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36Y1 -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236Y1
KR200334236Y1 KR20-2003-0016702U KR20030016702U KR200334236Y1 KR 200334236 Y1 KR200334236 Y1 KR 200334236Y1 KR 20030016702 U KR20030016702 U KR 20030016702U KR 200334236 Y1 KR200334236 Y1 KR 200334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t air
fluidized bed
n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16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립(顆粒)이나 미립(微粒)의 형태로 형성되는 분말을 적당한 유속의 열풍으로 불어 분립체에 유동층을 형성시키면서 건조하는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배출될 때 분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지지대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분말을 몸체의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열풍공급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풍을 몸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투입구와; 상기 몸체의 아래쪽 내부에 상광하협(上廣下峽)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열풍투입구와 고정되는 망과; 상기 망의 하부와 연결되어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단부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망의 내부에 보관되는 분말을 밸브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밸브와 연결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을 이동시키는 이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A fluidized bed dryer}
본 고안은 과립(顆粒)이나 미립(微粒)의 형태로 형성되는 분말을 적당한 유속의 열풍으로 불어 분립체에 유동층을 형성시키면서 건조하는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 건조기란 공지된 바와 같이 과립(顆粒)이나 미립(微粒)의 형태로 형성되는 분말을 건조시켜 상품화하기 위하여 유공판(有孔版) 아래쪽에서 열풍을 적당한 유속으로 보내어 유공판 상의 분립체에 유동층을 형성시키면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특히 수분을 포함한 분말은 유통과정에서 수분에 의해 부패되기 때문에 화학회사나 제약회사 등에서 약품을 건조시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유동층 건조기는 크게 버켓식 유동층 건조기와 임펠라식 유동층 건조기로 나뉘어 사용되고 있으며, 버켓식 유동층 건조기(100')는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이 건조되는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이동다리(121')에 의해서 이동되며 내부에는 분말이 보관되는 버켓(120')을 형성하고, 상기 버켓(120')의 하부에는 실린더(122')를 형성하여 버켓(120')이 실린더(122')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내부에 분말이 보관된 버켓(120')이 상부몸체(110')와 밀착 고정되면 버켓(120')의 내부로 열풍을 적당한 유속으로 보내어 상부몸체(110')에서 분말이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건조되도록 하며, 건조가 끝나 열풍의 건조를 정지시키면 분말이 다시 버켓(120')으로 유입되고, 분말이 버켓(120')으로 유입되면 실린더(122')를 하강시켜 버켓(120')을 이동다리(121')를 이용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버켓(12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버켓(120')에 보관된 분말을 배출시켜 다른 공정으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버켓식 유동층 건조기는 분말을 다른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버켓(120')에 보관된 분말을 공기중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분말에 불순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많이 있으며, 버켓(120')이 완전히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버켓(120')에 보관된 분말을 모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버켓(120')의 안쪽에 있는 분말을 긁어서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도 1c 및 도 1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임펠라식 유동층 건조기(100")는 몸체(110')의 일측에 실린더에 의해서 개폐되는 배출구(130')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모터(141')에 의해서 회전되는 임펠라(140')를 형성하여 몸체(110')에서 건조된 분말을 배출시킬 때 임펠라(140')가 모터(141')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말을 배출구(130')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임펠라(140')에 의해서 분말이 완전히 배출될 수 없기 때문에 잔량은 버켓식 유동층 건조기와 같이 사용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긁어내야만 했으며, 임펠라식 유동층 건조기 또한 분말을 다른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중에 노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조기를 분리시키는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한 유동층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본 고안은 건조된 분말의 잔량이 내부에 남겨지지 않고 완전히 배출되는 유동층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또한, 본 고안은 유동층 건조장치에서 건조된 분말이 대기중에 노출시키지 않고 다른 공정으로 이동되는 유동층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배출될 때 분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지지대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분말을 몸체의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구와;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열풍공급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풍을 몸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투입구와;상기 몸체의 아래쪽 내부에 상광하협(上廣下峽)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열풍투입구와 고정되는 망과;상기 망의 하부와 연결되어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단부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망의 내부에 보관되는 분말을 밸브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상기 배출구의 밸브와 연결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을 이동시키는 이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버켓식 유동층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도 1b는 도 1에서 버켓이 일측으로 이동되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도 1c는 종래 임펠라식 유동층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도 1d는 도 1c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100" : 유동층 건조장치 110, 110', 110" : 몸체
120' : 버켓 121' : 이동다리
122' : 실린더 130, 130" : 배출구
131 : 밸브 140" : 임펠라141" : 모터 150 : 투입구160 : 열풍투입구 170 : 망180 : 이동관 190 : 필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먼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10)로 형성된다.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10)로 형성되는 유동층 건조장치(100)의 상기 몸체(110) 상부 일측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건조시킬 분말을 공급하는 투입구(150)를 형성하며, 내부 상측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기는 배출되고 분말을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19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일측에 내부로 분말을 투입하는 투입구(150)가 형성되는 몸체(110)의 하부 일측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열풍공급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풍을 몸체(11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투입구(160)를 형성한다.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투입구(150)와 열풍투입구(160)가 형성되는 몸체(110)의 아래쪽 내부에는 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망(17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망(170)은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겹 또는 두 겹 이상의 망을 덧대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섯개의 망이 덧대진 5중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망(170)은 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넓은 쪽은 몸체(110)의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하여 투입구(15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투입된 분말이 망(170)의 아래쪽이 좁은 쪽에 모두 모이게되며, 상기 망(170)은 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열풍투입구(160)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열풍투입구(160)로 열풍이 투입되면 망(170)에 보관된 분말이 몸체(110)의 내부로 상승되면서 유동층이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상부는 몸체(110)의 내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투입구(160)와 연결되는 망(170)의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망(170)의 내부에 보관되는 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30)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130)의 단부에는 밸브(131)를 형성하여 몸체(110)의 내부로 투입된 분말이 모두 건조되었을 때 사용자에 의해서 분말이 배출구(130)의 밸브(131)를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에서 망(170)의 좁은 쪽과 연결되어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130)의 밸브(131)에는 이동관(180)을 고정하여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이 이동관(180)을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분말을 건조할 때는 먼저 투입구(150)를 통해 일정한 양의 분말을 몸체(110) 내부로 투입한다.투입구(150)를 통해 몸체(110) 내부로 투입된 분말은 중력에 의해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망(170)으로 낙하된다.이때, 망(170)의 좁은 쪽과 연결되어 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30)의 밸브(131)를 밀폐시켜 망(170)으로 낙하되는 분말이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중력에 의해서 몸체(110)의 하부에서 몸체(110)의 내부와 연결된 망(170)으로 분말이 낙하되면 열풍공급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열풍투입구(160)를 통해 열풍을 몸체(110)의 내부로 공급한다.상기와 같이 열풍투입구(160)로 열풍을 공급하면 망(170)에 보관된 분말이 열풍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몸체(110)의 내부에서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말이 건조될 때 공지된 바와 같이 열풍투입구(16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필터(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열풍에 의해서 상승하는 분말은 필터(19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시간 열풍에 의해 몸체(110)의 내부에서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분말이 건조되면 열풍공급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정지시킨다.열풍공급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열풍에 의해서 몸체(110)의 내부에서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건조된 분말이 다시 중력에 의해서 하부에 형성된 망(170)으로 낙하된다.상기와 같이 망(170)으로 낙하되는 분말은 망(170)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려는 힘이 크다.상기와 같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망(170)에 보관되는 분말을 배출시킬 때는 망(170)의 좁은 쪽과 연결되어 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30)의 밸브(131)를 열어 분말이 이동관(180)을 따라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몸체를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본 고안은 상광하협(上廣下峽)으로 형성되는 망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의 내부에 분말의 잔량이 남지 않고 완전히 배출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출구에 이동관을 연결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을 대기중에 노출시키지 않고 이동관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상의 재료를 공급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배출될 때 분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지지대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분말을 몸체의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열풍공급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풍을 몸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투입구와;
    상기 몸체의 아래쪽 내부에 상광하협(上廣下峽)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열풍투입구와 고정되는 망과;
    상기 망의 하부와 연결되어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단부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망의 내부에 보관되는 분말을 밸브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밸브와 연결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을 이동시키는 이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두 겹 이상의 다중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장치.
  3. (삭제)
KR20-2003-0016702U 2003-05-26 2003-05-26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KR200334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02U KR200334236Y1 (ko) 2003-05-26 2003-05-26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02U KR200334236Y1 (ko) 2003-05-26 2003-05-26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236Y1 true KR200334236Y1 (ko) 2003-11-21

Family

ID=4934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02U KR200334236Y1 (ko) 2003-05-26 2003-05-26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2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1B1 (ko) 2012-06-29 2013-08-29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유동층 건조기
KR101357756B1 (ko) 2011-02-23 2014-02-04 주식회사 에이피티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KR200479283Y1 (ko) * 2014-12-27 2016-01-14 정상헌 유동층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밥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56B1 (ko) 2011-02-23 2014-02-04 주식회사 에이피티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KR101301621B1 (ko) 2012-06-29 2013-08-29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유동층 건조기
KR200479283Y1 (ko) * 2014-12-27 2016-01-14 정상헌 유동층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밥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53440A (ja) 多室湿式集塵装置
KR200334236Y1 (ko) 유동층(流動層) 건조장치
KR101538784B1 (ko) 악취 및 분진 제거기의 물거름 장치
US6471857B1 (en) Filter apparatus with sand filter bed
KR101872411B1 (ko) 탈취 시스템
US624176A (en) Basin
CN207641987U (zh) 一种气水混合自动喷雾除臭装置
CN205598741U (zh) 一种化工过滤装置
JP4114852B2 (ja) 穀物乾燥機用集塵装置
US381860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fluidized bed and for spraying a fluid upon the whirling particles
JPH11319866A (ja) 浄水装置
KR100550600B1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KR200153191Y1 (ko)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KR100639597B1 (ko) 분뇨처리장치
KR101718415B1 (ko) 메쉬망의 세척이 용이한 유동층 건조기
KR970004063Y1 (ko) 여과장치
FI61466B (fi) Anordning foer att fraon krutkorn avlaegsna oeverskottsgrafit och vid ytbehandlingen uppkommet krutdamm
KR101433275B1 (ko) 준설차의 탈수 세척장치
CN219014807U (zh) 一种谷物烘干机循环清理装置
KR100984068B1 (ko) 항원 공급장치
KR200153070Y1 (ko) 진공발포기
JP3536189B2 (ja) バグフィルタを具えた流動層乾燥機並びにこれを用いたスラリー乾燥システム
JPH0415306Y2 (ko)
JPS5845585Y2 (ja) 粉砕魚肉の連続水晒装置
FI96005B (fi) Menetelmä ja laite hävikin pienentämiseksi leijukerroskäsittelyn yhteydess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2

Year of fee payment: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