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097A -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097A
KR20110053097A KR1020090109915A KR20090109915A KR20110053097A KR 20110053097 A KR20110053097 A KR 20110053097A KR 1020090109915 A KR1020090109915 A KR 1020090109915A KR 20090109915 A KR20090109915 A KR 20090109915A KR 20110053097 A KR20110053097 A KR 2011005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conditioner
driving
vehicle spe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820B1 (ko
Inventor
김현남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9010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8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a)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통하여 일반 주행 상태인지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콘 릴레이를 제어하여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 오프시키고 에어콘 콤프레서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카 에어콘 사용으로 인해 엔진이 받는 과부하 상태를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연비 및 가속성능이 개선되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카 에어콘, 에어콘 릴레이, 마그네틱 클러치, 에어콘 콤프레서, 과부하

Description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A AUTO-CONTROL AIR CONDITIONING METHOD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정지 후 출발 가속 시나 경사로 주행 중 가속시에 엔진에 무리를 최소화 하면서 차량내의 냉방을 자동 조절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에어콘이 장착되어 있어 더운 계절에 에어콘의 작동으로 실내를 시원하고 쾌적하게 함으로써 운행시 편의를 주도록 하고 있다.
차량내의 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냉방장치에 따르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기 위한 에어콘 콤프레서와, 에어콘 콤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라디에이터 팬에 의해 냉각 액화하기 위한 콘덴서 및 냉매를 파이프내로 보내어 증발시켜서 주위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의 제어패널에 설치된 온도조절레버와 에어콘 스위치의 조작상태를 근거로 하고서 차내에 설치된 내기센서와 콘덴서의 전단에 설치되는 외기센서를 통한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 감지 동작에 의해 실내로 분출되는 냉풍의 온도나 냉방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의 냉방장치에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에어콘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방장치의 가동을 지시하게 되고, 온도 조절 레버의 수동 조작에 의해 실내로 분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시에는 그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의 에어콘 콤프레서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므로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에어콘 콤프레서의 회전수가 변하여 냉방 성능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예를 들어, 주행시나 엔진의 회전수가 높을 경우에는 에어콘 콤프레서의 회전수가 높아 냉방성능이 양호하나, 공전시나 저속주행시는 에어콘 콤프레서의 회전수가 낮아 냉방능력이 나빠지게 된다.
특히, 경사로를 주행하고 있는 중에 에어콘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를 온시키면, 에어콘은 동작되나 엔진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에 큰 부하가 발생하는 차량 정지 후 출발 가속 시나 경사로 주행 중 가속시에 에어콘 콤프레서만을 제어하여 차량내의 냉방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a) 차 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통하여 일반 주행 상태인지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콘 릴레이를 제어하여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 오프시키고 에어콘 콤프레서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상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온 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신호의 증가 및 드로틀 센서로부터의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를 인식하여 상기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상기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오프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신호 및 드로틀 센서로부터의 드로틀 개도 신호를 인가받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속 신호의 감소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속 신호의 증가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증가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온 시켜 상기 마그네 틱 클러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상기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오프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경우 송풍 팬은 작동되어 콘덴서의 냉기가 차내로 계속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송풍 팬의 송풍 세기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상기 냉기의 저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카 에어콘 사용으로 인해 엔진이 받는 과부하 상태를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연비 및 가속성능이 개선되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차속 센서(100), 드로틀 센서(200),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 제어부(400), 에어콘 릴레이(500), 마그네틱 클러치(600), 에어콘 콤프레서(700), 콘덴서(800), 송풍팬(9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장치 각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속 센서(100)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차속 신호를 출력한다.
드로틀 센서(Throttle Sensor, 200)는 가속페달에 의해 조작되는 드로틀 개도 정도를 검출하여 드로틀 개도 신호를 출력한다.
공회전 에어콘 밸브(Idle Air Control Valve, IACV, 300)는 차량의 공회전 상태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RPM) 값을 출력하며 엔진의 공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제어부(400)는 차량의 현재 주행이 일반 주행 상태인지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여 자동 냉방 조절 여부를 결정하고, 차속 센서(100)의 차속 신호 및 드로틀 센서(200)의 드로틀 개도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현재 주행이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여 에어콘 릴레이(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에어콘 릴레이(5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응답하여 마그네틱 클러치(60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마그네틱 클러치(6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통해 전압을 인가받아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여 자력에 의해 클러치 마찰판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에어콘 콤프레서(700)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순환시키는데, 열이 흡수될 때 일어나는 증발 작용과 열이 빠져나갈 때 일어나는 응결 작용 사이의 기압 변화를 일으켜 낮은 압력의 기체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킨다.
콘덴서(800)는 에어콘 콤프레서(70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차갑게 냉각된 저온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킨다.
송풍팬(900)은 콘덴서(800)에서 생성된 찬 공기를 송풍하여 차내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냉방 자동 조절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냉방 자동 조절 과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현재 주행이 일반 주행 상태인지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한다.(S100)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고,(S200) 정체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냉방 자동 조절 동작을 종료하고 일반적인 냉방 수동 조절 방법으로 주행한다.
여기에서, 일반 주행 상태에는 상기 두 경우 외에 일정한 속도로 정상적인 주행을 하는 경우도 포함되지만, 본 발명과는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는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알 수 있는데,(S300) 상기 상태가 확인된 경우 에어콘 릴레이(500)를 온 시켜(S320)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일시적으로 오프 시킨다.(S340)
마그네틱 클러치(600)가 일시적으로 오프되면 에어콘 콤프레서(700) 역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S360)
차량이 출발을 시작하여 가속된 경우 제어부(400)는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되었는지 판단한다.(S380)
만일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오프 시켜(S320)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온 시키고(S340) 에어콘 콤프레서(700)를 다시 작동시키지만,(S360)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콘 릴레이(500) 온 단계(S320)로 궤환하여 이후 동작을 반복한다.
만일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라면 차속 센서(100)의 차속 신호 및 드로틀 센서(200)의 드로틀 개도 신호 값을 비교 판단하여(S500) 차속 신호가 감소되고 드로틀 개도 신호가 증가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4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온 시켜(S520) 에어콘 시스템 전체를 오프시키지 않고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오프시켜(S540) 에어콘 콤프레서(700)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S560)
이때, 차속 센서(100)의 차속 신호 대신에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RPM) 값을 비교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는 차량의 공회전 상태에서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로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공기 흐름 관의 크기를 넓히기도 하고 좁히기도 하여 공회전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엔진의 공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카에어컨을 켜면 엔진에 부하가 걸려 공회전 속도가 떨어지고 엔진이 불안정하게 떨게 되는데,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는 공기 구멍을 더 열어 엔진 속도를 올려 줌으로써 정상 회전 속도로 올려 부드러운 엔진 회전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차속 신호의 증가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차량이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80)
만일 차속 신호의 증가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가 인식된 경우에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오프 시켜(S320)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온 시키고(S340) 에어콘 콤프레서(700)를 다시 작동시키지만,(S360) 차속 신호의 증가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콘 릴레이 온 단계(S520)로 궤환하여 이후 동작을 반복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동작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소형차가 카 에어콘을 켠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평지를 운행하다가 경사로를 만나 일정 시간 오르막길을 가속하여 주행한 후에 내리막길을 주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에어콘이 작동하는데는 냉매를 압축하거나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이 필요하므로 카에어콘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엔진동력을 분배받게 된다.
이때에 에어콘의 냉각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엔진의 힘이 적은 소형차의 경우에는 에어콘의 사용으로 엔진 동력을 많이 빼앗기게 되어 경사로를 등판하거나 가속력을 필요로 할 때에 주행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차량의 현재 주행이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는 일반 주행 상태인지 일정 속도 미만의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한다.(S100) 여기에서, 일정 속도는 제작자에 따라 미리 설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소형차가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평지를 운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상태이므로 제어부(400)는 차량의 현재 주행이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한다.(S200)
이때 차속 센서(100)는 차량의 일정 속도 이상을 유지하는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제1 차속 신호를 출력하고, 드로틀 센서(200)는 가속페달에 의해 열리는 드로틀의 개도 정도를 감지하여 제1 드로틀 개도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차량의 현재 주행이 일정 속도 미만의 정체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제 어부(400)는 본 발명의 냉방 자동 조절 동작을 종료하고 일반적인 냉방 수동 조절 방법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수동으로 에어콘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방 장치의 가동을 지시하고 온도조절 레버의 수동 조작에 의해 실내로 분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소형차가 경사로를 만나 오르막길을 가속하여 주행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차속 센서(100)는 차량의 주행 속도 감소를 감지하여 제2 차속 신호를 출력하고, 드로틀 센서(200)는 가속페달에 의해 열리는 드로틀의 개도의 증가를 감지하여 제2 드로틀 개도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차속 센서(100)로부터 제1 및 제2 차속 신호를 인가받아 비교하여 차속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고, 드로틀 센서(200)로부터 제1 및 제2 드로틀 개도 신호를 인가받아 비교하여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한다.(S500)
제어부(4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온 시켜(S520) 에어콘 시스템 전체를 오프시키지 않고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오프시켜(S540) 에어콘 콤프레서(700)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S560)
즉, 에어콘의 송풍팬(900)은 계속 작동하므로 콘덴서(800)의 찬 공기가 계속 실내로 전달되어 에어콘 콤프레서(700)의 일시적인 정지에도 불구하고 차내는 냉기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오르막길 주행이 장시간 계속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냉기의 저하 보상 방법으로 송풍팬(900)의 송풍 세기를 자동으로 현재보다 한 단계 증가시킬 수 도 있다.
차량이 오르막길 주행을 마치고 내리막길 주행에 진입하였다면 차속 센서(10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증가를 감지하여 제3 차속 신호를 출력하고, 드로틀 센서(200)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에서 발을 뗌에 따라 닫히는 드로틀의 개도 감소를 감지하여 제3 드로틀 개도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차속 센서(100)로부터 제3 차속 신호를 인가받아 제2 차속 신호와 비교하여 차속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고, 드로틀 센서(200)로부터 제3 드로틀 개도 신호를 인가받아 제2 드로틀 개도 신호와 비교하여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한다.(S580)
제어부(4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오프시켜(S320)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다시 온시켜(S340) 에어콘 콤프레서(700)를 다시 작동시킨다.(S360)
차량이 오르막길 주행을 계속하고 있다면 제어부(400)는 차속 신호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비교를 통하여 차량이 계속 오르막길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콘 릴레이 온 단계(S520)로 궤환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인 것으로 판단될 때 까지 이후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인지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인지의 판단은 차속 센서(100)의 차속 신호 대신에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RPM) 값을 비교하여 할 수도 있다.
즉,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증가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고,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 및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 식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일반 주행 상태에서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제어부(400)는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로 판단한다.(S300)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에도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온 시켜(S320) 에어콘 시스템 전체를 오프시키지 않고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오프시켜(S340) 에어콘 콤프레서(700)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S360)
차량이 출발을 시작하여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가속되었다면 차속 센서(10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증가를 감지하여 제4 차속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차속 센서(100)로부터 제4 차속 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시와 비교하여 차속 신호의 증가하여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되었는지 판단한다.(S380)
만일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차 후 출발 단계를 어느 정도 경과한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400)는 에어콘 릴레이(500)를 오프시켜(S320) 마그네틱 클러치(600)를 다시 온시켜(S340) 에어콘 콤프레서(700)를 다시 작동시킨다.(S360)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의 판단은 차속 센서(100)의 차속 신호 대신에 공회전 에어콘 밸 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RPM) 값을 비교하여 할 수도 있다.
즉, 공회전 에어콘 밸브(300)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를 인식하여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은 차량의 엔진에 큰 부하가 발생하는 차량 정지 후 출발 가속 시나 경사로 주행 중 가속시에 에어콘 콤프레서(700)만을 제어하여 차량내의 냉방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카 에어콘 사용으로 인해 엔진이 받는 과부하 상태를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연비 및 가속성능이 개선되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의 냉방 자동 조절 과정의 순서도이다.

Claims (13)

  1. (a)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통하여 일반 주행 상태인지 정체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어콘 릴레이를 제어하여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 오프시키고 에어콘 콤프레서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후 출발하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온 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신호의 증가 및 드로틀 센서로부터의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를 인식하여 상기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후 소정의 차속에 도달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오프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신호 및 드로틀 센서로부터의 드로틀 개도 신호를 인가받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경사로 주행 중에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속 신호의 감소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속 신호의 증가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증가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증가를 인식하여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회전 에어콘 밸브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감소 및 상기 드로틀 개도 신호의 감소를 인식하여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길 주행 중에 가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온 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지 또는 내리막길 주행 중에 감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콘 릴레이를 오프시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온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다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 법.
  12. 제 3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경우
    송풍 팬은 작동되어 콘덴서의 냉기가 차내로 계속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콘 콤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경우
    상기 송풍 팬의 송풍 세기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상기 냉기의 저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KR1020090109915A 2009-11-13 2009-11-13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KR10119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915A KR10119782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915A KR10119782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97A true KR20110053097A (ko) 2011-05-19
KR101197820B1 KR101197820B1 (ko) 2012-11-05

Family

ID=4436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915A KR10119782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8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968B2 (ja) * 1991-03-12 1998-08-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820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0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vehicles to accumulate cold air energy in an evaporator during a speed-reducing condition and using the latter in a release condition
US99815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vehicles
US20020104324A1 (en) Air conditioner for hybrid vehicle
WO2012161166A1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車両用空調制御方法、車両用空調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73629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5673048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JP501249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及び車両
KR101326842B1 (ko)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4156955B2 (ja) 車両空調装置用ハイブリッド圧縮機の駆動方法
KR101197820B1 (ko) 차량의 자동 조절 냉방 방법
JP53810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780763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JP2009012573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401476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5132B1 (ko)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의 제어방법
JPH09273819A (ja) 冷凍サイクル
JP368750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121346A (ko) 자동차 에어컨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3127654A (ja) 空調制御装置
JP3684733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圧縮機制御装置
JP200817412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0137664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070018374A (ko) 자동차 에어컨의 온/오프 제어방법
JPS6146017Y2 (ko)
JP3947672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