 절단된 봉부재(130)에 고강력 폴리에스터 밴드의 양단부를 감은 후 재봉 마감 처리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블록 거푸집(200)을 조립한다.
다음에, 조립된 거푸집(200)에 콘크리트(210)를 타설한다.
다음에,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에어빼기와 다짐 작업을 한다.
다음에, 타설된 콘크리트(210) 내부에 봉부재(130)와 결합된 폴리에스터 고리부재(150)를 위치에 맞게 삽입한다.
다음에, 쇠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210) 상부 표면을 고르게 펴준다.
다음에, 콘크리트(210)를 양생한 후 거푸집(200)을 해체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히 자연 양생을 시킨 후 현장으로 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에 의하면, 제작하기가 쉽고, 봉부재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고리부재가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이루어져서 강도, 내부식성, 내구성, 가격 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로프부재와 봉부재의 결합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a) 및 측면도(b)이고,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2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110),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130), 및 봉부재에 양단이 매듭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부가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로프부재(16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복수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부(112)는 12개의 모서리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4개의 상단 모서리와 4개의 측면 모서리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모따기부(112)에 의해, 몰드 해체, 상하차, 운송, 시공 등의 과정에서 가벼운 접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봉부재(130)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봉부재(130)는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에 매립되되 앵커블록 본체(110) 높이의 절반보다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강력 폴리에스터 로프부재(160)는 봉부재(130)에 양단이 매듭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부가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로프부재(160)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여 로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로프부재(16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그 양단부가 봉부재(130)를 감싸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매듭을 지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로프부재(160)의 상단부는 고리 형태를 이루게 되고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로프부재(160)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로프부재(160)는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162)와,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앵커블록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매립부(164)와, 한 쌍의 매립부에서 연장되고 봉부재에 감아서 매듭지어지는 한 쌍의 매듭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고리부(162)는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고리 형태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 노출고리부(162)에 와이어, 로프, 체인 등을 연결함으로써 수상 시설물을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매립부(164)는 노출고리부(162)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앵커블록 본체(110)의 콘크리트 내부에 수직으로 매립될 수 있다.
한 쌍의 매듭부(166)는 한 쌍의 매립부(164)의 각 하단부가 봉부재(130)에 감겨서 매듭을 지어서 고정하는 부분을 말한다. 매듭부(166)는 봉부재(130)에 2회 이상 감기고, 옭매듭이 아니라 클로브 히치 매듭(clove hitch knot)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매듭부(166)는 매듭이 아니라 로프부재(160)에 별도의 밴드를 감아서 고정할 수도 있다.
로프부재(160)는 노출고리부(162)를 제외하고, 매립부(164)와 매듭부(166)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므로, 봉부재(130)와 함께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에서, 로프부재(160)는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162)와,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앵커블록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매립부(164)와, 매립부에서 연장되고 봉부재(130)에 감아서 매듭지어지는 매듭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고리부(162)는 로프 중간을 포개서 두 줄을 함께 매듭함으로써 형성되는 루프의 상단 부분이 될 수 있다. 이 루프는 두 줄을 함께 옭매듭 또는 8자매듭 등의 제1매듭부(167)를 형성하고, 루프의 중간 이하 부분을 콘크리트(210)에 매립함으로써 노출고리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매듭부(167)는 앵커블록 본체(110) 내부에 매립되는 매립부(164)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봉부재(130)에 감아서 매듭지어지는 제2매듭부(168)는 옭매듭 또는 피셔맨매듭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예의 경우 제3실시예에 비해 로프 중간을 포개서 두 줄을 함께 매듭함으로써 노출고리부를 형성하되, 봉부재에 감는 매듭부와 함께 중간 높이에도 매듭부를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의 제작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직경 24mm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130)를 1000mm 길이로 절단한다.
다음에, 두께 13mm, 폭 50mm 이상의 폴리에스터 밴드를 1700mm 길이로 절단한다. 이 폴리에스터 밴드는 4톤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진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이루어져 고강력 폴리에스터 로프부재(160)를 구성한다.
다음에, 절단된 봉부재(130)에 고강력 폴리에스터 로프부재(160)의 양단부를 2회 감은 후 매듭 처리한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블록 거푸집(200)을 조립한다.
다음에, 조립된 거푸집(200)에 콘크리트(210)를 타설한다.
다음에,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에어빼기와 다짐 작업을 한다.
다음에, 타설된 콘크리트(210) 내부에 봉부재(130)와 결합된 폴리에스터 로프부재(160)를 위치에 맞게 삽입한다.
다음에, 쇠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210) 상부 표면을 고르게 펴준다.
다음에, 콘크리트(210)를 양생한 후 거푸집(200)을 해체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히 자연 양생을 시킨 후 현장으로 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에 의하면, 제작하기가 쉽고, 봉부재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로프부재가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이루어져서 강도, 내부식성, 내구성, 가격 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일체형 앵커고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100)은,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앵커블록(110), 및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매립부와 상단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GFRP 일체형 앵커고리부재(17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는 복수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부(112)는 12개의 모서리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 4개의 상단 모서리와 4개의 측면 모서리에 모따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모따기부(112)에 의해, 몰드 해체, 상하차, 운송, 시공 등의 과정에서 가벼운 접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GFRP 일체형 앵커고리부재(170)는 수평매립부와 상단 고리부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FRP)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일체형 앵커고리부재(170)는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매립부(172)와, 수평매립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연결부(174)와, 한 쌍의 수직연결부의 상부에서 연결되고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고리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매립부(172)는 다른 실시예의 봉부재와 유사하게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매립부(172)는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에 매립되되 앵커블록 본체(110) 높이의 절반보다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매립부(172)는 약 1000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연결부(174)는 수평매립부(17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두 수직연결부(174)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수평매립부(17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출고리부(176)는 한 쌍의 수직연결부(174)의 상단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고 반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출고리부(176)는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노출되어, 수중에서 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연결하여 수상 시설물을 고정할 수 있다.
GFRP 일체형 앵커고리부재(170)는 수평매립부(172)와 한 쌍의 수직연결부(174)와 노출고리부(176)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매립부(172)와 한 쌍의 수직연결부(174)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고, 노출고리부(176)는 콘크리트 앵커블록 본체(110)의 상면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앵커고리부재(170)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블록(100)을 제작하기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별도로 제작된 일체형 앵커고리부재(170)를 노출고리부(176)만 노출되고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콘크리트를 다지고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면, 앵커블록(100)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중 앵커블록(100)에 의하면, 제작하기가 매우 쉽고, 일체형 앵커고리부재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강도, 내부식성, 내구성, 가격 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앵커블록
110: 콘크리트 본체
112: 모따기부
120: 홈부
130: 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140: 매립 지지바
150: 폴리에스터 고리부재
152: 노출고리부
154: 매립부
156: 재봉부
158: 루프부
160: 폴리에스터 로프부재
162: 노출고리부
164: 매립부
166: 매듭부
167: 제1매듭부
168: 제2매듭부
170: GFRP 일체형 앵커고리부재
172: 수평매립부
174: 수직연결부
176: 노출고리부
200: 거푸집
210: 콘크리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단 모서리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앵커블록;
    원형 단면의 직선형 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블록에 매립되되 앵커블록 높이의 절반보다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봉부재; 및
    상기 봉부재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재는 원사를 사용하여 밴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에 노출되어 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이 연결되는 노출고리부와,
    상기 노출고리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앵커블록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매립부와,
    상기 한 쌍의 매립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봉부재를 거쳐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부와 재봉되는 한 쌍의 재봉부와,
    상기 봉부재에 감기는 한 쌍의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앵커블록.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20840A 2023-02-16 2023-02-16 수중 앵커블록 KR10254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840A KR102540504B1 (ko) 2023-02-16 2023-02-16 수중 앵커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840A KR102540504B1 (ko) 2023-02-16 2023-02-16 수중 앵커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504B1 true KR102540504B1 (ko) 2023-06-08

Family

ID=8676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840A KR102540504B1 (ko) 2023-02-16 2023-02-16 수중 앵커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5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58B1 (ko) * 2006-10-19 2007-01-10 이근희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110055053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KR20120022398A (ko) * 2010-09-02 2012-03-12 주은만 슬링벨트
KR20150016593A (ko) * 2012-10-29 2015-02-12 오바마 로프 엠에프지., 씨오.,엘티디. 합성 섬유 로프
KR102340377B1 (ko) * 2021-06-18 2021-12-17 유한회사 세미 생태 친화형 앵커 모듈이 적용된 수상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물
KR102364094B1 (ko)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58B1 (ko) * 2006-10-19 2007-01-10 이근희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110055053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KR20120022398A (ko) * 2010-09-02 2012-03-12 주은만 슬링벨트
KR20150016593A (ko) * 2012-10-29 2015-02-12 오바마 로프 엠에프지., 씨오.,엘티디. 합성 섬유 로프
KR102340377B1 (ko) * 2021-06-18 2021-12-17 유한회사 세미 생태 친화형 앵커 모듈이 적용된 수상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물
KR102364094B1 (ko) 2021-12-07 2022-02-17 서금석 수생 어초형 앵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8019A (en) Artificial reef assembly construction
KR20200037994A (ko) 다기능성 어초블록
US9185887B2 (en) Aquaculture net with isotropic bottom mesh
KR102540504B1 (ko) 수중 앵커블록
KR102067168B1 (ko) 해조류용 종사로프 지지 구조물 및 종사로프 지지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61009B1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CA2912039A1 (en) Aquaculture system with rigid structure
ES2677494T3 (es) Sistema de flotación y conexión para mallas o redes rígidas, metálicas y/o de alto peso
US20130097955A1 (en) Precast concrete pile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grid
KR101344008B1 (ko) 친환경 해중 인공어초
JP2020050076A (ja) ため池等滑落者救助装置
KR101674892B1 (ko)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5220A (ko) 포자의 활착이 용이한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CN108617564B (zh) 一种组合式人工鱼礁
KR200420572Y1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KR20140029206A (ko)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KR102577952B1 (ko) 전복 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다목적 닻
JP2024054656A (ja) 築磯構造体、基礎構造および基礎構造の施工方法
KR101446207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CN219593398U (zh) 内嵌有漏斗形竹礁的金属养殖框架
KR102155298B1 (ko) 테트라포드 제조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테트라포드
CN219920018U (zh) 一种带有高层鱼礁的渔业观察平台
Yu et al. Development of circular floating cages for milkfish broodstock at the SEAFDEC Aquaculture Department
JP3434507B1 (ja) 護岸・魚礁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165725B1 (ko) 부잔교 시공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