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012A -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012A
KR20110052012A KR1020090108867A KR20090108867A KR20110052012A KR 20110052012 A KR20110052012 A KR 20110052012A KR 1020090108867 A KR1020090108867 A KR 1020090108867A KR 20090108867 A KR20090108867 A KR 20090108867A KR 20110052012 A KR20110052012 A KR 2011005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andle
handle bar
assembly structu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437B1 (ko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37B1/ko
Priority to CN2010101050349A priority patent/CN102061832A/zh
Publication of KR2011005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에 고정되는 홀더와, 홀더에 결합되는 핸들 바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조립되면서도, 상기 핸들 바의 흔들림이나 탈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핸들바, 홀더, 도어

Description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A structure for assembling door handle of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도어 핸들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도어(1)와, 상기 도어(1)의 전면에 직교하게 연결되는 홀더(3)와, 상기 홀더(3)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핸들(2)이 스크류(S1,S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는, 홀더(3)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와, 핸들(2)을 홀더(3)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각각 요구된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조립을 위한 체결 부재의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의 경우, 핸들(2)이 홀더(3)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핸들(2)이 홀더(3)에 연결된 상태에서 흔들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핸들을 홀더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핸들과 홀더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 없이도, 핸들이 홀더에 연결된 상태에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는, 물품 수용을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핸들바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빈 중공 부재이고, 상기 핸들바의 양 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개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바의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 체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체결단은, 측면부가 상기 핸들바의 내주면에 접하는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한 상기 핸들바의 분리를 방지하는 탈거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핸들을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즉, 핸들과 홀더의 끼워 맞춤 결합 방식에 의하여,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간단하여 조립 시간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 부재 삽입을 위한 홈이나 홀과 같은 구성을 핸들 내부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핸들 제조를 위한 금형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둘째, 핸들이 홀더에 조립된 상태에서 핸들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한 쌍의 홀더가 핸들의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핸들에 형성된 안착 홈에 삽입되도록 하고, 안착홈의 절개 단부가 홀더에 형성된 단턱부 또는 홈부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핸들이 홀더에 일단 결합되면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기술하기 위하여 가전 기기의 대표적인 적용례로서 냉장고의 도어 핸들 구조가 선택되었음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냉장고를 비롯하여, 도어와 핸들 구조가 구비된 가구(home appliance)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는 냉장고 외에, 와인 셀러, 전자레인지, 오븐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 및 상기 도어(12)의 전면 가장자리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2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조립되었으나 제품에 따라서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핸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핸들 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바(21)와, 상기 핸들바(21)의 양 단부에서 핸들바(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홀더(22)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22)의 일단은 상기 도어(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 바(21)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핸들바(21)의 양 단부에는 홀더가 끼워지기 위한 절개부(211)가 소정길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11)의 하단은 상기 홀더(22)가 안착되는 안착단(214)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홀더(22)는 상기 핸들 바(21)의 양 단부에서 상기 핸들 바(21)의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홀더(22)의 형태와 결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홀더(22)는 상기 핸들바(21)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더이고, 이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의 또다른 홀더가 상기 핸들바(21)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22)의 일단은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 체결단(221)이고, 타단은 핸들바(21)에 끼워지는 핸들 체결단(222)이다. 그리고, 도어 체결단(221)으로부터 연장되는 어느 지점에서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라운드부(rounded portion)(223)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223)의 단부에 상기 핸들 체결단(222)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핸들 체결단(222)은,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225)와, 상기 돌출부(225)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부(22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 바(21)의 상단에 결합되는 홀더의 경우, 상기 커버부(228)는 상기 돌출부(225)의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5)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225)의 길이만큼 상기 핸들 체결단(222)이 상기 핸들 바(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5)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돌출부(225)의 측면부는 상기 핸들 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돌출부(225) 측면들이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될 것이다.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돌출부(225)의 측면부를 접촉면(226)으로 칭한다.
한편, 상기 라운드부(223)의 단부와 상기 핸들 체결단(222)이 만나는 영역에는 걸림 리브(224)와 단턱부(shoulder)(227)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바(21)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체결단(222)이 상기 핸들바(21)에 삽입되면, 상기 단턱부(227)에 상기 핸들바(21)의 절개부(211)가 맞닿아 접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홀더(22)의 라운드부(223) 하면은 상기 핸들바(21)의 안착단(214)에 안착되고, 상기 절개부(211)를 이루는 양 측벽은 상기 단턱부(227)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바(21)가 상기 홀더(22)에 결합되면, 상기 단턱부(227)에 의하여 상기 핸들바(21)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227)와 절개부(211)의 결합에 의하여 별도의 스크류 부재가 없이도 상기 핸들바(21)가 홀더(2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홀더(22)가 각각 상기 핸들바(21)의 상단과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222)의 도어 체결단(221)이 도어의 전면에 결합되면, 상기 핸들바(21)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흔들림도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바(21)는 내부가 빈 중공바(hollow bar)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225)를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 돌기(21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213)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225)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213)들 사이에 상기 돌출부(225)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돌출부(225)의 측면에 상기 고정 돌기(213)가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바(21)에 상기 홀더(22)가 결합되면 핸들바(21)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32)는 도어 체결단(321)과 핸들 체결단(322)을 구비하고, 핸들 체결단(322)측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된 홀더(32)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핸들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더 구조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체결단(322)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슬리브(323)와, 상기 슬리브(323)의 외주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리브(324) 및 상기 리브(324)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버부(3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리브(323)는 원통 형상을 비롯하여 타원 형상 등과 같이 핸들바(21)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324)는 상기 슬리브(32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리브와 소정 간격의 간격부(gap portion)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에는 단턱부(327)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바(21)의 절개부(211)가 밀착되어, 핸들바(21)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다수의 리브(324)들 측면부는 상기 핸들 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핸들 체결단(322)이 상기 핸들바(2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핸들바(21)의 절개부 측면은 상기 단턱부(327)에 걸리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이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설계 방법에 따라 상기 간격부(325)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리브(324)와 동일한 형태의 리브가 다수 개 돌출되어, 기어 결합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리브(324)들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핸들바(21)의 흔들림 방지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42)는 도어 체결단(421)과 핸들 체결단(422)을 구비하고, 핸들 체결단(422)측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된 홀더(42)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핸들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홀더(42)는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십자 형태로 교차되는 교차 리브(4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차 리브(421)의 하단에는 커버부(428)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 바(21)의 단부를 차폐하는 것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세히, 상기 교차 리브(421)는 상기 홀더(42)의 상하 너비에 해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교차 리브(421)의 단부는 각각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핸들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교차 리브(421)들의 단부는 접촉면(422)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 양측에는 걸림홈(423)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 바(21)의 절개부(211)가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핸들바(21)의 흔들림과 수평 방향 탈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홈(4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도 1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차 리브(421)의 단부는 각각 상기 핸들 바(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바(21)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바(21)의 절개부가 상기 걸림홈(4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핸들 바(21)의 수평 방향 탈거 현상이 방지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 바(21)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교차 리브(421)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 핸들바(21)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핸들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대칭되는 한 쌍의 홀더(22,32,42)를 상기 핸들 바(21)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홀더를 상기 핸들바(21)에 끼운다. 즉, 상단측 홀더는 하향 이동시키고, 하단측 홀더는 상향 이동 시켜서 상기 홀더의 라운드부가 상기 핸들 바(21)의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22,32,42)의 도어 체결단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홀더를 도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핸들 바(21)는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홀더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도어 핸들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 조립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핸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핸들 바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핸들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수평 단면도.

Claims (8)

  1. 물품 수용을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핸들바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빈 중공 부재이고, 상기 핸들바의 양 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개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단부에는 상기 핸들바의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 체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체결단은, 측면부가 상기 핸들바의 내주면에 접하는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한 상기 핸들바의 분리를 방지하는 탈거 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의 슬리브 외주면에 돌출되는 다수 의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더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로 이루어진 교차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바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체결단이 형성되는 쪽의 상기 홀더의 단부에는,
    상기 절개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단턱부와,
    상기 핸들 바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절개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연장되는 걸림 리브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측단부는 상기 핸들 바의 내주면에 접하고,
    상기 핸들 바의 내주면에는 상기 다수의 리브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핸들 체결단 측 단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핸들 바의 절개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KR1020090108867A 2009-11-12 2009-11-12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KR10163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67A KR101639437B1 (ko) 2009-11-12 2009-11-12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CN2010101050349A CN102061832A (zh) 2009-11-12 2010-01-22 用于组装家用电器门把手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867A KR101639437B1 (ko) 2009-11-12 2009-11-12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12A true KR20110052012A (ko) 2011-05-18
KR101639437B1 KR101639437B1 (ko) 2016-07-13

Family

ID=4399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867A KR101639437B1 (ko) 2009-11-12 2009-11-12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9437B1 (ko)
CN (1) CN102061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32B1 (ko) * 2011-07-19 2013-04-16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핸들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8245B2 (ja) * 2012-04-04 2016-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把手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311A (ko) * 2002-12-30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핸들
KR20060014652A (ko) * 2004-08-11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핸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0776A1 (de) * 1996-12-06 1998-06-10 Bosch Siemens Hausgeraete Türgriff für eine Möbeltür, insbesondere eine Kühlmöbeltür
US7467730B2 (en) * 2003-07-09 2008-12-23 Masterchem Industries, Llc Paint container handle
CN100417893C (zh) * 2004-09-20 2008-09-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门的把手结构
CN100529614C (zh) * 2005-06-30 2009-08-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门的把手组合体
DE202005014377U1 (de) * 2005-09-12 2005-11-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Kältegerät
CN101231098A (zh) * 2007-01-25 2008-07-30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的门把手
DE202007013032U1 (de) * 2007-09-17 2007-1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griff für ein Haushaltsgerä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311A (ko) * 2002-12-30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핸들
KR20060014652A (ko) * 2004-08-11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32B1 (ko) * 2011-07-19 2013-04-16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핸들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1832A (zh) 2011-05-18
KR101639437B1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2012A (ko) 가전 기기의 도어 핸들 조립 구조
AU2015307547B2 (en)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KR102377513B1 (ko) 냉장고
KR100365920B1 (ko) 김치냉장고용 도어
KR200424501Y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구조
KR100942577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장착구조
KR200147353Y1 (ko) 냉장고용 도어
KR100789714B1 (ko) 김치냉장고용 도어
KR20200034615A (ko) 안테나용 필터 및 그 노치 조립체
KR200147349Y1 (ko) 냉장고용 도어
KR200338110Y1 (ko) 냉장고용 유리선반
KR100442273B1 (ko) 가전제품용 핸들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0272414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쓰레받기
KR200201131Y1 (ko) 식품용기의 손잡이
KR200380822Y1 (ko) 전자기기의 핸들
KR102509218B1 (ko) 밥솥
KR200257993Y1 (ko) 가구용 문짝
KR19990031388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착탈식 오븐케비티
KR101132499B1 (ko) 김치냉장고 트림킷 도어의 결합구조
KR100563346B1 (ko) 냉장고 도어 손잡이
KR200160514Y1 (ko) 냉장고용 도어
KR101185292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결합구조
KR102222969B1 (ko) 냉장고 도어
JP2011185418A (ja) 固定クリップ
KR200186130Y1 (ko) 문짝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