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37B1 -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37B1
KR101778637B1 KR1020160184585A KR20160184585A KR101778637B1 KR 101778637 B1 KR101778637 B1 KR 101778637B1 KR 1020160184585 A KR1020160184585 A KR 1020160184585A KR 20160184585 A KR20160184585 A KR 20160184585A KR 101778637 B1 KR101778637 B1 KR 10177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baby
crying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락곤
한원섭
정상명
한지현
김윤주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프로차일드
Priority to KR102016018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Humidity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의복에 착탈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유아의 체온, 심박 안정 상태, 배변활동 및 수면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고,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유아 상태 알림이 가능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Wearable device configured in clothing and baby condi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의복에 착탈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유아의 체온, 심박 안정 상태, 배변활동 및 수면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고,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유아 상태 알림이 가능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기저귀에서 용변을 감지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발명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7806호(발명의 명칭 : 기저귀에 부착되는 소변감지센서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을 송출하는 알람장치(80)와,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감지센서(71)가 설치된 기저귀(70)에 있어서,
상기 소변감지센서(7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박막의 실리콘 재질의 시트(72)와, 상기 시트(7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 형태로 코팅되어 소변과의 접촉 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장치(80)에 소변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내지 제 4 전극필름(74a~74d)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3 전극필름(74a)(74c)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알람장치 (80)와 연결되는 제 1 단자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제 4 전극필름(74b)(74d)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장치(80)와 연결되는 제 2 단자부(7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에 부착되는 소변감지센서인 것이며, 이러한 인용발명은 소변이 소변감지센서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저귀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재질을 아무리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하여도 생식기에 집접 접촉하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저귀의 착용감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기저귀와의 일체형으로만 가능하게 되어 기저귀의 단가를 증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자녀 가정이 늘면서 처음 아이를 기르는 초보 부모의 경우 유아 울음의 원인이나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아기가 우는 이유를 파악하거나 아기의 건강 상태, 위험 상태 등을 즉각적으로 알리거나 위험을 경고하는 등의 전문 알림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78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전문적인 알림 시스템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대소변 구별이 가능하고, 유아의 대소변뿐만 아니라 체온변화, 심박 안정 상태 및 수면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여 이상 상태 또는 위험을 판단하여 구체적인 알림이 가능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저귀에 탈부착 되어 기저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배변감지부와; 의복 착용 후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와, 심박을 센싱하는 심박센서와;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의복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고정구가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의복에 내장되며, 상기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전선과; 상기 의복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부에 착탈되고, 접속부의 접속고정구를 통해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심박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센서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는 소리센서와, 아기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 센서부와,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아기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하는 판단프로세서가 구성된 판단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구성되되,
상기 판단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인식부가 구성되고; 상기 판단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배변 인식 시 기저귀 교체 알림을 실시하는 배변모니터링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유 인식 시 수유 알림을 실시하는 수유모니터링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면 인식 시 수면 알림을 실시하는 수면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울음 인식 시 수유스케줄, 수면스케줄, 배변카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배고픔, 졸림, 불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소리센서, 시각센서, 모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불안 상태를 판단하며, 체온센서,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울음의 이유를 분석하는 울음식별부, 상기 울음식별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을 실시하는 울음모니터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성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의 외부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저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여 배변을 감지하는 배변감지부와; 의복의 겨드랑이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와; 의복의 내측에 구비되어 의복 착용 시 가슴에서 심박을 센싱하는 심박센서와; 연질로 형성되어 의복에 내장되며,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고정구가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의복에 내장되는 내장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착탈되고, 접속부의 접속고정구를 통해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심박센서 등의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센서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는 소리센서와, 아기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 센서부가 구비되고,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배변, 수유, 수면, 울음을 인식하여 아기가 울 때 배변, 수유, 수면 패턴에 따라 아기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하며,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성을 판단하는 판단프로세서가 구성된 판단부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구성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판단프로세서의 판단에 따른 기저귀 교체 알림, 수유 알림, 수면 알림, 아기 울음의 원인 알림, 건강상태 알림, 위험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을 각각 ON/OFF 제어하는 알림앱과,
상기 알림앱이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작동하며, 아기별로 아기의 신상정보와, 아기 상태 정보와, 환경 상태 정보와, 울음, 배변, 수유, 수면 전 후의 아기 상태 정보를 패턴화 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아기 울음을 인식하면 상기 알림앱으로 아기 울음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울음 멈춤 여부를 피드백 받아 아기 울음의 원인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육아AI가 구성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가 유아 상태 정보 및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여 유해성을 판단하고 알림을 실시하여 유아의 건강을 저해할 수 있는 이상 상태의 지속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위험 환경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아기 울음의 원인 파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아기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4,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는 기저귀의 외부에 탈부착 되도록 하는 탈착부가 일면에 구비되고, 기저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가 구비된 배변감지부(100)와,
의복(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의복(10) 착용 시 겨드랑이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200)와, 상기 의복(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의복(10) 착용 시 가슴에서 심박을 센싱하는 심박센서(300)와,
연질로 형성되어 의복(10)에 내장되며, 상기 배변감지부(100), 체온센서(200) 및 심박센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고정구(410)가 구성된 접속부(400)와,
의복(10)에 내장되며, 상기 체온센서(200) 및 심박센서(300)와 상기 접속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전선(500)과,
의복(10)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부(400)에 착탈되고, 접속부(400)의 접속고정구(410)를 통해 상기 배변감지부(100), 체온센서(200), 심박센서(300) 등의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센서(620)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는 소리센서(630)와, 아기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센서부(640)와,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배변, 수유, 수면, 울음을 인식하여 아기가 울 때 배변, 수유, 수면 패턴에 따라 아기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하며,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성을 판단하는 판단프로세서(650)가 구성된 판단부(6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66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부(66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판단프로세서(650)의 판단에 따른 기저귀 교체 알림, 수유 알림, 수면 알림, 아기 울음의 원인 알림, 건강상태 알림, 위험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을 각각 ON/OFF 제어하는 알림앱(700)과,
상기 알림앱(700)이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작동하며, 아기별로 아기의 신상정보와, 아기 상태 정보와, 환경 상태 정보와, 울음, 배변, 수유, 수면 전 후의 아기 상태 정보를 패턴화 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아기 울음을 인식하면 상기 알림앱(700)으로 아기 울음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울음 멈춤 여부를 피드백 받아 아기 울음의 원인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육아AI(Artificial Intelligence : 8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아기의 체온과 심박 데이터를 센싱하는 체온센서(200)와 심박센서(300)가 접속부(400)와 함께 의복(10)에 내장되고, 자주 교체될 수 있는 기저귀에 장착되는 배변감지부(100)는 접속부(400) 또는 판단부(600)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배변감지부(100)가 판단부(600)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600)는 의복(10)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부(400)에 착탈될 수 있어서 의복(10)의 세탁 시 또는 의복(10)의 교체 시 분리되어 아기에 착용된 의복(10)에 설치가 용이하며, 이와 같이 판단부(60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접속부(400)의 접속고정구(410)는 도 3과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센서에 연결된 내장전선(500)과 접속된 스냅단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냅단추의 소켓이 접속부(400)에 구성되면 판단부(600)에는 상기 소켓에 체결되고 판단프로세서(650)의 입출력과 연결된 볼(접속구(610)에 해당함)이 형성되거나, 스냅단추의 볼이 접속부(400)에 구성되면 판단부(600)에는 상기 볼이 삽입될 수 있으며 판단프로세서(650)의 입출력과 연결된 소켓(접속구(610)에 해당함)이 형성될 수 있어서, 스냅단추의 소켓과 볼이 결합되면 센서와 판단프로세서(650)가 연결되고 스냅단추의 소캣과 볼이 분리되면 센서와 판단프로세서(650)의 접속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정적인 접속을 위하여 상기 접속고정구(4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해 접속부(400)에 판단부(600)를 고정시키는 자성체(411)와, 상기 자성체(411)에 의해 판단부(600)가 접속부(400)에 고정 시 판단부(600)의 단자와 내장전선(500)를 접속시키는 접속단자(412)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판단부(600)는 아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620)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여 아기의 울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주면 소음을 센싱하는 소리센서(630)와, 아기의 주위 환경의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센서부(640)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울음, 배변, 수유, 수면 및 위험을 판단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판단프로세서(650)와, 상기 판단프로세서(650)의 판단 결과 또는 알림에 대한 데이터를 설정된 단말기나 서버로 통신하여 송수신하는 통신부(66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70),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680)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환경센서부(640)는 아기 주변의 기온과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와, 자외선을 센싱하는 UV센서와, 기압을 센싱하는 기압센서와, 주위 밝기 및 물체의 접근을 센싱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시각센서(641) 등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센서부(640)가 아기 주변에 대한 정보 수집이 용이하도록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어께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프로세서(650)는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울음, 배변, 움직임, 수유, 수면, 위험 등을 이벤트로 인식하는 이벤트인식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배변 인식 시 대소변을 구별하여 배변카운트를 카운트하고, 설정값과 비교하여 배변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통신부(660)를 통해 상기 알림앱(700), 육아AI(800) 또는 부모의 휴대이동통신단말기에 기저귀 교체 알림을 실시하는 배변모니터링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유 인식 시 수유 시간, 수유 횟수, 수유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수유 스케줄을 생성하여 다음 수유 전에 상기 통신부(660)를 통해 상기 알림앱(700), 육아AI(800) 또는 부모의 휴대이동통신단말기에 수유 알림을 실시하는 수유모니터링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면 인식 시 수면 시간, 숙면 시간, 수면 횟수, 수면 주기, 수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고, 수면 스케줄을 생성하여 다음 수면 전에 상기 통신부(660)를 통해 상기 알림앱(700), 육아AI(800) 또는 부모의 휴대이동통신단말기에 수면 알림을 실시하는 수면모니터링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울음 인식 시 수유스케줄, 수면스케줄, 배변카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배고픔, 졸림, 불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소리센서(630), 시각센서(641), 모션센서(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불안 상태를 판단하며, 체온센서(200), 심박센서(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울음의 이유를 분석하는 울음식별부와,
상기 울음식별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660)를 통해 상기 알림앱(700), 육아AI(800) 또는 부모의 휴대이동통신단말기에 수유, 수면, 배변, 불안, 건강 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림을 실시하는 울음모니터링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위험 인식 시 상기 통신부(660)를 통해 상기 알림앱(700), 육아AI(800) 또는 부모의 휴대이동통신단말기에 위험을 판단한 센서데이터와 함께 위험 상태 알림을 실시하는 위험모니터링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단프로세서(650)는 이벤트인식부가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배변, 수유, 수면, 울음, 위험 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배변감지부(100)가 온습도센서를 통해 센싱한 센서데이터에 의해 배변 인식이 가능하고, 엄마가 아기를 안거나 내려놓을 때의 시각센서(641) 및 모션센서(620)의 센서데이터와 아기가 젖을 빠는 소리를 센싱한 소리센서(630)의 센서데이터를 통해 수유를 인식할 수 있으며, 수면상태의 체온과 심박 패턴을 저장하여 체온센서(200), 심박센서(300)의 센서데이터와 비교하고 모션센서(620)를 통해 센싱한 아기의 움직임과 소리센서(630)를 통해 센싱한 아기의 호흡소리를 통해 수면 인식 및 더 나아가 숙면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소리센서(630)로 울음소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급격한 심장박동 변화 및 평상시 심장박동값의 범위를 넘거나 미달하는 센서데이터, 급격한 체온 변화 및 정상 체온의 범위를 넘거나 미달하는 센서데이터, 체온과 기온의 차이가 큰 경우, 아기 주변 자외선 지수가 높은 환경, 모션센서(620) 육축센서를 통해 센싱한 아기의 뒤집힘 상태, 시각센서(641)에 의해 급격한 물체접근 센싱 등과 같은 경우 위험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인식부가 배변, 수유, 수면, 울음, 위험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면 각각의 모니터링부가 상세한 배변 알림을 실시하고 기저귀 교체시기를 알려주며, 아기의 수유 주기 및 수유 패턴에 따라 수유 스케줄을 생성하여 수유 시점에 미리 수유 알림을 할 수 있고, 아기의 수면 주기 수면량 및 수면 패턴에 따라 수면 스케줄을 생성하여 아기에게 필요한 수면 시간, 수면 주기, 수면 시점 등을 상세하게 알림할 수 있으며, 특히 아기가 우는 경우 수면 스케줄, 수면 스케줄, 배변카운트 등을 확인하여 배가 고파서 우는 것인지, 졸려서 우는 것인지, 기저귀가 축축하여 불편해서 우는 것인지, 주변 소음이 없거나, 엄마가 보이지 않아서 불안해서 우는 것인지, 열나거나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뛰는 등의 아파서 우는 것인지 등을 상세하게 알림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프로세서(650)의 이벤트인식부, 울음식별부 및 각각의 모니터링부 등은 판단부(600)에만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알림앱(700)과 육아AI(800)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육아AI(800)에 구성되는 경우 아기별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해당 아기의 특성에 따른 맞춤 알림이 가능하고, 다른 아기들과의 비교가 가능하여 다른 아기들의 센서데이터 및 인식데이터, 판단데이터 등에 의해 더 효과적인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의복 100:배변감지부 200:체온센서
300:심박센서 400:접속부 410:접속고정구
411:자성체 412:접속단자 500:내장전선
600:판단부 610:접속구 620:모션센서
630:소리센서 640:환경센서부 641:시각센서
650:판단프로세서 660:통신부 670:배터리
680:메모리 700:알림앱 800:육아AI

Claims (8)

  1. 기저귀에 탈부착 되어 기저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배변감지부와,
    의복 착용 후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와, 심박을 센싱하는 심박센서와,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의복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고정구가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의복에 내장되며, 상기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전선과,
    상기 의복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부에 착탈되고, 접속부의 접속고정구를 통해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심박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센서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는 소리센서와, 아기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 센서부와,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아기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하는 판단프로세서가 구성된 판단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구성되되,
    상기 판단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인식부가 구성되고,
    상기 판단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배변 인식 시 기저귀 교체 알림을 실시하는 배변모니터링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유 인식 시 수유 알림을 실시하는 수유모니터링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수면 인식 시 수면 알림을 실시하는 수면모니터링부, 및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울음 인식 시 수유스케줄, 수면스케줄, 배변카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배고픔, 졸림, 불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소리센서, 시각센서, 모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불안 상태를 판단하며, 체온센서, 심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데이터에 의해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 울음의 이유를 분석하는 울음식별부, 상기 울음식별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을 실시하는 울음모니터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고정구는 자력에 의해 접속부에 판단부를 고정시키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의해 판단부가 접속부에 고정 시 판단부의 단자 내장전선를 접속시키는 접속단자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부는 기온과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와, 자외선을 센싱하는 UV센서와, 기압을 센싱하는 기압센서와, 주위 밝기 및 물체의 접근을 센싱하는 시각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프로세서는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울음, 배변, 움직임, 수유, 수면, 위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벤트로 인식하는 이벤트인식부와,
    상기 이벤트인식부가 인식한 이벤트 중 위험 인식 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험을 판단한 센서데이터와 함께 위험 상태 알림을 실시하는 위험모니터링부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8. 기저귀의 외부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저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여 배변을 감지하는 배변감지부와; 의복의 겨드랑이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와; 의복의 내측에 구비되어 의복 착용 시 가슴에서 심박을 센싱하는 심박센서와; 연질로 형성되어 의복에 내장되며,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고정구가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체온센서 및 심박센서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의복에 내장되는 내장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착탈되고, 접속부의 접속고정구를 통해 상기 배변감지부, 체온센서, 심박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센서와, 아기의 울음소리를 센싱하는 소리센서와, 아기 주변의 환경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환경 센서부가 구비되고, 센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배변, 수유, 수면, 울음을 인식하여 아기가 울 때 배변, 수유, 수면 패턴에 따라 아기에게 필요한 사항을 판단하며,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성을 판단하는 판단프로세서가 구성된 판단부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구성된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판단프로세서의 판단에 따른 기저귀 교체 알림, 수유 알림, 수면 알림, 아기 울음의 원인 알림, 건강상태 알림, 위험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을 각각 ON/OFF 제어하는 알림앱과,
    상기 알림앱이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서 작동하며, 아기별로 아기의 신상정보와, 아기 상태 정보와, 환경 상태 정보와, 울음, 배변, 수유, 수면 전 후의 아기 상태 정보를 패턴화 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아기 울음을 인식하면 상기 알림앱으로 아기 울음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울음 멈춤 여부를 피드백 받는 육아AI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KR1020160184585A 2016-12-31 2016-12-31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KR10177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585A KR101778637B1 (ko) 2016-12-31 2016-12-31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585A KR101778637B1 (ko) 2016-12-31 2016-12-31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637B1 true KR101778637B1 (ko) 2017-09-14

Family

ID=5992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585A KR101778637B1 (ko) 2016-12-31 2016-12-31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9227A (zh) * 2019-04-04 2019-06-14 江苏创品工业设计有限公司 基于iot技术的母婴产品智能系统
KR20200055467A (ko) * 2018-11-13 2020-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목걸이 타입 웨어러블 기기
KR102170250B1 (ko) * 2020-05-21 2020-10-30 (주)니유컴퍼니 생활약자 모니터링 및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의류
CN112069949A (zh) * 2020-08-25 2020-12-11 开放智能机器(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婴儿睡眠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2107432A (zh) * 2019-06-21 2020-12-2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及存储介质
KR20230134686A (ko) * 2022-03-15 2023-09-22 임윤재 수면 장갑 및 이를 사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US11986279B2 (en) 2020-04-23 2024-05-21 Aneesh SONI Wearable heart rate monitoring device for infa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14B1 (ko) * 2015-09-25 2016-12-01 (주)프로차일드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14B1 (ko) * 2015-09-25 2016-12-01 (주)프로차일드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67A (ko) * 2018-11-13 2020-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목걸이 타입 웨어러블 기기
KR102196779B1 (ko) * 2018-11-13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목걸이 타입 웨어러블 기기
CN109889227A (zh) * 2019-04-04 2019-06-14 江苏创品工业设计有限公司 基于iot技术的母婴产品智能系统
CN109889227B (zh) * 2019-04-04 2024-04-05 江苏创品工业设计有限公司 基于iot技术的母婴产品智能系统
CN112107432A (zh) * 2019-06-21 2020-12-2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及存储介质
CN112107432B (zh) * 2019-06-21 2023-09-2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及存储介质
US11986279B2 (en) 2020-04-23 2024-05-21 Aneesh SONI Wearable heart rate monitoring device for infants
KR102170250B1 (ko) * 2020-05-21 2020-10-30 (주)니유컴퍼니 생활약자 모니터링 및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의류
CN112069949A (zh) * 2020-08-25 2020-12-11 开放智能机器(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婴儿睡眠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20230134686A (ko) * 2022-03-15 2023-09-22 임윤재 수면 장갑 및 이를 사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90372B1 (ko) * 2022-03-15 2023-10-16 임윤재 수면 장갑 및 이를 사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US9445747B2 (en) Apnea detector and system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KR101681514B1 (ko)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74212A (ko) 인간의 자세와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0527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N204839473U (zh) 婴幼儿看护装置
WO2016180201A1 (zh) 血液参数监测装置和血液参数监测方法
GB2491944A (en) An alarm apparatus and a method of measuring and evaluating an infant's vital body parameters with respect to Sudden Infant Death (SID).
US11166855B2 (en) Diaper sensor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iaper surveillance
KR101742792B1 (ko) 배변 유무를 고지할 수 있는 기저귀 시스템
US11291591B1 (en) Smart monitoring system with wetness detection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101119637B1 (ko)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7170B1 (ko)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배뇨 감지 시스템
JP2011161115A (ja) 状態監視装置
KR20190071525A (ko) 기저귀 장착용 용변 감지 장치
WO2017198978A1 (en) Temperature monitoring garment and system
WO2018047046A1 (en) Device for neonatal monitoring
CN217365834U (zh) 全方位照护装置
JP2018171236A (ja) 検出装置
KR20180107374A (ko) 부착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145A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