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34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342A
KR20110053342A KR1020117004479A KR20117004479A KR20110053342A KR 20110053342 A KR20110053342 A KR 20110053342A KR 1020117004479 A KR1020117004479 A KR 1020117004479A KR 20117004479 A KR20117004479 A KR 20117004479A KR 20110053342 A KR20110053342 A KR 2011005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passage
circulation passage
storage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752B1 (ko
Inventor
젠니찌 이노우에
히로따까 후지오까
히로미 모리모또
하루까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1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800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2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192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2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7723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2)과, 저장실(2)의 배면을 좌우에 걸쳐 덮는 배면판(42)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11)와, 냉각기(11)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고 제1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를 통해 저장실(2)에 냉기를 송출하는 냉기 통로(32)와, 순환 송풍기(85)를 갖고 냉각기(11)를 통과하지 않고 저장실(2)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81)와, 순환 통로(81)에 배치되는 이온 발생 장치(86)를 구비하고,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를 저장실(2)의 배면판(42)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배치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는 냉장실의 배면에 좌우로 분기되는 냉기 통로가 설치되고, 좌우의 냉기 통로 사이에 순환 통로가 배치된다. 냉기 통로에는 양 외측 및 중앙측에 개구하는 냉기의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외측 및 순환 통로측을 향해 냉기가 토출된다. 순환 통로의 전방면에는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된다.
냉장실의 상부에는 순환 통로의 상방에 이온 발생 장치를 가진 이온 발생 유닛이 배치된다. 이온 발생 유닛은 순환 통로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후방부 하면에 형성되고, 전방에 토출구를 개구한다. 이온 발생 유닛 내에는 순환 송풍기가 설치되고, 순환 송풍기의 하류측에 이온 발생 장치가 배치된다.
순환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냉장실 내의 냉기가 흡입구로부터 순환 통로에 도입되고, 이온 발생 유닛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한다. 이온 발생 장치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각각 발생하는 제1,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제2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은 흡입구로부터 도입된 냉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온 발생 유닛의 토출구로부터 냉기와 함께 분출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에 의해 냉장실 내의 부유균을 제균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로부터의 냉기가 유통하는 냉기 통로가 냉장실의 배면에 배치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냉기 통로는 좌우로 분기되고, 상승 통로 내를 상승한 후에 하강 통로 내를 강하하여 냉장실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1 토출구로부터 냉기를 토출한다. 냉장실의 우측 하부에는 냉각기로 복귀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복귀구가 형성된다.
또한, 좌우로 분기된 냉기 통로의 상승 통로 사이에는 순환 송풍기를 가진 순환 통로가 설치된다. 순환 통로의 하부에는 순환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 내의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순환 통로의 측벽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된다.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통로의 상승 통로를 거쳐 하강 통로를 유통하여, 좌우 방향의 양단부의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 내를 유통하여, 우측 하부 배치된 복귀구를 통해 냉장실 내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일부의 냉기는 냉장실의 대략 중앙으로 유통하여, 하부의 흡입구로부터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는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복귀구로부터 유출됨과 함께, 일부가 흡입구로부터 순환 통로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의 하부의 냉기와 상부의 냉기를 순환시켜 실내 온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0781호 공보(제5 페이지 내지 제13 페이지, 도 2) 일본 특허 공개 평9-42820호 공보(제3 페이지 내지 제4 페이지, 도 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냉장고에 따르면, 순환 통로 및 이온 발생 유닛이 좌우의 냉기 통로 사이에 배치되고, 순환 통로의 전방면에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이온 발생 유닛의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냉장실 내를 중앙 상부의 분출구와 중앙 상부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흡입구 사이를 기류가 순환한다. 따라서, 이온 발생 유닛의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이온이 냉장실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퍼지지 않아, 제균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유균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대략 등량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필요해진다.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냉장실의 각 위치로 유도하기 위해 제1, 제2 전극을 가까이하여 배치하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 직후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소멸하는 이온이 증가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이온이 감소하여, 제균 성능이 보다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1, 제2 전극을 충분히 이격하여 배치하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이온의 양이 증가한다. 그러나, 냉장고의 일단부에서는 마이너스 이온이 많아지지만 플러스 이온이 적어지고, 타단부에서는 플러스 이온이 많아지지만 마이너스 이온이 적어진다. 즉, 각 이온의 분포가 불균일해져, 냉장실의 각 위치에서 적은 쪽의 이온에 따른 제균이 행해진다. 따라서, 냉장실 전체에 충분한 양의 플러스 이온과 충분한 양의 마이너스 이온을 공급할 수 없어, 제균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실의 배면에는 상하로 연장하는 순환 통로, 상승 통로 및 하강 통로가 좌우에 병설되기 때문에 각각의 유로 폭이 좁아진다. 각 통로는 고내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 깊이를 넓게 할 수도 없기 때문에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냉기 통로가 상승 통로와 하강 통로를 갖기 때문에 통로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의해서도 통풍 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송풍 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기 통로의 통로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의해, 냉기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의 냉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하여, 냉각 효과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우측 하부에 배치된 복귀구나 대략 중앙에 배치된 흡입구에 도달하는 사이에 저장물과 접촉한다. 냉기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는 냉각기에 의해 건조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와 접촉한 저장물의 건조가 촉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 효율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배면을 좌우에 걸쳐 덮는 배면판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고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형성한 제1 토출구를 통해 저장실에 냉기를 송출하는 냉기 통로와, 순환 송풍기를 갖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배치되는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 통로 및 상기 순환 통로가 상기 저장실의 상기 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통로를 유통하여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 내를 유통하여 저장실 내를 냉각한다. 저장실 내의 습한 냉기는 순환 통로에 유입되어,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순환 통로를 유통하여 순환한다.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에는 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이 포함되고, 저장실 내로 토출된다. 순환 통로는 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배치되기 때문에 배면이 넓은 범위에 토출구 또는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어, 이온이 저장실 내에 골고루 퍼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부와, 상기 저장실의 천장면에 배치되는 천장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천장면부의 전방부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장실 하부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로부터 저장실 내의 습한 냉기가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는 저장실의 천장면 중앙부에 배치된 제2 토출구로부터 냉기와 함께 토출되고, 하부의 좌우 단부의 제1 흡입구로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부의 상기 순환 송풍기의 흡기측에 제2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장실의 상부의 냉기가 제2 흡입구로부터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를 전후에 겹쳐 배치함과 함께, 제1 토출구를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가 저장실 상부의 좌우 단부의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고, 하부의 좌우 단부의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다. 이에 의해, 제1 토출구로부터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건조한 냉기가 삭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물을 적재함과 함께 상하로 복수단 배치되는 적재 선반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상하로 복수단 설치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도어 포켓을 구비하고, 제2 토출구로부터 상기 적재 선반과 상기 도어 포켓 사이를 향해 냉기를 토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 및 이온이 도어 포켓에 공급된다. 또한, 도어 포켓과 적재 선반 사이를 냉기 및 이온이 강하하여, 각 적재 선반 상을 후방으로 유통하여 제1 흡입구로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장치는 플러스 이온을 발생하는 제1 전극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제2 전극을 냉기의 유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이온 발생 장치의 하류측에서 상기 순환 통로의 유로를 좁히는 혼합판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혼합판의 하류측의 유로를 폭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에는 이온 발생 장치의 제1, 제2 전극으로부터 각각 발생하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포함된다. 이온은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클러스터화되어, 정부(正負)의 클러스터 이온이 형성된다. 이온 발생 장치의 하류측에서는 혼합판에 의해 유로가 좁혀져, 제1, 제2 전극 상을 통과하는 냉기가 혼합된다. 이에 의해, 정부의 클러스터 이온이 혼합된다. 혼합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은 혼합판의 하류측에서 퍼져 저장실로 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제1, 제2 전극의 간격을 100mm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혼합판에 의해 좁혀진 유로 폭이 제1, 제2 전극의 폭과 대략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기로 복귀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로부터 유출되는 복귀구와, 상기 냉기 통로의 전후 방향에 겹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개구하는 제2 토출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배치되고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통로를 유통하여 저장실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한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 내를 강하하여,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로부터 저장실 내의 습한 냉기와 혼합하여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에 흡입된 냉기는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순환 통로를 유통한다.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에는 이온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포함된다. 이온은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클러스터화되어, 정부의 클러스터 이온이 저장실의 중앙 상부에 배치된 제2 토출구로부터 냉기와 함께 토출된다.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및 클러스터 이온은 하방 양단부의 제1 흡입구로 유도되어, 저장실 내의 전체에 이온 및 습한 냉기가 골고루 퍼져 순환한다. 또한, 냉기 통로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량에 따라서 저장실 내의 냉기가 하부의 복귀구로부터 유출되어 냉각기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를 단열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발포 스티롤의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냉기 통로 및 순환 통로의 덕트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물을 적재하는 적재 선반을 설치하고, 상기 저장실의 배면벽과 상기 적재 선반 사이에 제1 토출구와 제1 흡입구를 연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적재 선반의 후방에 형성한 간극을 통해 강하하여, 제1 흡입구로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제1 흡입구를 제1 토출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의 전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가 접하는 열양도체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는 전방면의 열양도체로 이루어지는 부재와 접하고, 냉기의 냉열이 부재에 전달되어 부재가 냉각된다. 부재에 전달된 냉열은 부재의 전방면으로부터 저장실에 방출된다. 도어의 개폐에 의해 저장실 내에 외기가 유입되면 냉각된 부재의 전방면 및 배면에 외기의 수분을 포함하는 냉기가 접촉하여 결로한다. 부재 표면의 결로는 서서히 증발하여, 저장실 내가 보습된다. 또한, 부재 배면의 결로에 의한 수분을 포함한 냉기가 이온 발생 장치로 유도되어 이온이 클러스터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방의 상기 순환 통로에 제2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재 전방면의 결로에 의한 수분을 포함한 냉기가 제2 흡입구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로 유도되어 이온이 클러스터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제2 흡입구의 개구 면적이 제1 흡입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전방면 및 배면에 절곡에 의한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프레스 가공이나 교축 가공 등에 의해 부재가 구부러져 요철이 형성된다. 부재의 전방면 및 배면의 결로는 유하했을 때에 요철의 상방을 향한 면에서 받아 보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저장실 배면의 냉기 통로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한다. 냉기 통로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형성한 제1 토출구는 저장실의 좌우에 형성되고, 냉기 통로를 유통한 냉기가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 내를 유통하여, 복귀구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일부의 냉기는 흡입구로 유도되어,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는 냉기는 저장실 상부에 배치된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기로 복귀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로부터 유출되는 복귀구와, 상기 냉기 통로의 전후 방향에 겹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및 제2 토출구 중 한쪽을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함과 함께, 다른 쪽을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개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통로를 유통하여 저장실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한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 내를 유통하여, 복귀구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일부의 냉기는 흡입구로 유도되어,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는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흡입구 및 제2 토출구 중 한쪽은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다른 쪽은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2 토출구로부터 흡입구로 유도되는 냉기가 저장실 전체에 골고루 퍼진다.
이때, 흡입구가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면,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배면의 양단부를 유통하여 흡입구로 유도된다. 또한, 제2 토출구가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면,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와 혼합하여 저장실을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제1 토출구의 하방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는 배면의 양단부를 강하하여 흡입구로 유도되어, 저장실 내의 습한 냉기와 혼합하여 순환 통로에 흡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면을 전후로 연장하는 천장면부를 구비하고, 제2 토출구를 상기 천장면부의 전방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 통로 내의 냉기는 저장실의 천장면을 따라 유통하여, 천장면부의 전방부의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다.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강하하여 후방의 흡입구로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의 상부에 순환 송풍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 통로를 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설치하기 때문에, 배면이 넓은 범위에 토출구 및 흡입구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을 저장실 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어,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기 통로가 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토출구(제1 토출구)를 배면이 넓은 범위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전극을 이격하여 배치하고, 순환 통로의 유로를 이온 발생 장치의 하류측에서 좁히는 혼합판을 설치했으므로, 제1, 제2 전극에서 발생 직후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의 충돌에 의한 소멸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습한 냉기에 의해 이온이 클러스터화된 후에 혼합판에 의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혼합된다. 이로 인해, 클러스터화에 의해 이온의 소멸이 저감되어, 저장실의 전체에 충분한 양의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통로와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를 전후에 겹쳐 배치했으므로, 냉기 통로의 제1 토출구를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함과 함께, 순환 통로의 제1 흡입구를 좌우 단부의 하부에 형성하고 제2 토출구를 중앙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가 저장실의 하부까지 유통하여, 냉장고의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저장실 내의 냉기가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에 혼합되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하여 저장실 전체를 유통한다. 따라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실 배면에 배치되는 냉기 통로는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냉기 통로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제1 토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순환 통로는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저장실의 상부에 제2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냉기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지 않아, 냉기 통로 및 순환 통로의 가로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기 통로 및 순환 통로의 깊이를 넓게 하지 않고 고내 용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유로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내 순환이 구석구석까지 되어 균일 냉각할 수 있다. 부가하여, 냉기 통로의 통로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외부로의 냉열의 방출을 저감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통로와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를 전후에 겹쳐 배치했으므로, 제1 토출구를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함과 함께, 제2 토출구 및 흡입구 중 한쪽을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저장실 내의 냉기 또는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저장실 내의 냉기가 제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에 혼합되어, 저장실의 전체를 유통한다. 따라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의 천장 부분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순환 통로의 천장면부를 도시하는 상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및B-B 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상부에 냉장실(2)이 배치되고, 냉장실(2)의 하방에는 온도 전환실(3) 및 제빙실(4)이 좌우에 병설된다. 온도 전환실(3) 및 제빙실(4)의 하방에는 냉동실(6)이 배치되고, 냉동실(6)의 하방에 야채실(5)이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2)은 회동식 도어(2a)에 의해 개폐되고, 저장물을 냉장 보존한다. 도어(2a)는 냉장실(2)의 대략 중앙을 경계로 좌우에 배치되고, 냉장실(2)의 좌측 전방면 및 우측 전방면을 각각 독립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도어(2a)에는 저장물을 수납하는 복수단의 도어 포켓(42)이 설치된다. 야채실(5)은 수납 케이스(5b)와 일체의 서랍식 도어(5a)에 의해 개폐되고, 냉장실(2)보다도 높은 실내 온도(약 8℃)에서 야채를 냉각 보존한다. 온도 전환실(3)은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되고,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실온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동실(6)은 수납 케이스(6b)와 일체인 서랍식 도어(6a)에 의해 개폐되고, 저장물을 냉동 보존한다. 제빙실(4)은 제빙 용기(4b)와 일체인 도어(4a)에 의해 개폐되고, 냉동실(6)에 연통하여 얼음을 제빙한다. 또한, 제빙실(4) 및 냉동실(6)은 빙점 이하로 유지된다.
냉장실(2) 내의 하부에는 격리실로 이루어지는 칠드실(21), 소품 수납실(102), 물 탱크실(103)이 좌우에 병설된다. 칠드실(21)은 냉장실(2) 내보다도 저온인 온도대의 예를 들어 칠드 온도대(약 0℃)로 유지된다. 칠드실(21) 대신에 빙온(약 -3℃)으로 유지되는 빙온실을 설치해도 된다. 물 탱크실(103)은 제빙용의 물 탱크(103a)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소품 수납실(102)은 상세를 후술하는 냉기 통로(32)의 전방에 배치되고, 소품 케이스(102a)를 갖고 알 등의 소품을 수납한다.
냉장고(1)의 본체부는 외부 상자(1a)와 내부 상자(1b) 사이에 발포 단열재(1c)를 충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빙실(4) 및 온도 전환실(3)과 냉장실(2) 사이는 단열벽(7)에 의해 격리되고, 냉동실(6)과 야채실(5) 사이는 단열벽(8)에 의해 격리된다. 또한, 온도 전환실(3)과 냉동실(6) 사이는 단열벽(35)에 의해 격리되고, 온도 전환실(3)과 제빙실(4) 사이는 세로 단열벽(36)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발포 단열재(1c)는 외부 상자(1a)와 내부 상자(1b) 사이에 충전될 때에 단열벽(7, 8) 내에 동시에 충전된다. 즉, 발포 단열재(1c)의 원액이 외부 상자(1a)와 내부 상자(1b) 사이와 이것에 연통하는 단열벽(7, 8)에 동시에 주입되어, 일체로 발포된다. 우레탄 발포 단열재 등의 발포 단열재(1c)를 외부 상자(1a), 내부 상자(1b) 사이와 동시에 단열벽(7, 8)에 충전함으로써, 단열벽(7, 8)을 간단히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내용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냉장실(2)에는 저장물을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 선반(41)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재 선반(41)이 상하로 3단 설치된다. 야채실(5)의 배후에는 기계실(50)이 설치되고, 기계실(50) 내에 압축기(57)가 배치된다. 압축기(57)에는 응축기, 팽창기(모두 도시하지 않음) 및 냉각기(11)가 차례로 접속되고, 압축기(57)의 구동에 의해 이소부탄 등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구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기(11)가 냉동 사이클의 저온측으로 된다.
냉동실(6)의 배후에는 배면판(6c)에 의해 구획된 냉기 통로(31)가 설치된다.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기 통로(31)는 냉장실(2)의 배후에 배치된 냉기 통로(32)에 냉장실 댐퍼(20)를 개재하여 연통한다. 냉기 통로(31)는 구획판(31c)에 의해 전방부(31a)와 후방부(31b)로 구획되고, 후방부(31b)에 냉각기(11)가 배치된다. 냉각기(11)는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관(11a)이 사행하여 형성되고, 냉매관(11a)의 좌우 단부가 엔드 플레이트(11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냉매관(11a)에는 방열용의 다수의 핀(도시하지 않음)이 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냉매관(11a)의 상부에는 기액 분리기(45)가 접속된다.
냉동 사이클의 저온측으로 되는 냉각기(11)와 냉기 통로(31)의 후방부(31b)를 유통하는 공기가 열교환하여 냉기가 생성된다. 냉각기(11)가 냉동실(6)의 배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냉각기(11)의 냉열이 구획판(31c) 및 배면판(6c)을 통해 냉동실(6)측으로 방출된다. 이로 인해, 냉동실(6)이 효율적으로 냉각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냉각기(11)의 하방에는 냉각기(11)를 제상하는 제상 히터(33)가 설치되어 있다. 제상 히터(33)의 하방에는 제상에 의한 물을 받는 드레인 팬(63)이 설치된다. 드레인 팬(63)에는 드레인 파이프(64)가 설치되고, 기계실(50) 내에 배치된 증발 접시(도시하지 않음)에 드레인 파이프(64)를 통해 드레인수가 유도된다.
냉기 통로(31) 내에는 축류 팬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실 송풍기(12)가 회전축 방향을 수평하게 하여 배치된다. 냉기 통로(31)에는 냉동실 송풍기(12)의 전방에서 제빙실(4)에 면하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됨과 함께, 냉동실(6)의 수납 케이스(6b)에 면하는 토출구(6d, 6e)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동실 송풍기(12)가 구동되면 제빙실(4) 및 냉동실(6)에 냉기가 송출된다. 냉동실(6)의 하부에는 냉각기(11)의 정면에 개구하여 냉각기(11)로 냉기를 복귀시키는 복귀구(22)가 형성된다.
냉각기(11)는 좌우 방향에서 제빙실(4)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냉각기(11)의 측방에는 냉장실(2)과 야채실(5)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4)가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송풍기(12)는 냉각기(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치우쳐 상하 방향으로 대략 나란히 배치된다. 즉,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송풍기(12)는 평면 투영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좌우 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냉기 통로(31, 32)를 단축하여 용적 효율이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전환실(3)의 용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온도 전환실(3)과 제빙실(4)을 격리하는 세로 단열벽(36)은 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온도 전환실(3)의 배후에 냉기 통로(31)의 전방부(31a)나 냉장실 댐퍼(20)를 설치하면, 온도 전환실(3)로부터 냉기 통로(31) 내의 냉기에 열이 방출된다.
냉기 통로(31)를 유통하는 냉기는 예를 들어 -23℃이며, 온도 전환실(3)이 상기 냉기보다도 고온(예를 들어, 3℃, 8℃, 50℃)으로 제어되어 있으면 열 손실이 커진다. 이로 인해, 세로 단열벽(36)의 후방이나 그것보다도 좌측에 냉장실 댐퍼(20)나 냉기 통로(31)의 전방부(31a)를 설치하여, 온도 전환실(3)로부터 냉기로의 열의 방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 전환실(3)에는 냉기 통로(31)로부터 분기되어 냉기를 유도하는 도입 통풍로(15)가 접속된다. 온도 전환실(3)의 후방부에는 온도 전환실 송풍기(18) 및 히터(16)가 배치된다. 온도 전환실(3)의 좌측 하방부에는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가 설치된다.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는 도입 통풍로(15) 내에 배치되고, 온도 전환실 송풍기(18)는 도입 통풍로(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를 개방하여 온도 전환실 송풍기(18)를 구동하면 도입 통풍로(15)를 통해 냉각기(11)로부터 냉기가 온도 전환실(3)로 유입된다.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의 개폐량에 의해 도입 통풍로(15)로부터 온도 전환실(3)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정된다. 온도 전환실(3)에는, 히터(16)에 부가하여 저부에 패널 히터를 설치해도 된다.
온도 전환실(3)의 하부에는 온도 전환실 복귀 댐퍼(38)가 설치된다. 온도 전환실 복귀 댐퍼(38)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복귀 통로(17)를 개폐하고, 온도 전환실(3) 내의 공기는 복귀 통로(17)를 통해 냉기 통로(31)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온도 전환실(3)의 실내 온도가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도입 통풍로(15)나 복귀 통로(17) 내의 공기가 온도 전환실(3) 내의 공기보다도 저온으로 된다. 고온의 공기는 온도 전환실(3) 내에서 상승함과 함께,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 및 온도 전환실 복귀 댐퍼(38)가 온도 전환실(3)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온도 전환실(3)로부터 도입 통풍로(15)나 복귀 통로(17)로의 열기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복귀 통로(17)를 유통하는 공기는 냉각기(11)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 설치한 유출구(17a)로부터 냉각기(11)로 복귀된다. 냉동실 복귀구(22)를 통해 냉동실(6)로부터 유출되는 냉기는 냉각기(11)의 하부로 복귀된다. 또한, 야채실(5)로부터 냉기가 복귀 통로(46)(도 2 참조)를 통해 냉각기(11)의 하방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각 저장실로부터 유출된 냉기는 냉각기(11)에 분산하여 복귀된다. 이로 인해, 각 저장실을 순환하여 복귀되어 온 수분을 포함하는 냉기에 의한 서리가 일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냉각기(11) 전체에 분산하여 발생한다. 이에 의해, 서리에 의한 냉기 흐름의 막힘이 방지되어, 냉각기(11)의 냉각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적이 작은 온도 전환실(3)을 유통한 냉기는 냉각기(11)의 상부에서 냉각되고, 용적이 큰 냉장실(3), 야채실(5) 및 냉동실(6)을 유통한 냉기는 냉각기(11)의 상하 방향의 전체에서 냉각된다. 따라서, 온도 전환실(3)로부터 유출된 냉기가 필요 이상으로 냉각기(11)와 열교환되지 않아, 냉각기(11)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장실(2)의 배후에는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가 그 일부를 전후에 겹쳐 설치된다. 도 1에는 순환 통로(81)의 정면 형상이 파선 D1로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 4에는 냉기 통로(32)의 정면 형상이 파선 D2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냉기 통로(32)의 소품 수납실(102)보다도 상방 및 순환 통로(81)는 냉장실(2)의 배면에 배치된 냉각 패널(7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냉기 통로(32)의 전방에 순환 통로(81)가 배치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순환 통로(81)의 세로 통로(81b)를 전후 방향에서 냉기 통로(32)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병설하고, 후술하는 가로 통로(81c)를 냉기 통로(32)의 전방에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고내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냉각 패널(70)은 정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패널 베이스(71) 및 부재(72)(배면판)로 이루어지고 있다. 패널 베이스(71)는 발포 스티롤 등의 단열재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의 외형을 일체로 형성한다.
부재(72)는 패널 베이스(71)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금속판 등의 열양도체에 의해 냉장실(2)의 배면을 좌우에 걸쳐 덮어 정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부재(72)의 재료로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구리, 황동, 도금 강판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열전도율, 방청성, 강도, 가벼움, 가격 등을 고려하여 부재(72)를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하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72)의 두께는 0.5mm 내지 1mm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충분한 축냉 성능과 열전도 성능을 가질 수 있음과 함께, 저렴하고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부재(72)에 의해 순환 통로(81)의 전방면이 형성되고,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는 부재(72)와 접한다.
도 3, 도 4에 있어서, 냉기 통로(32)는 냉장실 댐퍼(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가로 폭이 좁은 유입부(32c)가 소품 수납실(102)의 배후의 냉장실(2) 하부에 설치된다. 유입부(32c)에는 냉장실 송풍기(23)가 배치된다. 냉장실 송풍기(23)는 축류 팬으로 이루어지고, 냉장실 댐퍼(20)를 개방하여 냉장실 송풍기(23)를 구동함으로써 냉기 통로(32)에 냉기가 유통한다.
냉장실 댐퍼(20)로부터 냉기 통로(32)로 유입된 직후의 냉기는 극저온(약 -20℃ 내지 -18℃)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냉기 통로(32)의 하부의 고 내측에는 단열재(107)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2)의 배면벽 표면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냉장실 댐퍼(20)의 하류측은 냉장실(2)의 배면벽이 경사져, 냉기 통로(32)의 하부의 깊이가 약 10mm 정도까지 좁혀진다. 이에 의해, 냉기 통로(32)의 깊이를 좁게 형성하여 냉장실(2)의 깊이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댐퍼(20)는 일부가 정면 투영에 있어서 단열벽(7)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냉장실 댐퍼(20)가 냉장실(2)이나 냉동실(6)에 돌출되는 양을 삭감하여, 냉장실(2) 및 냉동실(6)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냉기 통로(32)는 유입부(32c)의 상방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우측 통로(32a) 및 좌측 통로(32b)를 상부에 갖고 있다. 우측 통로(32a)의 측단부에는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복수의 토출구(73a, 73b, 73c)가 측방에 개구하여 형성된다. 좌측 통로(32b)의 측단부에는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복수의 토출구(74a, 74b, 74c)가 측방에 개구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제1 토출구)가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냉기 통로(32)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냉기가 유통하고, 토출구(73a, 74a)는 냉기 통로(32)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단의 토출구(73a, 74a)는 위로부터 1단째의 적재 선반(41)의 상방에 형성된다. 중간단의 토출구(73b, 74b)는 위로부터 1단째의 적재 선반(41)과 2단째의 적재 선반(41) 사이에 형성된다. 하단의 토출구(73c, 74c)는 위로부터 2단째의 적재 선반(41)과 3단째의 적재 선반(41) 사이에 형성된다.
중간단 및 하단의 토출구(73b, 73c, 74b, 74c)의 개구 면적은 상단의 토출구(73a, 74a)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기 통로(32)의 냉기 유입측에 가깝고, 냉장실(2) 하부에 배치된 복귀구(2d)에 가까운 하방의 토출구(73b, 73c, 74b, 74c)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냉기 통로(32)의 상부까지 냉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통로(32a)의 하단부에는 칠드실(21)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75, 76)가 형성된다. 냉장실 댐퍼(20)로부터 냉기 통로(32)로 유입된 직후의 냉기가 토출구(75, 76)로부터 칠드실(21)로 토출되기 때문에, 칠드실(21)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칠드실(21)의 배면 하부에는 냉장실(2)의 냉기가 유출되는 복귀구(2d)가 형성된다. 복귀구(2d)로부터는 냉장실(2)과 야채실(5)을 연통시키는 연통로(34)가 도출된다. 연통로(34)의 상부는 복귀구(2d)를 향해 칠드실(21)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로 연장하는 냉기 복귀부(34a)가 설치되고, 연통로(34)의 하부는 냉기 복귀부(34a)의 우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연통로(34)의 하단부는 야채실(5)에 개구하는 유입구(5c)가 형성된다. 야채실(5)의 상부에는 야채실(5)의 전방부 및 냉기 통로(31)의 정면에 개구하여 냉각기(11)의 하방으로 냉기를 복귀시키는 복귀 통로(46)(도 2 참조)가 설치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순환 통로(81)는 냉각 패널(70)에 의해 냉장실(2)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부(81a)와, 냉장실(2)의 천장면에 형성되는 천장면부(81d)를 갖고 있다. 천장면부(81d)는 전후로 연장 설치된다. 천장면부(81d)의 후방부에는 순환 송풍기(85)가 배치되고, 전단부에 토출구(84)(제2 토출구)가 형성된다. 순환 송풍기(85)와 토출구(84) 사이에는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 장치(86)가 배치된다.
도 6, 도 7은 냉장실(2)의 천장면 부분 및 천장면부(81d)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천장면부(81d)는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전단부에 토출구(84)가 개구한다. 순환 송풍기(85)는 원심 팬으로 이루어지고, 도면 중, 우측으로 치우친 배기구(85a)로부터 배기한다. 이로 인해, 이온 발생 장치(86)는 배기구(85a)와 동일하게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또한, 천장면부(81d)는 배기구(85a)와 이온 발생 장치(86) 사이에 단차부(81e)를 갖고, 이온 발생 장치(86) 상의 통로가 배기구(85a)의 하단부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배기구(85a)로부터 송출되는 냉기는 단차부(81e)에 저류되어 이온 발생 장치(86)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원심 팬으로 이루어지는 순환 송풍기(85)의 내주와 외주와의 유속의 차를 저감시켜 이온 발생 장치(86)에 냉기를 공급한다.
이온 발생 장치(86)는 고압 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하는 제1, 제2 전극(86a, 86b)을 갖고 있다. 제1, 제2 전극(86a, 86b)은 천장면부(81d)를 통과하는 냉기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86)를 순환 송풍기(85)와 토출구(84)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순환 송풍기(85)와의 충돌에 의한 이온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온을 발생하는 제1, 제2 전극(86a, 86b)을 천장면부(81d)에 배치하여 이온 발생 장치(86)의 전원부 등을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제1, 제2 전극(86a, 86b)에 교류 파형 또는 임펄스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전극(86a)에는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고, 전리에 의해 발생하는 플러스 이온(H+)이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주로 H+(H2O)m으로 이루어지는 전하가 플러스의 클러스터 이온을 발생한다.
전극(86b)에는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고, 전리에 의해 발생하는 마이너스 이온(O2 -)이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주로 O2 -(H2O)n으로 이루어지는 전하가 마이너스의 클러스터 이온을 발생한다. 여기서, m, n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클러스터화한 플러스 이온 H+(H2O)m 및 마이너스 이온 O2 -(H2O)n은 물 분자로 덮이기 때문에 소멸되기 어렵다. 이에 의해, 냉장실(2) 내로 토출된 이온이 공기 중의 부유균이나 악취 성분 및 저장물의 부착균의 표면에서 응집되어 이들을 둘러싼다.
그리고, 식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에 의해 활성종인 [ㆍOH](수산기 라디칼)나 H2O2(과산화수소)를 미생물 등의 표면 상에서 응집 생성하여 부유균이나 악취 성분 등을 파괴한다. 여기서, m', n'는 임의의 자연수이다. 따라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여 토출구(84)로부터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살균 및 악취 제거를 행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제1, 제2 전극(86a, 86b)은 냉기의 유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제2 전극(86a, 86b)이 근접되면 발생 직후의 플러스 이온(H+)과 마이너스 이온(O2 -)이 충돌에 의해 소멸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제1, 제2 전극(86a, 86b)을 이격하여 배치하여, 발생 직후의 이온의 소멸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제2 전극(86a, 86b)간의 거리 W1을 100mm 이상으로 하면 충분한 양의 이온을 토출구(84)로 유도할 수 있다.
이온 발생 장치(86)의 하류측에는 천장면부(81d)의 측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제1, 제2 전극(86a, 86b)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유로를 좁히는 혼합판(89)이 설치된다. 또한, 혼합판(89)은 하류측의 유로를 제1, 제2 전극(86a, 86b)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폭을 넓힌다.
이온 발생 장치(86) 상을 유통한 냉기는 혼합판(89)에 의해 좁혀진 유로를 유통하여, 클러스터화한 플러스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와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가 혼합된다. 이때, 이온은 클러스터화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소멸이 저감된다. 그리고,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가 혼합판(89)에 의해 대략 좌우 방향으로 퍼져 유통하고, 토출구(84)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퍼져 토출된다.
혼합판(89)에 의해 좁혀진 유로 폭 W2는 제1, 제2 전극(86a, 86b)간의 거리 W1과 대략 동등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혼합판(89)과 이온의 충돌에 의한 이온의 소멸을 억제함과 함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충분히 혼합시킬 수 있다.
배면부(81a)는 세로 통로(81b) 및 가로 통로(81c)를 갖고 있다. 세로 통로(81b)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상하로 연장하여 천장면부(81d)에 연통한다. 가로 통로(81c)는 세로 통로(81b)의 하부로부터 빗살 형상으로 수평하게 연장하여 형성되고, 순환 송풍기(85)의 구동에 의해 냉장실(2) 내의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구(82a, 82b, 83a, 83b)(제1 흡입구)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흡입구(82a, 82b, 83a, 83b)는 냉장실(2)의 하부에 배치된다.
흡입구(82a, 82b)는 가로 통로(81c)의 우측의 단부에 측방을 향해 개구하고, 흡입구(83a, 83b)는 가로 통로(81c)의 좌측의 단부에 측방을 향해 개구한다. 이에 의해, 흡입구(82a, 82b, 83a, 83b)는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상방의 흡입구(82a, 83a)는 위로부터 2단째의 적재 선반(41)과 3단째의 적재 선반(41) 사이에 배치된다. 하방의 흡입구(82b, 83b)는 위로부터 3단째의 적재 선반(41)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천장면부(81d)에는 순환 송풍기(85)의 흡기측에 대향하여 흡입구(87)(제2 흡입구)가 형성된다. 흡입구(87)는 흡입구(82a, 82b, 83a, 83b)보다도 개구 면적이 좁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87)의 개구 면적은 2mm×100mm 정도로 형성되고, 흡입구(82a, 82b, 83a, 83b)의 개구 면적은 8mm×50mm 내지 8mm×90mm 정도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단의 토출구(73a, 74a)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흡입구(87)로의 냉기의 유입을 억제함과 함께, 이온 발생 장치(86)에 보다 많은 습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선반(41)의 후단부와 냉장실(2)의 배면 사이에는 냉각 패널(70)의 측방에 간극(88)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73a 내지 73c)와 흡입구(82a, 82b) 사이 및 토출구(74a 내지 74c)와 흡입구(83a, 83b) 사이에 간극(88)에 의한 덕트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냉장고(1)에 있어서, 냉동실 송풍기(12)가 구동되면 냉각기(11)에서 생성된 냉기는 제빙실(4)로 토출됨과 함께, 토출구(6d, 6e)를 통해 냉동실(6)로 토출된다. 제빙실(4)로 토출된 냉기는 제빙실(4)을 유통하고, 냉동실(6)로 토출된 냉기와 혼합하여 냉동실(6)을 유통한다. 제빙실(4) 및 냉동실(6)을 유통한 냉기는 냉동실 복귀구(22)로부터 유출되어 냉각기(11)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제빙실(4) 및 냉동실(6) 내가 냉각된다.
냉장실 댐퍼(20)가 개방되면, 냉장실 송풍기(23) 및 순환 송풍기(85)가 구동된다. 이때, 냉장실 송풍기(23)의 풍속은 순환 송풍기(85)의 풍속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냉장실 송풍기(23)의 구동에 의해 냉동실 송풍기(12)의 배기측에서 분기된 냉기가 냉기 통로(32)를 유통한다. 냉기 통로(32)를 유통하는 냉기는 우측 통로(32a)와 좌측 통로(32b)로 분기된다. 우측 통로(32a)를 통과하는 냉기의 일부는 화살표 A1(도 4 참조)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75, 76)를 통해 칠드실(21)로 토출된다. 칠드실(21)을 유통한 냉기는 복귀구(2d)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우측 통로(32a) 및 좌측 통로(32b)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는 냉기는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를 통해 화살표 A2(도 4, 도 5 참조)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2)로 토출된다. 이때, 냉장실 송풍기(23)의 풍속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측방을 향해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2)의 측벽을 타고 전방으로 유통한다. 또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의 일부는 적재 선반(41) 후방의 간극(88)을 통해 강하한다.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측벽을 따라 전방으로 유통하는 냉기는 적재 선반(41) 상의 저장물을 주위로부터 냉각하고, 적재 선반(41)의 전방을 측벽을 따라 강하한다. 그리고, 흡입구(82a, 82b, 83a, 83b) 및 복귀구(2d)로 유도된다. 복귀구(2d)로 유도되는 냉기의 일부는 소품 수납실(102)의 저장물이나 물 탱크실(103)의 물 탱크(103a)를 냉각한다.
적재 선반(41)의 전방을 강하하는 냉기의 일부 및 간극(88)을 강하한 냉기는 냉장실(2) 내의 습한 냉기와 혼합된다. 그리고, 수분을 포함한 냉기가 화살표 A3(도 1, 도 5 참조)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82a, 82b, 83a, 83b)로부터 순환 통로(81)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81)에 흡입된 냉기는 순환 통로(81) 내를 상승한다. 또한, 흡입구(87)로부터 냉장실(2) 내의 냉기가 화살표 A4(도 2 참조)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통로(81)의 천장면부(81d)에 흡입된다.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는 이온 발생 장치(86)에 의해 발생한 이온이 포함된다. 이온을 포함한 냉기는 화살표 A5(도 2, 도 6 참조)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통로(81)의 토출구(84)로부터 냉장실(2)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구(84)로부터 상단의 도어 포켓(42)과 적재 선반(41) 사이를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된다. 이에 의해, 도어 포켓(42)의 내부를 냉각 및 제균하고, 이온을 포함한 냉기가 적재 선반(41)의 전방을 강하한다.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 중의 수분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온이 물 분자와의 결합에 의해 클러스터화하여 소멸되기 어려워져, 냉장실(2)의 하방까지 정부의 이온이 구석구석까지 미친다.
토출구(84)로부터 냉장실(2)로 토출된 냉기는 적재 선반(41)의 전방을 강하하고, 복귀구(2d)로 유도됨과 함께 일부가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순환 통로(81)에 의해 냉장실(2) 내의 냉기가 냉각기(11)를 통과하지 않고 순환한다. 또한, 토출구(84)는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개구하기 때문에, 천장면의 중앙부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이온 및 수분을 포함하는 냉기가 냉장실(2)의 하부 후방까지 골고루 퍼져, 냉장실(2) 전체가 냉각 및 제균된다.
또한,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나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의 냉열은 부재(72)에 전달된다. 부재(72)는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온도가 균일화되고, 냉장실(2)의 배면 전체로부터 냉열이 방출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2)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2a)를 개방하여 외기가 냉장실(2) 내에 유입되었을 때에 부재(72)의 표면은 외기의 수분이 결로하여 흐린 상태가 된다. 결로한 수분은 냉기의 순환에 의해 그 후 증발하고, 냉장실(2) 내에 방출된다. 따라서, 부재(72)에 의해 냉장실(2)이 보습된다. 이때, 순환 통로(81)의 배면부(81a)를 향한 부재(72)의 배면측에도 결로가 발생하기 때문에 결로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보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부재(72)의 전방면 및 배면에 절곡에 의한 요철을 형성하면, 부재(72) 상을 유하하는 결로수를 요철의 상방을 향한 면에 저류하여 보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요철은 프레스 가공이나 교축 가공 등에 의해 절곡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요철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형상이나 레일 형상이어도 되고, 다수의 딤플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배면부(81a)의 하단부에 결로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마찬가지로, 부재(72)를 유하하는 결로수를 저수부에 저류하여 보습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복귀구(2d)는 칠드실(21)의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좌우 방향의 양단부의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복귀구(2d)로 유도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실(2)을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복귀구(2d)를 통해 냉장실(2)로부터 유출되는 냉기는 연통로(34)를 통해, 유입구(5c)로부터 야채실(5)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5c)가 야채실(2)의 상방에 형성되기 때문에 연통로(34)가 짧게 형성되어,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야채실(5)에 유입된 냉기는 야채실(5) 내를 유통하고, 복귀 통로(46)를 통해 냉각기(11)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2) 및 야채실(5) 내가 냉각되고, 설정 온도가 되면 냉장실 댐퍼(20)가 폐쇄되어 냉장실 송풍기(23) 및 순환 송풍기(85)가 정지된다.
또한, 온도 전환실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냉동실 송풍기(12)의 배기측에서 분기된 냉기는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를 통해 온도 전환실(3)에 유입된다. 온도 전환실(3)에 유입된 냉기는 온도 전환실(3) 내를 유통하여 온도 전환실 복귀 댐퍼(38)로부터 유출되어, 복귀 통로(17)를 통해 냉각기(11)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온도 전환실(3) 내가 냉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전환실(3)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내 온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도 전환실(3)의 동작 모드는 온도대에 따라서 와인(8℃), 냉장(3℃), 칠드(0℃), 소프트 냉동(-8℃), 냉동(-15℃)의 각 냉각 모드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에서 저장물을 냉각 보존할 수 있다. 실내 온도의 전환은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37)를 개방하는 양을 가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냉동의 실내 온도로부터 냉장의 실내 온도로 전환할 때에 히터(16)에 통전하여 승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신속하게 원하는 실내 온도로 전환할 수 있다.
히터(16)에 통전함으로써, 온도 전환실(3)의 실내 온도를 저장물을 냉각 보존하는 저온측으로부터 상온보다도 고온의 고온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리 완료된 가열 식품의 일시적인 보온이나 온도 조절 이유 등을 행할 수 있다.
고온측의 실내 온도는, 주된 식중독균의 발육 온도가 30℃ 내지 45℃이기 때문에, 히터 용량의 공차나 온도 전환실(3) 내의 온도 분포 등을 고려하여 50℃ 이상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식중독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지제 부품의 내열 온도가 80℃이기 때문에, 고온측의 실내 온도를 80℃ 이하로 하면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부가하여, 식중독균을 멸균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장관출혈성 대장균(병원성 대장균O157)의 경우에는 75℃에서 1분간의 가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온측의 실내 온도를 75℃ 내지 80℃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는 55℃에서의 식중독균의 멸균에 관한 시험 결과이다. 시험 샘플은 초기 상태에서 대장균 2.4×103CFU/mL, 황색 포도상구균 2.0×103CFU/mL, 살모넬라 2.1×103CFU/mL, 장염비브리오 1.5×103CFU/mL, 세레우스 4.0×103CFU/mL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시험 샘플을 40분간 3℃부터 내지 55℃로 가온하고, 55℃에서 3.5시간 보온 후, 80분간 55℃부터 3℃로 복귀시켜 다시 각 균의 양을 조사했다. 그 결과, 어느 균도 10CFU/mL 이하(검출하지 않고)의 레벨까지 감소하고 있었다. 따라서, 온도 전환실(3)의 고온측의 설정 온도를 55℃로서 해도 충분 멸균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환 통로(82)가 좌우로 넓은 부재(72)(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배면이 넓은 범위에 흡입구(82a, 82b, 83a, 83b)(제1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을 냉장실(2) 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어,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기 통로(32)가 부재(72)(배면판)의 후방으로 좌우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제1 토출구)를 배면이 넓은 범위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기(11)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2) 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82a, 82b, 83a, 83b)(제1 흡입구)가 배면부(81a)에 개구하여 냉장실(2)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토출구(84)(제2 토출구)가 천장면부(81d)의 전방부에 개구하여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므로,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가 냉장실(2)의 좌우로 퍼져 하부까지 유통한다. 따라서, 냉장실(2)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냉장고(1)의 제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면부(81d)에 흡입구(87)(제2 흡입구)를 형성했으므로,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를 냉장실(2)의 상부 후방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2)의 상부 후방에 충분한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재(72)의 상방에 흡입구(87)를 형성했으므로, 부재(72)의 전방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포함하는 냉기가 흡입구(87)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86)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이온 발생 장치(86)에 보다 많은 습한 냉기를 공급하여, 클러스터 이온을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냉기 통로(32)와 순환 통로(81)를 전후에 겹쳐 배치하고,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제1 토출구)를 냉장실(2)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했으므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가 강하하여 흡입구(82a, 82b, 83a, 83b)로부터 흡입된다. 따라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구(84)로부터 적재 선반(41)과 도어 포켓(42) 사이를 향해 냉기를 토출했으므로, 도어 포켓(42)의 내부를 냉각 및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선반(41)과 도어 포켓(42) 사이를 통해 이온을 포함한 냉기를 냉장실(2)의 하부까지 용이하게 유도하여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전극(86a, 86b)을 이격하여 배치하고, 순환 통로(81)의 유로를 이온 발생 장치(86)의 하류측에서 좁히는 혼합판(89)을 설치했으므로, 제1, 제2 전극(86a, 86b)에서 발생 직후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의 충돌에 의한 소멸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습한 냉기에 의해 이온이 클러스터화된 후에 혼합판(89)에 의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혼합된다. 이로 인해, 클러스터화에 의해 이온의 소멸이 저감되어, 냉장실(2)의 전체에 충분한 양의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판(89)의 하류측의 유로를 폭을 넓혔으므로, 혼합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퍼지게 하여 냉장실(2) 내로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을 보다 확산하여 냉장실(2)의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각기(11)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통로(32)와 냉각기(11)를 통과하지 않고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81)를 전후에 겹쳐 배치했으므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제1 토출구)를 배면 상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함과 함께, 흡입구(82a, 82b, 83a, 83b)(제1 흡입구)를 좌우 단부의 하부에 형성하고 토출구(84)(제2 토출구)를 중앙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가 냉장실(2)의 하부까지 유통하여, 냉장실(2)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냉장고(1)의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구(82a, 82b, 83a, 83b)로부터 흡입되는 냉장실(2) 내의 냉기에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가 혼합되고, 토출구(84)로부터 토출하여 냉장실(2) 전체를 유통한다. 따라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의 하방에 흡입구(82a, 82b, 83a, 83b)가 형성되므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자중에 의해 강하하여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따라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와 저장물과의 접촉을 보다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84)는 적어도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개구하고 있으면 되고,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퍼져 형성해도 된다.
또한, 냉기 통로(32)와 순환 통로(81)를 단열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전후에 겹치는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의 깊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용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실(2)의 배면벽과 적재 선반(41) 사이에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와 흡입구(82a, 82b, 83a, 83b)를 연통시키는 간극(88)을 형성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냉기를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의 흡입구(82a, 83a) 및 하방의 토출구(73c, 74c)는 모두 위로부터 2단째의 적재 선반(41)과 3단째의 적재 선반(41) 사이에 형성되고, 흡입구(82a, 83a)는 각각 토출구(73c, 74c)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토출구(73c, 74c)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구(82a, 83a)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순환 통로(81)의 전방면을 형성하여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가 접하는 열양도체로 이루어지는 부재(72)를 구비했으므로, 냉장실(2) 내의 냉기가 부재(42)의 전방면 및 배면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외기 유입 등에 의해 냉장실(2) 내의 습도가 상승하면 부재(42)의 전방면 및 배면에서 결로하여 부재(42) 표면이 흐리고, 그 후 결로가 증발한다. 따라서, 냉장실(2) 내를 보습할 수 있어,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첨가하여, 부재(72) 배면의 결로에 의한 수분이 순환 통로(81)를 유통하는 냉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온 발생 장치(86)에 보다 많은 습한 냉기를 공급하여 클러스터 이온이 물 분자를 많이 포함하여 대형화된다. 이에 의해, 이온을 보다 장수명화하여 냉장고(2) 전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재(72)의 상방의 순환 통로(81)에 흡입구(87)를 형성했으므로, 부재(72)의 전방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포함하는 냉기가 흡입구(87)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86)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이온 발생 장치(86)에 보다 많은 습한 냉기를 공급하여, 이온을 보다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87)의 개구 면적이 흡입구(82a, 82b, 83a, 83b)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으므로, 상단의 토출구(73a, 74a)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흡입구(87)로의 냉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에 배치된 저장물에 건조한 냉기가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2)의 배면에 배치되는 냉기 통로(32)는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냉기 통로(32)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토출구(73a, 74a)(제1 토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순환 통로(81)는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냉장실(2)의 상부에 토출구(84)(제2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냉기 통로(32)가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지 않아,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의 가로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기 통로(32) 및 순환 통로(81)의 깊이를 넓게 하지 않고 고내 용적을 충분 확보하면서 유로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내 순환이 구석구석까지 되어 균일 냉각할 수 있다. 부가하여, 냉기 통로(32)의 통로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외부로의 냉열의 방출을 저감시키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11)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통로(32)와 냉각기(11)를 통과하지 않고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81)를 전후에 겹쳐 배치했으므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제1 토출구)를 배면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함과 함께, 흡입구(82a, 82b, 83a, 83b)를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구(82a, 82b, 83a, 83b)로부터 흡입되는 습한 냉장실(2) 내의 냉기가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에 혼합되어, 냉장실(2)의 전체를 유통한다. 따라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구(84)(제2 토출구)가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84)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양단부의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유도되어 냉장실(2) 전체에 냉기가 유통한다. 따라서, 냉장실(2)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84)는 적어도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개구하고 있으면 되고,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퍼져 형성해도 된다.
또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의 하방에 흡입구(82a, 82b, 83a, 83b)를 형성했으므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자중에 의해 강하하여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따라서,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보다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실(2)의 배면벽과 적재 선반(41) 사이에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와 흡입구(82a, 82b, 83a, 83b)를 연통시키는 간극(88)을 형성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냉기를 흡입구(82a, 82b, 83a, 83b)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의 흡입구(82a, 83a) 및 하방의 토출구(73c, 74c)는 모두 위로부터 2단째의 적재 선반(41)과 3단째의 적재 선반(41) 사이에 형성되고, 흡입구(82a, 83a)는 각각 토출구(73c, 74c)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토출구(73c, 74c)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구(82a, 83a)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순환 통로(81)는 천장면부(81d)에 의해 냉장실(2)의 천장면까지 연장 설치되고, 토출구(84)를 천장면부(81d)의 전방부에 형성했으므로, 도어(2a)의 근방까지 습한 냉기를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송풍기(85)를 순환 통로(81)의 상부에 배치했으므로, 순환 송풍기(85)의 상류측의 흡입구(82a, 82b, 83a, 83b)의 배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입구(82a, 82b, 83a, 83b)를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토출구(84)를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반해, 순환 통로(81)의 토출구를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흡입구를 냉장실(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해도 된다. 이때, 순환 통로(81)의 토출구를 냉기 통로(32)의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의 근방에 배치하면, 냉기 통로(32)의 토출구(73a 내지 73c, 74a 내지 74c)로부터 토출되는 건조한 냉기에 순환 통로(81)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습한 냉기가 혼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건조한 냉기가 저장물에 직접 접촉하는 양을 삭감하여, 저장물의 건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통로(81)의 토출구(제2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중앙부의 흡입구로 유도되어 냉장실(2) 전체에 냉기가 유통한다. 따라서, 냉장실(2)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표 1은 상기 실시형태의 냉장고(2)의 이온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하 방향의 측정 위치는 3개의 적재 선반(41)에 의해 구분된 각 단으로 이루어지는 4개소이다. 전후 방향의 측정 위치는 전방측(적재 선반(41) 전단부로부터 70mm 후방)과 안쪽(냉장실(2)의 배면벽으로부터 70mm 전방)의 2개소이다. 좌우 방향의 측정 위치는 좌측 단부(냉장실(2)의 좌측벽으로부터 70mm), 중앙부, 우측 단부(냉장실(2)의 우측벽으로부터 70mm)의 3개소이다. 또한, 냉장고(1)의 가로 폭은 685mm이다.
또한, 제1, 제2 전극(86a, 86b)의 거리 W1 및 혼합판(89)에 의한 유로 폭 W2는 180mm이다. 흡입구(87)의 개구 면적은 100mm×2mm이다. 비교를 위해, 혼합판(89)을 제거하여 전후 방향의 전방측의 이온 분포를 마찬가지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의 좌우의 도어(2a)에 설치한 3단의 도어 포켓(42)의 각 단에 대해서도 이온의 개수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결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냉장실(2) 내의 전방측의 많은 위치에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하나가 20000개/㎤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냉장실(2)의 안쪽에서는 더 이온이 적은 위치가 증가한다고 고려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포켓(42)을 포함하는 냉장실(2) 내의 대략 전체에 걸쳐 20000개/㎤이상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판(89)을 설치한 상기 실시형태의 냉장고(2)에 의해 냉장실(2)의 전체에 충분한 양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2) 내에 부유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의 미생물의 부유균뿐만 아니라, 저장물에 부착되는 살모넬라균, 구균속,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의 부착 균의 제균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저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이용할 수 있다.
1: 냉장고
2: 냉장실
2d: 복귀구
3: 온도 전환실
4: 제빙실
5: 야채실
6: 냉동실
7, 8, 35: 단열벽
11: 냉각기
12: 냉동실 송풍기
15: 도입 통풍로
16: 히터
17, 46: 복귀 통로
18: 온도 전환실 송풍기
20: 냉장실 댐퍼
21: 칠드실
23: 냉장실 송풍기
31, 32: 냉기 통로
37: 온도 전환실 토출 댐퍼
38: 온도 전환실 복귀 댐퍼
41: 적재 선반
70: 냉각 패널
71: 패널 베이스
72: 부재
73a 내지 73c, 74a 내지 74c: 토출구(제1 토출구)
81: 순환 통로
81a: 배면부
81d: 천장면부
82a, 82b, 83a, 83b: 흡입구(제1 흡입구)
84: 토출구(제2 토출구)
85: 순환 송풍기
86: 이온 발생 장치
87: 흡입구(제2 흡입구)
88: 간극
89: 혼합판
102: 소품 수납실
103: 물 탱크실

Claims (24)

  1.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배면을 좌우에 걸쳐 덮는 배면판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고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형성한 제1 토출구를 통해 저장실에 냉기를 송출하는 냉기 통로와, 순환 송풍기를 갖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배치되는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 통로 및 상기 순환 통로가 상기 저장실의 상기 배면판의 후방에 좌우에 걸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부와, 상기 저장실의 천장면에 배치되는 천장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천장면부의 전방부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부의 상기 순환 송풍기의 흡기측에 제2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를 전후에 겹쳐 배치함과 함께, 제1 토출구를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저장물을 적재함과 함께 상하로 복수단 배치되는 적재 선반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상하로 복수단 설치되어 저장물을 수납하는 도어 포켓을 구비하고, 제2 토출구로부터 상기 적재 선반과 상기 도어 포켓 사이를 향해 냉기를 토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장치는 플러스 이온을 발생하는 제1 전극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제2 전극을 냉기의 유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이온 발생 장치의 하류측에서 상기 순환 통로의 유로를 좁히는 혼합판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혼합판의 하류측의 유로를 폭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제2 전극의 간격을 100mm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판에 의해 좁혀진 유로 폭이 제1, 제2 전극의 폭과 대략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기로 복귀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로부터 유출되는 복귀구와, 상기 냉기 통로의 전후 방향에 겹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개구하는 제2 토출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배치되고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를 단열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저장물을 적재하는 적재 선반을 설치하고, 상기 저장실의 배면벽과 상기 적재 선반 사이에 제1 토출구와 제1 흡입구를 연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흡입구를 제1 토출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의 전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순환 통로를 유통하는 냉기가 접하는 열양도체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부재보다도 상방에 제2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흡입구의 개구 면적이 제1 흡입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전방면 및 배면에 절곡에 의한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종단부로 되는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통하여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제1 토출구의 하방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면을 전후로 연장하는 천장면부를 구비하고, 제2 토출구를 상기 천장면부의 전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의 상부에 순환 송풍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저장물을 수납하는 저장실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와,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가 유통하는 냉기 통로와, 상기 냉기 통로의 상부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함과 함께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기로 복귀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로부터 유출되는 복귀구와, 상기 냉기 통로의 전후 방향에 겹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순환하는 순환 통로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상기 저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순환 통로에 개구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및 제2 토출구의 한쪽을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함과 함께, 다른 쪽을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개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상기 저장실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제1 토출구의 하방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면을 전후로 연장하는 천장면부를 구비하고, 제2 토출구를 상기 천장면부의 전방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통로의 상부에 순환 송풍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7004479A 2008-08-29 2009-07-28 냉장고 KR101258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1723A JP5180009B2 (ja) 2008-08-29 2008-08-29 冷蔵庫
JP2008222209A JP5319210B2 (ja) 2008-08-29 2008-08-29 冷蔵庫
JPJP-P-2008-221723 2008-08-29
JPJP-P-2008-222209 2008-08-29
JP2008222518A JP5297723B2 (ja) 2008-08-29 2008-08-29 冷蔵庫
JPJP-P-2008-222518 2008-08-29
PCT/JP2009/063383 WO2010024078A1 (ja) 2008-08-29 2009-07-2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42A true KR20110053342A (ko) 2011-05-20
KR101258752B1 KR101258752B1 (ko) 2013-04-29

Family

ID=4172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479A KR101258752B1 (ko) 2008-08-29 2009-07-28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58752B1 (ko)
CN (1) CN102132115B (ko)
WO (1) WO2010024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992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92442A (ko) * 2011-02-11 2012-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389075B2 (ja) * 2014-07-08 2018-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6652396B2 (ja) * 2016-01-29 2020-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N111256416A (zh) * 2018-11-30 2020-06-0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53A (en) * 1977-06-06 1979-01-08 Sekine Sumie Food preserving box
JPH01189477A (ja) * 1988-01-25 1989-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3318157B2 (ja) * 1995-08-04 2002-08-26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1221565A (ja) * 2000-02-07 2001-08-17 Fuji Electric Co Ltd 冷蔵ショーケース
JP2002333265A (ja) * 2000-12-27 2002-11-22 Sharp Corp 貯蔵庫及び冷蔵庫
KR20070052506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526475B2 (ja) * 2005-12-26 2010-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078A1 (ja) 2010-03-04
CN102132115A (zh) 2011-07-20
CN102132115B (zh) 2013-03-13
KR101258752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377B1 (ko) 냉장고
CN102914119B (zh) 制冷器具
JP2009229018A (ja) 冷蔵庫
KR101258752B1 (ko) 냉장고
EP2213969B1 (en) Refrigerator
JP2010151334A (ja) 冷蔵庫
JP5138519B2 (ja) 冷蔵庫
JP5180009B2 (ja) 冷蔵庫
CN102914117B (zh) 制冷设备
KR100633149B1 (ko) 냉장고
JP4959474B2 (ja) 冷蔵庫
CN106403454B (zh) 冰箱
JP5297723B2 (ja) 冷蔵庫
JP5095557B2 (ja) 冷蔵庫
JP2010112673A (ja) 冷蔵庫
JP5133634B2 (ja) 冷蔵庫
JP5490853B2 (ja) 冷蔵庫
JP5319210B2 (ja) 冷蔵庫
CN102914116B (zh) 制冷设备
JP2013140013A (ja) 冷蔵庫
JP5620538B2 (ja) 冷蔵庫
JP5767051B2 (ja) 冷蔵庫
KR20010090942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2010281526A (ja) 冷蔵庫
JP506416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