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237B1 -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237B1
KR100464237B1 KR10-2001-0071213A KR20010071213A KR100464237B1 KR 100464237 B1 KR100464237 B1 KR 100464237B1 KR 20010071213 A KR20010071213 A KR 20010071213A KR 100464237 B1 KR100464237 B1 KR 10046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diaper
urine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856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riority to KR10-2001-007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2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넓게 분포되어 형성된 감지기(110)와,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120)과, 그물망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130)와,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가 형성된 일측의 수직으로 길이가 긴 전극단자 연결 탭(140)으로 구성되어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100); 및 상기 제 1 전극단자와 접촉되는 제 2 전극 단자바(210)와,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내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220)로 이루어져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기저귀나 패드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려주는 한편,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 패드 모듈과 대/소변 감지시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알려주는 경보 장치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작 가능하게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DIAPER/URIN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기저귀에 부착 또는 내장시켜 사용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센서가 내부에 장착된 감지 패드 모듈을 기저귀의 내면 또는 내부에 장착시킨 후 전극단자를 이용하여 경보 장치 모듈과 접속시켜 대/소변 감지시 보호자에게 기저귀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저귀나 패드는 천으로 만든 것과 합성 솜, 펄프 및 비닐 등을 혼합해서 만든 일회용의 것 2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갈아주기 편리하고, 빨지 않아도 되는 이유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나 패드의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아기나 환자가 대/소변 등의 일을 보았을 때 기저귀나 패드의 안쪽에 내장된 솜이나 스펀지, 펄프 등의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이 수분을 흡수하여 옷을 적시거나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저귀 또는 패드는 안쪽에 다량의 뜨거운 수분이 가득차게 되었을 경우에도 유아 및 치매성 노인 등은 보호자에게 즉시 의사표현을 할 수 없으므로 다량의 수분과 접촉하는 피부는 쉽게 손상을 입게되며, 저온화상이나붉은색의 발진이 발생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습진 등의 피부병 및 욕창 등의 병에 걸리게됨으로 보호자는 언제 기저귀나 패드를 갈아야 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자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및 치매성 노인의 대, 소변 등의 일을 보았을 때 기저귀나 패드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알려주는 한편, 경보 장치 모듈과 감지 패드 모듈을 접속시키는 구조로 구현되어 저가로 구현 가능한 감지 패드 모듈만을 교체하여 사용 가능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는 기저귀에 장착되어 대/소변 감지시 경보를 울려주는 대소변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넓게 분포되어 형성된 감지기와, 상기 감지센서가 분포된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내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가 형성된 그물망의 짧은 축으로 길이가 긴 전극단자 연결 탭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 및
상기 감지 패드 모듈내 제 1 전극 단자바에 형성된 제 1 전극단자와 착탈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 2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2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내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는 기저귀에 장착되어 대/소변 감지시 경보를 울려주는 대소변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넓게 분포되어 형성된 감지기와, 상기 감지센서가 분포된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기저귀의 밴드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내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 및
상기 감지 패드 모듈내 제 1 전극 단자바에 형성된 제 1 전극단자와 접촉되는 제 2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2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내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상기 제 2 전극단자와 접촉된 상기 제 1 전극단자를 통해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기저귀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 패드 모듈의 전극단자 연결 탭을 이용하여 경보 장치 모듈의 제 2 전극단자를 고정시키는 실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경보 장치 모듈의 케이스 외부에 목걸이용 끈고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경보 장치 모듈의 케이스 외부에 클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기에 장착된 제 1 전극단자를 집게형 전극단자를 통해 접속시키는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기에 장착된 제 1 전극단자를 집게형 전극단자를 통해 접속시키는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감지 패드 모듈이 기저귀 내부면에 장착된 실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중 제 1 전극단자바가 감지 패드 모듈이 내장된 기저귀의 일측에 위치하여 장착됨을 보이는 실시도,
도 11은 도 7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서 기저귀의 양면 접착 테이프와 기저귀의 밴드 일측에 위치한 제 1 전극단자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7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서 기저귀의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기저귀의 밴드 일측에 위치한 제 1 전극단자바와 제 2 전극단자바를 접속됨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서 제 1 전극단자바와 제 2 전극단자바가 접속됨을 보이는 측면도,
도 14는 도 7에 따른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서 전선가이드를 통해 기저귀의 일측면에 고정됨을 보이는 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감지 패드 모듈 110 : 감지기
120 : 그물망 130 : 제 1 전극 단자바
140 : 전극단자 연결 탭 200 : 경보 장치 모듈
210 : 제 2 전극 단자바 220 : 전자회로
230 : 배터리 240 : 스피커
250 : 발광소자 260 : 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는 감지기(110), 그물망(120), 제 1 전극 단자바(130), 및 전극단자 연결 탭(140)을 구비한 감지 패드 모듈(100)과 제 2 전극 단자바(210), 전자회로(220), 배터리(230), 스피커(240), 발광소자(250), 및 케이스(260)를 구비한 경보 장치 모듈(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은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은 폭 5cm, 길이 20cm, 두께 5mm 이내로 제작되어, 하부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150) 또는 다른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기저귀 내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150)를 보호하는 보호비닐(160)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감지기(110)는 상기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넓게 분포된 감지센서(111, 112)를 통해 대/소변을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10)는 폭 5cm, 길이 20cm, 두께 5mm 이내로 제작되고, 대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그물망(120) 내부의 상위 부분에 근접되어 형성된 대변 감지센서(111)와 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대변 감지센서(111) 하부에 형성된 소변 감지센서(112)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에는 상기 감지패드 모듈과 경보 장치 모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정한 상태확인 소자(1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변 감지센서(111) 및 상기 소변 감지센서(112)의 재료는 매우 가늘고 얇고 유연성이 뛰어난 금속전선이나 탄소판 혹은 박막 전선 등의 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상태확인 소자(113)는 저항(R) 또는 케패시터(C)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그물망(120)은 상기 두 감지센서(111, 112)가 분포된 감지기(110)를 감싸 착용자와 접속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제 1 전극 단자바(130)는 상기 감지기(110)내 감지센서(111, 112)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131, 13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에 고정된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는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원단자(131a)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회로용 전극단자(13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물망(120)의 상측면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기(110)내 감지센서(111, 112)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전극단자 연결 탭(140)은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가 형성된 일측의 수직으로 길이가 긴 형상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내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210)내 제 2 전극단자(211, 212)가 접촉되면 그 제 1 전극단자(131, 132) 및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상기 그물망(120) 상부에 위치시켜 감싸 고정한 후 종단에 구비된 양면 접착 테이프(141)를 통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제 2 전극 단자바(210)는 상기 전자회로(220)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210)에 고정된 제 2 전극단자(211, 212)는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원단자(211a)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회로용 전극단자(21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전자회로(22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로부터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통해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보호자에게 스피커(240)의 알람 또는 발광소자(250)의 불빛을 통해 알려주기 위해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배터리(23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220)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의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제 1 전극단자(131, 132)가 접촉될 경우에만 회로구성이 이루어져 상기 전자회로(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가 접촉될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좀 더 장시간 배터리(23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스피커(24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회로(220)로부터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람을 울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스피커(240)의 알람은 멜로디 음악, 음성, 소리, 경보음 등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발광소자(25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회로(220)로부터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보호자에게 발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250)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소형 전구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케이스(260)는 전자회로(220), 배터리(230), 스피커(240), 및 발광소자(250)를 내장하고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60) 외부에 목걸이용 끈고리(26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62)이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목 또는 기저귀 외면에 장착 가능하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호자는 상기 기저귀 내면부에 감지기(110), 그물망(120), 제 1 전극 단자바(130), 전극단자 연결 탭(140), 및 양면 접착 테이프(150)를 구비한 감지 패드 모듈(100)을 상기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면에 부착한다.
이어서, 보호자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외부에 구성된 목걸이용 끈고리(261)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을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시킨다. 이 때,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케이스(260) 외부에 형성된 클립(262)을 통해 기저귀 외면에도 착용 가능하다.
그러면, 보호자는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을 접촉시킨다. 이 때, 이 두 모듈간의 접속방법은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접촉시킨 후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의 일측 하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기 전극단자 연결 탭(140)을 이용하여 상기 그물망(120)과 함께 감아 고정시킨 후 종단에 구비된 양면 접착 테이프(141)를 통해 상기 기저귀에 고정한다. 즉,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이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를 통해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에 접속된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감지기(110)는 대/소변을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전자회로(2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전자회로(220)는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피커(240) 또는 발광소자(250)를 통해 보호자에게 기저귀 교체 시기를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는 감지기(110), 그물망(120), 및 제 1 전극 단자바(130)를 구비한 감지 패드 모듈(100)과 제 2 전극 단자바(210), 전자회로(220), 배터리(230), 스피커(240), 발광소자(250), 및 케이스(260)를 구비한 경보 장치 모듈(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은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대/소변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기(110)는 폭 5cm, 길이 20cm, 두께 5mm 이내로 제작되고 상기 기저귀와 같은 길이 방향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넓게 분포된 감지센서(111, 112)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를 통해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10)는 대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그물망(120) 내부 상위 부분에 근접되어 형성된 대변 감지센서(111)와 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대변 감지센서(111) 하부에 형성된 소변 감지센서(112)로 구성되며, 종단에는 상기 감지패드 모듈과 경보 장치 모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정한 상태확인 소자(1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대변 감지센서(111) 및 소변 감지센서(112)의 재료는 매우 가늘고 얇고 유연성이 뛰어난 금속전선이나 탄소판 혹은 박막 전선 등의 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120)은 상기 감지센서(111, 112)가 분포된 감지기(110)를 감싸 착용자와의 접속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는 상기 감지기(110)내 감지센서(111, 112)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1 전극단자(131, 13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는 상기 감지기(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기저귀 밴드 부분의 일측 종단에 고정되는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와 전선을 감싸는 전선 가이드(133)에 45°각의 방향으로 일체되어 기저귀 밴드 부분의 일측 종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에 고정된 상기 제 1 전극단자(131, 132)는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원단자(131a)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회로용 전극단자(13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110)내 감지센서(111, 112)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감지신호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로 전달한다. 이 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130)내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210)내 제 2 전극단자(211, 212)는 상기 기저귀를 착용할 때 상기 기저귀의 양측면에 형성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21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전자회로(220)로부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전극 단자바(210)에 고정된 제 2 전극단자(211, 212)는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원단자(211a)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회로용 전극단자(211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전자회로(22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의 제 1 전극단자(131, 132)로부터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통해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보호자에게 스피커(240)의 알람을 통해 알려주거나 발광소자(250)의 불빛을 통해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회로(220)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의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제 2 전극단자(211, 212)가 접촉될 경우에만 회로구성이 이루어져 상기 전자회로(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배터리(230)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좀 더 장시간 배터리(23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24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회로(220)로부터 입력받은 경보신호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람을 울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스피커(240)의 알람은 멜로디 음악, 음성,소리, 경보음 등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250)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회로(220)로부터 입력받은 후 경보신호를 통해 보호자에게 발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250)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소형 전구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60)는 전자회로(220), 배터리(230), 스피커(240), 및 발광소자(250)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260) 외부에 목걸이용 끈고리(261) 또는 클립(262)이 형성되어 기저귀 착용자의 목 또는 기저귀 외면에 장착 가능하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제작과정에서 상기 기저귀 내부에 감지기(110), 그물망(120), 및 제 1 전극 단자바(130)로 구성된 감지 패드 모듈(100)을 길이 방향으로 장착한다.
이어서, 보호자는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의 케이스(260) 외부에 구성된 목걸이용 끈고리(261)를 통해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목에 걸어 장착한다. 이 때,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상기 케이스(260) 외부에 형성된 클립(262)을 통해 기저귀 외면에 착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을 접속시킨다.이 때, 상기 두 모듈간의 접속방법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이 내장되어 제작된 기저귀의 밴드 부분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전극단자(131, 132)에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전극단자(211, 212)를 접촉시킨 후 기저귀의 양측 종단에 형성된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기저귀를 착용할 경우 기저귀의 양면 접착 테이프는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간의 결합 수단으로도 사용되며, 상기 전자회로(220)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집게 형상의 제 2 전극단자바(210)를 상기 제 1 전극단자바(130)에 물려 접속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제 1 전극단자(131, 132)와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내 제 2 전극단자(211, 212)가 접촉됨으로써 구동된다.
이어서,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내 감지기(110)는 대/소변을 감지한 후 그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경보 장치 모듈(200)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피커(240) 또는 발광소자(250)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려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감지센서를 내장하지 않은 일반 일회용 기저귀 및 패드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며, 보호자는 주, 야간에 관계없이 경보장치의 동작만을 확인하여 기저귀나 패드의 교체 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대/소변에 의해 더러워진 기저귀를 교체하지 않아 발생하는 발진, 습진, 욕창 등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자에게 경보를 울려주는 부분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 감지기 또는 감지기가 내장된 기저귀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저귀 교체시 저비용으로 제작된 감지 패드 모듈을 교체함으로써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경보장치는 감지기를 연결할 경우에만 동작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기저귀에 장착되어 대/소변 감지시 경보를 울려주는 대소변 감지장치에 있어서,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상기 기저귀에 분포시켜 형성한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내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극단자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확인 회로용 전극단자로 구성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를 하기하는 제 2 전극 단자바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극단자 연결 탭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저귀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 및
    상기 감지 패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에 형성된 제 1 전극단자와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 2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2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패드 모듈은, 상기 기저귀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양면 접착 테이프가 상기 감지기 하부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폭 5cm, 길이 20cm, 두께 5mm 이내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 탭은, 상기 기저귀의 짧은 측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 1 전극단자와 상기 제 2 전극단자의 접촉시 그 두 전극단자와 그물망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종단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대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그물망 내부 상위 부분에 근접되어 형성된 대변 감지센서와 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대변 감지센서 하부에 형성된 소변 감지센서를 두며, 종단에는 상기 감지패드 모듈과 경보 장치 모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확인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금속 전선, 탄소판, 또는 박막 전선 등의 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 모듈은,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멜로디 또는 발광을 통해 보호자가 기저귀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스피커 또는 발광소자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
    상기 감지 패드 모듈의 전원 공급용 전극단자와 상기 경보 장치 모듈의 전원 공급용 전극단자가 접촉될 경우에만 상기 전자회로 및 상기 감지 패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전자회로, 발광소자, 및 스피커를 내장한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 모듈의 케이스는, 상기 기저귀의 외면 장착하기 위한 클립등의 고정장치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 모듈의 케이스는,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목에 장착하기 위한 목걸이용 끈고리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11. 기저귀에 장착되어 대/소변 감지시 경보를 울려주는 대소변 감지장치에 있어서,
    대/소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상기 기저귀에 분포시켜 형성한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내 감지센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두 개의 전원 공급용 전극단자와 한 개의 정상 감지 상태 확인 회로용 전극단자로 구성된 제 1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1 전극 단자바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의 내부에 장착되는 감지 패드 모듈; 및
    상기 감지 패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극 단자바에 형성된 제 1 전극단자와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 2 전극단자가 형성된 제 2 전극 단자바와, 상기 제 2 전극단자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감지 패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상응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기저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보 장치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단자와 제 2 전극단자를 접속시키는 방법은, 기저귀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고정된 상기 제 1 전극단자에 상기 제 2 전극단자를 접촉시킨 후 기저귀의 밴드 양쪽에 형성된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기저귀를 착용시킴과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KR10-2001-0071213A 2001-11-16 2001-11-16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KR10046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13A KR100464237B1 (ko) 2001-11-16 2001-11-16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13A KR100464237B1 (ko) 2001-11-16 2001-11-16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856A KR20030039856A (ko) 2003-05-22
KR100464237B1 true KR100464237B1 (ko) 2005-01-03

Family

ID=2956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213A KR100464237B1 (ko) 2001-11-16 2001-11-16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2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0479A2 (en) * 2008-12-15 2010-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sensor insert
KR20160069852A (ko) 2014-12-09 2016-06-17 김시경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180063533A (ko) 2016-12-02 2018-06-12 강원순 물질대사 관리를 위한 배변량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03B1 (ko) *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298Y1 (ko) * 1987-02-19 1991-01-18 김종명 절첩식으로된 연결봉 셔터
KR19980068698U (ko) * 1998-09-07 1998-12-05 김동호 어린이(유아) 기저귀용 수분 감지기
KR19990022371U (ko) * 1999-02-05 1999-07-05 권순국 배변감지기저귀
KR20000020344U (ko) * 1999-05-04 2000-12-05 양승룡 용변감지장치
KR200265651Y1 (ko) * 2001-11-09 2002-02-21 우용택 기저귀용 용변감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298Y1 (ko) * 1987-02-19 1991-01-18 김종명 절첩식으로된 연결봉 셔터
KR19980068698U (ko) * 1998-09-07 1998-12-05 김동호 어린이(유아) 기저귀용 수분 감지기
KR19990022371U (ko) * 1999-02-05 1999-07-05 권순국 배변감지기저귀
KR20000020344U (ko) * 1999-05-04 2000-12-05 양승룡 용변감지장치
KR200265651Y1 (ko) * 2001-11-09 2002-02-21 우용택 기저귀용 용변감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0479A2 (en) * 2008-12-15 2010-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sensor insert
WO2010070479A3 (en) * 2008-12-15 2010-10-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sensor insert
KR20160069852A (ko) 2014-12-09 2016-06-17 김시경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180063533A (ko) 2016-12-02 2018-06-12 강원순 물질대사 관리를 위한 배변량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856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811B1 (en) Urine-detection device with adhesive tape and emitter sensor
US6163262A (en) Urine detect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diaper
US6097297A (e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5264830A (en) Apparatus for sensing wet diaper
TWI532453B (zh) 應用光纖感應器之嬰兒監測墊
US8803682B2 (en) Sleep-posture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US8988231B2 (en) Wetness notification system
KR101681514B1 (ko)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49196Y1 (ko) 배뇨변 감지 호출장치
JP2007501664A (ja) 人体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US20150164703A1 (en) Excreta detecting sensor and detecting device using electrically-conductive fibrous conducting wire
JP2011501990A (ja) 無呼吸検出器及びシステム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US20180049650A1 (en) Blood parameter monitoring device and blood parameter monitoring method
KR20140121059A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KR100464237B1 (ko) 기저귀의 대/소변 감지장치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KR101717170B1 (ko)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배뇨 감지 시스템
CA2255414A1 (en) A urine detect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diaper
JPH1062369A (ja) おしめ濡れ検知装置
JP2010172426A (ja) おむつの濡れ検知センサー
KR200265651Y1 (ko) 기저귀용 용변감지기
US11801171B2 (en) Defecation detection device
JP4399939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04230135A (ja) 電子おむつ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