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034Y1 - 분뇨 자동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분뇨 자동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034Y1
KR200374034Y1 KR20-2004-0031207U KR20040031207U KR200374034Y1 KR 200374034 Y1 KR200374034 Y1 KR 200374034Y1 KR 20040031207 U KR20040031207 U KR 20040031207U KR 200374034 Y1 KR200374034 Y1 KR 200374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signal
urine
transmitter
ex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박관선
정화식
김문성
김도형
한경욱
김수현
민창욱
Original Assignee
(주)에스와이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와이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와이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4-0031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 A61F2013/8479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including electric or magnetic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분뇨 자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착용자의 대변, 소변, 대소변 동시 배설 상태를 감지하는 분뇨 감지기에서 분뇨 감지 신호를 송신기로 전달하며, 송신기는 분뇨 감지기에서 전달된 분뇨 감지 신호를 해석하여 수신기로 분뇨 알림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기는 송신기의 분뇨 알림 신호를 해석하여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상태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착용자들에게 수치심과 불편함을 대폭 감소시키고, 보호자가 착용자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착용자의 대소변 상태를 알려주어 착용자나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또한대변과 소변, 대소변 동시 배설 상태를 구별하여 주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를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뇨 자동 감지 장치 {SYSTEM FOR SENSING FECES AND URINE}
본 고안은 분뇨 자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변과 소변, 대소변 동시 배설 상태 및 회수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 노인, 환자 등 배뇨 처리를 스스로 할 수 없는 사람들은 보호자의 도움으로 대소변을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유아, 노인, 환자 등에게 기저귀를 착용시키고 수시로 기저귀를 갈아주어 대소변을 처리해준다.
이때, 보호자는 대소변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유아, 노인, 환자 등의 기저귀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야 하므로 특정 색체가 인쇄된 기저귀를 사용하여 대소변의 흡수에 따라 변색되는 것을 보고 기저귀의 상태를 확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특정 색체가 인쇄된 기저귀는 일반 기저귀나 속옷에 사용할 수 없는 일회성이고, 보호자가 유아, 노인, 환자 등의 하의를 벗긴 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기저귀에 수분센서를 장착하여 대소변시 경고음을 울려주는 기저귀는 하의를 벗길 필요없이 경고음을 통해 대소변의 유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지만 경고음으로 소음, 노인이나 환자 등에게 수치심을 줄 수 있고, 보호자가 항시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원격방식의 배뇨 탐지 장치가 고안되었지만, 이 무선원격방식의 배뇨 탐지 장치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감지할 수 없어 적은 양의 1회 소변에도 신호가 발생되는데 보통 기저귀의 경우 소변의 경우 2회 내지 3회 정도의 양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 양이나 회수에 따라 더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기저귀보다 고가의 제품이지만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환자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변과 소변, 대소변의 배설 종류와 배설 회수 등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으며 장치의 이상 유무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송신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수신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기저귀와 함께 착용자의 대변과 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각각 위치되어 착용자의 대변 배설과 소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와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분뇨 감지기; 상기 분뇨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 감지 신호와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대변 알림 신호와 소변 알림 신호, 대변과 소변 회수 정보를 생성 출력하고,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분뇨 확인이 종료되면 분뇨 알림 해제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분뇨 감지기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 동작 시 이상 동작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 알림 신호와 소변 알림 신호 및 대변과 소변 회수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대소변 상태 및 회수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수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뇨 감지기는, 상기 기저귀와 함께 착용이 가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되어 소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1 센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대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되어 대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대변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usb, 폰잭, 모듈라잭, IEEE139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분뇨 감지기에서 대변 및/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 또는 분뇨 확인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해석하여 대변 또는 소변을 구별하여 대변 또는 소변 알림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대변 또는 소변 회수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분뇨 확인 신호에 따라 이전의 분뇨 알림 동작을 해제하고 대소변의 배설 감지 동작을 재시작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에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대변 또는 소변 알림 신호와 대변 또는 소변 회수 정보 및 호출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대변 또는 소변 알림이나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의 재시작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착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호출 스위치; 및 상기 착용자나 사용자가 대소변의 배설 상태를 확인한 후에 눌러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의 재시작을 지시하는 확인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는 오작동 방지를 위해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기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코인형 수은전지, 리튬전지, AA형 또는 AAA형 전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현재 시간 및 분뇨 배설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뇨 감지기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분뇨 감지기와 상기 송신기의 연결상태 및 상기 분료 감지기의 감지 동작, 상기 전원부의 전지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자가 진단 결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LED 및/또는 LC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분뇨 알림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서 원하는 대역대의 신호로 필터링하는 SAW 필터; 상기 SAW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대변 또는 소변을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상태를 표시하도록 분뇨 표시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가 전달되면 분뇨 표시 해제 동작을 지시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의 분뇨 표시 신호를 전달받아 온(ON)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준 후에 상기 제어부의 분뇨 표시 해제 지시에 따라 오프(OFF) 동작되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분뇨 표시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누름 동작하여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확인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기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현재 시간 및 분뇨 배설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LED 및/또는 LCD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진동, 부저(BUZZER), 또는 스피커로 구성된 음향발생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송신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 전지 상태와 같은 수신기 동작의 이상 유무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지 교환 시 상기 시계부의 동작 및 이전 정보를 유지하고, 전지 잔량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송신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수신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분뇨 감지기(10), 송신기(20), 및 수신기(30)를 포함한다.
분뇨 감지기(10)는 지지대(11), 제1 및 제2 센서(13, 15), 및 커넥터(17)로 구성되는데, 지지대(11)는 기저귀와 함께 착용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센서(13, 15)는 지지대에서 착용자의 대변 및 소변의 배설 예상 영역에 장착되 대변 또는 소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분뇨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커넥터(17)는 지지대(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송신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센서(13, 15)로부터 분뇨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송신기(20)로 전달한다.
송신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21), 신호처리부(22), 호출 스위치(23), 확인스위치(24), 제어부(25), 송신부(26), LED 표시부(27)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원부(21)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고, 신호 처리부(22)는 커넥터(17)를 통해 제1 및 제2 센서(13, 15)로부터 분뇨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25)에 전달한다.
호출 스위치(23)는 착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확인 스위치(24)는 착용자나 사용자가 대소변의 배설 상태를 확인한 후에 누르게 되면 이전의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이 해제되고 새로운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의 재시작을 지시하게 된다.
호출 스위치(23) 및 확인 스위치(24)는 오작동 방지를 위해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5)는 신호처리부(22)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분뇨 알림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호출 스위치(23)에서 호출 신호가 전달되면 이를 수신기(30)로 전달하며, 확인 스위치(24)로부터 분뇨 확인 신호가 전달되면 이전의 분뇨 알림 동작을 해제하고 대소변의 배설 감지 동작을 재시작한다.
또한, 제어부(25)는 전원부(21)에 전지 교체시 제1 및 제2 센서(13, 15)가 정상 동작하는지, 전원부(21)의 전지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자가 진단 결과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신기(30)로 출력한다. 제어부(25)의 자가 진단은 전원이 온 될 때, 분뇨감지기와 송신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또는 일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제1 센서(13)와 제2 센서(15)에서 출력되는 분뇨 감지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고, 대소변의 배설 회수를 판단하여 분뇨 알림 신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송신부(26)는 제어부(25)로부터 분뇨 알림 신호나 호출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수신기(30)로 전송하고, LED 표시부(27)는 제어부의 분뇨 알림 신호에 의해 착용자나 착용자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대소변의 유무를 알려준다.
이때, LED 표시부(27)는 제어부(25)가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을 재시작할 경우에 깜빡거리는 동작으로 착용자에게 시스템 재사용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
수신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31), SAW 필터(32), 수신부(33), 수신제어부(34), 디스플레이부, 음향발생부(36), 및 확인스위치(37)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 LCD 디스플레이창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에서는 LCD 표시부(35)로 표시한다.
전원부(31)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고, SAW 필터(32)는 송신기(20)로부터 분뇨 알림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서 원하는 대역대의 신호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수신부(33)는 SAW 필터(3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SAW 필터(3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 위상고정루프(Phase Locked Loop), 혼합기(Mixer)를 거쳐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에 복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수신제어부(34)는 수신부(33)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대변, 소변의 종류와 배설 회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분뇨 알림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가 전달되면 분뇨 표시 해제 동작을 지시한다.
이때, 수신제어부(34)는 수신부(33)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대변 알림 신호인지 소변 알림 신호인지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배설 회수를 사용자에게 진동,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수신 제어부(34)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LCD 표시부(35)는 소변 대변의 종류와 회수가 디스플레이되고, 해당하는 음향이 음향발생부(36)를 통해 출력된다.
수신제어부(34)는 전원부(31)가 온(ON) 동작되거나 일정 시간을 주기로 송신기(20)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 전지 상태와 같은 자가 진단을 실시하여 이상 여부가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전원부(31)의 전지 교환 시 시계 동작 및 이전 정보가 유지되도록 하며, 전지 잔량 검출 기능을 수행한다.
LCD 표시부(35)는 수신제어부(34)의 분뇨 표시 신호를 전달받아 온(ON)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수신제어부(34)의 제어 동작에 의해 전지 잔량 상태, 또는 시스템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알려주기도 한다.
음향 발생부(36)는 수신제어부(34)의 분뇨 표시 신호를 전달받아 온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LCD 표시부(35)와 음향 발생부(36)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수신제어부(34)의 분뇨 표시 해제 지시에 따라 오프(OFF)동작되거나, 사용자가 확인 스위치(37)를 누르게 되면 오프 동작된다.
확인 스위치(37)는 사용자가 LCD 표시부(35) 또는 음향 발생부(36)의 분뇨 표시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을 확인한 후에 누름 동작하면 확인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제어부(34)로 전달된다.
한편, 사용자는 수신기(30)의 확인 스위치(37)를 일정 시간 이상 누름 동작하거나 2회 연속 누름 동작 한 후에 송신기(20)의 확인 스위치를 누르게면, 송신기의 고유 식별 정보(ID) 또는 송신기에 내장된 특정 정보가 수신기(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6)과 수신부(33)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는 내장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유아, 노인, 환자 등의 보호자로서 분뇨 감지기(10)가 장착된 기저귀, 또는 분뇨 감지기(10)를 기저귀와 함께 착용자에게 착용시키고, 수신기(30)를 사용자 자신이 소지하거나 자신의 주변에 위치시킨다.
분뇨 감지기(10)는 송신기(20)와 커넥터(17)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송신기(20)는 착용자의 신체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와 근접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1 및 제2 센서(13, 15)는 착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의 배설이 감지되면 분뇨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로 전달하고, 제어부(25)는 분뇨 감지 신호에 따라 대변과 소변의 종류와 대변과 소변의 회수를 구분한 분뇨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26)를 통해 수신기(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5)는 LED 표시부(27)를 통해 착용자나 착용자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대소변의 배설을 알린다. 이때, 사용자나 착용자, 또는 주변의 사람이 확인 스위치(24)를 누르게 되면 배뇨 확인 신호가 제어부(25)로 전달되고, 제어부(25)는 배뇨 확인 신호에 따라 이전의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을 해제하고 새로운 대소별 배설 감지 동작을 재시작하도록 한다.
한편, 착용자가 대소변 배설 후 일정 시간 사용자(보호자)가 오지 않거나 불편함을 알리기 위해 호출 스위치(23)를 누르게 되면 호출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5)로 전달되고, 제어부(25)는 호출 신호를 송신부(26)를 통해 수신기(30)로 전송한다.
수신기(30)의 수신제어부(34)는 SAW 필터(32)와 수신부(33)를 거쳐 송신기(20)로부터 배뇨 알림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해석하여 대변, 소변, 대소변 배설 회수 등을 구분하여 LCD 표시부(35)에 표시하거나 음향 발생부(36)를 통해 소리 출력되도록 한다. 또는 수신제어부(34)는 진동으로 착용자의 배설 상태를 알려줄 수도 있다.
이렇게 착용자의 대변, 소변의 종류와 대변과 소변의 회수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면, 사용자는 대변이나 대소변 동시 배설 상태일 경우에 신속하게 착용자의 기저귀를 갈아줄 수 있고, 소변만 배설한 상태일 경우 소변 배설 회수에 따라 소변 배설 양을 가늠하여 시간적 여유를 두고 착용자의 기저귀를 갈아줄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스위치(37)를 누르면 수신제어부(34)는 LCD 표시부(35)나 음향 발생부(36)를 오프 동작시키고 사용자가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상태를 인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수신제어부(34)는 송신기(20)로부터 호출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도 LCD 표시부(35), 음향 발생부(36),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호출 여부를 알린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와 송신기는 시계부를 각각 포함하여 현재 시간과 분뇨 배설 시간이 표시되므로써 사용자가 배설 시간 및 현재 시간을 확인하여 기저귀를 교환할 때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유아, 노인, 환자 등에게 수치심이나 불편함을 대폭 감소시키면서 보호자가 편리하게 대소변의 배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착용자들에게 수치심과 불편함을 대폭 감소시키고, 보호자가 착용자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착용자의 대변과 소변의 배설 여부와 배설 회수를 구분하여 알려주어 착용자나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뇨 자동 감지 장치는 대변과 소변, 대소변 동시 배설 및 배설 회수를 구별하여 알려주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를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초 소형의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착용감과 사용 시 편리성을 증진시키며 송수신기의 자가진단기능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빠르고 용이하게 이를 파악하여 이상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송수신기에 시계 기능을 구비하고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기저귀와 함께 착용자의 대변과 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각각 위치되어 착용자의 대변 배설과 소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와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분뇨 감지기;
    상기 분뇨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 감지 신호와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대변 알림 신호와 소변 알림 신호, 대변과 소변 회수 정보를 생성 출력하고,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분뇨 확인이 종료되면 분뇨 알림 해제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분뇨 감지기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 동작 시 이상 동작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대변 알림 신호와 소변 알림 신호 및 대변과 소변 회수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대소변 상태 및 회수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수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감지기는,
    상기 기저귀와 함께 착용이 가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소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되어 소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소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1 센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대변 배설 예상 영역에 위치되어 대변의 배설을 감지하여 대변 감지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대변 및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usb, 폰잭, 모듈라잭, IEEE139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분뇨 감지기에서 대변 및/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 또는 분뇨 확인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해석하여 대변 또는 소변을 구별하여 대변 또는 소변 알림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대변 또는 소변 회수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분뇨 확인 신호에 따라 이전의 분뇨 알림 동작을 해제하고 대소변의 배설 감지 동작을 재시작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부의 호출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에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대변 또는 소변 알림 신호와 대변 또는 소변 회수 정보 및 호출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대변 또는 소변 알림이나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의 재시작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착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호출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호출 스위치; 및
    상기 착용자나 사용자가 대소변의 배설 상태를 확인한 후에 눌러 대소변 배설 감지 동작의 재시작을 지시하는 확인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오작동 방지를 위해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코인형 수은전지, 리튬전지, AA형 또는 AAA형 전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9.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뇨 감지기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분뇨 감지기와 상기 송신기의 연결상태 및 상기 분료 감지기의 감지 동작, 상기 전원부의 전지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자가 진단 결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입력될 때, 분뇨 감지기와 송신기 연결 시 및/또는 일정 주기로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ED 및/또는 LC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분뇨 알림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서 원하는 대역대의 신호로 필터링하는 SAW 필터;
    상기 SAW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대변 또는 소변을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 상태를 표시하도록 분뇨 표시 신호를 생성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가 전달되면 분뇨 표시 해제 동작을 지시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의 분뇨 표시 신호를 전달받아 온(ON)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준 후에 상기 제어부의 분뇨 표시 해제 지시에 따라 오프(OFF) 동작되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분뇨 표시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대소변 배설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누름 동작하여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확인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교체 가능한 전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LED 및/또는 LCD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진동, 부저(BUZZER), 또는 스피커로 구성된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현재 시간 및 분뇨 배설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송신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 전지 상태와 같은 수신기 동작의 이상 유무에 대한 자가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7. 제13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지 교환 시 상기 시계부의 동작 및 이전 정보가 유지되도록 하고, 전지 잔량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는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19. 제4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확인 스위치를 일정 시간 이상 누름 동작하거나 2회 연속 누름 동작 한 후에 상기 송신기의 확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송신기의 고유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송신기에 내장된 특정 정보가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전원이 입력될 때 및/또는 일정 주기로 상기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현재 시간 및 분뇨 배설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자동 감지 장치.
KR20-2004-0031207U 2004-11-04 2004-11-04 분뇨 자동 감지 장치 KR200374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207U KR200374034Y1 (ko) 2004-11-04 2004-11-04 분뇨 자동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207U KR200374034Y1 (ko) 2004-11-04 2004-11-04 분뇨 자동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034Y1 true KR200374034Y1 (ko) 2005-01-27

Family

ID=4944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207U KR200374034Y1 (ko) 2004-11-04 2004-11-04 분뇨 자동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03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40B1 (ko) * 2007-12-04 2010-06-25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대소변 감지시스템
KR100995966B1 (ko) * 2010-05-19 2010-11-22 김동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KR101152348B1 (ko) 2010-04-19 2012-06-11 (주)아이티헬스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대소변 감지장치
KR101260997B1 (ko) * 2010-03-25 2013-05-29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장치
KR20140039941A (ko) * 2012-09-25 2014-04-02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20140084060A (ko) * 2011-10-28 2014-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신체 삼출물 검출을 위한 센서 어레이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20140084056A (ko) * 2011-10-28 2014-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전자식 판별 장치
WO2017104970A1 (ko) * 2015-12-18 2017-06-22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40B1 (ko) * 2007-12-04 2010-06-25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대소변 감지시스템
KR101260997B1 (ko) * 2010-03-25 2013-05-29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전극을 가진 정전용량형 대소변 감지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장치
KR101152348B1 (ko) 2010-04-19 2012-06-11 (주)아이티헬스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대소변 감지장치
KR100995966B1 (ko) * 2010-05-19 2010-11-22 김동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WO2011145787A1 (ko) * 2010-05-19 2011-11-24 Kim Dong-Gyu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KR20140084060A (ko) * 2011-10-28 2014-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신체 삼출물 검출을 위한 센서 어레이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20140084056A (ko) * 2011-10-28 2014-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전자식 판별 장치
KR101997940B1 (ko) 2011-10-28 2019-07-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전자식 판별 장치
KR101998901B1 (ko) 2011-10-28 2019-07-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신체 삼출물 검출을 위한 센서 어레이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신호화 디바이스
KR20140039941A (ko) * 2012-09-25 2014-04-02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102008020B1 (ko) 2012-09-25 2019-10-28 주식회사 광세로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WO2017104970A1 (ko) * 2015-12-18 2017-06-22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529A1 (en) Remote monitoring of absorbent article
JP2013534839A (ja) 排便・排尿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449196Y1 (ko) 배뇨변 감지 호출장치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KR100950864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장치
JP2009537288A (ja) 非侵襲性生命兆候監視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JP2006296566A (ja) おむつ及び排泄検出装置
KR101292186B1 (ko)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KR200374034Y1 (ko) 분뇨 자동 감지 장치
KR101119637B1 (ko)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JP3147110U (ja) おむつセンサ装置
JP2019520964A (ja) おむつセンサ装置およびおむつ監視システム
KR101686992B1 (ko) 용변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변알림 시스템
KR20160077373A (ko)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220017248A (ko) 탈부착형 기저귀 대소변 감지 무선 호출 시스템
KR20190030492A (ko)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한 대소변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대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KR20110034751A (ko)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KR101057134B1 (ko) 기저귀용 분뇨 검출장치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20110050282A (ko)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