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40B1 - 대소변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소변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40B1
KR100966040B1 KR1020070125154A KR20070125154A KR100966040B1 KR 100966040 B1 KR100966040 B1 KR 100966040B1 KR 1020070125154 A KR1020070125154 A KR 1020070125154A KR 20070125154 A KR20070125154 A KR 20070125154A KR 100966040 B1 KR100966040 B1 KR 10096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ignal
stool
feces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399A (ko
Inventor
인만식
Original Assignee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3Interference currents, i.e. treatment by several currents summed in the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감지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복부를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 자극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주며,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리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변감지센서부와 소변감지센서부를 구비하여 대변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검출하는 대소변 감지부; 자극 전극과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상기 대소변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 상기 대소변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대변 감지신호, 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하는 환자 신호검출부; 상기 환자 신호검출부로 부터 무선 전송된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변, 소변, 센서, 복대, 무선, 알루미늄, 면상발열체

Description

대소변 감지시스템{URINE-FECES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감지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복부를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 자극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주며,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리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전과 생활환경의 증진에 의해 인간의 수명은 갈수록 늘어나고, 이에 따른 고령 인구는 점차 늘어나는 실정이다. 고령 인구에 증가에 따라 노년의 질병환자, 치매 환자들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손발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대소변을 인지하지 못하여 배뇨처리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어 보호자의 도움으로 대소변을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수시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의 대소변 유무를 살피고,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기저귀 젖음으로 인한 불쾌감, 짖무름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대개 스스로 의사표현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대소변에 대한 의사표현을 할 수 없거나 수치심으로 표현하지 않아서, 보호자가 대소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은 잘 움직이지 못해 대소 장의 운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변비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소변 등의 배출에 의해 일시적 체온변화로 한기를 느끼는 경우도 있다.
종래에 개발된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부분이 대소변을 감지하여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알려주는 정도의 것이다.
따라서 환자, 노인, 장애인들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이 감지되면, 복부를 자극하여 장운동을 시켜 변을 보는데 도움을 주며, 소변이 감지되면 복부를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해소시키도록 이루어진 대소변 감지 시스템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환자, 노인, 장애인들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이 감지되면 복부를 자극하며, 소변이 감지되면 복부를 따뜻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리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 시스템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여부를 센싱하며, 대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대변의 배출을 도와주고 소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에 면상발열체에 의해 온열을 제공하며, 대소변 여부를 보호자에게 무선으로 알려 주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감지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복부를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 자극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주며,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리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주파 자극기와 온열부를 구비한 복대부와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는 대소변 감지부로 이루어진 대소변 감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대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부에서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대변의 배출을 도와주는 대소변 감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변이 센싱된 경우 복대부의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여 한기를 해소하여 주는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변감지센서부와 소변감지센서부를 구비하여 대변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검출하는 대소변 감지부;자극 전극과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상기 대소변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를 적 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소변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대변 감지신호, 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하는 환자 신호검출부; 상기 환자 신호검출부로 부터 무선 전송된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소변 감지부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 하도록 이루어지며, 긴 띠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대부에 대소변 감지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신호검출부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대소변 감지부로 전원 공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대소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알람, 광신호, 진동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와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도전선과 제 2도전선을 구비하며,상기 제 1도전선은 접지전위로 하여,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2도전선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차(또는 전압)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변감지센서부는,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3도전선;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3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의 대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대변이 배출될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대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는, 상기 소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4도전선;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4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의 소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소변이 배출될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소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박막저항의 값은 제 1박막저항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소변 감지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를 복대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부를 적어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소변 감지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에 환자신호검출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부를 적어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소변 감지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도전선들은 금속사로 직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전극은 저주파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전극은 전기전도성 섬유에 의해 직조된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소변 감지 방법은, 소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소변검출여부를 검사하는 소변플래그 검사단계;상기 소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소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면상발열체 구동부로 전송하는 발열체 구동단계;발열체 구동단계 후, 소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되어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면 상기 발열체 구동단계 로 되돌아 가는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상기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소변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면 면상발열체 구동을 중지하고, 소변완료 표시를 하며, 소변 플래그를 클리어하는 소변완료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대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대변검출여부를 검사하며, 대변 플래그도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소변플래그 검사단계로 되돌아가는 대변플래그 검사단계; 상기 대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어 대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극전극 구동부로 전송하는 자극구동 단계; 상기 자극구동 단계 후,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대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상태라면 자극구동 단계로 되돌아 가는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 상기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대변이 완료되면, 자극전극의 구동을 정지하며 대변완료 표시를 하고, 대변플래그를 클리어 하는 대변완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고 대변 또는 소변이 감지됨에 따라 상황에 맞게 복부를 저주파 자극 또는 온열 자극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주어, 환자가 보다 편안하고 원할한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도와 주며, 보호자 또는 간병인에게 대소변 여부를 알려 빠른 대소변 뒷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저주파 자극기와 온열부를 구비한 복대부와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는 대소변 감지부로 구성되어, 대변이 센싱된 경우에는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대변의 배출을 도와주며, 소변이 센싱된 경우에는 복대부의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하여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알루미늄판을 이용한 센서에 의해 대소변 유무를 센싱하여 일정 거리내에 보호자에게 무선으로 이를 알려 대소변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게 하여 수시로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대소변 유무를 손쉽게 알 수 있어 다른 일을 하면서도 대소변 유무에 대해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이에 대소변이 센싱된 경우 바로 기저귀를 갈아 줄 수 있어 불쾌감을 빨리 없앨 수 있고 짖무름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대부분 변비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변이 센싱된 경우 복부에 저주파 자극에 의해 대변을 보다 원활이 배출하도록 도와주며 , 소변이 센싱된 경우 복부에 면상발열체에 의해 온열을 제공하여 소변 배출에 따른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복대부(30), 대소변 감지부(10), 환자 신호검출부(20), 모니터링부(40)을 구비한다.
대소변 감지부(10)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한 긴 띠모양을 하고 있으며,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를 구비하여 대소변 유무에 대해 검출한다.
복대부(30)는 환자의 복부에 감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저주파 자극 전극 및 면상발열체를 구비하며, 대소변 감지부(10)에서 대변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주파 자극기가 구동되어 환자의 장운동을 보다 원활히 하여 대변 배출을 도우며, 소변이 감지되면 상기 면상발열체가 구동되어 환자의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또한 복대부(30)에 대소변 감지부(10)를 착탈 가능하도록 커넥터로 연결되어 있다.
환자 신호검출부(20)는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 검출된 대변 감지신호, 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하여 모니터링부(40)로 무선 전송하며, 또한 대소변 감지부(10) 등의 신호 민감도 설정 등을 위한 키입력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키입력설정부는 대소변 감지부(10)를 위한 키입력 설정만을 담당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대부(30)의 온도 제어, 저주파 자극 제어 등을 위한 키입력 설정도 여기서 행하여 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신호검출부(20)는 대소변 감지부(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커넥터로 연결되어 질 수 있다. 또한 환자 신호검출부(20)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대소변 감지부(10)로 전원 공급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0)는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환자의 대소변 여부를 직접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대소변 감지부(10)에서 검출된 대변 감지신호, 소변 감지신호를 환자 신호검출부(20)를 통해 무선 수신하여 알람, 빛, 진동 등을 통해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알린다.
도 2는 도 1의 대소변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1의 대소변 감지부의 A-A'단면도이고, 도 4은 도 2의 대소변 감지부의 B-B'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대소변 감지부의 C-C'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소변 감지부(10), 환자 신호검출부(20), 복대부(30), 모니터링부(40)로 이루어진다.
대소변 감지부(10)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한 긴 띠모양을 이루며, 대소변 유무에 대한 센싱을 하는 수단으로, 제 1시트(110), 절연지지부재(120), 제 1도전선(130), 제 2도전선(140), 제 1박막저항(135), 제1 흡수패드(136), 제 2박막저항(137), 제2 흡수패드(138), 제 3도전선(150), 제4도전선(160), 제 1알루미늄판(또는 금속판)(170), 제 2알루미늄판(또는 금속판)(175), 제 2시트(180), 커넥터부(190)를 포함한다.
제 1시트(11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소재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시트(110)는 하단의 절연지지부재(120)보다는 큰 크기를 갖고 있으며 제 1시트(110)의 가장자리 내부쪽으로 벨크로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하단의 제 2시트(180)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절연지지부재(120)는 제 1시트(110) 하단에 위치한 층으로 대소변 감지부(10)전체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단, 대변이 감지되는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이 감지되는 소변감지센서부(15)에는 절연지지부재(120)가 존재하지 않아 대소변 유무를 전기적 반응으로 센싱하고 대소 변 구별을 가능하게 한다.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는 절연지지부재(120)가 존재하지 않는 곳을 말하며 이중 대변감지센서부(12)는 제 1알루미늄판(170)과 제 2도전선(140), 제 3도전선(150)이 접촉하는 부분이고, 소변감지센서부(15)는 제 2알루미늄판(175)과 제 2도전선(140), 제 4도전선(160)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즉, 알루미늄판(170)과 도전선이 접촉한다는 것은 이 부분에 절연지지부재(120)가 존재하지 않아 가능한 것이며, 이는 이 부분만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대변감지센서부(12)의 위치는 대소변 감지부(10)를 기저귀에 부착하였을 때 대변이 주로 분비되는 위치에 있고, 소변감지센서부(15)는 소변이 주로 분비되는 위치에 있다.
제 1도전선(130)과 제 2도전선(140)의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그 중 제 1도전선(130)는 접지 전위를 가진다. 제 1도전선(130)과 제 2도전선(140)은 절연지지부재(120)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소변 감지부(1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도전선(130)과 제 2도전선(140)의 길이는 적어도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를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의 제 1도전선(130)과 제 2도전선(140)의 사이에서 상기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1도전선(130)은 접지전위를 가지는 도전선으로, 제 2도전선(140)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1박막저항(135)의 일단과 연결되며, 또한 제 2박막저항(137)의 일단과도 연결되어 있다. 제 1도전선(130)는 금속 도선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1도전선(130)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박막저항(135)은 절연지지부재(120) 위에 위치하며, 일단은 제 1도전선(13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3도전선(150)에 연결되어 있다. 제 1박막저항(135)은 절연지지부재(120)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알루미늄판(170)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제 1알루미늄판(170)과는 이격되어 있어 절연되어 있다. 즉, 제 1박막저항(135)의 위치는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감지센서부(12) 근처에 위치하지만 대변감지센서부(12)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평상시(환자가 대변을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150)과 제 2도전선(140)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150)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135)에는 아무런 전압이 걸리지 않으며, 따라서 제 1박막저항(135)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가 대변 등을 배출함에 의해 제 3도전선(150)과 제 2도전선(140)이 쇼트되면, 제 3도전선(150)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135)에는 제 2도전선(140)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리며, 따라서 제 1박막저항(135)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전류를 검출하여 환자 신호검출부(20)로 전송한다. 제 1박막저항(135)은 제 2박막저항(137)과는 다른 저항치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변은 소변보다 높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제 1박막저항(135)은 제 2박막저항(137)보다 적은 저항치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2박막저항(137)은 절연지지부재(120) 위에 위치하고 일단은 제 1도전선(13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4도전선(160)과 연결되어 있다. 제 2박막저항(137)은 절연지지부재(120)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알루미늄판(175)과는 접 촉하지 않으며 알루미늄판과 이격되어 절연되어 있다. 즉, 제 2박막저항(135)의 위치는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감지센서부(15) 근처에 위치하지만 소변감지센서부(1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평상시(환자가 소변을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160)과 제 2도전선(140)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160)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137)에는 아무런 전압이 걸리지 않으며, 따라서 제 2박막저항(137)에는 아무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가 소변 등을 배출함에 의해 제 4도전선(160)과 제 2도전선(140)이 쇼트되면, 제 4도전선(160)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137)에는 제 2도전선(140)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리며, 따라서 제 2박막저항(137)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전류를 검출하여 환자 신호검출부(20)로 전송한다. 제 2박막저항(137)은 제 1박막저항(135)과는 다른 저항치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변은 대변보다 낮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제 2박막저항(137)은 제 1박막저항(135)보다 높은 저항치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2도전선(140)은 제 1도전선(130)을 접지전위로 하여 그로부터 일정한 전위(또는 소정 전압)을 가지도록 제 1도전선(130)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2도전선(140)은 절연지지부재(120)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지나며, 이 부분에서 제 2도전선(140)의 일부분은 제 1알루미늄판(170)과 접촉하여 대변감지센서부(12)을 이루고, 제 2알루미늄판(175)과 접촉하여 소변감지센서부(15)를 이룬다. 제 2도전선(140)는 금속 도선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2도전선(140)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3도전선(150)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선으로, 제1 흡수패드(136)위에 위 치되며, 또한 제 1박막저항(135)에 접속된다. 대변 배출에 의해 제1 흡수패드(136)에 수분 등이 흘러들고 또한 대변의 무게에 의해 제 3도전선(150)이 눌리어지게 되어, 제 1알루미늄판(170)과 쇼트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140)과 접속되어 있는 제 1알루미늄판(170)의 소정 전압이 제 3도전선(150)에도 걸리게 된다. 즉, 제 3도전선(150)은 제 1박막저항(135), 제 1도전선(130), 제 2도전선(140), 제 1알루미늄판(170) 등과 함께 대변감지센서부(12)를 이루고, 대변이 배출되어 대변의 수분이 제 1알루미늄판(170)과 제 3도전선(150) 사이의 전도체가 되어, 제 1박막저항(135)에 전류를 형성하며 이를 검출하여 대변 유무 신호를 환자신호검출부(20)로 송신하게 된다. 제 1박막저항(135)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대변 신호검출부(미도시)는 코일 또는 포토커플러 등등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제 1박막저항(135)에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제 3도전선(150)는 금속 도선, 금속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3도전선(150)의 부분이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흡수패드(136)는 제 3도전선(150)과 제 1알루미늄판(170)의 사이에 위치도며, 수분을 흡수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제1 흡수패드(136)에 수분이 흡수되면 제 3도전선(150)과 제 1알루미늄판(170)가 쇼트되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제1 흡수패드(136)는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예를들어, 천, 스폰지, 기공을 가진 우레탄 등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 4도전선(160)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선으로, 제2 흡수패드(138) 위에 위치되며, 또한 제 2박막저항(137)에 접속된다. 소변 배출에 의해 제2 흡수패드(138) 에 수분 등이 흘러들고 또한 소변의 무게에 의해 제 4도전선(160)이 눌리어지게 되어, 제 2알루미늄판(175)과 쇼트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140)과 접속되어 있는 제 2알루미늄판(175)의 소정 전압이 제 4도전선(160)에도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제 2도전선(140)과 접속되어 있는 제 2알루미늄판(175)의 소정 전압이 제 4도전선(160)에도 걸리게 된다. 즉, 제 4도전선(160)은 제 2박막저항(137), 제 1도전선(130), 제 2도전선(140), 제 2알루미늄판(175) 등과 함께 소변감지센서부(15)를 이루고, 소변이 배출되어 소변의 수분이 제 2알루미늄판(175)과 제 4도전선(160) 사이의 전도체가 되어, 제 2박막저항(137)에 전류를 형성하며 이를 검출하여 대변 유무 신호를 환자신호검출부(20)로 송신하게 된다. 제 2박막저항(137)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소변 신호검출부(미도시)는 코일 또는 포토커플러 등등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제 2박막저항(137)에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제 4도전선(160)은 금속 도선, 금속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4도전선(160)의 부분을 금속사로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흡수패드(138)는 제 4도전선(160)과 제 2알루미늄판(175)의 사이에 위치도며, 수분을 흡수하는 패드로 이루어진다. 제2 흡수패드(138)에 수분이 흡수되면 제 4도전선(160)과 제 2알루미늄판(175)가 쇼트되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제2 흡수패드(138)는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예를들어, 천, 스폰지, 기공을 가진 우레탄 등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제 1알루미늄판(170)은 절연지지부재(120) 하단에 위치한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서, 제1 흡수패드(136)의 수분흡수에 따라 제 2도전선(140), 제 3도전선(150)과 쇼트되도록 이루어진다. 제 1알루미늄판(170)의 알루미늄은 전도율이 좋고 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리보다 유연성이 좋아 조제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알루미늄판(170)은 도전성이 있는 다른 금속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2알루미늄판(175)은 절연지지부재(120) 하단에 위치한 알루미늄 재질의 판으로서, 제2 흡수패드(138)의 수분흡수에 따라 제 2도전선(140), 제 4도전선(160)과 쇼트되도록 이루어진다. 제 2알루미늄판(175)의 알루미늄은 전도율이 좋고 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리보다 유연성이 좋아 조제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2알루미늄판(175)은 도전성이 있는 다른 금속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2시트(180)는 제 1알루미늄판(170)과 제 2알루미늄판(175) 하단에 위치하며, 제 1시트(110)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제 2시트(180)의 가장자리 내부쪽으로 벨크로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상단의 제 1시트(110)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시트(180) 하단면에는 기저귀에 대소변 감지부(10)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테이프 같은 접착 수단이 존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시트(110)와 제 2시트(180)의 대신에 폴리 우레탄 등에 의해 코팅되어질 수 있으며, 폴리 우레탄 등에 의해 코팅되어 질 경우, 적어도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가 위치한 부분의 코팅부분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부(19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끝단에 위치하여 대소변 감지부(10)를 기저귀에 착용시 커넥터부(190)가 허리부분에 위치되게 되며, 환자신호검출부(20)로 부터 입력된 전원신호를 대소변 감지부(10)로 전달하며, 상기 전원신호는 제 1도전선(130)과 제 2도전선(140)을 통해 대소변 감지부(10) 전체로 전달된다. 또한 커넥터부(190)는 대변감지센서부(12)와 소변감지센서부(15)에서의 검출된 대변 또는 소변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신호검출부(20)와 복대부(30)로 전송한다.
환자신호검출부(2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커넥터부(190)에 연결되어, 대소변 감지부(10)로 전원을 공급하며,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 수신된 대변검출신호 또는 소변검출신호를 전처리하여 모니터링부(40)로 전송한다. 환자신호검출부(20)는 키입력 설정부, 환자표시부, 송신부 등을 구비한다. 환자신호검출부(2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커넥터부(190)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소변 감지부(10)와 일체화를 이루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복대부(3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커넥터부(190)에 연결되어, 대소변 감지부(10)에서 대변이 감지되면 저주파 자극을 하여 대변 배출을 돕고, 소변이 감지되면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한다.
모니터링부(40)는 환자신호검출부(20)로 부터 대소변에 관한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이를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알린다.
도 6은 도 1의 복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복대부(30)는 자극전극(310), 면상발열체(320), 벨크로 루프(340), 벨크로 후크(350), 복대 커넥터(360), 복대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극전극(310)은 저주파 자극 전극으로, 복대가 착용되었을 때 복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복대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전극(310)이 구비된다. 복대제어부는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 대변 배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극 전극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로부터 자극전극(310)을 제어하여, 즉 자극전극(310)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주어 복부에 저주파 자극을 준다. 자극전극(310)은 다양한 저주파 전극 패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전도성 섬유에 의해 직조된 전극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면상발열체(320)는 복부에 온열효과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복대가 착용되었을 때 복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복대제어부는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 소변 배출 신호를 수신하면 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면상발열체(320)를 제어하여, 복부에 온열효과를 제공한다.
벨크로 루프(340)가 복대부(30)의 일단에 위치하여, 복대부(30)의 다른 일단에 벨크로 후크(350)가 위치되어, 벨크로 루프(340)과 벨크로 후크(350)이 결합하여 복대부(30)를 복부에 착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벨크로에 의해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복부 둘레와 상관 없이 유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복대 커넥터(36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커넥터부(190)에 연결되어지는 커넥터이다.
복대제어부(미도시)는 복대부(30)의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 수신된 대변감지신호, 소변감지신호에 따라 자극전극 제어신호, 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복대제어부는 경우에 따라 환자 신호검출부(20)의 환자연산처리부(240)에서 복대제 어부의 역할 까지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별도의 복대제어부를 구비하지 않고 이의 기능을 환자 신호검출부(20)의 환자연산처리부(240)의 기능에 포함시켜 구동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은 대소변 감지부(10), 환자신호검출부(20), 복대부(30), 모니터링부(40)로 이루어진다.
대소변 감지부(10)는 대소변의 유무를 감지하는 곳으로 대변감지센서부(12), 소변감지센서부(15)를 포함한다.
대변감지센서부(12)는 대변이 배출되면 대변의 수분이 전도체가 되어 미세한 전류가 감지되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대변감지 신호를 환자신호검출부(20)로 송신한다.
소변감지센서부(15)는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의 수분이 전도체가 되어 미세한 전류가 감지되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소변감지 신호를 환자신호검출부(20)로 송신한다.
환자신호검출부(20)는 대소변 감지부(10)로부터의 대변감지신호, 소변감지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수신하여 전처리를 거쳐, 모니터링부(40)로 전송한다. 환자신호검출부(20)는 키입력설정부(210), 신호전처리부(220), A/D변환부(230), 환자연산처리부(240), D/A 변환부(250), 송신부(270), 표시부(280), 환자배터리부(295)를 포함한다.
키입력설정부(210)는 환자신호검출부(20)의 민감도, 신호검출 온/오프키 등 을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대부(10)의 자극의 강도, 자극시간, 온열의 강도, 온열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변 기준신호값, 소변 기준신호값, 기준온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신호전처리부(220)는 대소변 감지부(10)로 부터 센싱된 미세한 신호를 수신받아 증폭하고 필터링 하는 곳으로, 대변신호 전처리부(222), 소변신호 전처리부(225)를 포함한다.
대변신호 전처리부(222)는 대변감지센서부(12)로 부터 대변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다.
소변신호전처리부(225)는 소변감지센서부(15)로 부터 소변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다.
A/D변환부(230)는 신호전처리부(220)에서 전처리된 대변 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수신받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환자연산처리부(240)는 A/D 변환부(230)로 부터 대변 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대변신호인지 소변신호인지를 검사하기 위해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연산처리하여 자극전극 제어신호, 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부(250)를 통해 복대부(30)의 복대 구동부(260)으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연산처리부(240)는 환자의 대소변 감지여부 등의 정보를 환자표시부(280)로 전송한다. 그리고 복대부의 온도센싱부(330)에서 센싱된 면상발열체(320)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A/D변환부(230)을 거쳐 수신하여 면상발열체(320)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 갔을 경우 복대부(30)의 면상발열체(320)의 구동을 멈추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A변환부(250)는 환자연산처리부(240)로 부터 수신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송신부(270)는 환자연산처리부(240)로 부터 대소변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부(40)의 수신부(42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환자표시부(280)는 환자연산처리부(240)로 부터 수신받은 연산처리 신호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환자배터리부(295)는 환자신호검출부(20)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배터리이다. 경우에 따라서 복대부(30)는 환자배터리부(295)에 의해 구동전원을 공급되어지거나, 복대부(30) 자체에 복대 배터리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복대부(30)는 환자신호검출부(20)로 부터 수신된 대소변 신호에 따라 자극전극에 의해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주고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을 제공한다. 복대부(30)는 복대구동부(260), 자극전극(310), 면상발열체(320), 온도센싱부(330)을 포함한다.
복대구동부(260)는 환자연산처리부(240)에서 생성된 자극전극 제어신호, 발열체 제어신호를 D/A변환부(250)를 거쳐 수신하며, 이들 신호로부터 자극전극(310)을 구동하며, 면상발열체(320)을 구동시킨다. 복대구동부(260)는 자극전극 구동부(260), 면상발열체 구동부(2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극전극 구동부(262)는 D/A변환부(250)로 부터 수신된 자극전극 제어신호로 부터 자극전극(31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자극전극(310)을 구동시킨다.
면상발열체구동부(265)는 D/A변환부(250)로 부터 수신된 발열체 제어신호로 부터 면상발열체(32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면상발열체(320)를 구동시킨다.
자극전극(310)은 저주파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극전극 구동부(260)로 부터 자극전극 구동 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에서 극미세한 전류에 의한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가한다. 자극전극(310)은 대변감지센서부(12)에서 대변감지 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면상발열체(320)는 면상발열체구동부(265)로 부터 면상발열체 구동 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온도에 맞게 온열을 제공한다. 면상발열체(320)는 소변감지센서부(15)에서 소변감지 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구동되어 소변 배출 시 한기를 해소하여 준다.
온도센싱부(330)는 면상발열체(320)의 일측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면상발열체(320)로 부터 온도를 검출하여 이를 환자신호검출부(20)의 A/D변환부(230)를 거쳐 환자연산처리부(240)로 송신하며, 환자연산처리부(240)은 이 값을 키입력설정부(210)에서 설정된 기준온도값과 비교하여 그보다 크면 면상발열체(32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발열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면상발열체(320)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0)는 환자신호검출부(20)로 부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모니터링 키입력부(410), 수신부(420), 연산처리부(430), 모니터링 표시부(440), 알람부(450), 진동부(460), 저장부(470), 모니터링 배터리부(48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키입력부(410)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모니터링부(40)의 대소변 감지 신호를 알람으로 표시할 것인지,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진동으로 표시할 것인지 등을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수단으로, 모니터링 표시부(440), 알람부(450), 진동부(460)의 사용여부를 설정하고, 알람부(450)의 음향의 종류와 크기 설정을 하며, 진동부(460) 진동 크기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420)는 환자신호검출부(20)의 송신부(270)로 부터 대소변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 연산처리부(43)으로 송신한다.
모니터링 연산처리부(430)는 수신부(420)로 부터 수신한 대소변 감지 신호에 따른 신호를 모니터링 키입력부(410)에서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각 부분의 출력신호를 만들어 출력한다.
모니터링 표시부(440)는 연산처리부(4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를 표시하여 주는데 대변,소변을 구분하여 표시하여 준다.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하거나 서로 다른 색의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켜지게 하거나, 대변, 소변을 글씨로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내거나 그림을 통해 표현할 수도 있다. 소변의 경우는 하루중 몇번째 감지된 것인지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변의 경우는 얼마만에 대변을 본것인지, 즉 전의 대변후 얼마나 지나서 변을 본 것인 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대의 구동상태에 대한 정보표시가 가능하다.
알람부(450)는 연산처리부(4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에 대해 대소변이 감지되었을 경우 이를 소리를 통해 알린다. 이때 대변과 소변 각각의 음향 종류를 다 르게 하여 소리만 듣고도 대소변을 구별 가능하게 한다.
진동부(460)는 연산처리부(430)에서 수신받은 연산신호에 따라 대소변 감지시 진동을 이르키는 수단으로, 진동으로 대소변 유무를 보호자에게 알린다.
저장부(470)는 연산처리부(430)로 부터 수신받은 연산 신호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대소변 여부와 대소변 간격, 횟수 등의 정보들을 저장한다.
모니터링 배터리부(480)는 모니터링부(40)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배터리 수단으로 모니터링부(40)의 휴대를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도 7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환자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초기화 단계로, 환자신호검출부(20)의 키입력 설정부(210)의 신호검출 온/오프키가 온(ON)됨에 따라 환자연산처리부의 모든 플래그를 초기화하여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초기화한다(S110).
소변플래그 검사단계로, D/A변환기를 통해 환자연산처리부로 소변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소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소변검출여부를 검사한다(S120).
발열체 구동단계로,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120)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소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기를 통해 면상발열체 구동부로 전송한다(S130).
발열체온도 검사단계로, 면상발열체에 위치된 온도센싱부로부터 수신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140).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로, 발열체온도 검사단계(S140)에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소변플래그를 다시 검사하여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S160), 소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되어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으면 발열체 구동단계로 되돌아 간다.
온열 중지단계로, 발열체온도 검사단계(S140)에서 발열체온도신호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면상발열체 동작을 중지한다(S160).
소변완료 단계로,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소변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면 면상발열체 구동을 중지하고, 소변완료 표시를 하며(S170), 소변 플래그를 클리어한다(S190).
대변플래그 검사단계로,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120)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D/A변환기를 통해 환자연산처리부로 대변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대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대변검출여부를 검사하며(S210), 대변 플래그도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소변플래그 검사단계(S120)로 되돌아간다.
자극구동 단계로, 대변플래그 검사단계(S210)에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어 대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A변환기를 통해 자극전극 구동부로 전송한다(S220). 이로써 자극전극이 구동하여 저주파 자극을 복부에 제공하게 한다.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S230), 대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상태라면 여전히 대변이 배출되고 있는 중으로서 자극구 동 단계(S220)로 되돌아 간다.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대변이 완료되면, 자극전극의 구동을 정지하며 대변완료 표시를 하고(S240), 대변플래그를 클리어 한다(S250).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대소변 감지부(10)와 환자신호검출부(20), 복대부(30)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에서는 커넥터부(190)가 등쪽으로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한정한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커넥터부(190)가 배의 전면 쪽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는 대소변 감지부(10)와 복대부(30)를 착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대소변 감지부(10)는 기저귀나 팬티 등에 착용되며 대소변 감지부(10)의 제 2시트 하단에 접착 수단이 구비되어 탈착이 가능하다. 환자신호검출부(20)와 복대부(30)는 대소변 감지부(10)의 커넥터부(190)에 각각의 커넥터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소변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소변 감지부의 A-A'단면도이다.
도 4은 도 2의 대소변 감지부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대소변 감지부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복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7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환자연산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대소변 감지시스템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소변 감지기 12: 대변감지 센서부
15: 소변감지 센서부 20: 환자신호검출부
30: 복대부 40: 모니터링부
110: 제 1시트 120: 절연지지부재
130: 제 1도전선 135: 제 1박막저항
136: 제1 흡수패드 138: 제2 흡수패드
137: 제 2박막저항 140: 제 2도전선
150: 제 3도전선 160: 제 4도전선
170: 제 1알루미늄판 175: 제 2알루미늄판
180: 제 2시트 190: 커넥터부
210: 키입력설정부 220: 신호전처리부
222: 대변신호전처리부 225: 소변신호전처리부
230: A/D변환부 240: 환자연산처리부
250: D/A변환부 260: 복대구동부
262: 자극전극구동부 265: 면상발열체구동부
270: 송신부 280: 환자표시부
295: 환자배터리부 310: 자극전극
320: 면상발열체 330: 온도센싱부
340: 벨크로 루프 350: 벨크로 후크
360: 복대 커넥터 410: 모니터링 키입력부
420: 수신부 430: 모니터링 연산처리부
440: 모니터링 표시부 450: 알람부
460: 진동부 470: 저장부
480: 모니터링 배터리부

Claims (25)

  1. 대변감지센서부와 소변감지센서부를 구비하여 대변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검출하는 대소변 감지부;
    자극 전극과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상기 대소변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극 전극 또는 면상발열체를 구동하는 복대부;
    상기 대소변 감지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대소변 감지부를 상기 복대부에 착탈 가능하게 하며, 상기 대소변 감지부로부터 대변감지신호 또는 소변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대부로 전송하는 커넥터부;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대변 감지신호, 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하는 환자 신호검출부;
    상기 환자 신호검출부로 부터 무선 전송된 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부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 하도록 이루어지며, 긴 띠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신호검출부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대소변 감지부로 전원 공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대소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알람, 광신호, 진동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와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도전선과 제 2도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1도전선은 접지전위로 하여,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2도전선 사이에는 일정한 전위차(또는 전압)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감지센서부는
    상기 대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3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3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환자의 대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대변이 배출될 때는 제 3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3도전선에 연결된 제 1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1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대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감지센서부는
    상기 소변감지센서부의 크기에 맞춘 금속판;
    상기 금속판 위를 접촉되어 지나가는 상기 제 2도전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 위의 흡수패드 위에 위치되는 제 4도전선;
    상기 제 1도전선과 상기 제 4도전선 사이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은 절연지지부재 위에 위치하고 상기 금속판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환자의 소변이 배출하지 않을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은 플로팅되어 있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환자의 소변이 배출될 때는 제 4도전선과 제 2도전선이 쇼트되어 제 4도전선에 연결된 제 2박막저항에는 제 2도전선에 걸리는 소정 전압이 걸려, 제 2박막저항에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에서 검출된 신호가 소변 검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박막저항의 값은 제 1박막저항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19. 삭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대소변 감지부에 환자신호검출부도 착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도전선들은 금속사로 직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전극은 저주파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전극은 전기전도성 섬유에 의해 직조된 전극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시스템.
  24. 소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소변검출여부를 검사하는 소변플래그 검사단계;
    상기 소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소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면상발열체 구동부로 전송하는 발열체 구동단계;
    발열체 구동단계 후, 소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되어 소변이 계속 배출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면 상기 발열체 구동단계로 되돌아 가는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
    상기 소변계속여부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소변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면 면상발열체 구동을 중지하고, 소변완료 표시를 하며, 소변 플래그를 클리어하는 소변완료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소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대변플래그의 세트여부를 검사하여 대변검출여부를 검사하며, 대변 플래그도 세트되어 있지 않다면, 소변플래그 검사단계로 되돌아가는 대변플래그 검사단계;
    상기 대변플래그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세트되어 대변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극전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극전극 구동부로 전송하는 자극구동 단계;
    상기 자극구동 단계 후,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대변플래그가 여전히 세트상태라면 자극구동 단계로 되돌아 가는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
    상기 대변완료여부 검사단계에서 대변플래그가 리셋되어 대변이 완료되면, 자극전극의 구동을 정지하며 대변완료 표시를 하고, 대변플래그를 클리어 하는 대변완료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방법.
KR1020070125154A 2007-12-04 2007-12-04 대소변 감지시스템 KR10096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54A KR100966040B1 (ko) 2007-12-04 2007-12-04 대소변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54A KR100966040B1 (ko) 2007-12-04 2007-12-04 대소변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399A KR20090058399A (ko) 2009-06-09
KR100966040B1 true KR100966040B1 (ko) 2010-06-25

Family

ID=4098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154A KR100966040B1 (ko) 2007-12-04 2007-12-04 대소변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877B1 (ko) * 2010-01-28 2016-07-19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 센서
US8933292B2 (en) * 2011-10-28 2015-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array for body exudate detection
US9119748B2 (en) * 2011-10-28 2015-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ectronic discriminating device for body exudate detection
CN104970921B (zh) * 2014-04-02 2019-07-19 林有健 排泄物感测装置及具有排泄物感测装置的尿布
KR101721084B1 (ko) * 2015-11-06 2017-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WO2017146494A1 (ko) * 2016-02-23 2017-08-31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074A (ja) 2000-05-29 2002-02-20 Mitsuru Fujiwara 尿検知スイッチ、及び、尿検知装置
KR200360147Y1 (ko) * 2004-05-31 2004-08-26 장대욱 휴대용 저주파 온열 에어 복대.
KR200374034Y1 (ko) * 2004-11-04 2005-01-27 (주)에스와이하이테크 분뇨 자동 감지 장치
JP2005218733A (ja) 2004-02-09 2005-08-18 Teruji Yokota 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074A (ja) 2000-05-29 2002-02-20 Mitsuru Fujiwara 尿検知スイッチ、及び、尿検知装置
JP2005218733A (ja) 2004-02-09 2005-08-18 Teruji Yokota おむつ
KR200360147Y1 (ko) * 2004-05-31 2004-08-26 장대욱 휴대용 저주파 온열 에어 복대.
KR200374034Y1 (ko) * 2004-11-04 2005-01-27 (주)에스와이하이테크 분뇨 자동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399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7263A (en) System for dete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fluids
US3460123A (en) Clothing alarm means
KR100966040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US5790036A (en) Sensor material for use in dete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fluids
US5036859A (en) Moisture detector and indicator
US4212295A (en) Moisture responsive pad for treatment of enuresis
US6580013B1 (en) Inexpensive diaper wetness monitoring system
WO1996014813A1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US20150164703A1 (en) Excreta detecting sensor and detecting device using electrically-conductive fibrous conducting wire
JP2007501664A (ja) 人体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WO1994007224A1 (en) Apparatus for sensing wet diaper
US10231640B2 (en) Device for detecting fullness of bladder
JP2001161732A (ja) おむつ交換頃合センサー及びおむつ交換頃合検知装置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JP2000185067A (ja)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JP2019520964A (ja) おむつセンサ装置およびおむつ監視システム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JPH1133055A (ja) おむつ、予備パッド並びに水分検知装置
KR101112598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JPH05180800A (ja) 水分検知器及び水分センサー付きオムツ並びにオムツ濡 れ報知装置
JPH09294762A (ja) おむつ用センサ
JPH01277558A (ja) 尿失禁監視装置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