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191A -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191A
KR20150072191A KR1020130159569A KR20130159569A KR20150072191A KR 20150072191 A KR20150072191 A KR 20150072191A KR 1020130159569 A KR1020130159569 A KR 1020130159569A KR 20130159569 A KR20130159569 A KR 20130159569A KR 20150072191 A KR20150072191 A KR 2015007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iaper
unit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527B1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아이링크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아이링크코리아 (주)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13015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5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volume change or a movement of a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6Moisture sensitive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6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 A61F2013/8479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with various devices or method including electric or magnetic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환자들이 상시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에 대소변이 배출되었음을 1차로 병실의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에게 알리고,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도 병실에서 조치가 안 되면 2차로 간호사실의 간호사에게 병실 번호를 포함하여 알려 신속하고 확실한 처리를 통한 노인 등 환자의 건강에 기여하고 환자의 용변 배출 상태를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애면서 최소의 인력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센서부(610)는, 병실 알림부(630)의 알림을 통해 병실의 환자 도우미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용변 처리를 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최초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613)을 구비하고,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센서부(610)로부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이를 병실 알림부(630)에 전송하고,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센서부(610)로부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으면 병실 알림부(630)에 알림 내용을 제거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센서부(610)로부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병실 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6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System for disposing urination and defecation on diaper}
이 발명은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치매 노인들이 상시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에 대소변이 배출되었음을 1차로 병실의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에게, 그리고 2차로 간호사실의 간호사에게 알려 신속하고 확실한 처리를 통한 노인 등 환자의 건강에 기여하면서 필요 인력의 부족을 보완하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고령화에 따른 치매와 같은 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들의 요양 시설, 병원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요양 시설 및 요양 병원에 요양중인 환자들은 상시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어,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가 이들의 대소변 배출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용변 배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후각 또는 시각에 의존하고 있지만 최근의 기저귀들은 밀폐성이 향상되어 후각에 의한 파악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 인력의 부족으로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가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자리에 있는 경우에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용변 배출 여부를 제때에 확인하지 못하면 환자에게는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항문이나 사타구니가 헐어 피부질환의 발생 등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로부터 기저귀에 부착되어 용변 배출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 또는 간호사에게 알려주기 위해 센서가 부착된 기저귀가 제안되고 있는데, 용변 배출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환자 등의 간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도록 특허 제0762993호(발명의 명칭 : 무선 간호 시스템)에서는, 수분 증가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기저귀, 센서에서 기저귀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보호자나 병원 측의 환자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무선 간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센서(110)가 장착된 기저귀(100), 입력 센서(110)에서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가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200) 및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귀(100)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번호 표시장치(310), 이동통신 단말기(320) 등이 사용될 수 있는 출력부(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시스템을 간호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510)가 센서(110)가 장착된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있으며, 침대 주변에 설치된 신호 처리부(200)는 기저귀(10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하면 신호 처리부(200)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켜 병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번호 표시판(310)과 이동통신 단말기(32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병실 주변의 간호사나 보호자는 번호 표시판(31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320)를 통해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음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소변을 못 가리는 장애인이나 치매 노인, 신생아들을 돌보는 보호자나 간호사 등이 대소변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으며, 보호자 등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잠시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환자 등의 상태가 파악될 수 있어 보호자나 병원 측의 환자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병실 주변의 간호사나 보호자가 번호 표시판(310)과 이동통신 단말기(320)를 통해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음을 파악한 경우에도, 간호사나 보호자는 직접 환자에게 가보지 않는 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조치를 위해 간호사나 보호자가 중복하여 환자에게 가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제0762993호(발명의 명칭 : 무선 간호 시스템)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치매 노인들이 상시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에 대소변이 배출되었음을 1차로 병실의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에게 알리고,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도 병실에서 조치가 안 되면 2차로 간호사실의 간호사에게 병실 번호를 포함하여 알려 신속하고 확실한 처리를 통한 노인 등 환자의 건강에 기여하고 환자의 용변 배출 상태를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애면서 최소의 인력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병실의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에 설치되어, 상기 기저귀의 용변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610)와; 상기 병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센서 신호 처리부(620); 상기 병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 전송받아 상기 환자 기저귀에 용변 있음을 알려주는 병실 알림부(630); 및, 간호사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 전송받아 상기 환자 기저귀에 용변 있음을 알려주는 간호사실 알림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610)는, 상기 병실 알림부(630)의 알림을 통해 상기 병실의 환자 도우미 또는 보호자가 상기 환자의 용변 처리를 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최초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613)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이를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전송하고,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알림 내용을 제거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병실 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600)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610)는, 상기 기저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611)와, 상기 습도 센서(611)로부터의 습도 감지신호를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는 RF 모듈(612)과, 최초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613)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61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614)은, 상기 습도 센서(611)로부터의 습도 감지신호 또는 상기 리셋 수단(613)으로부터의 리셋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RF 모듈(612)을 통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뇌사 상태의 환자나 치매 노인들이 상시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에 대소변이 배출되었음을 1차로 병실의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에게 알리고,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나도 병실에서 조치가 안 되면 2차로 간호사실의 간호사에게 병실 번호를 포함하여 알림으로써, 여러 환자에 착용된 각각의 기저귀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여기서 파악된 정보에 의해 신속하고 확실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노인 등 환자는 항상 청결한 상태의 기저귀를 제공받아 피부 질환 등을 예방하여 건강에 기여하고, 각각의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 그리고 이들 여러 환자를 관리하는 간호사는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용변 배출 상태를 확인을 해야 하는 부담을 없애면서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가 멀리 떨어져 있거나 잠시 자리를 비운 경우에도 간호사에 의해 필요한 조치를 제때에 할 수 있어 최소의 인력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환자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무선 간호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간호 시스템을 간호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서 센서부가 장착된 기저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에서 센서 신호 처리부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시스템에 환자 관리용 서버가 추가로 포함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서 센서부가 장착된 기저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60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병실 내에 설치되는 센서부(610)와, 센서 신호 처리부(620) 그리고 병실 알림부(630) 및 간호사실에 설치되는 간호사실 알림부(640)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병실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병실에는 다수의 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10)는, 병실의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마다 설치되어,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를 용변 배출로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 전송하거나, 용변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리셋 신호를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 전송하도록, 습도 센서(611)와, RF 모듈(612)과, 리셋 수단(613) 그리고 제어 모듈(614)을 포함하며, 여기에 리튬폴리머 전지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로 전력 소모와 크기를 작게 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610)는, 예를 들어 기저귀의 크기를 고려하여 대략 80x80x10㎜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변의 경우 1차 접촉면이 앞쪽이므로 여기에 부착시키면 소변을 볼 때마다 감지되어 적합하지 않으며, 뒤쪽은 대변의 1차 접촉면이 되므로 이를 피하면서 대변과 소변을 보고난 후 기저귀의 습도 평형이 이루어지는 곳인 기저귀의 중간 부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610)는, 전체를 덮으면서 기저귀 표면에 접착 상태를 유지하게 밴드 타입으로 스티커 형태의 커버를 사용하여 기저귀의 중간 부분에 부착 및 새로운 기저귀로 갈아 환자에게 착용하기 위해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습도 센서는, 용변 배출 이후의 기저귀 내의 습도를 감지하므로 기저귀의 대량소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판 중인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어, 기저귀의 부착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가스 센서, 온도 센서, 전도 센서들에 비해 활용도가 크다 할 수 있어 이 발명에서는 기저귀의 중간 부분에 위치시킨다.
상기 습도 센서(611)는, 상기 기저귀 내의 대소변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전기 저항을 감지하거나 수분 자체를 감지하게 되는데, 기저귀 교체 시기의 평균 습도인 70%가 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RF 모듈(612)은, 상기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따른 습도 센서(611)로부터 발생되는 습도 감지신호를 침대 번호와 환자 이름을 포함하여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610)는, 기저귀의 용변을 조치한 후에 리셋 정상 복구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리셋 수단(613)을 구비한다.
상기 리셋 수단(613)은, 상기 병실 알림부(630)의 알림을 통해 상기 병실의 환자 도우미 또는 보호자가 상기 환자의 용변 처리를 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610)를 최초 상태로 되돌리게 하며, 이를 위해 정상 복구의 리셋 조치를 하면 해당 리셋 신호가 센서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 모듈(614)은, 상기 습도 센서(611)와, RF 모듈(612)과, 리셋 수단(613)을 제어하는데, 상기 습도 센서(611)로부터의 습도 감지신호 또는 상기 리셋 수단(613)으로부터의 리셋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RF 모듈(612)을 통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게 제어한다.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RF 모듈과 제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610)가 위치하는 병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환자 기저귀의 용변 배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병실 알림부(630)와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전송되게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전송받은 용변 감지신호를 우선적으로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만 전송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해둔 시간, 예를 들어 해당 병실에서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가 용변 처리를 할 수 있는 시간으로 1~5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알림 내용을 제거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처리한다.
한편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전송받지 못하면, 병실에서 용변 처리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병실에 알람을 종료하고 최종적으로 간호사실의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병실 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이 전송되게 처리한다.
이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우선적으로 상기 병실에서 개별 관리를 위해 상기 기저귀의 용변 배출 감지 신호를 전송되게 하고 상기 리셋 조작이 될 때까지 알림 내용이 유지되게 처리하며, 조치에 필요한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리셋 조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간호사실에서 전체 관리를 위해 상기 기저귀의 용변 배출 감지 신호가 전송되게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간호사실에서 용변 처리 조치를 완료한 후에는 상기 센서부(610)에서의 리셋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병실 알림부(630)는, RF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AC 전원을 사용하여 전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병실의 일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환자 기저귀에 용변 배출 상태를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에게 개별적으로 알려준다.
예를 들어, 병실에서 기저귀를 착용한 환자가 용변을 배출했을 때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는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침대 번호와 환자 이름을 포함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병실에서 보호자 및 간병 도우미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병실 알림부(630)는, 예를 들어 15㎝X50㎝ 크기의 LCD 또는 LED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환자 식별정보가 점멸하면서 디스플레이 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분 내에 기저귀에 장착된 센서부(610)가 리셋 조치된 경우에는 환자 식별정보가 제거된다.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는, RF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AC 전원을 사용하여 전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간호사실의 일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부터 전송받은 전체 병실의 기저귀 용변 배출 상태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병실에서 기저귀를 착용한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을 때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는 환자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리셋 신호가 소정 시간 내에 전송되지 않을 때만 병실 번호를 추가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는, 예를 들어 LCD 또는 LED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환자 식별정보가 점멸하면서 디스플레이 하게 할 수 있으며, 기저귀에 장착된 센서부(610)가 리셋 조치된 경우에는 환자 식별정보가 제거된다.
그리고 간호사실의 PC에서 운영 프로그램화하여 환자 이름을 기저귀에 장착된 센서부(610)에 코드화 작업 및 변경하면서 환자 개인의 정보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600)의 동작 과정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에서 센서 신호 처리부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거동이 불편하여 상기 센서부(610)가 장착된 기저귀를 착용하고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가 용변을 배출하면, 상기 센서부(610)의 습도 센서(611)에서 기저귀의 습도를 감지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제어 모듈(614)에서상기 RF 모듈(612)을 통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는,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았는가를 판단한다.(S51)
만일 환자 기저귀의 용변 배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다시 돌아가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았는가의 판단을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51에서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용변 배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병실 알림부(630)로 해당 환자 기저귀에 용변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우선 전송되게 처리하여, 해당 환자의 병실에 보호자 또는 간병 도우미가 알 수 있도록 한다.(S52)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서는,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 번호와 환자 이름이 디스플레이 되면서 병실 주변의 보호자나 간병 도우미는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했음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610)의 상기 제어 모듈(614)에서는, 상기 리셋 수단(613)으로부터 기저귀의 수분 감지를 최초로 되돌리는 리셋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RF 모듈(612)을 통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5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53)
여기서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는,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알림 내용을 제거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더 이상 표시되지 않게 처리한다.(S54)
만일 단계 S53에서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리셋 신호를 전송받지 못했다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는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로 병실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이 전송되게 처리한다.(S55)
즉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병실에서 용변 처리가 되지 않았기에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병실 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을 전송하여 간호사가 용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알린다.
도 6은 도 3의 시스템에 환자 관리용 서버가 추가로 포함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자 관리용 서버(650)가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환자의 대소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처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는, 상기 환자 관리용 서버(650)를 별도로 운영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대소변이 감지된 환자의 병력, 치료 이력, 인적사항, 대소변 횟수 등으로부터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 기저귀 110 : 입력 센서
200 : 신호 처리부 300 : 출력부
310 : 번호 표시판 510 : 환자
530 : 간호사
6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610 : 센서부 611 : 습도 센서
612 : RF 모듈 613 : 리셋 수단
614 : 제어 모듈 620 : 센서 신호 처리부
630 : 병실 알림부 640 : 간호사실 알림부
650 : 환자 관리용 서버

Claims (2)

  1. 병실의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에 설치되어, 상기 기저귀의 용변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610)와;
    상기 병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센서 신호 처리부(620);
    상기 병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 전송받아 상기 환자 기저귀에 용변 있음을 알려주는 병실 알림부(630); 및,
    간호사실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에서 전송받아 상기 환자 기저귀에 용변 있음을 알려주는 간호사실 알림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610)는, 상기 병실 알림부(630)의 알림을 통해 상기 병실의 환자 도우미 또는 보호자가 상기 환자의 용변 처리를 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최초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613)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는,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환자 기저귀의 용변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이를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전송하고, 미리 설정해둔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병실 알림부(630)에 알림 내용을 제거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센서부(610)로부터 상기 리셋 수단(614)의 작동에 의한 리셋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간호사실 알림부(640)에 병실 번호와 함께 알림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6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610)는, 상기 기저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611)와, 상기 습도 센서(611)로부터의 습도 감지신호를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는 RF 모듈(612)과, 최초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613)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61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614)은, 상기 습도 센서(611)로부터의 습도 감지신호 또는 상기 리셋 수단(613)으로부터의 리셋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RF 모듈(612)을 통해 상기 센서 신호 처리부(620)로 무선 전송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1020130159569A 2013-12-19 2013-12-19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101547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569A KR101547527B1 (ko) 2013-12-19 2013-12-19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569A KR101547527B1 (ko) 2013-12-19 2013-12-19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91A true KR20150072191A (ko) 2015-06-29
KR101547527B1 KR101547527B1 (ko) 2015-09-25

Family

ID=5351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569A KR101547527B1 (ko) 2013-12-19 2013-12-19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96B1 (ko) * 2015-10-13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1606901B1 (ko) * 2015-10-22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거리별로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23336B1 (ko) * 2017-06-13 2019-09-20 폴스타헬스케어(주) 스마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110U (ja) 2008-08-25 2008-12-18 賢榮 梁 おむつセンサ装置
KR101119637B1 (ko) * 2011-06-02 2012-03-16 디트론 주식회사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527B1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6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or managing a persons position using an accumulated timer
US8872665B2 (en) Sanitiza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US10115291B2 (en) Location-based incontinence detection
KR101956429B1 (ko)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JP2019520964A (ja) おむつセンサ装置およびおむつ監視システム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1547527B1 (ko) 기저귀 용변 처리 시스템
KR101119637B1 (ko) 배변/배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881583B1 (ja) 無線式介護補助装置
US11504280B2 (en) Incontinence care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210205151A1 (en)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
KR101617212B1 (ko) 치매 환자 대소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6770B1 (ko) 환우의 배변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US20170242966A1 (en) Method for predicting patient movement
KR20090079310A (ko) 대소변 감지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23326A (ko) 배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침대
KR20140124309A (ko) 욕창방지용 자세 교정 장치
TWM491455U (zh) 具濕度感測之尿布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14

Effective date: 201505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70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14

Effective date: 201505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