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282A -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282A
KR20110050282A KR1020090107190A KR20090107190A KR20110050282A KR 20110050282 A KR20110050282 A KR 20110050282A KR 1020090107190 A KR1020090107190 A KR 1020090107190A KR 20090107190 A KR20090107190 A KR 20090107190A KR 20110050282 A KR20110050282 A KR 2011005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unit
resonance frequency
terminal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222B1 (ko
Inventor
김홍균
Original Assignee
김홍균
유양도
송규진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균, 유양도, 송규진, 이영주 filed Critical 김홍균
Priority to KR102009010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2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함으로써,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착용된 기저귀에 각각 장착되고, 해당 기저귀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싱부; 및 상기 각 기저귀에 장착된 센싱부의 검출신호에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각 코드번호에 따른 검출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기저귀의 배설 여부를 판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비접촉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수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107190
기저귀, 무선, 단말기, 정전용량센서, 코드번호, 후각센서, 컴퓨터, 관리

Description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A DIAPER USING MULTIPLE WIRELESS METHOD}
본 발명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1인이 다수를 관리함으로써,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감지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의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소변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저귀의 소모를 방지하는 한편 컴퓨터와 연동시켜 대소변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 관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가리지 못하는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는 일회용의 팬티형 또는 일자형 종이기저귀나 천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일자형 기저귀나 천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밀폐성과 방수성을 위하여 그 위에 기저귀 카바를 덧 착용하여야 하고, 특히 천기저귀의 경우에는 신속히 교환하여야 하고 재사용을 위하여는 세척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됨으로 인하여 부모 또는 보호자들 대부분은 이 보다는 밀폐성과 흡수성이 뛰어나고 착용하기가 간편한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기저귀에 대한 지나친 믿음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유아들이 대변을 보았을 때 또는 수회의 소변을 보았을 때 조차 그 기저귀의 외면이 방수포로 되어 있어 직접 손으로 기저귀를 만져보거나 기저귀를 수시로 풀어서 확인하지 않는 한, 용변을 시각적이나 후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적시에 교환할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었다.
결국 이로 인하여 대변속의 소화기관에서 분비된 효소들과 소변의 암모니아가 연약한 유아의 피부를 자극하게 되어 기저귀발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초래케함으로써 착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근래에 와서 유아 또는 병약자들을 돌보는 부모 또는 보호자에게 기저귀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기저귀 내면 위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케 부착하거나 기저귀에 일체로 내장되어 용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감지장치는 특히 소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부식될 염려가 있어 쉽게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감지장치는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있어 전술된 문제점과, 기저귀에 장착할 때 기저귀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거나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감지장치는 통상 배설을 감지하여 알람과 같은 소리로써 배설 유무를 확인해 주는 바, 1인이 1인을 관리할 수 있는 맨투맨 감지장치 이므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별도로, 병원의 중환자일 경우, 대소변의 횟수가 중요한 바, 이를 관리하기 위해 보호자, 간병인 또는 간호사가 수기로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차트에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체크한 챠트를 통해 의사가 변동사항을 눈으로 보고 직접 비교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 하였으나, 이 때 환자의 소변과 대변 횟수를 한번에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챠트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에 따라 오진의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존재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인 수분과 직접접촉되지 않아 부식과 고장의 염려가 적고, 1인이 다수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의료용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소변의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의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1인이 다수를 관리함으로써,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소변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비접촉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통해 감지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의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소변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저귀의 소모를 방지하는 한편 컴퓨터와 연동시켜 대소변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 관리할 수 있어 의료관련 보조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착용된 기저귀에 각각 장착되고, 해당 기저귀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싱부; 및 상기 각 기저귀에 장착된 센싱부의 검출신호에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각 코드번호에 따른 검출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기저귀의 배설 여부를 판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비접촉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수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각 센싱부에 코드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코드번호가 저장된 제 1저장부와, 상기 각 센싱부의 정전용량센서로 기준 공진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한 공진소자와, 상기 제 1저장부를 통해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수파수를 선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각 센싱부의 검출 공진주파수와, 공진소자의 기준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 센싱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공진주파수를 셋팅된 시간 단위별로 저장하고, 착용자의 등록정보가 제 2저장부와, 상기 각 센싱부로 기준 공진수파수와 코드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각 센싱부에서 검출된 코드별 검출 공진주파수를 수신받는 제 1통신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공진소자의 기준 공진주파수와, 각 센싱부의 검출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여 배설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각 센싱부는, 코드번호화, 기준 공진주파수를 수신하고,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송신하는 제 2통신부와, 상기 제 2통신부를통해 단말기의 송신된 해당 코드번호만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필터링 하는 필터부와, 수신된 기준 공진주파수를 기초하에 기저귀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감지하여 수분량을 검출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각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제 2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디지탈신호로 전환시키는 신호변환기로 구성되되,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부도체로 구성된 스테이지의 면상에 동일 간격을 갖는 나선형태로 이루어진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의 입력단에는 기준 공진주파수가 입력되고, 출력단에는 검출 공진주파수가 출력되어, 기준 공진주파수와 검출 공진주파수의 위상 차에 의해 수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센싱부는 신호변환부와 연결되는 후각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에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와 연동될 수 있도록 USB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1인이 다수를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배설 유무와, 배설량과, 배설횟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이를 바로 처리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거나 기저귀발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소변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비접촉식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감지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의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변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저귀의 소모를 방지하는 한편, 컴퓨터와 연동시켜 대소변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 관리할 수 있어 의료관련 보조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시스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전용량센서의 스테이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1인이 다수를 관리함으로써,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적어도 2명 이상을 동시관리 할 수 있도록 착용된 기저귀에 각각 장착되는 센싱부(210)와, 상기 각 센싱부(210)에 고유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개별적으로 일시 에 배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단일의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는 1,2저장부(110,111)와, 공진소자(112)와, 식별부(120)와, 제어부(130)와, 제 1통신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공진소자(112)는 센싱부(210)에 내장된 정전용량센서(213)로 기준 공진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LC소자 또는 RLC소자로 이루어지며, 인덕터(L)와, 커패시터(C)의 기준 값에 의해 기준 공진주파수(
Figure 112009068460052-PAT00001
)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저장부(110)는 각 센싱부(210)로 코드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고유 코드번호가 저장되어 있어 구조이다.
상기 제 2저장부(111)는 상기 각 센싱부(210)에서 검출되는 검출 공진주파수를 실시간 또는 셋팅된 시간 단위별로 저장하는 기능하고, 단말기 전용 OS(operating system)가 설치될 수 있으며, OS에는 착용자의 등록정보(이름, 키, 나이, 성별, 신체적 특성, 환자의 병명)가 저장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 1저장부(110), 제 2저장부(111)는 2개의 메모리로 구성되지만, 하나의 메모리에 코드번호 및 OS를 저장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부(120)는 제 1저장부(110)를 통해 고유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선별하여 해당 기저귀(200)의 상태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각 센싱부(210)의 검출 공진주파수와, 공진소 자(112)의 기준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여 해당 기저귀(200)의 배설 유/무를 판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통신부(140)는 공진소자(112)의 기준 공진주파수 및 제 1저장부(110)의 코드번호를 각 센싱부(210)로 송신하고, 상기 각 센싱부(210)에서 검출된 코드번호별 검출 공진주파수를 수신받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 1통신부(140) 및 후술되는 제 2통신부(211)는 지그비(ZigBee)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지그비 모듈은 센서 네트워크에 가장 적합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써, 저전력을 소모하고 노드 확장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외에 적외선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통신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공진소자(112)의 기준 공진주파수와, 각 센싱부(210)의 검출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여 배설 유/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표면에는 초기화버튼(160)과, 작동버튼(17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초기화버튼(160)은 제 2저장부(111)에 실시간 또는 셋팅된 시간 단위별로 저장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초기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버튼(170)은 단말기(100)의 시작, 또는 초기화된 해당 센싱부(210)의 검출 공진주파수를 재수신 받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스피커(180)를 내장하여 배설 유/무를 청각으로 미리 인지하고, 이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해당 기저귀의 배설 유/ 무를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센싱부(210)는 여러 명의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에 착용된 기저귀(200)에 각각 장착되고, 해당 기저귀(200)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센싱부(210)는 제 2통신부(211)와, 필터부(212)와, 정전용량센서(213) 및 신호변환기(214)로 구성된다.
먼저 정전용량센서(213)는 비접촉식으로 기저귀(200)의 수분이 증발되는 감지하는 것으로, 공진소자(112)로부터 수신된 기준 공진주파수를 기초하에 수분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정전용량센서(213)는 부도체로 구성된 스테이지(213a)의 면상에 동일 간격을 갖는 나선형태로 이루어진 회로(213b)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213b)의 입력단(213c)에는 기준 공진주파수가 입력되고, 출력단(213d)에는 검출 공진주파수가 출력되어, 기준 공진주파수와 검출 공진주파수의 위상 차에 의해 수분을 감지한다.
상기 정전용량센서(213)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스테이지(213a)의 면상에 형성된 회로는 동일 간격을 갖는 동심원 구조의 나선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나선형태로 이루어진 회로 동선 상호 간의 간격은 동일하고, 회로의 한쪽 끝은 입력단(213c)이 형성되고, 다른쪽 끝은 출력단(213d)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인접한 회로(213b) 동선의 사이에 수분이 감지되면, 정전용량 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입력단(213c)에서 출력단(213d)으로 갈 수로 변화량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단(213d)으로 출력되는 검출 공진주파수와 기준 공진주파수의 위상차는 점차 커지게 된다.
이러한 위상차는 결국 검출 공진주파수와 기준 공진주파수의 시간차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상기 시간차를 통해 현재 감지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공진주파수와 수분이 없을 때의 검출 공진주파수 간의 위상차에 의한 시간차를 파악한 상태에서, 기준 공진주파수와 현재 측정된 검출 공진주파수의 위상차에 의한 시간차를 측정하면 현재의 수분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 정전용량센서(213)는 스테이지(213a) 면상에 감지되는 수분량에 의해 정전용량을 검출하는 구조이므로, 미량의 수분은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된 정전용량센서(213)는 미량의 수분이 감지된다 하더라도,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회로(213b)를 지나며 인접한 회로 간에 서로 영향을 주어 위상이 큰 검출 공진수파수를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수분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 2통신부(211)는 코드번호를 수신하고,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필터부(212)는 코드번호의 잡음을 제거하거나 해당 코드번호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신호변환기(214)는 상기 정전용량센서(213)에 의해 검출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디지탈신호로 전환시켜 제 2통신부(211)를 통해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10)는 상기 신호변환기(214)와 연동되는 후각센서(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후각센서(215)는 배설물이 대변일 경우, 이를 냄새로써 확인하여 신호변환기(214)와 제 2통신부(211)를 통해 단말기(100)에 기저귀(200)의 교체 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도 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은 1인이 적정 관리 인원수를 증대시켜 관리할 수 있으나, 한 사람이 무난히 관리할 수 있는 적정 인원인 10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 착용된 10명의 기저귀(200)에 다수의 센싱부(210)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 센싱부(210)는 기저귀에 내장시키거나, 별도의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기저귀(2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210)는 제 2통신부(211)를 통해 송/수신해야되는 바, 소형전지(미도시)가 내장되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전원을 ON시켜 제 1저장부(110)의 다양한 고유 코드번호(CODE1 ~ CODE10)와, 공진소자(112)의 기준 공진주파수를 발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기저귀(200)에 장착된 센싱부(210)는 필터부(212)를 통해 잡 음을 제거하고, 해당 고유코드번호를 선별하여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센싱부(210) 중 어느 하나의 센싱부(210)가 필터부(212)를 통해 코드1번이 부여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기초하여 정전용량센서(213)가 검출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때 검출 공진주파수에 코드1번이 부여되여 단말기(100)에서는 코드1번의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발진시키는 센싱부(210)가 1번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코드1번 센싱부(210)의 정전용량센서(213)는 스테이지(213a)를 이용하여 기저귀를 통해 대기중으로 증발되는 공기 중의 수분량 검출하여 검출 공진주파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변화된 수분량은 신호변환기(214)를 통해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검출 공진주파수를 발진주파수로 전환시켜 제 2통신부(211)를 통해 단말기(100)로 송신된다.
단말기(100)에서는 제 1통신부(140)를 통해 코드1번이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검출 공진주파수는 먼저 단말기(100)의 식별부(120)를 통해 코드1번이 부여된 센싱부(210)를 선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0) 상에는 1번 센싱부(210)만이 표시된다.
한편 식별부(120)를 통해 선별된 검출 공진주파수는 제어부(130)가 공진소자의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소변 여부 및 소변량을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판별된 검출 공진주파수는 제 2저장부(111)에 계속에서 축적되어 코 드1번이 부여된 센싱부(210)의 소변 횟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아울러 소변량 또는 소변횟수에 따라 기저귀(200)의 교체여부가 결정됨으로, 소변량이 적거나 소변횟수가 적을 경우 제 2저장부(111)에 축척된 코드1번이 부여된 해당 센싱부(210)의 소변 검출횟수 및 소변량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된다.
이 때 성인일 경우에는, 소변량 및 소변횟수에 관계없이 무조건 검출 공진주파수에 소변이 검출되면, 스피커(180)에서 발생되는 알람 및 진동소자(미도시)에 의해 진동으로 관리자로 하여금 소변이 확인되었음을 인지시켜 준다.
아울러 유아의 경우에는, 소변량이 매우 적은 바, 후술되는 컴퓨터(300) 셋팅에 의해 3번 또는 4번의 소변 횟수에 알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된 1번 센싱부(210)가 장착된 기저귀(200)를 교체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초기화버튼(160)을 눌러 1번 센싱부(210)의 검출된 정보량을 초기화시키고, 작동버튼(170)을 눌러 다시 시작되도록 한다.
이 때 초기화버튼(160)을 눌러 코드번호1번 센싱부(210)의 정보량이 초기화되면, 제 2저장부(111)는 기존의 정보를 백업하여 이후 컴퓨터(300)를 연결시켜 이를 그래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센싱부(210)에는 후각센서(215)가 구비되어 있어, 소변 이외에 배설물 중 배변 여부를 알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코드번호1번의 센싱부(210)가 장착된 기저귀(200)에서 후각센서(215)를 통해 냄새가 확인되면, 이를 신호변환기(214)를 통해 발진주파수로 전환시켜 단말기(100)로 수신받아 제어부(130)를 통해 배변을 판단하고, 바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기되어 관리자가 곧 바로 기저귀(2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알림수단으로써, 전술된 소변의 알람과 다른 알람이 나오도록 세팅하여 소변이 검출될 때와 구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 2실시예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100)는 컴퓨터(300)의 SW와 연동될 수 있도록 USB포트(190)가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에 저장된 해당 기저귀(200)의 배설 정보를 컴퓨터(300)의 SW(310)로 전송하여 DB화시켜 컴퓨터(3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래프 및 표로써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원의 중환자일 경우, 대소변의 횟수가 중요한 바, 컴퓨터(300)의 해당 SW(310)를 통해 의사가 소변과 대변의 변동사항을 그래프나 표로 체크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확인하여 오진의 위험성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의료보조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300)의 키보드를 통해 단말기(100)의 OS에 저장된 각 센싱별 착용자의 등록정보를(이름, 키, 나이, 성별, 신체적 특성, 환자의 병명)편집할 수 있 어, 해당 센싱부(210)의 기저귀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300)의 키보드를 통해 단말기(100)의 제 2저장부(111)에 저장되는 검출 공진주파수의 저장시간을 셋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시스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정전용량센서의 스테이지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
110: 제 1저장부 111: 제 2저장부 112: 공진소자
120: 식별부 130: 제어부 140: 제 1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초기화버튼 170: 작동버튼
180: 스피커 190: USB포트
200: 기저귀
210: 센싱부 211: 제 2통신부 212: 필터부
213: 정전용량센서 213a: 스테이지 213b: 회로
213c: 입력단 213d: 출력단 214: 신호변환기
215: 후각센서
300: 컴퓨터 310: SW

Claims (5)

  1.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하여,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착용된 기저귀에 각각 장착되고, 해당 기저귀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싱부; 및
    상기 각 기저귀에 장착된 센싱부의 검출신호에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각 코드번호에 따른 검출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기저귀의 배설 여부를 판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비접촉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수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각 센싱부에 코드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코드번호가 저장된 제 1저장부와,
    상기 각 센싱부의 정전용량센서로 기준 공진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한 공진소자와,
    상기 제 1저장부를 통해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수파수를 선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각 센싱부의 검출 공진주파수와, 공진소자의 기준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 센싱부에서 검출되는 검출 공진주파수를 셋팅된 시간 단위별로 저장하고, 착용자의 등록정보가 제 2저장부와,
    상기 각 센싱부로 기준 공진수파수와 코드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각 센싱부에서 검출된 코드별 검출 공진주파수를 수신받는 제 1통신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공진소자의 기준 공진주파수와, 각 센싱부의 검출 공진주파수를 비교 처리하여 배설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싱부는,
    코드번호화, 기준 공진주파수를 수신하고, 코드번호가 부여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송신하는 제 2통신부와,
    상기 제 2통신부를통해 단말기의 송신된 해당 코드번호만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수신된 기준 공진주파수를 기초하에 기저귀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감지하여 수분량을 검출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각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 공진주파수를 제 2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디지탈신호로 전환시키는 신호변환기로 구성되되,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부도체로 구성된 스테이지의 면상에 동일 간격을 갖는 나선형태로 이루어진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의 입력단에는 기준 공진주파수가 입력되고, 출력단에는 검출 공진주파수가 출력되어, 기준 공진주파수와 검출 공진주파수의 위상 차에 의해 수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신호변환부와 연결되는 후각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5.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와 연동될 수 있도록 USB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20090107190A 2009-11-06 2009-11-06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108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90A KR101088222B1 (ko) 2009-11-06 2009-11-06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90A KR101088222B1 (ko) 2009-11-06 2009-11-06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82A true KR20110050282A (ko) 2011-05-13
KR101088222B1 KR101088222B1 (ko) 2011-11-30

Family

ID=4436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190A KR101088222B1 (ko) 2009-11-06 2009-11-06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852A (ko) * 2014-12-09 2016-06-17 김시경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16140471A1 (ko) * 2015-03-02 2016-09-09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KR20160129853A (ko) * 2014-03-06 2016-11-09 메델라 홀딩 아게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425B1 (ko) * 2015-03-02 2016-02-23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대소변 감지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853A (ko) * 2014-03-06 2016-11-09 메델라 홀딩 아게 서비스 시스템
KR20160069852A (ko) * 2014-12-09 2016-06-17 김시경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16140471A1 (ko) * 2015-03-02 2016-09-09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CN107580485A (zh) * 2015-03-02 2018-01-12 德川有限公司 便携式大小便检测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222B1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036B2 (en) Incontinence system
KR102262777B1 (ko) 무선 센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30123654A1 (en) Apnea detector and system
US11173073B2 (en) Monitoring incontinence events
WO2011013874A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장치
JP2001161732A (ja) おむつ交換頃合センサー及びおむつ交換頃合検知装置
KR101088222B1 (ko)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U2017284764B2 (en) Diaper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diaper surveillance
KR101027994B1 (ko)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5095949B2 (ja) 乳幼児健康管理/監視装置
US20150356852A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Alerting System
KR101096242B1 (ko) 압력패드를 이용한 낙상 환자 감시시스템
KR20100089445A (ko) 용변 감지장치
Wai et al. Smart wireless continence management system for persons with dementia
JP7313675B2 (ja) 液体検知センサ、検知対象物、及び液体検知システム
KR200374034Y1 (ko) 분뇨 자동 감지 장치
JP2001134726A (ja) サニタリー用センサーシステム
KR2015011158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JP2006102039A (ja) オムツ汚れ検知システム及びオムツ
WO2020026952A1 (ja) 排泄又は放屁検知器
KR100762993B1 (ko) 무선 간호 시스템
JP2000175950A (ja) 糞尿認識手段
WO2019021743A1 (ja) 発報制御システム、検知ユニット、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発報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