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993B1 - 무선 간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간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993B1
KR100762993B1 KR1020060039564A KR20060039564A KR100762993B1 KR 100762993 B1 KR100762993 B1 KR 100762993B1 KR 1020060039564 A KR1020060039564 A KR 1020060039564A KR 20060039564 A KR20060039564 A KR 20060039564A KR 100762993 B1 KR100762993 B1 KR 10076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moisture
sensor
metal me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연
Original Assignee
박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연 filed Critical 박정연
Priority to KR102006003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무선 간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간호 시스템은, 수분 증가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기저귀, 센서에서 기저귀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자나 병원측의 환자 관리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간호 시스템{wireless nursing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간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센서가 장착된 기저귀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1에서 기저귀와 신호 처리부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에서 신호 처리부 및 출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무선 간호 시스템을 간호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 간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를 착용한 환자, 신생아 등의 대소변 배출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소변을 못 가리는 장애인이나 치매 노인, 신생아들 등의 경우에는 보호자들이 이들의 대소변 배출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보호자들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이들의 대소변 배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호자들이 자리에 있는 경우에도 이들의 대소변 배출 여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소변 배출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환자 등의 간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간호 시스템은, 수분 증가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기저귀, 상기 센서에서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간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무선 간호 시스템은 기저귀(100), 신호 처리부(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기저귀(100)에는 센서(110)가 장착된다. 센서(110)는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를 감지한다. 신호 처리부(200)는 센서(110)에서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출력부(30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300)로는 번호 표시장치(310), 이동통신 단말기(32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도1에서 센서(110)가 장착된 기저귀(100)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도1의 센서(110)는 제1 금속 망사판(110-1), 제2 금속 망사판(110-2) 및 종이(110-3)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를 감지한다. 기저귀(100)의 착용자가 대소변을 배출하는 등의 이유로 기저귀(100)의 수분이 증가하면 기저귀(100)에 장착된 센서(110)가 이러한 수분 증가를 감지한다.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을 이용하여 센서(110)를 패드 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저귀(100) 전체에 걸쳐 수분 증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패드형이기 때문으로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위생적이다. 그러나, 패드 형식 이외의 다른 형식도 가능하다.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로 은 망사판을 사용하게 되면, 은의 우수한 전기 전도성으로 인하여 센서(110)의 수분 감지 정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살균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은 망사판 이외의 다른 금속 망사판들도 사용 가능하다.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 사이에 위치하는 종이(110-3)로는 흡수성 좋은 얇은 종이가 사용된다. 평상시에는 종이(110-3)가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사이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막고 있다가 기저귀(100) 착용자가 대소변을 배출하면 종이(110-3)가 젖으면서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끼리 전기가 통하게 된다.
금속 망사판들(110-1 및 110-2)끼리 전기가 통함으로써 기저귀(100)의 수분 이 증가했다는 신호가 발생한다. 센서(110)에서 발생한 이 신호는 신호 처리부(200)로 전달된다.
도3은 도1에서 기저귀와 신호 처리부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금속 망사판(110-1)은 기저귀(100) 밖으로 돌출된 전선(110-11)을 포함하고 제2 금속 망사판(110-2) 역시 기저귀(100) 밖으로 돌출된 전선(110-12)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을 한데 모으기 위하여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 사이에 종이(12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 사이에 종이(120)가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을 한데 모으기 위하여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 사이에 종이(120) 이외의 다른 물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00)는 집게(200-1)를 포함한다. 집게(200-1)로는 플라스틱 집게가 사용될 수 있다. 집게(200-1)는 안쪽에 금속판을 구비한다. 센서(110)와 신호 처리부(200)의 연결은 집게(200-1)로 두 개의 전선들(110-11 및 110-12)을 집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센서(110)와 신호 처리부(200)가 연결됨으로써 센서(110)에서 발생한 신호가 신호 처리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110)에서 발생한 신호는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를 감지했다는 신호이다.
기저귀(100)가 일회용인 경우에 신호 처리부(200)의 집게(200-1)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200)와 기존 기저귀의 연결을 해제하고 신호 처리부(200)에 새 기저귀 를 연결할 수 있다.
도4는 도1에서 신호 처리부(200) 및 출력부(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00)는 주파수 발생기를 포함한다. 센서(110)에서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었다는 신호가 발생하여 신호 처리부(200)로 전달되면 신호 처리부(200)의 주파수 발생기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 처리부(200)는 발생한 무선 신호를 출력부(300)로 무선 전송한다.
신호 처리부(200)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는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출력부(300)는 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소리나 메시지로 출력한다.
출력부(300)로는 번호 표시 장치(310),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로는 페이저(320-1), 휴대폰(320-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번호 표시 장치(310)는 대형 요양원, 신생아실, 장애인 시설, 치매노인 센터, 중환자실 등에서 많은 환자를 관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식당 등에서 손님이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벨을 누르면 식당의 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번호 표시판에 그 손님이 앉아있는 벨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예를 들어, 신생아실에서 기저귀(100)를 착용한 아기가 대소변을 배출했을 때 번호 표시 장치(310)에는 대소변을 배출한 아이를 표시되고, 이에 따라 간호사는 대소변을 배출한 아이를 쉽게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도4의 번호 표시 장치(310)는 24번 침대를 사용하는 아이 또는 일련번호 24번의 아이가 대소변을 배출했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페이저(320-1) 또는 휴대폰(320-2)은 환자를 계속 간호하기 힘든 병원의 간호사나 의사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4의 페이저(320-1) 및 휴대폰(320-2)은 305호 홍길동 환자의 체크를 요한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5는 도1의 무선 간호 시스템을 간호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다(510). 환자는 센서(110)가 장착된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있다. 침대 주변에 설치된 신호 처리부(200)는 집게(200-1)를 통하여 기저귀(100)에 연결되어 있다.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하면 신호 처리부(200)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켜서 번호 표시판(310)과 삐삐로 전송한다.
번호 표시판(310)은, 예를 들어, 병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번호 표시판(310)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일련번호 또는 환자의 일련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병실 주변의 간호사나 보호자는 번호 표시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음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삐삐는, 예를 들어, 간호사(530)가 착용하고 있다. 삐삐는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다는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간호사(530)가 병실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음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소변을 못 가리는 장애인이나 치매 노인, 신생아들을 돌보는 보호자나 간호사 등이 대소변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다. 보호자 등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도 환자 등의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보호자 등이 잠시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환자 등의 상태가 파악될 수 있고, 보호자 등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경우에도 환자 등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잇따. 이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보호자나 병원측의 환자 관리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수분 증가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기저귀;
    상기 센서에서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귀에 장착된 센서는
    제1 금속 망사판;
    제2 금속 망사판;및
    일면이 상기 제1 금속 망사판에 접하고 타면이 상기 제2 금속 망사판에 접하여 수분이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금속 망사판들 사이에 전기가 통하게 하는 종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간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망사판들은
    은 망사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간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망사판들 각각의 금속 망사는 상기 기저귀 밖으로 돌출된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안쪽에 금속판을 구비한 플라스틱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와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집게로 상기 전선들을 집음으로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간호 시스템.
  5. 삭제
KR1020060039564A 2006-05-02 2006-05-02 무선 간호 시스템 KR10076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64A KR100762993B1 (ko) 2006-05-02 2006-05-02 무선 간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64A KR100762993B1 (ko) 2006-05-02 2006-05-02 무선 간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993B1 true KR100762993B1 (ko) 2007-10-02

Family

ID=3941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564A KR100762993B1 (ko) 2006-05-02 2006-05-02 무선 간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7776B2 (en) 2004-11-03 2015-08-18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KR20160135074A (ko) * 2015-05-15 2016-11-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성인용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099A (ko) * 2001-09-01 2003-03-08 권현옥 기능성 기저귀
KR200321534Y1 (ko) 2003-04-29 2003-07-28 임길섭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099A (ko) * 2001-09-01 2003-03-08 권현옥 기능성 기저귀
KR200321534Y1 (ko) 2003-04-29 2003-07-28 임길섭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7776B2 (en) 2004-11-03 2015-08-18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KR20160135074A (ko) * 2015-05-15 2016-11-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성인용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KR101700784B1 (ko) 2015-05-15 2017-02-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성인용 기저귀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591B1 (ko) 체온 측정기 및 이를 구비한 체온 측정 시스템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KR100950864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장치
CN105125348B (zh) 一种智能尿湿报警方法及系统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U2017284764B2 (en) Diaper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diaper surveillance
KR20090008786A (ko) 생체신호측정 패치
JP2010284498A (ja) 生体情報を収集し伝達する装置
KR10170527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US20150112202A1 (en) Optical respiration sensor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US20160174898A1 (en)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system
KR20160077373A (ko)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0866545B1 (ko) 비접촉 방식의 착용형 무선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KR20100089445A (ko) 용변 감지장치
KR100762993B1 (ko) 무선 간호 시스템
WO2018047046A1 (en) Device for neonatal monitoring
CA2255414A1 (en) A urine detect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diaper
KR20140124190A (ko) 수분감지 센서 및 시스템과 그 방법
CN106297208A (zh) 一种尿不湿状态检测装置和检测方法
KR101617212B1 (ko)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12598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045208A (ko) 팬티 기저귀 및 팬티 기저귀 착용자의 상태점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