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841A -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 Google Patents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841A
KR20110051841A KR1020090108627A KR20090108627A KR20110051841A KR 20110051841 A KR20110051841 A KR 20110051841A KR 1020090108627 A KR1020090108627 A KR 1020090108627A KR 20090108627 A KR20090108627 A KR 20090108627A KR 20110051841 A KR20110051841 A KR 2011005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raw material
fluidized bed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494B1 (ko
Inventor
강주현
Original Assignee
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주현 filed Critical 강주현
Priority to KR102009010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4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8Seals, locks, e.g. gas barriers or air curtains, for dry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로 유동시켜 원료를 건조하는 유동층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과립이나 미립상태의 약재를 고온의 공기로 불어 유동층을 형성시키면서 건조시키는 유동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원료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유동층 건조기는 원통형이나 구형상의 본체의 하단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주어 원료가 상부로 퍼 올려지면서 유동층이 발생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동층 건조기는 기계자체가 대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운반이나 설치 및 이동이 매우 불편하고, 뿐만 아니라 풍량의 조절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조작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와 망체의 탈부착 및 컨테이너의 하단에 위치하는 송풍장치의 실링구조가 복잡하여 원료의 건조를 위한 작업소요시간이 오래걸리고 비효율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형의 유동층건조기 본체가 상,하로 분리, 조립되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이러한 조립구조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매쉬망의 조립구조가 원터치로 이루어져 매쉬망의 탈착이 용이하면서, 컨테이너를 승하강 시켜주는 승강부의 실링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밀폐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 것이다.
유동층 건조기, 열풍건조, 분해, 조립, 에어실링

Description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Fuildized bed dryer of Raw material}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로 유동시켜 원료를 건조하는 유동층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과립이나 미립상태의 약재를 고온의 공기로 불어 유동층을 형성시키면서 건조시키는 유동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錠劑) 알약의 제조과정은 약재의 주원료에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활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해서 만드는 것으로, 그 제조공정은 분말이나 과립을 직접 만드는 제립공정(製粒工程)과 분말과립을 압축성형하는 타정공정(打錠工程)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립공정에서 원료는 통상 스피드 믹서를 통하여 결합제가 1차로 교반되어진 상태에서 습식정립기를 통하여 유동층 건조기로 이송되어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층 건조기의 구조는 원통 또는 구형의 통체를 방향성 다공판으로 상,하 구분짓고, 다공판보다 하부를 열풍 취입실, 상부를 유동실(유동층부)로 구분하여, 원료를 밀폐된 유동실에 넣고 라지에이터로 가열된 더운 공기를 유동실로 배출시키면 열풍에 의하여 원료가 하부에서 상부로 퍼 올려지면서 유동층이 발생하고, 이를 통하여 유동실 내부의 원료가 고속으로 유동되어져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운동이 반복됨으로써 원료에 손상없이 건조가 단시간에 진행되도록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동층 건조기는 부피가 대형인데 반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제작장소로부터 현장까지 운송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유동층 건조기에 공급되어지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덕트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차단막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토록 하는 것이지만, 조작하는데 많은 힘이 들고 미세하고 정확한 조작이 어려워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동층 건조기의 작동시 하단의 컨테이너에 탈착되는 매쉬망이 볼트조립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유동층건조기의 작동을 위하여 매쉬망을 장착할 경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승,하강 작동을 위한 실린더의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고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바라 형태의 보호대가 실린더 외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자바라 형태의 보호대는 오랜기간 사용할 경우 이물질이 묻어날 뿐만 아니라 세척이 어려워서 작업환경이 지저분해지고 원료를 교체한 경우 교차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상 내구성이 취약하여 쉽게 손상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형의 유동층건조기가 간단하게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분할되어진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도 유동층건조기의 조립구조 및 작동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과 조작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프레임의 덕트가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로 나뉘어져 절곡프레임에 의하여 나사조립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분할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고, 상기 덕트로 유입되어지는 공기를 오토댐퍼의 작동에 의하여 차단막이 개폐되어지도록 하여 원격으로 풍량조절이 가능토록 하며, 컨이너의 하단에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매쉬망이 절첩고정수단에 의하여 간단하게 원터치로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승하강되어지는 실린더의 외측으로 패킹에 의하여 에어실링부를 형성하여 실린더의 공기유입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내부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소음을 절감토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박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층건조기 본체가 상,하로 분할되어지므로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풍량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미세하고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고, 컨테이너에 탈부착되는 매쉬망을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효율을 극대 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의 승하강을 위한 실린더가 에어실링부에 의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면서도 외부로 새나가는 소음을 줄여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공급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바디프레임(1)과 원료를 상부로 띄워서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본체(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은 관체(10)의 후방 상측으로 덕트홀(11)이 형성되어 공기의 흡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되며 관체(10)의 내부에는 에어필터(12) 및 라디에이터(13)가 장착되어 공기가 가열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13)에 의하여 가열되어진 공기는 관체(10) 하단부가 건조기본체(2)의 하단으로 연장되어진 상태에서 송풍부(15)를 통하여 상측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건조기본체(2)의 하단에는 컨테이너(30)가 삽탈되어져 송풍부(15)를 통하여 공급되어진 고온의 공기가 컨테이너(30)를 통하여 상측의 유동실(20)로 공급되면서 원료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실(20)의 하단에는 방향성 다공판이 형성되어 열풍이 일정한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면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고, 원료가 열풍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퍼 올려지면서 유동층이 생겨 유동실 내부의 분체가 유동되며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운동이 반복됨으로써 원료에 손상없이 건조가 단시간에 진행되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료를 건조중에는 유동실(20)에 열풍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데, 이때 유동실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이므로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측에 백필터(22)가 내장된 백필터실(21)을 형성하여 원료를 건조시킨 공기가 백필터실(21)을 경유하여 덕트홀(11a)로 배출되어지도록 하여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공기만 배출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백필터(22)는 쉐이킹 실린더(23)와 작동대로 연결되어 쉐이킹 실린더의 왕복작동에 의하여 백필터(22)가 상하로 연동되어지도록 하여 백필터(22)에 묻은 원료를 털어낼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즉, 유동층 건조기의 계속적인 작동에 의하여 백필터(22)에 원료가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백필터(22)를 통한 공기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 백필터를 털어주어야 하는데, 상기 쉐이킹 실린더(23)를 통하여 백필터(22)를 순간적으로 털어줌으로써 백필터(22)에 붙은 원료를 털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동작을 자동을 반복함으로써 유동층 건조기의 작업중에 백필터(22)가 막히지 않고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0)를 상,하부로 분할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유동층 건조기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관체(10)가 상부관체(10a)와 하부관체(10b)로 나뉘어지면서 그 이음부에 직각프레임(10c)을 결합한 후 나사결합토록 하면 관체(10)가 분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간단하게 상하부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체(10)의 이음부 외측으로는 마감띠(10d)를 부착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 마감띠(10d)에 의하여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음부를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본체(2)의 유동실(20)은 양측에 형성된 수직바(17)에 걸이봉(20c)이 걸쳐져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걸이봉(20c)이 상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큰 슬라이드 이동가능토록 되어 컨테이너(30)가 승강수단(16)에 의하여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면 유동실(20)의 상부가 백필터실(21)의 하부에 밀착되어지면서 건조기본체(2)가 외부와 차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실(20)과 백필터실(21)은 테두리에 각각 패킹(20a,21a)이 장착되어 패킹(20a,21a)에 의하여 밀착되어 건조기본체(2)의 내,외부가 차단되며 유동실내부에 진공이 발생할 경우에도 압력이 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실과 백필터실의 연결부에 돌출갓(20b,21b)을 형성하여 공기누출을 더욱 방지토록 하면서도 유동실과 백필터실의 상,하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덕트홀(11)은 공기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차단막(11a)을 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11a)의 단속을 위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댐 퍼(14)를 형성하여 원격으로 풍량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풍량을 섬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오토댐퍼(14)는 실린더(14a)에 의하여 수평작동하는 피스톤(14b)에 의하여 차단막(11a)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피스톤(14b)은 축에 의하여 회동되어지는 작동대(14c)와 연결되어지고, 그 작동대의 타단에는 연결대(14d)가 결합되어져 차단막(11a)이 연결대(14d)의 타단에 고정되어 피스톤(14b)작동에 의하여 차단막이 개폐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덕트홀(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컨테이너(30)의 하단으로 유입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컨테이너(30)가 열풍공급을 위한 송풍부(15)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그 송풍부(15)에 형성된 승강수단(16)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되어지는 것이고, 컨테이너(30)의 하단에는 매쉬망(40)이 장착되어 유동실(20)의 하단부로 공기가 유입되어지면서도 유동실(20)에 담겨진 원료가 하단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매쉬망(40)의 조직은 원료의 입자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공기가 상측으로 불어주게 되면서도 하측으로는 원료가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매쉬망(40)은 컨테이너(30)에 원터치로 탈착하기 위하여 컨테이너(30)의 하단 테두리부에 다수의 락장치(31)를 형성하고 매쉬망(40)의 테두리에는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걸림대(41)를 형성하여, 상기 매쉬망(40)을 컨테이너(30)의 직하방에 위치시킨 후 락장치(31)를 잠그면 매쉬망(40)과 컨테이너(30)가 원터치로 탈착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되면서 간단하게 매쉬망(40)을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30)는 승강수단(16)에 의하여 승강되어지면서 상측의 유동실(20)을 백필터실(21)의 하단에 긴밀히 밀착시켜 건조기본체(2)가 외부와 밀폐되어지도록 되는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30)가 승강되어질 경우 송풍부(15)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열풍이 승강수단(16)으로 유입되거나 송풍부(15)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수단(16)에 에어실링수단(19)을 형성하여 원활한 열풍공급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승강수단(16)은 승강대(16a)가 유압실린더(16b)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대(16a)의 직하방으로 내통(19a)과 외통(19b)을 형성하여 유압실린더(16b)의 외측을 보호하는 케이스체(19c)와 송풍부(15)의 외벽(19d)에 각각 밀착되어지도록 되면서 패킹(19e)에 의하여 밀폐되어진 상태로 에어실링수단(19)이 형성되어 승강대(16a)가 상,하로 승강되어질 경우에도 공기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덕트홀(11)과 에어필터(12), 라디에이터(13) 및 송풍부(15)를 경유하여 공급되어진 열풍으로 원료의 유동층영역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유동층영역은 원료가 하부에서 상부로 퍼 올려지면서 유동층이 생겨 원료의 표면적이 극대화되고, 이때 하단의 송풍부(15)를 통하여 유입된 열풍이 원료와 접촉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이 순환 혼합작용으로 원료의 손상없이 단시간에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건조기본체(2)의 상측으로는 폭발배기구(24)를 형성하여 최악의 폭발 가능성을 감안하여 폭발시의 내부압력이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실(20)의 내측에는 다수의 스프레이볼(25)을 장착하여 유동층 건조기의 작동중에도 방향과 분사형태 및 분사량을 쉽게 조절할 뿐 아니라, 이러한 스프레이볼(25)을 통하여 결합제(Binder)나 코팅액 등을 분사하여 원료의 입자와 입자간에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다공질의 과립물질을 형성하면서 건조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30)는 차체(50)에 올려져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으로, 상기 차체(50)에 힌지결합되어져 핸들(51)의 조작에 의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틸팅수단(52)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동층 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층 건조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층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체의 상,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동실과 백필터실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토댐퍼가 장착된 상태의 유동층건조기의 사시도
도 7a는 오토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b는 오토댐퍼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와 매쉬망의 탈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의 에어실링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프레임 2: 건조기본체
10: 관체 11: 덕트홀
12: 에어필터 13: 라디에이터
14: 오토댐퍼 15: 송풍부
16: 승강수단 17: 수직바
19: 에어실링수단
20: 유동실 21: 백필터실
22: 백필터
30: 컨테이너 31: 락장치
40: 매쉬망 41: 걸림대
50: 차체

Claims (5)

  1. 바디프레임(1)의 관체(10) 상측에 형성된 덕트홀(11)을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홀(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관체(10)에 내장된 에어필터(12) 및 라디에이터(13)를 경유하여 건조기본체(2)의 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는 유동실(20)과 백필터실(21)로 구분되며 그 하단에 컨테이너(30)를 삽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컨테이너(30) 하단으로 공급되어진 열풍에 의하여 유동실(20)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며 유동층을 만들어 원료의 열풍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유동층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은 관체(10)가 상부관체(10a)와 하부관체(10b)로 분할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관체(10a)와 하부관체(10b)의 이음부는 직각프레임(10c)에 의하여 나사결합토록 되어 관체(10)가 분해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의 상하분할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2. 바디프레임(1)의 관체(10) 상측에 형성된 덕트홀(11)을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홀(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관체(10)에 내장된 에어필터(12) 및 라디에이터(13)를 경유하여 건조기본체(2)의 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는 유동실(20)과 백필터실(21)로 구분되며 그 하단에 컨테이너(30)를 삽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컨테이너(30) 하단으로 공급되어진 열풍에 의하여 유동 실(20)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며 유동층을 만들어 원료의 열풍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유동층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덕트홀(11)의 일측으로 오토댐퍼(14)가 내장되고, 상기 오토댐퍼(14)는 실린더(14a)에 삽탈되어지는 피스톤(14b)에 작동대(14c)가 연결되어어 작동대의 타단에 결합되어진 연결대(14d)가 덕트홀(11)의 차단막(11a)에 유동되어지도록 조립되어져 피스톤(14b)작동에 의하여 차단막이 개폐가능되어지면서 오토댐퍼(14)의 조정에 의하여 풍량조절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3. 바디프레임(1)의 관체(10) 상측에 형성된 덕트홀(11)을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홀(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관체(10)에 내장된 에어필터(12) 및 라디에이터(13)를 경유하여 건조기본체(2)의 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는 유동실(20)과 백필터실(21)로 구분되며 그 하단에 컨테이너(30)를 삽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컨테이너(30) 하단으로 공급되어진 열풍에 의하여 유동실(20)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며 유동층을 만들어 원료의 열풍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유동층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0)는 하단에 매쉬망(40)이 장착되어 백필터실(21)에 담겨진 원료가 빠지지 않도록 되면서 열풍이 백필터실(21)에 공급되어지도록 되고, 상기 컨테이너(30)의 하단에 손잡이(31a)의 절첩에 의하여 고리(31b)가 승하강되어지는 구조를 갖는 락장치(31)가 테두리를 따라서 배열되어지면서 매쉬망(40)의 테두리에 는 걸림대(41)가 형성되어 매쉬망(40)이 컨테이너(30)의 직하방에 간단하게 원터치로 탈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4. 바디프레임(1)의 관체(10) 상측에 형성된 덕트홀(11)을 통하여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홀(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관체(10)에 내장된 에어필터(12) 및 라디에이터(13)를 경유하여 건조기본체(2)의 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는 유동실(20)과 백필터실(21)로 구분되며 그 하단에 컨테이너(30)를 삽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컨테이너(30) 하단으로 공급되어진 열풍에 의하여 유동실(20)에 소용돌이가 발생하며 유동층을 만들어 원료의 열풍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유동층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0)는 열풍공급을 위한 송풍부(15)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그 송풍부(15)에 형성된 승강수단(16)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되어지고, 상기 승강수단(16)은 에어실링수단(19)이 형성되어 컨테이너(30)의 승하강시 공기누출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6)은 승강대(16a)가 유압실린더(16b)에 의하여 승강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실링수단(19)은 승강대(16a)의 직하방에 내통(19a)과 외통(19b)이 형성되어 유압실린더(16b)의 외측을 보호하는 케이스체(19c)와 송풍부(15)의 외벽(19d)에 각각 밀착되어져 패킹(19e)에 의하여 밀 폐력을 갖도록 되어 승강대(16a)의 승하강시에 공기누출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KR1020090108627A 2009-11-11 2009-11-11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KR101138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27A KR101138494B1 (ko) 2009-11-11 2009-11-11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27A KR101138494B1 (ko) 2009-11-11 2009-11-11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41A true KR20110051841A (ko) 2011-05-18
KR101138494B1 KR101138494B1 (ko) 2012-04-25

Family

ID=4436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627A KR101138494B1 (ko) 2009-11-11 2009-11-11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54B1 (ko) * 2011-12-29 2013-12-13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유동층 건조기의 에어 튜브 실 구조
KR200479283Y1 (ko) * 2014-12-27 2016-01-14 정상헌 유동층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밥 제조장치
KR102235441B1 (ko) * 2020-07-20 2021-04-02 주식회사 엘앤에스플랜트 유동층 공정장치용 분산용타공판 및 이를 갖는 유동층 공정장치
KR102414057B1 (ko) 2021-12-30 2022-06-29 (주)코엔 원료 혼합용 스피드 믹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92A (ja) * 1993-07-06 1995-01-27 Kyowa Hakko Kogyo Co Ltd 流動層造粒方法及びその装置
JP3337291B2 (ja) * 1993-11-30 2002-10-21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ろ過フィルター破損検出装置、ろ過フィルター破損検出方法及び流動層造粒装置
KR20000019491U (ko) * 1999-04-13 2000-11-15 이효원 유동과립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54B1 (ko) * 2011-12-29 2013-12-13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유동층 건조기의 에어 튜브 실 구조
KR200479283Y1 (ko) * 2014-12-27 2016-01-14 정상헌 유동층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밥 제조장치
KR102235441B1 (ko) * 2020-07-20 2021-04-02 주식회사 엘앤에스플랜트 유동층 공정장치용 분산용타공판 및 이를 갖는 유동층 공정장치
KR102414057B1 (ko) 2021-12-30 2022-06-29 (주)코엔 원료 혼합용 스피드 믹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494B1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494B1 (ko) 정제 알약의 원료건조를 위한 유동층 건조기
JP2008261519A5 (ko)
CN210832965U (zh) 一种塑料颗粒烘干装置
JP2007162979A5 (ko)
KR20050010993A (ko)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CN206027627U (zh) 一种一步制粒机
KR20110049455A (ko) 정제 알약의 원료 혼합을 위한 스피드 믹서
CN209701398U (zh) 带布袋除尘器式储存料仓
CN208029539U (zh) 一种农业用粮食储存装置
KR100905076B1 (ko) 사출성형기 가스배출 장치
CN205274784U (zh) 一种罐车进料装置
CN208946445U (zh) 塑料颗粒热风干燥装置
CN105043087B (zh) 一种抽气式可调料斗
CN206995886U (zh) 一种用于生产dop的干燥塔
CN209333439U (zh) 一种防堵塞的烟气除尘装置
CN214172740U (zh) 一种热风内循环烘箱
CN208567460U (zh) 大容量药材快速烘干装置
CN205482166U (zh) 一种药粉干燥罐
CN110227307A (zh) 一种通讯用箱体
KR200376085Y1 (ko) 공기청정기
KR200334236Y1 (ko)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CN209558781U (zh) 一种高效流化床干燥机
CN209423552U (zh) 一种制药产业化自动生产颗粒系统
KR100967711B1 (ko) 집진설비의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CN203731804U (zh) 一种可回收余热的通风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