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583A -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583A
KR20150111583A KR1020140035032A KR20140035032A KR20150111583A KR 20150111583 A KR20150111583 A KR 20150111583A KR 1020140035032 A KR1020140035032 A KR 1020140035032A KR 20140035032 A KR20140035032 A KR 20140035032A KR 20150111583 A KR20150111583 A KR 2015011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arer
unit
diaper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화
윤종욱
Original Assignee
윤종화
윤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화, 윤종욱 filed Critical 윤종화
Priority to KR102014003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583A/ko
Publication of KR2015011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유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가 착용하는 기저귀 내부 일측에 요부홈에 삽입되거나 기저귀 내부에서 일체로 구성되어 착용자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하여 농도 여부를 체크하여 전송하는 센싱장치, 상기 센싱장치에서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송출하여 전송된 상태정보에 따라 착용자 인지 및 착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 앱(app)을 구동하여 표시하여 착용자의 상태 확인 및 조치, 점검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치매노인, 중환자의 나이, 성별, 상태정보가 저장되고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고정 단말로 구성되어 상기 센싱장치와 무선연동을 통해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신속히 착용자를 돌볼 수 있도록 인지정보를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과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센싱장치에서 부여된 고유 식별부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의 이력관리를 통해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 제공을 위해 안정적인 운영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저귀 내에 센싱장치를 부가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또는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여 RF, zigbee 등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관리자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A DIAP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 내에 센싱장치를 부가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또는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여 RF, zigbee 등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관리자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 내 센싱장치에서 배설된 정보에 따라 농도여부를 확인하여 상태정보 송출여부를 판단하거나, 자체 진동부를 통해 배설에 따른 상태를 인지가 가능하고, 착용자별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착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가리지 못하는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는 일회용의 팬티형 또는 일자형 종이 기저귀나 천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일자형 기저귀나 천 기저귀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밀폐성과 방수성을 위하여 그 위에 기저귀 커버를 덧 착용하여야 하고, 특히 천 기저귀의 경우에는 신속히 교환하여야 하고 재사용을 위하여는 세척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됨으로 인하여 부모 또는 보호자들 대부분은 이보다는 밀폐성과 흡수성이 뛰어나고 착용하기가 간편한 일회용 종이기저귀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 기저귀에 대한 지나친 믿음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유아들이 대변을 보았을 때 또는 수회의 소변을 보았을 때 그 기저귀의 외면이 방수포로 되어 있어 직접 손으로 기저귀를 만져보거나 기저귀를 수시로 풀어서 확인하지 않는 한, 용변을 시각적이나 후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적시에 교환할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었다.
결국 이로 인하여 대변속의 소화기관에서 분비된 효소들과 소변의 암모니아가 연약한 유아의 피부를 자극하게 되어 기저귀발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함으로써 착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근래에 와서 유아 또는 병약자들을 돌보는 부모 또는 보호자에게 기저귀의 교환시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기저귀 내면 위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착탈가능케 부착하거나 기저귀에 일체로 내장되어 용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선보이고 있다.
종래의 감지장치는 통상 배설을 감지하여 알람과 같은 소리로써 배설 유무를 확인해 주는바, 1인이 1인을 관리할 수 있는 맨투맨 감지장치 이므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별도로, 병원의 중환자일 경우, 대소변의 횟수가 중요한 바, 이를 관리하기 위해 보호자, 간병인 또는 간호사가 수기로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차트에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체크한 챠트를 통해 의사가 변동사항을 눈으로 보고 직접 비교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 하였으나, 이때 환자의 소변과 대변 횟수를 한번에 직접 확인할 수 없고, 배설된 상태의 장시간 기저귀 사용에 따라 착용자의 건강상의 문제가 대두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관련기술문헌]
1. 공급정보 관리시스템, 사용정보 관리시스템 및 기저귀 제품 관리시스템(SUPPL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PRODUCT MANAGEMENT SYSTEM) (특허등록번호 제10-0819368호)
2. 기저귀용 습도 센서 및 그 관리 시스템(Humidity sensor for diaper and management system therefor) (특허등록번호 제10-088681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저귀 내에 센싱장치를 부가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또는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여 RF, zigbee 등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관리자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 내 센싱장치에서 배설된 정보에 따라 농도 여부를 확인하여 상태정보 송출 여부를 판단하거나, 자체 진동부를 통해 배설에 따른 상태를 인지가 가능하고, 착용자별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착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 내 센싱장치의 센싱된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전송시 해당 데이터 수신에 따라 경고음, 경광등을 통해 인지가 가능하고, 전송된 착용자의 상태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착용자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고유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가 착용하는 기저귀 내부 일측에 요부홈에 삽입되거나 기저귀 내부에서 일체로 구성되어 착용자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하여 농도 여부를 체크하여 전송하는 센싱장치, 상기 센싱장치에서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송출하여 전송된 상태정보에 따라 착용자 인지 및 착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 앱(app)을 구동하여 표시하여 착용자의 상태 확인 및 조치, 점검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치매노인, 중환자의 나이, 성별, 상태정보가 저장되고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고정 단말로 구성되어 상기 센싱장치와 무선연동을 통해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신속히 착용자를 돌볼 수 있도록 인지정보를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과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센싱장치에서 부여된 고유 식별부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의 이력관리를 통해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 제공을 위해 안정적인 운영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센싱장치는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농도 체크,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 송출,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감지정보 송출을 위한 센싱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싱장치가 구비된 기저귀를 통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기저귀 내부의 농도를 체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해당 상태정보 송출의 기준을 설정하는 농도 체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농도 체크부에서 체크된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기저귀 내부의 농도에 따라 기저귀 교체 여부의 판단신호를 송출하는 판단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판단부에서 제시되는 기저귀 교체 여부에 따른 신호를 송출되는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해당 감지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감지정보를 기저귀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를 송출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자 단말은, 센싱장치의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 수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 저장된 착용자의 배설주기, 상태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컴,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싱장치의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자 단말의 관리자가 센싱장치에서 송출되는 착용자의 배설 여부에 따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 일측에 구성된 경광장치를 통해 알람, 경고음, 부저를 통해 해당 상태를 표시하는 경광음 송출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관리를 위해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 또는 추가 관리를 위해 등록될 착용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 상기 상태 표시부에 표시될 센싱장치가 구비된 기저귀를 착용한 착용자 정보, 추가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무선 수신부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에 대해 관리자의 대응 정보, 착용자의 배설주기에 따른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관리자에 의해 대응한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정보, 추가 입력된 착용자의 인적정보, 부여된 센싱장치의 고유 식별부호, 상태정보 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배설 유무를 센싱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사용자단말,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받아 변동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1인이 다수의 착용자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배설 유무와, 배설량과, 배설횟수를 센싱장치를 통해 착용자별로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이를 바로 처리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거나 기저귀발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기저귀 내에 센싱장치를 부가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또는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여 RF, zigbee 등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관리자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기저귀 내 센싱장치에서 배설된 정보에 따라 농도여부를 확인하여 상태정보 송출여부를 판단하거나, 자체 진동부를 통해 배설에 따른 상태를 인지가 가능하고, 착용자별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착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기저귀 내 센싱장치의 센싱된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전송시 해당 데이터 수신에 따라 경고음, 경광등을 통해 인지가 가능하고, 전송된 착용자의 상태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착용자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기저귀 내부에 센싱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센싱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용기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기저귀 내부에 센싱 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가 착용하는 기저귀(10) 일측에 무선으로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송출하는 센싱장치(20)가 부설되는데, 이는 기저귀 일측에 센싱장치(20)가 삽입되어 부착되는 요부홈(도면 미도시)을 부설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센싱장치(20)가 기저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크게, 센싱장치(20),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통신망(50) 및 운영서버(6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센싱장치(20)는 기저귀 내부 일측 요부홈에 삽입되거나, 기저귀 내부에서 기저귀와 일체로 구성되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하여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 해당 감지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싱장치(20)는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정보에 따른 농도 여부를 체크하여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를 송출하거나,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농도 체크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정보를 무선 송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센싱장치(20)는 고유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센싱장치별로 할당되어 착용자 상태정보와 연계되어 해당 정보가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입력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상기 센싱장치(20)에서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송출하여 전송된 상태정보에 따라 착용자 인지 및 착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 앱(app)을 구동하여 표시하여 착용자의 상태 확인 및 조치, 점검 상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자 단말(40)은 치매노인, 중환자 등의 나이, 성별, 상태정보가 저장되고 센싱장치(10)와 무선연동되어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고정 단말로 구성되어 상기 센싱장치(10)에서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착용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신속히 착용자를 돌볼 수 있도록 인지정보를 송출하거나, 저장된 착용자의 배설주기,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운영서버(6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망(50)은 상기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및 운영서버(60)와 각각 연동되어 센싱장치(20)의 착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필요한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신망(5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5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용기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5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용기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50)은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 운영서버(6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운영서버(60)는 센싱장치(20)에 부여된 고유 식별부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에서 전송되는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의 이력 관리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싱장치(20) 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 및 주기를 상기 관리자 단말(40)에서 통신망(50)을 통해 전송받거나, 사용자 단말(30)의 어플(App)의 구동에 따른 상태정보를 통신망(50)을 통해 수신하여 센싱장치(20) 별 이력관리를 통해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운영이 제공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센싱장치(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제어부(21), 감지부(22), 농도체크부(23), 판단부(24), 송신부(25) 및 알람부(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센싱장치(2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21)는 기지귀 내부에 구성된 센싱장치(20)를 통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농도 체크,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 송출,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감지정보 송출을 위한 센싱장치(2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감지부(22)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싱장치(20)가 구비된 기저귀를 통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고, 농도 체크부(23)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라 감지부(22)에 감지된 기저귀 내부의 농도를 체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해당 상태정보 송출의 기준이 설정되게 된다.
상기 판단부(24)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농도 체크부(23)에서 체크된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기저귀 내부의 농도에 따라 기저귀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기저귀 교체에 따른 판단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신부(25)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판단부(24)에서 제시되는 기저귀 교체 여부에 따른 신호를 송출되는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해당 감지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부(26)는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22)의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감지정보를 기저귀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3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마이컴(31), 상태 수신부(32), 경보부(33), APP 구동부(34), 정보 입력부(35), 디스플레이부(36) 및 무선 송출부(3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3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31)은 센싱장치(20)를 통해 전송된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 송출, 전송된 상태정보에 따라 착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 앱(app) 구동, 착용자의 상태 확인 및 조치, 점검 상태를 입력을 위한 사용자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 수신부(32)는 상기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20)에서 전송되는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무선 수신한다.
상기 경보부(33)는 상기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상태 수신부(32)에서 수신된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경고음, 부저를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App 구동부(34)는 경보부(33)의 구동 신호에 따라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세부정보를 확인하거나 이력정보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위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용 어플을 구동하거나,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부(33)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연계하여 어플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보입력부(35)는 상기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pp 구동부(34) 실행에 따라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대응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구동된 App의 표시정보에 추가적인 착용자의 인적정보, 부여된 센싱장치(20)의 고유 식별부호, 상태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6)는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태 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된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App 구동부(34)의 구동에 따른 해당 구동정보를 표시하거나, 정보 입력부(35)의 상태정보 입력을 위해 필요내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선송출부(37)는 상기 마이컴(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부(35)에 사용자에 의해 대응한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정보, 추가 입력된 착용자의 인적정보, 부여된 센싱장치(20)의 고유 식별부호, 상태정보 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운영서버(60)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관리자 단말(40)로 착용자의 인적정보 및 이력정보의 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4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제 2 마이컴(41), 무선 수신부(42), 경광음 송출부(43), 상태 표시부(44), 저장부(45) 및 데이터 송출부(4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4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 2 마이컴(41)은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 수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 저장된 착용자의 배설주기, 상태정보를 운영서버(60)로 전송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4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무선 수신부(42)는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20)의 송신부(25)에서 전송되는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광음 송출부(43)은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자 단말(40)의 관리자가 센싱장치(20)에서 송출되는 착용자의 배설여부에 따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40) 일측에 구성된 경광장치를 통해 알람, 경고음, 부저를 통해 해당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태 표시부(44)는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부(42)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관리를 위해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 또는 추가 관리를 위해 등록될 착용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45)는 상기 상태 표시부(44)에 표시될 센싱장치(20)가 구비된 기저귀를 착용한 착용자 정보, 추가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무선 수신부(42)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에 대해 관리자의 대응 정보, 착용자의 배설주기에 따른 이력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출부(46)는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45)에 관리자에 의해 대응한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정보, 추가 입력된 착용자의 인적정보, 부여된 센싱장치(20)의 고유 식별부호, 상태정보 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운영서버(6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용기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기저귀
20 : 센싱장치 21 : 제어부
22 : 감지부 23 : 농도체크부
24 : 판단부 25 : 송신부
26 : 진동부 30 : 사용자 단말
31 : 마이컴 32 : 상태수신부
33 : 경보부 34 : APP 구동부
35 : 정보 입력부 36 : 디스플레이부
37 : 무선 송출부 40 : 관리자 단말
41 : 제 2 마이컴 42 : 무선 수신부
43 : 경광음 송출부 44 : 상태 수신부
45 : 저장부 46 : 데이터 송출부
50 : 통신망 60 : 운영서버

Claims (3)

  1. 고유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가 착용하는 기저귀(10) 내부 일측에 요부홈에 삽입되거나 기저귀 내부에서 일체로 구성되어 착용자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하여 농도 여부를 체크하여 전송하는 센싱장치(10),
    상기 센싱장치(20)에서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송출하여 전송된 상태정보에 따라 착용자 인지 및 착용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 앱(app)을 구동하여 표시하여 착용자의 상태 확인 및 조치, 점검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30),
    치매노인, 중환자의 나이, 성별, 상태정보가 저장되고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고정 단말로 구성되어 상기 센싱장치(10)와 무선연동을 통해 전송되는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신속히 착용자를 돌볼 수 있도록 인지정보를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40) 및
    상기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과 각각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되어 센싱장치(20)에서 부여된 고유 식별부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에서 전송되는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 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의 이력관리를 통해 착용자의 쾌적한 환경 제공을 위해 안정적인 운영을 제공하는 운영서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장치(20)는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 유무를 감지,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농도 체크,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 송출,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감지정보 송출을 위한 센싱장치(2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싱장치(20)가 구비된 기저귀를 통해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22),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라 상기 감지부(22)에 의해 감지된 기저귀 내부의 농도를 체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해당 상태정보 송출의 기준을 설정하는 농도 체크부(23),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농도 체크부(23)에서 체크된 치매노인, 중환자, 유아 또는 신생아의 소변, 대변의 배설에 따른 기저귀 내부의 농도에 따라 기저귀 교체 여부의 판단신호를 송출하는 판단부(24),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판단부(24)에서 제시되는 기저귀 교체 여부에 따른 신호를 송출되는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 관리자 단말(40)로 해당 감지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25), 및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22)의 배설에 따른 소변, 대변의 감지정보를 기저귀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신호를 송출하는 진동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센싱장치(20)의 배설에 따른 착용자의 상태정보 수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경광음 송출, 저장된 착용자의 배설주기, 상태정보를 운영서버(60)로 전송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4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컴(41),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센싱장치(20)의 송신부(25)에서 전송되는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RF 또는 Zigbee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42),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자 단말(40)의 관리자가 센싱장치(20)에서 송출되는 착용자의 배설여부에 따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40) 일측에 구성된 경광장치를 통해 알람, 경고음, 부저를 통해 해당 상태를 표시하는 경광음 송출부(43),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부(42)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관리를 위해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 또는 추가 관리를 위해 등록될 착용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44),
    상기 상태 표시부(44)에 표시될 센싱장치(20)가 구비된 기저귀를 착용한 착용자 정보, 추가 등록된 착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무선 수신부(42)를 통해 착용자의 배설에 따른 상태에 대해 관리자의 대응 정보, 착용자의 배설주기에 따른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5), 및
    상기 제 2 마이컴(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45)에 관리자에 의해 대응한 고유 식별부호별 착용자의 정보, 추가 입력된 착용자의 인적정보, 부여된 센싱장치(20)의 고유 식별부호, 상태정보 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위해 상기 통신망(50)을 통해 운영서버(6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출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20140035032A 2014-03-26 2014-03-26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20150111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32A KR20150111583A (ko) 2014-03-26 2014-03-26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32A KR20150111583A (ko) 2014-03-26 2014-03-26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83A true KR20150111583A (ko) 2015-10-06

Family

ID=5434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032A KR20150111583A (ko) 2014-03-26 2014-03-26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95A (ko) * 2017-06-05 2018-12-13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KR20190126742A (ko) * 2019-10-29 2019-11-12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095A (ko) * 2017-06-05 2018-12-13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KR20190126742A (ko) * 2019-10-29 2019-11-12 (주)크레이더스 배설물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342B2 (en) Multifunctional medical monitoring system
US8471715B2 (en) Disposable diaper with wireless alarm system
JP2013534839A (ja) 排便・排尿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U2010322439B2 (en) Real-tim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hygiene compliance within a tracking environment
KR102184237B1 (ko) 스마트 기저귀 병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SG175069A1 (en) Reducing medical error
JP2008047097A (ja) 患者異常通知システム
KR101292186B1 (ko)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EP3478236B1 (en) A system for diaper survellance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class of human excreta in a diaper
KR101119637B1 (ko)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15172246A1 (en) Multifunctio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ensors attached to an absorbent article
JP3147110U (ja) おむつセンサ装置
KR20220017248A (ko) 탈부착형 기저귀 대소변 감지 무선 호출 시스템
KR20100089445A (ko) 용변 감지장치
KR2015011158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JPH11216154A (ja) 無線式介護補助装置
KR200374034Y1 (ko) 분뇨 자동 감지 장치
KR101088222B1 (ko)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관리 시스템
CN106667457B (zh) 使用低功率蓝牙网状网络的生理监控系统
KR101617212B1 (ko)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CN114795518A (zh) 一种医用卫生辅助系统
KR20150072191A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US11756407B2 (en) Hygien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ES2901450T3 (es) Sistema para vigilar el estado de carga de artículos de higiene absorbentes y para evaluar el valor de medición obtenido en este ca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