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852A -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852A
KR20160069852A KR1020140175979A KR20140175979A KR20160069852A KR 20160069852 A KR20160069852 A KR 20160069852A KR 1020140175979 A KR1020140175979 A KR 1020140175979A KR 20140175979 A KR20140175979 A KR 20140175979A KR 20160069852 A KR20160069852 A KR 2016006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iaper
smart
electrode lin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108B1 (ko
Inventor
김시경
최정완
Original Assignee
김시경
최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경, 최정완 filed Critical 김시경
Priority to KR102014017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3Moni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매 환자 및 중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와,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와, 환자의 용변량을 제어하고, 간호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센서와, 환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맥박센서와,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봤을 경우, 경고음과 간호 관제센터,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용변 여부를 알려주는 용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립과,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송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1 전극선 및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수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 2전극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FOR MONITORING PATIENT STATUS AND VARIANCE FOR THE SMART CARE SYSTEM}
본 발명은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저귀 내에 GPS와 스마트 클립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실내와 실외에서 감지되고, 맥박센서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되며,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자가 용변(대변, 소변 포함)을 한 경우 스마트 클립을 이용하여 간호 관제센터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어자가 쉽게 용변 유무를 파악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노령화로 인해 치매 노인과 중증환자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실종사고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치매 노인은 2014년 61만 여명에서 2050년 약 270만명으로 약 3.5배정도 증가 할 것이라는 보건복지부의 자료도 보도된 적이 있어 치매 환자 및 중증환자에 대한 안전관리 및 보건복지 향상에 대한 많은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4237호 (이하 선행기술문헌1 이라함)기저귀의 대/소변 감지 장치를 출원한 바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넓게 분포되어 형성된 감지기와, 감지센서가 분포된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과, 그물망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내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와, 제 1 전극 단자바가 형성된 그물망의 짧은 축으로 길이가 긴 전극단자 연결 탭으로 구성되어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 및 감지 패드 모듈내 제 1 전극 단자바에 형성된 제 1 전극단자와 착탈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 2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2 전극 단자바와, 제 2 전극 단자바내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오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위치추적 기능이 없어 요양병원의 간호사와 같은 관리자가 치매 환자를 보호 및 관리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4237호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 내에 GPS와 스마트 클립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실내와 실외에서 감지되고, 맥박센서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되며,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한 경우 스마트 클립을 이용하여 간호 관제센터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어자가 쉽게 용변 유무를 파악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매 환자가 기저귀에 용변을 하였을 경우 용변 감지 센서를 통해 관제센터로 보내지는 동시에 무선 알람장치에 알람을 울리게 하여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검이 가능한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퍼시티브 방식을 적용하여 용변 감지 센서 오차율을 최소화로 줄이고, 용병 중량에 관계없이 용변을 감지가 가능한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 환자 및 중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와,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와, 환자의 용변량을 제어하고, 간호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센서와, 환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맥박센서와,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봤을 경우, 경고음과 간호 관제센터,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용변 여부를 알려주는 용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립와,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송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1 전극선 및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수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 2전극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변감지센서는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본 경우와, 제어자와 환자가 신체 일부 접촉되고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본 경우 용변감지센서에 감지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변감지센서는 상기 교류전원에서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제1 전극선을 통해 순환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입력된 전류를 상기 제2 전극선을 통해 수신되고 용변을 감지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는 등가회로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클립은 상기 맥박센서에 감지된 건강상태와, 상기 용변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용변량을 컨트롤러 및 간호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클립에서 수신받은 용변을 해당하는 환자의 위치에 점등되는 표시수단과, 용변량 표시하는 표시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자 통제 프로그램은 상기 스마트 클립에서 수신받은 용변을 해당하는 환자의 위치에 점등하는 표시버튼과, 용변량을 표시하는 용변표시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에 스마트 클립을 삽입하여 치매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며, 환자의 용변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매 환자가 기저귀에 용변을 하였을 경우 용변 감지 센서를 통해 관제센터로 보내지는 동시에 무선 알람장치에 알람을 울리게 하여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퍼시티브 방식을 적용하여 용변 감지 센서 오차율을 최소화로 줄이고, 용병 중량에 관계없이 용변을 감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클립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전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전체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간호 관제센터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클립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전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변감지센서의 전체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간호 관제센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용변 감지 기저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 환자 및 중환자와 같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100)와, 기저귀의 내 외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용변 유무를 확인하며, 송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1 전극선(110)과, 기저귀의 내 외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용변 유무를 확인하며, 수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 2전극선(130) 및 사용자가 기저귀(100)에서 용변을 봤을 때 이를 감지하고 간호 관제센터(400) 및 간병인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 클립(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저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와 노인이 착용 할 수 있도록 제작된 1회용 기저귀 및 천 또는 합성섬유로 만든 재활용 기저귀를 포함한 모든 기저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저귀와 신생아를 기준으로 하는 기저귀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기저귀(100)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다.
또한 기저귀(100)는 외부와 내부에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이 설치되고, 그 위에 스마트 클립(150)을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전극선(110) 및 제2 전극선(130)은 기저귀(100)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통하는 구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저귀(100)의 중앙 부분에 앞면과 뒷면이 연결된다.
또한 제1 전극선(110) 및 제2 전극선(130)은 환자가 착용 했을 때 정전기 및 감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수처리 하며, 제1 전극선(110)와 제2 전극선(130)의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 전극선(110)은 스마트 클립(150)이 장착 될 때 송신단자(Tx)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2 전극선(130)은 스마트 클립(150)이 장착 될 때 수신단자(Rx)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클립(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152)와, 용변을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300)와, 간호 관제센터(400),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센서(154)와, 환자가 기저귀(100)에 용변을 봤을 경우 경고음과 간호 관제센터(400),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용변 여부를 알릴 수 있는 용변감지센서(158)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클립(150)은 각각의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다수개의 스마트 클립(150)이 각각 통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간호 관제센터(400)는 환자를 일괄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간호사실에 위치하는 컴퓨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병원 내에 위치하는 서버실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병원 내에 위치한 안내데스크에 구성 될 수도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152)는 스마트 클립(150)에 내장 되어있고, 스마트 클립(150)이 장착된 기저귀(100)를 착용한 치매 환자 및 신생아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이다.
무선통신센서(154)는 스마트 클립(150)에서 감지한 용변 신호 및 건강상태를 컨트롤러(300), 간호 관제센터(400), 간병인 및 보호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고, 지그비(Zigbee), RF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Fidelity)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간호 관제센터에서(400)는 지그비 또는 RF통신을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간병인 또는 보호자는 BLE 또는 Wifi를 선택하여 구성된다.
맥박센서(156)는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맥박센서(156)에서 생성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되도록 구성되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알려 간호사가 적절한 조취를 취함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맥박센서(156)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심장 박동 및 혈액 흐름 속도 및 혈압을 측정하여 환자의 신체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간호 관제센터(400)로 스마트 클립(150)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알려 제어자가 적절한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변감지센서(158)는 도시된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치매 환자 및 중환자가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용변을 기저귀(100) 안에 봤을 때 용변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제1 전극선(110)은 교류전원(112)과 직렬연결되어 있고, 제2 전극선(130)은 버퍼회로(132)와 직렬연결되어 있으며, 용량성(Capacitive)으로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용변감지센서(158)는 용변을 보지 않은 상태 즉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이 환자의 둔부와 비접촉 상태, 사람과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와의 접촉상태,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 사람과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와의 상태와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로 구분되며, 이 중 용변을 봤을 때 용변감지센서(158)가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첫째로,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보지 않은 상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가 환자의 둔부와 접촉이 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전류가 순환하지 않게 되어 용변감지센서(158)는 용변을 보지 않는 상태로 구분된다.
둘째로,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제1 전극선(110)또는 제2 전극선(130)에 환자의 둔부와 접촉이 되어 있고, 간호사, 간병인 및 보호자와 같은 제어자에게 신체 접촉이 있을 경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둔부가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의 연결매체로 활용하여 교류전원(112), 제1 전극선(110), 제2 전극선(130), 버퍼회로(132) 순으로 순환하는 전류 I1이 흐르며, 이때 전류 I1은 마이너스(-) 전류가 미세하게 순환된다.
또한 기저귀(100)를 착용환 환자와 제어자가 접촉이 있을 경우에는 접촉한 사람과 환자의 신체를 연결수단으로 작용하며, 제어자가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 사이에 전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변감지센서(158)와 제어자 사이에 2개의 커패시터(capacitor)를 구성하여 제2 전극선(130), 환자의 둔부, 제어자, 커패시터 순으로 순환하는 전류 I2가 흐르게 되며, 이때 전류 I2는 플러스(+) 전류가 마이너스(-)의 전류보다 약 4배의 전류가 생성 된다.
셋째로,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에는 도시된 도 3c과 같이,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 사이에 용변이 위치하게 된 경우, 용변은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을 연결해주는 연결 매체가 되어 교류전원(112), 제1 전극선(110), 제2 전극선(130), 버퍼회로(132) 순으로 전류가 순환하는 I1 전류가 생성된다.
이 때 I1 전류는 제1 전극선(110) 또는 제2 전극선(130)에 위치하는 경우 용변에 호팜하는 소화관의 분비물의 영향을 받아 플러스(+)전류가 생성되며, 마이너스(-)전류는 생성되지 않는다.
넷째로, 기저귀(100)를 착용환 환자가 용변을 본 동시에 제어자가 환자를 터치한 경우에는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 환자의 둔부가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의 연결매체로 활용하여 교류전원(112), 제1 전극선(110), 제2 전극선(130), 버퍼회로(132) 순으로 순환하는 전류 I1이 흐르며, 이때 전류 I1은 마이너스(-) 전류가 순환하게 되고, 이때 환자와 제어자가 접촉만 이루어진 세번째 경우보다 2배의 마이너스(-) 전류가 생성된다.
또한 기저귀(100)를 착용환 환자와 제어자가 접촉이 있을 경우에는 접촉한 사람과 환자의 신체를 연결수단으로 작용하며, 제어자가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변감지센서(158)와 제어자 사이에 2개의 커패시터(capacitor ; 259)를 구성하여 제2 전극선(130), 환자의 둔부, 제어자, 커패시터(259) 순으로 순환하는 전류 I2가 순환하게 된다.
즉 환자가 용변을 봤을 때와 제어자와 환자가 접촉하게 된 경우는 두번째에 게시되어 있는 제어자와 환자의 접촉상태에 흐르는 전류 I1과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봤을 때의 전류 I2가 결합된 전류이며, 플러스(+)전류와 마이너스(-)전류는 두번째에 게시된 전류 I1 및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전류 I2 보다 크게 생성하고 순환된다.
용변감지센서(158)의 회로도는 도시된 도 5와 같이, 교류전원(112)에서 생성된 전류를 제1 전극선(110)을 통해 순환하는 송신기(Transmitter ; 251)와 송신기에서 입력된 전류를 제2 전극선(130)을 통해 수신되고 용변전류 감지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수신기(Receiver ; 253)를 포함하며, 송신기(251)와 수신기(253)은 등가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251)는 교류전원(112)에서 생성된 교류전류를 변압기(255), 인덕터(257)와 정류기(261)를 통해 전류를 커패시터(259)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변압기(Transformer ; 255)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이며, 감은 코일 수에 따라 치환되는 전압의 값이 변환이 되는 장치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변압기는 교류전원(112)에서 변압기(255)의 1차 코일로 입력되며, 1차 코일에서 2차 코일로 교류전류가 순환 될 때 코일에 감긴 수에 비례하여 전압이 변환되어 순환된다.
인덕터(Inductor ; 257)는 저항, 콘덴서, 전자관, 트랜지스터, 전원(電源) 등과 함께 전기회로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부품 가운데 하나이고,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이며, 인덕터(257)는 변압기(255)에서 변환된 전압을 커패시터(259)로 유도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커패시터(259)는 전하를 축적 할 수 있는 부품으로, 순간적인 전압의 저하가 발생하였을 때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그 간극을 메워주는 역할하며, 캐패시터(259)는 상당한 시간 동안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 일부 배터리의 기능을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이오드(Diode ; 261)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것과 동시에 전류가 역방향으로 순환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다이오드(261)는 인덕터(257)에서 유도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치환하여 커패시터(259)로 순환되도록 제어된다.
감지부재(263)는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 용변에 포함되어있는 전해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전해물을 감지 할 때 해당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디코더(decoder)를 삽입하여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용변이 제1 전극선(110)과 제2 전극선(130)에 용변에 포함된 분비물이 감지되면 그안에 포함되어있는 플러스(+) 전류가 송신기(251)와 수신기(253)를 통해 감지부재(263)으로 순환하게 되며, 감지부재(263)는 전해물이 감지되면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디코더를 통해 감지 여부를 제어자에게로 보낸다.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본 후 해당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본 경우 스마트 클립(150)을 통해 컨트롤러(300), 간호 관제센터(400)에 전송하게 된다.
먼저 컨트롤러(300)는 통로 벽면에 설치하여 제어자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장치이고, 스마트 클립(150)에 고유번호를 일렬로 나열하며, 스마트 클립(150)에 해당하는 용변 량을 소, 중, 대로 나뉘어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기저귀(100)에 소변을 본 경우에는 '소'에 해당하는 표시수단(320)내에 구성된 표시점등(322)에 점등이 되고, 소변과 소량의 대변을 배출한 경우 '중'에 해당하는 표시수단(320)내에 구성된 표시점등(322)에 점등이 되며, 소변과 대변을 본 경우 많은 양을 배출 한 경우는 '대'에 해당하는 표시수단(320)내에 구성된 표시점등(322)에 점등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간호 관제센터(400)는 환자의 용변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특히 환자가 용변을 본 경우 용변량도 같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고유번호 1번의 스마트 클립(150)을 장착된 환자의 기저귀(100)에 소변만 본 상태인 '소'에 해당하는 표시수단(320)에 점등 한 것으로 표기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환자의 용변량에 따라 표시수단(320)에 점등되는 위치가 변경 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300)와 동시에 수신받는 간호 관제센터(400)는 고유번호가 내장된 복수개의 스마트 클립(150)이 일렬로 나열되는 표시버튼(420)을 포함되며, 표시버튼(420)은 스마트 클립(150)의 갯수만큼 간호 관제센터(400)에 표시된다.
또한 간호 관제센터(400)는 스마트 클립(150)에 내장된 GPS를 이용하여 환자가 실종했을 경우 쉽게 찾도록 위치 추적 기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100)내에 장착된 스마트 클립(150)은 GPS(152)를 포함하고 있어, 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가 실종 당했을 경우 고유번호가 부여된 스마트 클립(150)을 간호 관제센터(400)를 통해 해당하는 환자를 위치 추적을 하여 실종예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위치정보 수집을 포함하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노출이 될 우려를 대비하여 보호자 및 경찰 등과 협조 체계를 구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버튼(420)은 스마트 클립(15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간호 관제센터(400)에 표시하며, 왼쪽 상단에는 환자의 용변량을 표시하는 용변표시점등(422)을 포함한다.
용변표시점등(422)은 소변만 본 경우 '노랑색' 점등이 켜지고, 소변과 소량의 대변을 본경우 '파랑색' 점등이 켜지며, 소변과 대량의 대변을 본 경우 '빨간색' 점등이 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변표시점등(422)는 용변량에 따라 다수 색이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변량에 따라 용변표시점등(422)이 부분 점등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표시버튼(420) 전체를 기준으로부분 점등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기저귀 110 : 제1 전극선
112 : 교류전원 130 : 제2 전극선
132 : 버퍼회로 150 : 스마트 클립
152 : GPS 154 : 무선통신센서
156 : 맥박센서 158 : 용변감지센서
251 : 송신기 253 : 수신기
255 : 변압기 257 : 인덕터
259 : 커패시터 261 : 정류기
263 : 감지부재 300 : 컨트롤러
320 : 표시수단 322 : 표시점등
400 : 간호 관제센터 420 : 표시버튼
422 : 용변표시점등

Claims (7)

  1. 치매 환자 및 중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와, 환자의 용변량을 제어하고, 간호 관제센터,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무선통신센서와, 환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맥박센서와,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봤을 경우, 경고음과 간호 관제센터,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용변 여부를 알려주는 용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립;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송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1 전극선; 및
    상기 스마트 클립과 접촉되고, 환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며, 수신단자 역할을 하는 제 2전극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감지센서는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본 경우와, 제어자와 환자가 신체 일부 접촉되고 환자가 상기 기저귀에 용변을 본 경우 용변감지센서에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감지센서는,
    상기 교류전원에서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제1 전극선을 통해 순환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입력된 전류를 상기 제2 전극선을 통해 수신되고 용변을 감지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또는 상기 수신기는,
    등가회로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립은,
    상기 맥박센서에 감지된 건강상태와, 상기 용변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용변량을 컨트롤러 및 간호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클립에서 수신받은 용변을 해당하는 환자의 위치에 점등되는 표시수단과, 용변량 표시하는 표시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관제센터는,
    상기 스마트 클립에서 수신받은 용변을 해당하는 환자의 위치에 점등하는 표시버튼과, 용변량을 표시하는 용변표시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0140175979A 2014-12-09 2014-12-09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170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79A KR101707108B1 (ko) 2014-12-09 2014-12-09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79A KR101707108B1 (ko) 2014-12-09 2014-12-09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852A true KR20160069852A (ko) 2016-06-17
KR101707108B1 KR101707108B1 (ko) 2017-02-15

Family

ID=5634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979A KR101707108B1 (ko) 2014-12-09 2014-12-09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237B1 (ko) 2001-11-16 2005-01-03 이인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20110050282A (ko) * 2009-11-06 2011-05-13 김홍균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140096760A (ko) * 2013-01-29 2014-08-06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237B1 (ko) 2001-11-16 2005-01-03 이인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KR20110030499A (ko) * 2008-06-30 2011-03-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다기능 모니터링 기기
KR20110050282A (ko) * 2009-11-06 2011-05-13 김홍균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140096760A (ko) * 2013-01-29 2014-08-06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08B1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99903A1 (en) Remote monitoring of absorbent article
KR100950864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장치
US20140070950A1 (en) Sanitiza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KR20150031404A (ko) 기저귀의 흠뻑 젖은 상태를 무선 검출할 수 있는 기저귀 구조 및 그의 기저귀 검출 시스템
US20210137748A1 (en) Body Fluid Sensor Pad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527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
JP2006349418A (ja) Icタグ及びicタグを用いた濡れ検出システム並びに濡れ検出おむつ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EP3478236B1 (en) A system for diaper survellance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class of human excreta in a diaper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1682478B1 (ko)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Jeong et al. Review of urinary continence care products using sensor technology to improve effectiveness
KR101228300B1 (ko) 환자 간호용 매트
KR101707108B1 (ko)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US11464460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physical distress in infant tracheostomy patients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CN114795518A (zh) 一种医用卫生辅助系统
EP3995074A1 (en) Comprehensive care device
US11100779B1 (en) Comprehensive care device
EP3672546A1 (en) Incontinence care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8104652A (ja) 被介護者不在検知装置
JP7513240B2 (ja) 排尿検知システム
CN211068457U (zh) 一种基于干电池驱动电磁继电器的输液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