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012A -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012A
KR20110055012A KR1020090111864A KR20090111864A KR20110055012A KR 20110055012 A KR20110055012 A KR 20110055012A KR 1020090111864 A KR1020090111864 A KR 1020090111864A KR 20090111864 A KR20090111864 A KR 20090111864A KR 20110055012 A KR20110055012 A KR 2011005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fixing plate
silencer
vehicl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765B1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우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우공영
Priority to KR102009011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를 배출하며 소음기가 부착된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차대프레임(F)에 고정된 베이스부재(1); 고무댐퍼(5)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와 연결되는 연장봉(3); 상기 연장봉(3)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배기관안착홈(11)과 연결공(15)이 타공되는 고정판(9)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판(5), 배기관(17)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1볼트공(21)이 타공되는 제1플랜지(23) 및 소음기(19)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볼트공(25)이 타공되는 제2플랜지(27)를 연결볼트(13)를 이용하여 일체가 되게끔 포개지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기관(17)을 상기 차대프레임(F)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엔진, 배기관, 머플러, 소음기, 미미, 댐퍼, 연결

Description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Assembly For Connecting Muffler And Exhausting Pip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를 배출하며 소음기가 부착된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소음을 감쇄시키고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배기관의 중간 또는 말단에는 소음기가 설치되고 있다.
특히 엔진의 진동에 의해 배기관은 각 연결부위에 취약성을 갖고 있으며 잦은 고장을 일으키곤 한다. 종래에는 유(U)볼트를 이용하여 배기관을 차대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완충을 위한 고무댐퍼의 설치가 어려우며 구조상 취약한 단점이 있다.
나아가 유볼트와는 별도로 배기관과 소음기가 가스켓을 사이에 두고 볼트로 연결되고 있는데 이렇게 배기관 및 소음기를 차대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 및 배기관과 소음기를 연결하는 구조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하부샤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차량용 배기관 및 소음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기관, 소음기 및 차대프레임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서로 결속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하부샤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단이 차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재; 고무댐퍼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와 연결되는 연장봉; 상기 연장봉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방향으로 개구되게끔 배기관안착홈이 패여 있으며, 상기 배기관안착홈의 양쪽으로 배기관과 소음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연결공이 타공되는 고정판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판, 배기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1볼트공이 타공되는 제1플랜지 및 소음기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볼트공이 타공되는 제2플랜지를 상기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일체가 되게끔 포개지도록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관과 소음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차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판의 좌우측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판의 좌우측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봉은 상기 절곡부의 내곡면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차량용 배기관 및 소음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배기관, 소음기 및 차대프레임을 하나의 연결구조로 서로 결속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하부샤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고정판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형의 베이스부재(1)는 일단이 차대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로 하방향을 향 해 연장된다. 베이스부재(1)는 봉으로서 2개로 구성되며 용접 등으로 차대프레임(F)에 각각 고정된다. 베이스부재(1)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접 이외의 요소체결수단이 개입될 수 있다.
연장봉(3)은 고무댐퍼(5)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부재(1)와 연결된다. 연장봉(3)과 고무댐퍼(5) 역시 베이스부재(1)와 대응되게끔 2개로 구성된다. 고무댐퍼(5)는 소음기 내지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진수단이다.
고무댐퍼(5)에는 위아래로 배치되는 2개의 끼움공(7)이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위의 끼움공에는 베이스부재(1)의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아래의 끼움공(7)에는 연장봉(3)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연장봉(3)은 봉형상으로서 고정판(9)과 접촉된 상태에서 50 ~ 100mm 의 길이로 용접된다.
베이스부재(1)의 하단과 연장봉(3)의 상단은 고무댐퍼(5)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돌기(1a, 3a)가 각각 마련된다.
고정판(9)은 연장봉(3)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방향으로 개구되게끔 배기관안착홈(11)이 패여 있다. 또한 배기관안착홈(11)의 좌우 양쪽으로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13)가 관통되는 연결공(15)이 타공된다. 고정판(9)은 두께 2 ~ 5mm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판(9)의 좌우측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60 ~ 90°가 되도록 절곡된다. 고정판(9)을 이렇게 절곡하는 것은 강도향상을 위한 것이 다. 배기관(17)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정판(9)이 열적 스트레스를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장봉(3)은 상기 절곡부의 내곡면(9a, 도 3 참조)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될 수 있다. 이는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연장봉(3)이 안정적으로 고정판(9)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 설명된 연장봉(3)과 고정판(9)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차체 하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의 소음기(19)는 촉매컨버터가 될 수도 있으며 이하 마찬가지이다.
배기관(17)의 단부에는 좌우에 각각 제1볼트공(21)이 타공되어 있는 마름모 형상의 제1플랜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음기(19)에도 제1플랜지(23)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플랜지(27)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제2플랜지(27)에도 제1볼트공(21)과 같은 이격간격으로 제2볼트공(25)이 타공되어 있다. 제1플랜지(23)와 제2플랜지(27) 사이에는 통상의 가스켓(29)이 설치된다. 가스켓(29) 또한 마름모 형태일 수 있으며 연결볼트(13)를 끼우기 위한 관통홀(29a)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판(9), 제1플랜지(23) 및 제2플랜지(27)를 순서대로 포갠 상태에서 연결볼트(13)를 끼우고 와셔(31)와 너트(33)로 조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제1,2플랜지(23,27) 사이에는 가스켓(29)이 개입된다. 포개지는 순서는 다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제1플랜지(23), 제2플랜지(27) 및 고정판(9)의 순서로 조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하면 한쌍의 연결볼트(13)로써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이들을 차대프레임(F)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배기관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차량에 따라 차체의 하부샤시의 구조가 다름은 명백하다. 차대프레임(F)과 배기관(17)의 위치관계 또한 다양할 것임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고정판(9)과 연장봉(3)의 연결형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실로 다양할 수 있다. 연장봉(3)은 좌우로 2개가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이어서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길이 및 연장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는 각 차량에 적합하도록 고정판(9)과 연장봉(3)의 설치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고정판(9)에 마련된 배기관안착홈(11)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에는 다각형으로 된 배기관안착홈(11) 또는 원형으로 된 배기관안착홈(11)이 무작위로 혼합되어 있다.
한가지 형태의 고정판(9)에 특정 연장봉(3)을 다양한 형태로 용접함으로써 여러 차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설치하고 연결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고정판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판의 예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부재 3 ; 연장봉
5 ; 고무댐퍼 9 ; 고정판
11 ; 배기관안착홈 13 ; 연결볼트
17 ; 배기관 19 ; 소음기
29 ; 가스켓
F ; 차대프레임

Claims (2)

  1. 일단이 차대프레임(F)에 고정된 상태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재(1); 고무댐퍼(5)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와 연결되는 연장봉(3); 상기 연장봉(3)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방향으로 개구되게끔 배기관안착홈(11)이 패여있으며, 상기 배기관안착홈(11)의 양쪽으로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13)가 관통되는 연결공(15)이 타공되는 고정판(9)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판(5), 배기관(17)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1볼트공(21)이 타공되는 제1플랜지(23) 및 소음기(19)의 단부에 설치되며 제2볼트공(25)이 타공되는 제2플랜지(27)를 상기 연결볼트(13)를 이용하여 일체가 되게끔 포개지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관(17)과 소음기(19)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기관(17)을 상기 차대프레임(F)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9)의 좌우측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KR1020090111864A 2009-11-19 2009-11-19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KR10108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64A KR101086765B1 (ko) 2009-11-19 2009-11-19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64A KR101086765B1 (ko) 2009-11-19 2009-11-19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12A true KR20110055012A (ko) 2011-05-25
KR101086765B1 KR101086765B1 (ko) 2011-11-24

Family

ID=4436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64A KR101086765B1 (ko) 2009-11-19 2009-11-19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1020A (zh) * 2017-12-04 2018-03-09 云南力帆骏马车辆有限公司 一种排气系统及货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9504A (zh) * 2017-11-27 2018-04-20 田齐芳 一种防折断消声器安装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220U (ja) 1983-05-17 1984-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管取付構造
JPS60195923U (ja) 1984-06-06 1985-12-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排気管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1020A (zh) * 2017-12-04 2018-03-09 云南力帆骏马车辆有限公司 一种排气系统及货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765B1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8222B2 (ja) 防振遮熱板
US8291698B2 (en) Sound insulation cover
US20080053737A1 (en) Exhaust isolator
WO2007037924A2 (en) Isolator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20090035148A (ko) 소형 프레임 차량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KR101086765B1 (ko) 차량 배기관과 소음기의 고정구조
KR20040038104A (ko) 자동차 소음기 고정기구
KR101188044B1 (ko) 전기자동차 모터 장착 구조
CN101050721A (zh) 消声器
US20190186331A1 (en) Support structure for exhaust system part
KR20120051100A (ko) 특히 차폐 부품인, 구조 컴포넌트
CN210858906U (zh) 用于后处理系统的安装组件
JP3812369B2 (ja) 車両用エンジン排気装置
KR101372924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1371462B1 (ko) 차량용 배기계의 가스켓
JP2009167865A (ja) 板状ブラケットの取付方法及び板状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0580030B1 (ko) 자동차용 배기계통의 행거브라켓의 결합구조
JP4265457B2 (ja) 管保持用ブラケット
CN214499223U (zh) 消声器安装结构和全地形车
KR101076139B1 (ko) 차량 배기장치용 마운팅 장치
JP5829440B2 (ja) インシュレータ取付構造
KR100916027B1 (ko) 촉매 변환기의 방열커버 체결장치
KR100736783B1 (ko) 쉬프트케이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